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002B1 -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002B1
KR100671002B1 KR1020040064606A KR20040064606A KR100671002B1 KR 100671002 B1 KR100671002 B1 KR 100671002B1 KR 1020040064606 A KR1020040064606 A KR 1020040064606A KR 20040064606 A KR20040064606 A KR 20040064606A KR 100671002 B1 KR100671002 B1 KR 10067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transmitter
window
transmission window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309A (ko
Inventor
샘샤우-샹 지앙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2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2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7Evaluation or update of window size, e.g. using information derived from acknowledged [ACK]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8End to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04L47/263Rate modification at the source after receiving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수신기와 송신기를 제어하여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본 방법은 송신기의 전송창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를 구동하여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송신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송신기가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때, 송신기를 구동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기로 출력하여,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서 전송창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송창, 변경, 송신기, 수신기, 무선

Description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A RECEIVER AND A TRANSMIT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HANDLE A TRANSMISSION WINDOW SIZE CHANGE PROCEDURE}
도 1은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와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와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전송창을 조정하는 제 1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전송창을 조정하는 제 2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라 전송창을 조정하는 제 3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전송창을 조정하는 제 4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출원은 "RETRANSMISSION OF TRANSMISSION WINDOW SIZE CHANGE COMMAND"의 발명의 명칭으로 2003년 8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481,281 호를 우선 권으로서 주장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수신기(12)와 송신기(14)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수신기(12)와 송신기(14) 둘 다는 그들이 각각 PDU를 수신하고 PDU를 전송할 예정인 윈도우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기(12)는 2개의 상태 변수, 즉 VR(R)(18) 및 VR(MR)(20)에 의해 한계가 규정되는 수신창(16)을 구비한다. VR(R)(18)은 수신창(16)의 개시부를 마킹하고, VR(MR)(20)은 수신창(16)의 종료부를 마킹한다. 수신기(14)는 순서적으로 VR(R)(18)에 있거나 이후에 있으며 또한 순서적으로 VR(MR)(20) 앞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만을 수용할 것이다. VR(MR)(20)내에 있는 시퀀스 번호 값은 수신창(16)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피어 송신기(peer transmitter)(14)는 2개의 상태 변수, 즉, VT(A)(24) 및 VT(MS)(26)에 의해 한계가 규정되는 전송창(22)을 구비한다. VT(A)(24)는 전송창(22)의 개시부를 마킹하고, VT(MS)(26)은 전송창(22)의 종료부를 마킹한다. 송신기(14)는 전송창(22)의 범위내에 있는, 즉, 순서적으로 VT(A)(24)에 있거나 이후에 있으며 또한 순서적으로 VT(MS)(26) 앞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 만을 전송할 것이다.
수신창(16)은 수신창 크기를 가진다. 수신창 크기는 단순히 상태 변수 VR(R)(18) 및 VR(MS)(20)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시퀀스 번호 값의 번호이다. 즉, VR(MS)(20)은 VR(R)(18)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고정된 시퀀스 번호 값을 항상 유지하며, 이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된다.
VR(MS) = VR(R) + 수신창 크기
유사하게, 전송창(22)은 상태 변수 VT(A)(24) 및 VT(MS)(26)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시퀀스 번호 값의 번호를 나타내는 전송창 크기 상태 변수 VT(WS)(28)를 가진다. 상태 변수 VT(WS)(28)는 상위 계층에 의해 공급되는 하나의 구성된 전송창 크기로 설정되는 초기값을 가진다. 상태 변수 VT(MS)(26), VT(A)(24) 및 VT(WS)(28)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VT(MS) = VT(A) + VT(WS)
수신기(12)가 송신기(14)로부터 PDU를 수신하기 때문에, 수신기(12)는 상태 변수 VR(R)(18)의 값을 갱신하여, 모든 이전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던 순서적으로 가장 빠른 시퀀스 번호를 반영한다. 다른 방식을 취하면, VR(R)(18)은 수신기(12)가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순서적으로 가장 빠른 PDU의 시퀀스 번호를 항상 보유한다. 이러한 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즉시, 수신기(12)는 상태 변수 VR(R)(18)를, 수신될 필요가 있는 다음 PDU의 시퀀스 번호 값으로 전진되고, 상태 변수 VR(MR)(20)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갱신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창(16)은, PDU가 송신기(14)로부터 입력될 때, 수신기(12)에 의해 전진된다.
