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221B1 -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221B1
KR100671221B1 KR1020050044724A KR20050044724A KR100671221B1 KR 100671221 B1 KR100671221 B1 KR 100671221B1 KR 1020050044724 A KR1020050044724 A KR 1020050044724A KR 20050044724 A KR20050044724 A KR 20050044724A KR 100671221 B1 KR100671221 B1 KR 10067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om
alarm
unit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345A (ko
Inventor
강명효
Original Assignee
강명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효 filed Critical 강명효
Priority to KR102005004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22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한 사다리형 또는 실린더형의 차량의 붐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고자 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기기어 측에 구비되어 기어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차량의 변속기기어 작동 감지부와; 차량의 붐대 하단에 구비되어 붐대의 승하강 상태를 감지하는 붐대 위치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들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송출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위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출력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송출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위험 경보램프를 점등시키는 경보램프 출력부;로 이루어지며,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붐대를 하강시키지 않고 차량을 이동시키고자 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고소작업, 사다리, 붐대, 경보, 안전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a safety driving of high place works c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붐대가 하강한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붐대가 상승한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시스템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시스템의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붐대 위치 감지부 200 : 기어 작동 감지부
300 : 중앙 처리부 400 : 자가진단부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한 사다리형 또는 실린더형의 차량의 붐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고자 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에는 운송수단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 작업장비 등의 발전으로 이삿짐의 입출작업에 사다리형 또는 실린더형 등의 고소작업용 차량을 이용하게 되었고, 도로의 가로수 정리작업과 도시의 전력선관리 등의 작업도 사다리형 또는 실린더형의 차량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작업의 효용성을 극대화하여 여려가지면에서 편리하고 용이한 반면에 조금만 주위를 소홀히하면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다리 또는 실린더의 붐대를 상승시켜 작업을 하고 난 후에 상기 붐대를 다시 하강시켜 원위치 시킨 후 차량을 이용하여야 하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붐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이동을 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승해 있는 상기 붐대가 가로수나 전력선, 건물 등에 부딪혀서 피해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에는 지하도 또는 고가도로, 고가철도 등에 부딪쳐 큰 사고를 내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발명으로서, 사다리형 또는 실린더형 차량의 붐대를 상승시킨 후 하강시키지 않고 차량을 이동하게 되면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시스템의 감지센서가 단선 등으로 인해 작동을 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가 진단을 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차량 변속기기어의 작동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변속기기어의 작동이 감지되면, 붐대의 하강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가 상승된 상태이면 위험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변속기기어의 작동을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감지부들의 단선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들이 단선으로 판단 시에는 고장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기기어 측에 구비되어 기어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차량의 변속기기어 작동 감지부와; 차량의 붐대 하단에 구비되어 붐대의 승하강 상태를 감지하는 붐대 위치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들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송출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위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출력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송출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위험 경보램프를 점등시키는 경보램프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중앙처리부는 기어 작동 감지부에 의해 기어의 작동을 감지하고, 붐대 위치 감지부에서 붐대가 상승된 상태임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위험경보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부에는 자가진단부를 더 구비하여 감지부의 단선 여부를 진단하고, 고장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붐대가 하강한 상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붐대가 상승한 상태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시스템의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시스템의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공지의 고소작업용 차량(10)과 같이 붐대(20)가 구비되어 차량에서부터 원하는 소정 높이의 작업위치까지 연결하게 되며, 상기 붐대(20)의 하단에는 상기 붐대(20)가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리미트 스위치 등의 붐대 위치 감지부(100)를 구비하고, 차량(10)의 변속기기어 측에는 차량(10)을 이동하기 위해 변속기기어가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변속기기어 작동 감지부(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100)(200)는 각각 하나 이상의 복수로 구비하여 불량으로 인한 오작동을 최소화 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00)(200)들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경보장치(400)에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처리부(300)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300)에는 상기 감지부(100)(200)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여 위험경고 신호를 송출함에 따라 경보음 출력부(310)와 경보램프 출력부(320)를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부(300)에는 상기 감지부(100)(200)들의 단선 여부 등을 체크하는 자가진단부(400)를 더 구비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단선 등의 고장이 발 생 시에는 이를 알리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경보음 출력부(410)와 경보램프 출력부(420)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감지부(100)(200) 및 중앙처리부(300), 그리고 자가진단부(400)와 경보음 및 경보램프 출력부는 차량(10)의 일측에 별도로 구비된 축전지 등의 전원부(30)에 의해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차량(10)을 이용하여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붐대(20)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때, 차량의 운전부(도면에는 미도시)와 본 발명의 전원부(30)에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을 마친 후에는 작업자가 상승된 붐대(20)를 하강시켜 접은 후 차량(10)을 이동하게 되는 바, 상기 붐대(2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붐대(20)에 구비된 센서(21)에 의해 차량(10)에 구비된 붐대 위치 감지부(100)가 붐대(20)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차량(10)을 이동시키기 위해 기어를 작동하게 되면, 변속기기어 작동 감지부(200)가 이를 감지하며(S40), 상기 변속기기어 작동 감지부(2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중앙처리부(300)에서는 상기 붐대 위치 감지부(100)에 의해 붐대(20)가 상승된 상태인지 하강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40).
