KR100671946B1 -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 Google Patents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946B1
KR100671946B1 KR1020050044817A KR20050044817A KR100671946B1 KR 100671946 B1 KR100671946 B1 KR 100671946B1 KR 1020050044817 A KR1020050044817 A KR 1020050044817A KR 20050044817 A KR20050044817 A KR 20050044817A KR 100671946 B1 KR100671946 B1 KR 10067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eflector
hinge
support plate
conveying mean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390A (ko
Inventor
박금순
Original Assignee
박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금순 filed Critical 박금순
Priority to KR102005004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946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02B23/06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having a focussing action, e.g. parabolic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02B23/18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for binoc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점조절을 위해 주반사경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선대칭된 두 지점을 동일한 힘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서 주반사경이 평행을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한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주반사경이동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은,주반사경과 상기 주반사경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부반사경과 빛을 접안렌즈로 안내하는 가이드경통과 경통 및 상기 주반사경을 상기 가이드경통을 따라 전ㆍ후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사망원경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경통이 삽입되는 중앙수용부를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로 회전이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상기 힌지부와 직각을 이루는 상기 몸체의 두 지점을 상기 지지판과 각기 힌지결합시켜, 상기 몸체가 상하로 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회동하는 수평유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반대쪽 몸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이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 망원경, 주반사경, 가이드경통, 주반사경 이송수단, 초점, 힌지부, 수평유지부, 진동방지 코일스프링

Description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REFLECTING TELESCOPE EQUIPPED WITH MOVING MEANS FOR MAIN MIRROR}
도 1 은 일반적인 반사 망원경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 는 주반사경을 광축에 평행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종래 망원경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현원리에 따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반사경이송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반사경 20 : 주반사경 21 : 지지판
30 : 가이드경통 40 : 경통
100 : 주반사경 이송수단 120 : 몸체
110 : 힌지부 111 : 제1힌지핀 112 : 고정부재
130 : 수평유지부 131 : 제2힌지핀 132 : 받침부재
140 : 이송부재 150 : 지지커버 200 : 탄성부재
본 발명은 반사식 또는 반사굴절식 광학계 중에서 주반사경을 이송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반사 망원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반사경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선대칭된 두 지점을 동일한 힘으로 올리거나 내림으로서 주반사경이 평행을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한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에 관한 것이다.
망원경은 반사망원경과 굴절망원경으로 구분되는데, 반사망원경은 거울의 반사 성질을 이용해 빛을 모으게 되며 굴절망원경은 렌즈를 이용해 빛을 모으게 된다. 모인 빛은 접안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굴절망원경의 경우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의 차이로 한 점에서 초점을 이루지 못하는 색수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현재기술로 약 98%까지 해결을 하였다. 그러나 대형망원경의 경우 해결하지 못한 2%의 색수차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되며 대구경의 볼록렌즈 제작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대형만원경의 대부분은 색수차가 없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반사망원경이다
도1은 일반적인 반사 망원경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통(4)으로 들어온 빛은 주반사경(2)에서 반사되어 부반사경(1)으로 보내지고 다시 부반사경(1)에서 반사된 후 가이드경통(3)을 통 해 접안렌즈(6)로 안내되어 관측자가 볼 수 있게 된다. 가이드경통(3)내에 있는 보조반사경(5)은 빛을 가이드경통(3)의 측면에 위치한 접안렌즈(6)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반사경(5) 없이 빛을 직접 접안렌즈(6)로 모을 수도 있다.
반사 망원경의 초점조절방법은 첫째 접안렌즈(6)를 이동시키는 방법, 둘째 부반사경(1)을 이동시키는 방법, 셋째 주반사경(2)을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중, 접안렌즈(6)를 이동시켜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은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이동거리를 움직여야 하고,
부반사경(1)을 이동시켜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은 부반사경(1)의 후방에 이송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이송장치가 입사되는 빛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므로 부반사경(1)이 충분히 큰 직경을 갖아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반사식(Reflictive) 또는 반사굴절식(Catadioptric) 광학계 설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초점 조절 방식은 주반사경(2)을 가이드경통(3)을 따라 앞뒤로 이동시켜 초점을 조절하는 것이다.