전송창(22)은, 송신기(14)가 수신기(12)로부터 응답 상태 PDU(acknowledgement status PDU)를 수신할 때 전진된다. 응답 상태 PDU는 상태 변수 VR(R)(18)의 가장 최근의 값을 보유하고, 수신기에 의해 주기적인 간격으로 또는 송신기(14)로부터의 명시적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또한, 응답 상태 PDU는, 누락(예를 들어, 순서적으로 나중의 PDU가 이미 수신되었기 때문에)된 것으로 알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재전송되어야 하는 수신창(16) 내의 PDU를 나타낼 것이다. 그 다음, 송신기(14)는 상태 변수 VT(A)(24)를 응답 상태 PDU에 유지된 값과 동일하게 설정할 것이며, 실제로 VT(A)(24)를 VR(R)(18)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따라서, 송신기(14)는 수학식 (2)을 이용하여 상태 변수 VT(MS)(26)을 갱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창(22)과 수신창(16)은 서로를 향해서 이동한다.
수신기(12)가 대응하는 송신기(14)의 전송창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된 것이다. 3GPP TS 25.322 V4.9.0 (2003-6) 무선 링크 제어(RLC) 프로토콜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STATUS PDU는 허용되는 전송창(22)의 크기에 대하여 송신기(14)에게 통지하기 위해 수신기(12)에 의해 사용된다. 수신기(12)는 상태 변수 VT(WS)(28)의 값을 설정하기 위해, 윈도우 크기 슈퍼 필드(WINDOW SUFI)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STATUS PDU를 송신기(14)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WINDOW SUFI를 전송하는 목적은 버퍼 메모리 크기의 요건으로 인한 흐름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신기(12)는 WINDOW SUFI가 전송된 후에 수신창 크기를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신기(12)는, 송신기(14)가 WINDOW SUFI(55)를 포함한 STATUS PDU(54)를 항상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환언하면, 종래 기술에 의해, WINDOW SUFI(55)를 포함한 STATUS PDU(54)가 수신기(12)에 의해 전송될 때, 전송창 변경 과정이 종료된다. 그러나, WINDOW SUFI(55)를 반송하는 STATUS PDU(54)는 대기중의 외부 간섭으로 인해 송신기(14)에 의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STATUS PDU가 무선 전송 중에 손실되면, 수신기(12)는 이러한 WINDOW SUFI의 흐름 제어 목적을 충족시킬 수 없다.
다른 조건과 관련하여, 수신기(12)로부터 출력된 누락된 WINDOW SUFI는 전송창(22)의 크기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먼저 전송창 크기가 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되도록 요청되고, 그 다음, 원래의 크기로 다시 확대되도록 요청될 때 발생할 것이다. STATUS PDU가 무선 전송 중에 손실되면, 수신창(12)의 크기는 변경되지 않은 전송창(22)의 크기보다 클 것이다. 전송창(22)에 따라서 송신기(14)로부터 전송된 모든 PDU는 수신기(12)에 의해 수용될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전송창(22)이 수신기(12)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량 및 데이터 속도는 저하될 것이며, 절대 이용될 수 없는 과도한 버퍼를 예약하는 수신창(16)은 이용가능한 메모리 용량을 낭비한다. 이전의 전송창 크기 변경(TWSC) 과정이, 흐름 제어의 중요성으로 인해 데이터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기 위해 전송창 크기를 0으로 설정되는 것을 요구하는 극단의 경우에, 전송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회복하는 회복 TWSC 과정이 대기면을 통해 손실되면, 송신기(14)는 중지를 중단하지 않을 것이며, 데이터 전송 교착 상태(deadlock)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대기를 통한 무선 통신 중의 제어 메시지의 손실에 의해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송창 크기 변경(TWSC) 과정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TWSC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은, 송신기의 전송창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를 구동하여,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송신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송신기가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때, 송신기를 구동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기로 출력하고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서 전송창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TWSC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은, 송신기의 전송창을 조정하기 위해, 수신기를 구동하여 제어 메시지를 송신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 후에, 수신기를 구동하여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서 수신창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수신기는 수신창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를 폐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TWSC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은, 송신기의 전송창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해, 수신기를 구동하여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송신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수신기를 구동하여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서 의도한 수신창을 생성하는 단계와,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 후에, 수신기가 그 의도한 수신창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를 수신하면, 수신기를 구동하여 제어 메시지를 