이때, 상기 자가진단부(400)에서는 감지부(100)(200)에 미세 전류를 흘려보내 단선 등으로 인해 작동에 이상이 있는지 등을 소정의 주기마다 판단하여(S10) 고장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경고음(S20)과 경고 램프의 점등(S30)으로 고장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감지부(100)(200)의 센서가 고장남으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감지부(100)(200)의 센서를 각각 복수로 연결하여 하나의 센서가 고장나더라도 이상없이 감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변속기기어 작동 감지부(200)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붐대(20)가 하강한 상태임이 판단(S50)되는 경우에는 경보발생없이 차량(10)을 이동시킬 수 있으나, 상기 붐대(20)가 하강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S50)되는 경우에는 경보음의 발생(S60) 및 경보램프의 점등(S70)으로 작업자에게 위험경보 신호를 보낸다.
상기 위험경보 신호에 의해 작업자는 변속기기어의 작동을 멈출 것이며, 상승된 상태의 붐대(20)를 하강시키고 차량(10)을 이동시키게 되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속기기어 작동 감지부(200)에서 감지가 되지 않는 한, 붐대(100)의 상승 상태를 붐대 위치 감지부(100)에서 감지를 하더라도 경보음 및 경보램프의 출력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소 작업을 위해 사다리 또는 실린더 등의 붐대를 상승시킨 후,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하강시키지 않고 차량을 이동시키고자 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차량 변속기기어의 작동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변속기기어의 작동이 감지되면, 붐대의 하강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가 상승된 상태이면 위험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변속기기어의 작동을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감지부들의 단선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들이 단선으로 판단 시에는 고장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3. 차량의 변속기기어 측에 구비되어 기어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차량의 변속기기어 작동 감지부와;
    차량의 붐대 하단에 구비되어 붐대의 승하강 상태를 감지하는 붐대 위치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들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송출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위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출력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송출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위험 경보램프를 점등시키는 경보램프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변속기기어 작동 감지부에 의해 변속기기어의 작동을 감지하고, 붐대 위치 감지부에서 붐대가 상승된 상태임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위험경보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에는 자가진단부를 더 구비하여 감지부의 단선 여부를 진단하고, 고장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시스템.
KR1020050044724A 2005-05-27 2005-05-27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7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724A KR100671221B1 (ko) 2005-05-27 2005-05-27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724A KR100671221B1 (ko) 2005-05-27 2005-05-27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345A KR20060122345A (ko) 2006-11-30
KR100671221B1 true KR100671221B1 (ko) 2007-01-19

Family

ID=3770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724A KR100671221B1 (ko) 2005-05-27 2005-05-27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718B1 (ko) * 2020-09-01 2022-04-25 장민경 고소 작업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645A (ja) * 1996-02-07 1997-08-12 Hino Motors Ltd 車両用クレーン装置の警報装置
JPH10169480A (ja) * 1996-12-12 1998-06-23 Maruki Unyu Kk 作業車輛のエンジン停止安全装置
JP2000007273A (ja) * 1998-06-19 2000-01-11 Tadano Ltd 作業機の安全警報装置
JP2001226097A (ja) * 2000-02-14 2001-08-21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645A (ja) * 1996-02-07 1997-08-12 Hino Motors Ltd 車両用クレーン装置の警報装置
JPH10169480A (ja) * 1996-12-12 1998-06-23 Maruki Unyu Kk 作業車輛のエンジン停止安全装置
JP2000007273A (ja) * 1998-06-19 2000-01-11 Tadano Ltd 作業機の安全警報装置
JP2001226097A (ja) * 2000-02-14 2001-08-21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345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2148A1 (en) Anti-entrapment device for scissor lifts
US8950605B2 (en) Monitoring and alarm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EP3002249B1 (en) Safety device
WO2012088863A1 (zh) 防电击方法、装置及具有该防电击装置的工程机械
CN103613017A (zh) 塔式起重机顶升系统位置状态在线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02943790A (zh) 智能液压缸系统
KR100671221B1 (ko) 고소작업용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72126A (ko) 철로작업 보호를 위한 열차접근 감지 시스템
CN203602278U (zh) 塔式起重机上下挂靴就位检测装置
US20050253694A1 (en) Vehicle mounted pedestrian sensor system
CN202393488U (zh) 一种臂架振动报警设备
CN202814487U (zh) 一种路面积水自动报警装置
CN205442423U (zh) 一种起重机的控制及监控管理系统
KR102008924B1 (ko) 작업자 선로 횡단 안전 시스템
CN200999183Y (zh) 塔机工作状态实时监控装置
CN203021226U (zh) 预警系统及起重机
TWM487496U (zh) 電纜防盜通報裝置及其系統
CN203806995U (zh) 起重机预防碰撞控制系统
CN203462400U (zh) 一种自动示警板式橡胶支座
CN203451987U (zh) 一种自动示警防滑板式橡胶支座
CN105152044A (zh) 起重机及其支腿操纵方法和系统
CN103693558B (zh) 一种伸缩臂架伸缩长度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210104978A (ko) 굴삭기의 주정차시 어태치먼트 안전장치 및 방법
CN103896160A (zh) 起重机预防碰撞控制系统
CN212411333U (zh) 基于5g通讯网络的双护盾隧道掘进机检测报警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