초점을 조절할 때 영상이동(Image Shift)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영상이동 현상이란 원(遠)에서 근(近) 또는 근에서 원으로 초점을 조절할 때 영상이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고배율의 장초점 광학계에서는 치명적인 결함으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광학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영상이동 현상이 발생하면,
첫째, 영상 감시 관측시 중앙에 맞춘 피관측물이 초점 조절시 이동하므로 안정되고 지속적인 관측이 어렵다.
둘째, 영상을 이용한 측지 작업, 비전 검사 작업을 할 시 초점 조절 과정 중에 피검물의 영상이 이동하게 되므로 정확한 측정 및 검사 작업이 불가능하다.
셋째, 주 반사경이 광축의 수직상에서 기울어짐으로서 광축의 어긋남이 발생하고 이는 수차 발생 요인으로 작용하여 영상의 품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넷째, 한쪽 방향에서만 지속적으로 작동되는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해 가이드경통의 편마모가 발생하여 광학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다섯째, 주반사경을 밀고 당기는 힘이 중심에서 치우친 한 점에만 작용하므로 운용 온도 저하로 윤활 그리스의 점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초점 조절 장치 계통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며, 이는 정비 발생률을 크게 높이게 된다.
주반사경 이송에 의한 초점 조절에서 영상이동 현상이 발생하는 주원인은 주반사경이 가이드경통을 따라 광축에 평행하게 이동되지 못하기 때문으로, 이는 광축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한 지점을 밀고 당길 때 가이드경통 및 기타 기계적인 공차에 의해 주반사경이 미세하게 기울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가이드경통을 정밀 가공함으로서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는데, 실제로 선진국의 몇몇 제품들은 정교한 가이드 경통을 사용함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상당히 개선하였으나 여전히 문제점은 존재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가이드경통의 편마모 등으로 인하여 결 국에는 정기적으로 완전분해 후 가이드경통을 재정비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도2는 영상이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주반사경(2)을 광축에 평행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종래 망원경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주반사경(2)을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선대칭된 양쪽에서 동시에 나사(7)로 주반사경(2)을 밀거나 당기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2a는 양쪽 나사(7)를 동시에 손으로 회전시켜 밀고 당기는 방식으로, 이는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으로 양쪽을 동일하게 밀고 당긴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방법이다. 도2b는 한쪽 나사(7)를 회전시키면 나사(7)에 결합된 풀리(8) 및 벨트(9)에 의해 반대쪽 나사도 동일하게 회전됨으로서 주반사경(2)을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는 양쪽 풀리(8) 및 나사(7)의 규격이 완전히 동일하여야 하며 벨트(9)가 헛도는 일이 없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반사경을 광축에 평행하게 가이드경통을 따라 이동시켜 종래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영상이동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주반사경이동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주반사경이동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은,
중공을 갖고 지지판이 저면에 부착되며 대물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반사하는 주반사경;과 상기 주반사경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주반사경에서 반사된 빛을 재 반사하는 부반사경;과 상기 주반사경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부반사경에서 반사된 빛을 수용하여 접안렌즈로 안내하는 가이드경통;과 상기 주반사경 및 부반사경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방에 대물렌즈가 배열된 경통; 및 상기 주반사경을 상기 가이드경통을 따라 전ㆍ후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사망원경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경통이 삽입되는 중앙수용부를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로 회전이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각각 상기 힌지부와 직각을 이루는 상기 몸체의 두 