송신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TWSC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은, 송신기의 전송창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수신기를 구동하여 제어 메시지를 송신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수신기를 구동하여,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 후에 수신창에 의해 허용되는 새로운 PDU가 수신되지 않는 다수의 전송 시간 간격(이하, TTI)을 계수하는 카운터를 이용하는 단계와, TTI 카운터가 사전 결정된 값에 도달하면, 수신기를 구동하여 제어 메시지를 송신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WSC 과정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는 본 방법은 WINDOW SUFI를 수신할 때 송신기를 이용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기로 출력한다. 따라서, 수신기는 WINDOW SUFI가 송신기에 의해 올바르게 수신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수신기가 전송창의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해 WINDOW SUFI를 출력하면, 본 방법은 수신기를 구동하여, 수신된 PDU가 의도한 수신창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지를 검출한다. 요약하면, 본 방법은 대기를 통한 무선 통신 중의 WINDOW SUFI의 손실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방법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무선 전송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수신기의 버퍼 메모리 이용을 최적화시킨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30)의 수신기(32)와 송신기(34)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수신기(32)는 타이머(36), 결정 로직(38), 및 수신창(40)을 구비한다. 송신기(34)는 수신창(40)에 대응하는 전송창(42)을 확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창(40)의 범위는 2개의 상태 변수 VR(R)(44) 및 VR(MR)(46)에 의해 제어되고, 전송창(42)의 범위는 이들 상태 변수 VT(A)(48) 및 VT(MS)(50)에 의해 제어된다. 전송창(42)의 크기는 VT(WS)(52)이다. 수신기(32)는 전송창 크기 변경(TWSC)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창(42)의 크기를 수정하기 위해서, 수신기(32)는 WSN 필드(58)를 포함한 WINDOW SUFI(55)를 가진 STATUS PDU(54)를 송신기(34)로 출력한다. 즉, WINDOW SUFI(55)는 상태 변수 VT(WS)(52)의 값을 WSN 필드(58)의 값으로 수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대응하는 상태 변수 VT(MS)(50)는 따라서 조정되며, 상태 변수 VT(A), VT(MS)는 전송창(42)의 새로운 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 추가로, 2개의 상태 변수 VR(R)(44)와 VR(IMR)(45)는 의도한 수신창(43)의 범위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VR(IMR)(45)은 다음과 같이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VR(IMR) = VR(R) + WSN
수학식 (3)은 수신창이 의도한 수신창 크기(WSN 58)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 수학식 (1)과 유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송신기(34)는 WINDOW SUFI(55)를 가진 STATUS PDU(54)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즉시 수신기(32)에게 그 사실을 통지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34)는 STATUS PDU(54)를 수신한 후에, 응답 메시지(WINDOW_ACK SUFI)(57)를 반송하는 STATUS PDU(56)를 수신기(32)에 전달한다. 수신기(32)는, 수신된 STATUS PDU(56)에 의해 반송된 WINDOW_ACK SUFI(57)를 판독함으로써 전송창(42)이 올바르게 조정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WINDOW_ACK SUFI(57)은 WSN_ACK 필드(60)를 선택 사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WSN_ACK 필드(60)는 WSN 필드(58)의 값에 따라서 설정된다. 예를 들어, WSN_ACK 필드는 WSN 필드(58)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전의 TWSC 과정이 종료하기 전에, 새로운 TWSC 과정이 트리거될 때, 수신기(32)는 WSN_ACK 필드를 이용하여, WINDOW_ACK SUFI가 최신의 갱신된 WINDOW SUFI에 대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기(32)가 전송창(42)이 원하는 바대로 올바르게 조정됨을 검출할 때, 수신기(32)는 TWSC 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TATUS PDU(54)는 대기를 통한 무선 통신 중에 손실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TWSC 과정은 전송창 크기(52)의 조정을 확인하기 위해 STATUS PDU(56)를 검출한다. 도 2와 결부시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WSC 과정의 제 1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이하에 설명된다. 먼저, 수신기(32)는, WINDOW SUFI(55)를 가진 STATUS PDU(54)를 송신기(34)로 전달함으로써 TWSC 과정을 개시한다(단계 100). STATUS PDU(54)가 성공적으로 출력된 후에, 수신기(32) 상에 배치된 타이머(36)가 트리거되고 클로킹을 시작한다(단계 102). 그 다음, 타이머(36)를 체크하여 타이머(36)가 만료되었는지를 살펴본다(단계 104). 타이머(36)가 만료되지 않으면, 수신기(106)를 체크하여 수신기가 WINDOW SUFI에 대응하는 WINDOW_ACK SUFI(57)를 가진 STATUS PDU(56)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지를 살펴본다(단계 106). 한편, 타이머(36)가 만료되면, 수신기(32)로부터 출력된 STATUS PDU(54)가 무선 통신 중에 손실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수신기(32)는 구동되어 동일 STATUS PDU(54)를 송신기(34)로 재전송한다(단계 112). 타이머(36)는 재작동된다(단계 102).