지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힌지부를 축으로 상하로 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회동하는 수평유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반대쪽 몸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몸체가 상기 힌지부를 작용점으로 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유지부가 회동하여 상기 주반사경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경통을 따라 전ㆍ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이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하 회전에 따른 상기 몸체의 좌우 직선이동을 위해, 상기 고정부재의 힌지공 또는 상기 몸체의 힌지공 또는 이들 모두의 힌지공은 그 좌 우 폭이 상기 제1힌지핀의 직경보다 큰 장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현원리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반사경이송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원리를 설명하면, 몸체(12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110)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고 반대측을 이송부재(140)에 의해 승하강시켜 몸체(120)를 상기 힌지부(110)를 축으로 회전시키면 주반사경(20)을 지지하는 지지판(21)에 결합된 한 쌍의 수평유지부(130)가 광학축으로부터 대칭되게 떨어져 있는 2개의 지점을 동일한 힘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어 주반사경(20)이 광축에 평행을 유지하면서 가이드경통(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몸체(120)의 회전에 따라 주반사경(20)에 작용하는 힘이 될 수 있으면 상부 또는 하부로 작용하고 동등하여야 본 발명의 목적이 보다 더 적절히 달성된다 할 것이므로, 대칭된 한 쌍의 상기 수평유지부(130)가 이루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힌지부(110)와 직각을 이뤄야하고, 상기 몸체(120)는 상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좌우 직선운동을 하여야 할 것이며, 지지판(21)에 결합되는 상기 수평유지부(130)는 몸체(120)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이는 몸체(12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다.)하여야 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반사경(20), 부반사경(10), 가이드경통(30), 경통(40), 주반사경이송수단(100) 및 탄성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 중 주반사경(20), 부반사경(10), 가이드경통(30) 및 경통(40)은 종래와 별 차이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주반사경이송수단(100) 및 탄성부재(200)를 위주로 이하 설명한다.
상기 주반사경이송수단(100)은 힌지부(110), 몸체(120), 수평유지부(130) 지지커버(150) 및 이송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20)는 상기 지지판(21)의 하부에 배열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의 수평유지부(130)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평유지부(130)가 이루는 가상의 직선에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 힌지부(110)와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몸체(120)는 가이드경통(30)이 삽입되는 중앙수용부(121)를 갖는다. 상기 중앙수용부(121)는 후술할 탄성부재(200)를 수용하기 위해 그 내경이 지지커버(150) 및 주반사경(20)의 중공(22,151)의 내경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지지판(21)이 그 내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유지부(130)는 한 쌍이 광학축(즉,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선대칭된 위치의 상기 몸체(120)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1)을 고정한다. 상기 수평유지부(130)는 기본적으로 제2힌지핀(131)으로 구성되어 몸체(120) 및 지지판(21)을 연결하되, 몸체(120)를 기준으로 몸체(120)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하므로, 몸체(120)에 결합된 제2힌지핀(131) 또는 지지판(21)에 결합된 제2힌지핀(131)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된 제2힌지핀(131)은 회동이 가능하게 이들과 결합되어야 한다. 상기 수평유지부(130)는 지지판(21)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힌지핀(131)이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된 받침부재(132)를 더 포함하는 것이 지지판(21)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케 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110)는 상기 한 쌍의 수평유지부(130)가 이루는 가상의 직선과 직교하는 위치의 몸체(120)에 결합되어 몸체(120)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부(110)는 제1힌지핀(111)과 상기 경통(40) 또는 지지커버(15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20) 및 고정부재(112)에 형성된 힌지공(113a,b)에 상기 제1힌지핀(111)이 삽입되어 이들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힌지핀(111)이 삽입되는 상기 몸체(120) 및 고정부재(112)에 형성된 힌지공(113a,b)의 상하 폭은 제1힌지핀(111)의 직경에 대응하나, 상기 몸체(120)의 힌지공(113b) 또는 고정부재(112)의 힌지공(113a), 또는 이들 모두의 힌지공(113a,b)은 그 좌우 폭이 제1힌지핀(111)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장홈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120)가 상하로 회전운동 하는 경우 수평유지부(130)에 고정된 지지판(21)이 가이드경통(30)을 따라 저항 없이 승하강하기 위해서는 몸체(120)가 좌우로 직선운동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커버(150)는 상기 경통(40)의 하부에 결합되는데, 경통(40)과 일체를 이룰 수도 있으나, 경통(40) 내부에 있는 장비들의 정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통(40)에 탈부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커버(150)는 가이드경통(30)이 삽입되는 중공(151)을 갖고 힌지부(110)의 고정부재(112)가 일측에 고정되고 그 반대측에는 이송부재(140)가 삽입되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재(140)는 지지커버(150)의 나사공(152)에 삽입되어 몸체(120)를 제1힌지핀(111)을 작용점으로 하여 상하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부재(140)는 상기 지지커버(1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손잡이(142)와 미세조절이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14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142)를 회동시켜 상기 몸체(120)에 연결된 볼트부(141)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몸체(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송부재(140)는 몸체(120)의 어느 부분을 밀거나 당기더라도 그 기능을 발휘하는 데는 지장이 없으나, 상기 몸체(120)의 힌지부(110)에 대칭되는 부분을 밀거나 당기는 것이 한 쌍의 수평유지부(130)에 동일한 힘을 미치게 되어 지지판(21)이 수평을 유지하는데 유리하고 이송부재(140)의 이동거리에 비례하는 몸체(120)의 이동거리도 큼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00)는 지지판(21)과 지지커버(150) 사이에 개재되며, 주반사경(20)을 지지하는 지지판(21)이 수평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상기 지지판(21)이 가이드경통(30)을 따라 이동시 진동을 방지하여 보다 더 부드럽게 이송되게 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주반사경이 유지하고 있는 수평상태를 해지치 않는 치수, 탄성, 배열위치를 가져야 한다. 탄성부재(200)의 대표적인 것으로 진동방지 코일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가이드경통(30)을 감싸는 원추형의 하광상협 형상의 진동방지 코일스프링은 지지판(21)과 지지커버(150) 사이의 간격이 좁더라도 충분히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주반사경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반사경을 광학축에 평행하게 가이드경통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서 기존의 주반사경을 이송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반사 망원경에서 발생하던 영상이동 현상을 완전히 제거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첫째, 초점조절시 영상이동 현상을 완벽히 제거함으로 신뢰성 있는 고배율의 장초점 반사광학계를 제작할 수 있다.
둘째, 초점 조절시 주반사경의 비틀림에 의한 광축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영상 품질의 저하를 막고 최상의 광학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가이드경통의 정밀도를 크게 높이지 않아도 영상이동 현상을 제거 할 수 있으므로 제작 난이도가 줄어들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영상이동 현상이 없으므로 영상을 이용한 측지 작업, 비전 검사장치로 활용이 용이하다.
다섯째, 초점 조절시 중심축(광학축)에서 동일하게 떨어진 대칭상의 2개 지점에 동일한 크기의 힘이 작용하므로 장치의 작용이 안정적이다. 이는 특히 저온 상태에서 윤활 그리스의 점도가 떨어지더라도 장치의 작동 부하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정비 발생률도 감소된다.