단계 106와 관련하여, 수신기(32)가 WINDOW SUFI에 대응하는 WINDOW_ACK SUFI(57)를 반송하는 STATUS PDU(56)를 수신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단계 104를 수행하여, 타이머(36)의 만료를 체크한다. 한편, 수신기(32)가 WINDOW SUFI에 대응하는 WINDOW_ACK SUFI(57)를 반송하는 STATUS PDU(56)를 수신하면(단계 106), 수신기는 TWSC 과정을 종료한다(단계 110).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정 로직(36)이 활성화되어, 송신기(34)가 정확한 WINDOW SUFI(55)를 실제로 수신함을 확인한다(단계 106).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의 TWSC 과정이 종료되기 전에, 새로운 TWSC 과정이 트리거될 수 있다. 수신기(32)의 결정 로직(38)은 가장 갱신된 WINDOW SUFI(55) 내의 이전에 전송된 WSN(58)을 추후에 수신된 WSN_ACK(60)와 비교한다. 2개의 값이 일치하면, 수신기(32)는 TWSC 과정을 종료한다(단계 110). 그렇지 않고, WSN_ACK(60)가 가장 갱신된 WSN(58)와 다르면, 수신된 WINDOW_ACK SUFI(57)은 구식으로 되어 수신기(32)는 이를 폐기시키고 단계 104로 다시 진행한다.
추가로, 수신기가 TWSC 과정을 종료한 후에(단계 110), WSN_ACK(60)가 가장 갱신된 WSN(58)와 일치하는 경우에, 수신기(32)는 수신창(40)을 선택 사양으로 조정할 수 있다(도 3에서는 도시 생략).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태 변수 VR(MR)(46)의 값은 VR(R)(44) + WSN(58)로 설정되며, WSN(58)은 수신기(32)에 의해 요구되는 전송창 크기이다. 환언하면, VR(R)(44) + WSN(58) 또는 이 후의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는 조정된 수신창(4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타이머(36)에 의해 클로킹된 주기는 라운드트립 지연, 즉, WINDOW SUFI(55)를 수신한 후에 송신기(34)에 의해 전송된 PDU(예를 들어, STATUS PDU(56))의 수신과 WINDOW SUFI(55)의 전송 간의 예상 시간보다 큰 것으로 규정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제 1 실시예는 송신기(34)로부터 생성된 응답 메시지(WINDOW_ACK SUFI)(57)를 이용하여, WINDOW SUFI(55)가 송신기(34)에 의해 올바르게 수신되는지를 결정한다. 그러나, 동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트리거 메카니즘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2와 결부시켜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창(42)을 조정하는 제 2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송신기(34)는, STATUS PDU(54)를 수신할 때, 응답 메시지(도 2에 도시된 WINDOW_ACK SUFI(57))를 수신기(32)로 출력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 2 실시예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는 전송창 크기를 축소시키는 경우에 적합하며, 이하에 설명된다. 먼저, 수신기(32)는 전송창(42)의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해 WINDOW SUFI(55)를 가진 STATUS PDU(54)를 송신기(34)로 전달하도록 트리거된다(단계 200). STATUS PDU(54)가 성공적으로 출력된 후에, 수신기(32) 상에 배치된 타이머(36)는 트리거되고, 클로킹을 시작한다(단계 202). 타이머(36)의 지속 시간은 라운드트립 지연, 즉, WINDOW SUFI(55)를 수신한 후에 송신기(34)에 의해 전송된 PDU의 수신과 WINDOW SUFI(55)의 전송 사이의 예상 시간보다 크게 규정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 다음, 타이머(36)가 체크되어, 타이머(36)가 만료되는지를 살펴본다(단계 204). 타이머(36)가 만료될 때, 수신기(32)는 VR(R)(44) 및 VR(IMR)(45)에 의해 한계가 규정된 의도한 수신창(43)을 생성하며(단계 206), 여기서, VR(IMR)(45)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나중에 전송된 WINDOW SUFI(55)의 VT(R)(44) 및 WSN(58)로부터 계산된다.