Claims (8)

  1. 중공을 갖고 지지판이 저면에 부착되며 대물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반사하는 주반사경;과 상기 주반사경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주반사경에서 반사된 빛을 재 반사하는 부반사경;과 상기 주반사경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부반사경에서 반사된 빛을 수용하여 접안렌즈로 안내하는 가이드경통;과 상기 주반사경 및 부반사경이 내부에 구비되며 전방에 대물렌즈가 배열된 경통; 및 상기 주반사경을 상기 가이드경통을 따라 전ㆍ후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사망원경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경통이 삽입되는 중앙수용부를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로 회전이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각각 상기 힌지부와 직각을 이루는 상기 몸체의 두 지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힌지부를 축으로 상하로 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회동하는 수평유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반대쪽 몸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몸체가 상기 힌지부를 작용점으로 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유지부가 회동하여 상기 주반사경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경통을 따라 전ㆍ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에는
    상기 가이드경통이 삽입되는 중공과, 상기 이송부재가 삽입되는 나사공을 가지며, 상기 경통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경통 또는 지지커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몸체에 형성된 힌지공에 삽입되어 이들을 결합시키는 제1힌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상하 회전에 따른 상기 몸체의 좌우 직선이동을 위해, 상기 고정부재의 힌지공 또는 상기 몸체의 힌지공 또는 이들 모두의 힌지공은 그 좌우 폭이 상기 제1힌지핀의 직경보다 큰 장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및 몸체에 형성된 힌지공에 삽입되어 이들을 결합시키는 제2힌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5.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 및 지지판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 및 지지판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경통을 감싸는 원추형 진동방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반사경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경통을 감싸는 원추형 진동방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반사경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KR1020050044817A 2005-05-27 2005-05-27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KR10067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17A KR100671946B1 (ko) 2005-05-27 2005-05-27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17A KR100671946B1 (ko) 2005-05-27 2005-05-27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390A KR20060122390A (ko) 2006-11-30
KR100671946B1 true KR100671946B1 (ko) 2007-01-19

Family

ID=3770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817A KR100671946B1 (ko) 2005-05-27 2005-05-27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1298B2 (en) 2013-01-11 2015-02-24 Bally Gaming, Inc. Bet sensors, gaming tables with one or more bet sensors, and related methods
KR102472291B1 (ko) 2021-11-19 2022-11-3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광학 장치 및 광 진행 경로 변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1245A (en) 1982-07-27 1986-05-27 Michael Schreiter Focusing arrangement for a reflecting telescope
JPH03271710A (ja) * 1990-03-20 1991-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焦点位置移動装置
JPH0420913A (ja) * 1990-05-16 1992-01-24 Mitaka Koki Kk 望遠鏡の主反射鏡支持機構
JP2000258695A (ja) 1999-03-10 2000-09-22 Mitsubishi Heavy Ind Ltd 反射望遠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1245A (en) 1982-07-27 1986-05-27 Michael Schreiter Focusing arrangement for a reflecting telescope
JPH03271710A (ja) * 1990-03-20 1991-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焦点位置移動装置
JPH0420913A (ja) * 1990-05-16 1992-01-24 Mitaka Koki Kk 望遠鏡の主反射鏡支持機構
JP2000258695A (ja) 1999-03-10 2000-09-22 Mitsubishi Heavy Ind Ltd 反射望遠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390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402B2 (en) Camera having a camera holder and an optical adapter
US3484149A (en) Center focusing prism binocular and reticle
US9841567B1 (en) Two-dimensional optical scanning method and optical scanning adapter for inspecting multiple-fiber optic connector
JPS5910922A (ja) 光学的調節要素
US9541748B2 (en) Surgical microscope objective having an adjustable focal intercept
KR100671946B1 (ko) 주반사경 이송수단을 구비한 반사 망원경
US3434772A (en) Stereoscopic and microscopic binocular
US20070247729A1 (en) Reflective objective
US2942519A (en) Stereomicroscope casing
US7158293B2 (en) Tube for a microscope
US7982949B2 (en) Operation microscope having assistant&#39;s microscope
JP4431381B2 (ja) 顕微鏡鏡筒
US6785045B2 (en) Microscope focusing apparatus
CN113031241A (zh) 一种物镜光学系统
US7554724B2 (en) Microscope lens barrel
KR101593870B1 (ko) 초점 거리 가변용 텔레센트릭 광학 장치
JP3833790B2 (ja) 実体顕微鏡の光路切換装置
CN221007964U (zh) 一种用于光学镜头的防磨损结构
JP2004530948A5 (ko)
US3709606A (en) Device for adjusting angle of inclination of reference mirror for interferometer
US3574440A (en) Incident light microscope with rotatable housing
JP2013054189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光学機器
JP4201693B2 (ja) 光干渉ユニット、光干渉対物レンズ装置および測定装置
US8708581B2 (en) Mirror arrangement for reflex cameras
SU88805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нени углов конверген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