그 다음, 결정 로직(38)이 활성화되어, 송신기(34)로부터 수신된 PDU가 의도한 수신창(43)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지를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WSN(58)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창(42)을 축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송신기(34)가 STATUS PDU(54)를 올바르게 수신하지 않으면, 전송창(42)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의도한 수신창(43)의 크기가 단계 206으로 인해 WSN(58)과 동일하다. 환언하면, 전송창(42)의 크기 VT(WS)(52)는, STATUS PDU(54)가 손실되면, 의도한 수신창(43)의 크기보다 크다. 따라서, 결정 로직(38)이, 송신기(34)로부터 출력된 PDU가 의도한 수신창(43)의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다고 검출하면(단계 208), 수신기(32)는 송신기(34)가 WINDOW SUFI(55)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았다고 간주할 것이다. 따라서, 수신기(32)는 구동되어 동일 WSN(58)을 가진 WINDOW SUFI(55)를 송신기(34)로 재전송한다(단계 210). 수신기는, 전송창의 크기를 다른 값으로 조정하기 위해 전송용으로 트리거된 상이한 WINDOW SUFI가 있는지를 일정하게 체크한다(단계 212). 있는 경우에, 수신기는 현재의 TWSC 과정을 종료하고 다른 TWSC 과정을 시작한다(단계 214).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 수신기(32)는, 수신창(40)의 크기를 변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면서, 의도한 수신창(43)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수신창 크기를 따라서 조정하는 것이다. 도 2와 결부시켜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WSC 과정의 제 3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이하에 설명된다. 먼저, 수신기(32)는 전송창(42)의 크기를 변경시키기 위해 WINDOW SUFI(55)를 가진 STATUS PDU(54)를 송신기(34)로 전달하도록 트리거된다(단계 250). STATUS PDU(54)가 성공적으로 출력된 후에, 수신기(32) 상에 배치된 타이머(36)가 트리거되어 클로킹을 시작한다(단계 252).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36)의 지속 시간은 라운드트립 지연, 즉, WINDOW SUFI(55)를 수신한 후에 송신기(34)에 의해 전송된 PDU의 수신과 WINDOW SUFI(55)의 전송 사이의 예상 시간보다 크도록 규정된다. 그 다음, 타이머(36)는 타이머(36)가 만료되는지를 알기 위해 체크된다(단계 254). 타이머(36)가 만료될 때, 수신기(32)는 VR(MR)(46)를 VR(R)(44) + WSN(58)로 설정함으로써, 수신창의 크기를 조정하며(단계 256), 여기서, WSN(58)은 수신기(32)에 의해 요구되는 새로운 전송창 크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VR(R) + WSN 상에 그리고 이후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는 조정된 수신창(4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환언하면, 수신창(40)의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수신된 PDU는 수신기(32)에 의해 폐기된다(단계 258). 수신기(32)는, 전송창(42)의 크기를 다른 값으로 조정하기 위해 전송용으로 트리거된 상이한 WINDOW SUFI가 있는지를 일정하게 체크한다(단계 260). 있는 경우에, 수신기(32)는 현재의 TWSC 과정을 종료하고, 다른 TWSC 과정을 시작한다(단계 262).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제 2 실시예는, 전송창(42)의 크기를 축소시키는데 사용된 WINDOW SUFI(55)가 송신기(34)에 의해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의도한 수신창(40)의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를 검출한다. 그러나, 수신기(32)는 송신기(34)에게 그 전송창(42)을 확대시키라고 또한 요청할 수 있다. 이것은 전송창 크기가 보다 작은 크기로 수축되도록 먼저 요청되고, 그 다음, 원래의 크기로 확대되도록 요청될 때 발생한다. 상술한 제 1 및 제 3 실시예는 전송창 크기를 수축 및 확대하는 둘 다의 경우에 적용한다.
전송창 크기를 확대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다른 실시예가 있다. 도 2를 결부시켜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WSC 과정의 제 4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송신기(34)는, STATUS PDU(54)를 수신할 때 응답 메시지(도 2에 도시된 WINDOW_ACK(57))를 수신기(32)로 출력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 4 실시예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이하에 설명된다. 먼저, 수신기(32)는 전송창(42)의 현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WINDOW SUFI(55)를 가진 STATUS PDU(54)를 전달하도록 트리거된다(단계 300). 그 다음, 수신기(32)가 구동되어, 수신창(40)의 크기가 최소한 출력된 WINDOW SUFI(54)에 의해 기록된 WSN(58)으로 되도록 조정한다(단계 302). WSN(58)은 전송창(42)의 현 크기(52)를 확대시키는데 사용된다. STATUS PDU(54)가 송신기(34)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전송창(42)의 크기(52)는 변하지 않으며, 수신창(40)의 조정된 크기는 전송창(42)의 현재 유지된 크기보다 크게 된다.
전송창(34)이 전송창(42) 내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모든 PDU를 수신기(32)로 전송한 후에, 송신기(34)는, 송신기가 전송창(42)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신기(32)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PDU를 응답하는 STATUS PDU를 복귀시킬 때까지, 전송창(42)의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한다. 따라서, 다수의 전송 시간 간격(TTI) 동안에, 수신기(32)는 수신창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새로운 PDU를 수신하지 않는다. 결정 로직(38)은 인에이블되어 대응하는 계수값을 계산하는 TTI를 계수하고(단계 304). 계수값이 사전 결정된 값과 동일한 지를 검출한다(단계 306).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계수값은, 수신창에서 허용되는 새로운 PDU가 수신되지 않는 TTI에 따라서 계산된다. 예를 들어, TTI 각각은 계수값을 계산하도록 계수된다. 추가로, 연속적인 TTI의 각 그룹은 계수값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수신창에서 허용되는 새로운 PDU가 수신되지 않을 때의 연속적인 TTI의 각 그룹은, 계수값을 계산할 때 1로서 계수된다. 수신창에서 허용되는 새로운 PDU가 수신될 때, 계수값은 0으로 리셋된다. 계수값이 사전 결정된 값과 동일할 때, 수신기(32)는, 수신창(40)의 크기가 전송창(42)의 크기보다 크다고 간주한다. 환언하면, 수신기(32)는, 송신기(34)가 이전에 전송된 WINDOW SUFI(55)를 올바르게 수신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수신기(32)는 전송창(42)을 확대시키기 위해 동일 WSN(58)을 가진 WINDOW SUFI(55)를 송신기(34)로 재전송하고(단계 308), 계수값을 0으로 리셋한다(단계 310).
전송창(42)의 크기가 올바르게 설정되었지만, 계수값이 여전히 사전 설정된 값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송창(42)의 크기가 올바르게 조정된다고 가정한다. 송신기(34)는 전송창(42) 내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모든 PDU를 수신기(32)에 전송하였고, 수신기(32)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폴링 기능을 이용한다. 그러나, 수신기(32)로부터 출력된 대응하는 STATUS PDU는 무선 통신 중에 손실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창(42)은 이동되지 않으며, 계수값은 계속해서 계산된다. 계수값이 사전 설정된 값일 때, 동일 WINDOW SUFI(55)가 다시 전송되어, 올바르게 설정되었던 전송창(42)의 크기를 규정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 WINDOW SUFI(55)의 전송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 수로 제한된다.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WINDOW SUFI를 수신할 때, 응답 메시지를 수신기로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수신기는, WINDOW SUFI가 송신기에 의해 올바르게 수신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가 사전 결정된 시간 경계내에서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기는 동일 WINDOW SUFI를 재전송한다. 추가로, 수신기가 전송창의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해 WINDOW SUFI를 출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수신된 PDU가 의도한 수신창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수신기가 의도한 수신창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를 수신하면, 수신기는 동일 WINDOW SUFI를 재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WINDOW SUFI가 전송창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수신창은, 조정된 수신창 외부에 있는 수신된 PDU가 폐기되어 TWSC 과정의 흐름 제어 또는 버퍼 크기 제어 목적을 만족시키도록, 사전 결정된 시간 경계 후에 조정된다.
요약하면, 본 방법은 대기중을 통한 무선 전송 중의 WINDOW SUFI(55)의 손실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방법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무선 전송 효율성을 향샹시키고 수신기의 버퍼 메모리 이용을 최적화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장치에 대해 다수의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한계 및 경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송신기의 전송창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제어 메시지를 상기 송신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b)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 후에,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서 수신창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창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를 폐기하는 상기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출력될 때,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를 클로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는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 간의 라운드트립 전송 지연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인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13.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송신기의 전송창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상기 송신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상기 윈도우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서 의도한 수신창을 생성하는 단계와,
    (c)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 후에, 상기 수신기가 상기 의도한 수신창 외부에 있는 시퀀스 번호를 가진 PDU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송신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출력될 때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를 클로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는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 간의 라운드트립 전송 지연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설정되는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16.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송신기의 전송창을 확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제어 메시지를 상기 송신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b)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 후에,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상기 수신창에 의해 허용되는 새로운 PDU가 수신되지 않는 다수의 전송 시간 간격(이하, TTI)을 계수하는 TTI 카운터를 이용하는 단계와,
    (c) 상기 TTI 카운터가 사전 결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송신기로 재전송하고 상기 TTI 카운터를 0의 값으로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수신기를 구동하여, 상기 수신창에서 허용되는 새로운 PDU가 수신되지 않는 연속적인 TTI의 각 그룹을 1로서 계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동일 제어 메시지가 사전 결정된 시간 주기 동안에 재전송된 후에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어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KR1020040064606A 2003-08-24 2004-08-17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KR100671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128103P 2003-08-24 2003-08-24
US60/481,281 2003-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309A KR20050022309A (ko) 2005-03-07
KR100671002B1 true KR100671002B1 (ko) 2007-01-17

Family

ID=3410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606A KR100671002B1 (ko) 2003-08-24 2004-08-17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50041586A1 (ko)
EP (1) EP1511239A3 (ko)
JP (1) JP4021885B2 (ko)
KR (1) KR100671002B1 (ko)
CN (1) CN1328865C (ko)
TW (1) TWI2455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597B1 (ko) * 2004-02-20 2006-07-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118591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링크제어(rlc) 데이터처리방법
KR101084136B1 (ko) 2005-05-06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 상태정보를 포함하는pdu를 송수신하는 방법
EP1878155B1 (en) * 2005-05-04 2013-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window updating method using the same
US7990861B1 (en) * 2006-04-03 2011-08-02 Juniper Networks, Inc. Session-based sequence checking
JP4562694B2 (ja) 2006-06-20 2010-10-13 富士通株式会社 再送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223950B1 (ko) * 2006-09-26 2013-01-18 리베우 리미티드 원격 송신 시스템
WO2008049462A1 (en) * 2006-10-26 2008-05-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receiver for controlling the conformance of a data flow in a communication system to a traffic definition
US20080273547A1 (en) * 2007-05-01 2008-11-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cknowledging successful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17598B2 (en) 2007-12-21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flow control
US9154247B2 (en) * 2008-01-23 2015-10-06 Liveu Ltd. Live uplink transmissions and broadcast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699487B2 (en) 2008-02-04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elay budget feedback
US8656239B2 (en) 2008-02-12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based on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27074B1 (en) * 2009-05-12 2014-01-07 Marvell International Ltd. Secure block acknowledgement mechanism for use in communication networks
US8656170B2 (en) * 2010-05-28 2014-02-18 Cisco Technology, Inc. Protection of control plane traffic against replayed and delayed packet attack
TW201309053A (zh) * 2011-08-03 2013-02-16 Acer Inc 動態調整通訊協定之視窗大小以增加無線網路系統內資料流通量之方法
US8787966B2 (en) 2012-05-17 2014-07-22 Liveu Ltd. Multi-modem communication using virtual identity modules
US9379756B2 (en) 2012-05-17 2016-06-28 Liveu Ltd. Multi-modem communication using virtual identity modules
US9338650B2 (en) 2013-03-14 2016-05-10 Liveu Ltd. Apparatus for cooperating with a mobile device
US9980171B2 (en) 2013-03-14 2018-05-22 Liveu Ltd. Apparatus for cooperating with a mobile device
US9369921B2 (en) 2013-05-31 2016-06-14 Liveu Ltd. Network assisted bonding
US9503888B2 (en) * 2014-04-17 2016-11-2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timer handling mechanism
US9609524B2 (en) 2014-05-30 2017-03-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ning and validating a wireless network
WO2018211488A1 (en) 2017-05-18 2018-11-22 Liveu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multiple-link vehicular communication
US10986029B2 (en) 2014-09-08 2021-04-20 Liveu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of data transport with selective utilization of a single link or multiple links
GB2543583B (en) * 2015-10-23 2018-05-16 Canon Kk Improved contention mechanism for access to random resource units in an 802.11 channel
JP6798280B2 (ja) * 2016-11-29 2020-12-09 富士通株式会社 攻撃検知装置、攻撃検知方法、および、攻撃検知プログラム
WO2018203336A1 (en) 2017-05-04 2018-11-08 Liveu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re-processing and data delivery for multi-link communications and for media content
CN112994851B (zh) * 2021-01-26 2022-03-29 中国科学院信息工程研究所 一种支持差异化可协商的并行数据通信方法及装置
CN112819624B (zh) * 2021-02-01 2024-04-16 上交所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证券交易系统的低时延分布式流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023C (fi) * 1995-05-09 1997-03-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Liukuvaan ikkunaan perustuva datavuonohjaus, joka käyttää säädettävää ikkunakokoa
CA2331310A1 (en) * 1998-05-08 1999-11-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controlling the message flow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6219713B1 (en) * 1998-07-07 2001-04-1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ment of TCP sliding window with information about network conditions
FI106498B (fi) * 1999-03-16 2001-02-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siirtoikkunan valinnassa ja matkaviestin
KR100370077B1 (ko) * 2000-08-07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US6744730B2 (en) * 2001-11-30 2004-06-01 Nokia Corporation Throughput enhancement after interruption
US20060154603A1 (en) * 2002-09-07 2006-07-13 Joachim Sachs Method and devices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link control in mobile multicast communication systems
CN1275401C (zh) * 2003-06-12 2006-09-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链路层发送窗口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1239A3 (en) 2005-11-30
EP1511239A2 (en) 2005-03-02
TW200509546A (en) 2005-03-01
CN1328865C (zh) 2007-07-25
TWI245500B (en) 2005-12-11
KR20050022309A (ko) 2005-03-07
US20050041585A1 (en) 2005-02-24
US20050041586A1 (en) 2005-02-24
CN1585322A (zh) 2005-02-23
JP4021885B2 (ja) 2007-12-12
JP2005073251A (ja)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002B1 (ko) 전송창 크기 변경 과정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
US753917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and network-side device
CA2624671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data packet window size for data packe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607339B2 (ja) フレキシブル無線リンク制御プロトコル
KR100436435B1 (ko) 유무선 통합망에서 간접 승인을 이용한 패킷 전송 장치 및그 방법
KR100474302B1 (ko) 무선 링크 콘트롤(rlc) 계층의 버퍼제어 방법
EP2141890B1 (en) Retransmission request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side device
US7126917B2 (en)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and NAKs in a communications system implementing TCP/IP
EP1214810A1 (en) Err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662330B1 (en) Joint range reject automatic repeat request protocol
KR10089518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송 제어 방법
EP17963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LC protocol error handling
KR100612654B1 (ko) 자동 재송신 요청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06504290A (ja) Nackプロトコル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30080073A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04107777A1 (fr) Methode de declenchement des informations de commande de la fenetre transmission de la couche de liaison radio
KR100419279B1 (ko) 무선 링크의 전송 지연에 따른 스누프 프로토콜의 간접승인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유무선 통합 망의 패킷전송 장치
JP462511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対向装置
WO2004112407A1 (fr) Procede de commande d'une fenetre d'envoi d'une couche de liaison radio
JP4348168B2 (ja) 通信装置、送信機、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