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420B1 -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 Google Patents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420B1
KR100670420B1 KR1019990008938A KR19990008938A KR100670420B1 KR 100670420 B1 KR100670420 B1 KR 100670420B1 KR 1019990008938 A KR1019990008938 A KR 1019990008938A KR 19990008938 A KR19990008938 A KR 19990008938A KR 100670420 B1 KR100670420 B1 KR 10067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rod
chamber
steam generator
cleaning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208A (ko
Inventor
콜린리이드
다나엘.쥬드레이
Original Assignee
더 뱁콕 앤드 윌콕스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뱁콕 앤드 윌콕스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뱁콕 앤드 윌콕스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0001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483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체임버내로 삽입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 조립체는 사용되지 않을 때 체임버 외부의 보다 작은 공간에서 쉽게 보관되면서 체임버내에서 청소봉을 안내하는 힌지로 연결된 지지부를 구비하는바, 이 지지부의 한 실시예는 체임버내에 있을 때 청소봉을 둘러싸는 힌지로 연결된 다수의 분할부로 형성된 좌우측 지지안내부를 갖추고, 상기 힌지는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면서 반대방향으로 선회되어 지지안내부가 체임버내에서는 곧게 펴지게 되되, 청소봉이 그 안에서 이동될 수 있는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힌지로 연결된 다수의 분할부를 갖춘 하나의 지지안내부가 사용되고, 힌지로 연결된 분할부들이 체임버내로 삽입되기 바로 전의 위치에서 체결되되, 분할부들이 보다 작은 공간에서 보관되기 위해 서로 접히게 된다.

Description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Segmented Lance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봉과 지지부를 갖춘 체임버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도로서, 청소봉과 지지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봉과 지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힌지연결부(A)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힌지연결부에 사용되는 고정나사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봉과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10 : 청소봉지지부 20 : 청소봉
25 : 분할안내헤드 30 : 좌측 지지안내부
40 : 우측 지지안내부 33 : 공간
34,44 : 제 1분할부 35,45 : 분할부
50 : 체임버벽 55 : 체임버
60 : 핀 70 : 지지안내부
72 : 커버 73 : 캡
74 : 가이드 75 : 안내분할부
85,90 : 구동모터 92 : 브라켓
95 : 장착부 130,140 : 힌지
171,172 : 고정나사블록 175,177 : 채널
275 : 고정나사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증기발생기의 청소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기발생기의 체임버내의 관다발영역이나 다른 유사한 제한된 공간으로 접근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새롭고 유용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재순환 증기발생기와 통과형 증기발생기와 같은 증기발생기는 터빈을 구동시키기 위한 증기의 발생을 위해 열교환에 이용된다. 원자로의 코어(core)에 의해 가열된 제 1유체는 증기발생기내의 관다발들을 통과하는 한편, 이 관들을 둘러싸는 공간으로 공급되는 통상 물로 된 제 2유체는 상기 관들로부터 열을 받아들여 터빈을 구동시키는 증기로 전환되며, 냉각과 응축이 일어난 후 이 제 2유체는 관들을 둘러싸는 공간으로 되돌려 보내져 연속적인 증기발생을 위해 순환하게 된다. 지속적인 고온과 어려운 작업조건 때문에, 슬러지가 상기 관들의 하부나 이 관들을 지지하는 관지지판에 축적되는데, 이 슬러지는 주로 자철광과 같은 산화철로 이루어지며, 관의 열전달 효율을 감소시키고 부식을 일으킨다. 따라서, 관을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슬러지를 제거해야만 하며,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 유형의 장치와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때로는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대를 삽입하면 편리한데, 이 장대는 증기발생기의 체임버내로 청소와 관찰 및 시험을 위해 급수관과 비디오 카메라 및 다른 장치들을 운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체임버의 맞은편 벽이나 열교환기용 관들 사이의 내부 체임버들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가늘고 길면서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내부관들을 청소하고 관찰하며 보수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청소봉과 다른 장치들을 위한 지지부가 증기발생기내에서 청소봉의 작업단을 정확히 유도하도록 필요하게 되었다.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의 인접한 외부공간은 통상 여러 이유들 때문에 제한되는데, 특히 아주 길고 구부릴 수 없는 청소봉과 지지부는 사용하지 않을 동안 보관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슬러지용 청소봉에 관련된 자료는 보우만(Bowman) 등의 미국 특허 제 4,980,120호; 캠러(Kamler)의 동 제5,411,043호와 동 제5,509,609호 및 동 제5,570,969호; 반덴버그(Vandenberg)의 동 제5,555,851호와 동 제5,570,660호 및 동 제5,572,957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국 특허 제4,980,120호는 증기발생기의 관들 사이에 위치된 슬러지를 청소하는 관절이음된 청소봉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방사상 블록이 머니퓰레이터(manipulator)부재의 끝에 부착되고서 캠조립체에 의해 작동되어, 관다발 내의 인접한 관들 사이에 청소봉이 위치될 수 있게 하는 호형상부를 형성하게 된다. 다수의 유체통로가, 청소봉의 끝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출구오리피스를 갖춘 머니퓰레이터부재의 유체입구에 서로 연결되고, 상기 출구오리피스는 머니퓰레이터부재의 끝에 대해 바깥쪽으로 위치되어서, 이를 관통하는 유체가 관들을 둘러싼 슬러지에 부딪혀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미국 특허 제5,570,969호는 복합 워터랜스(waterlance)와 공동부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섬유보강부가 워터랜스의 본체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앞쪽 다기관(manifold)의 상부 및 바닥의 쐐기형상의 공동부에 삽입된다. 상기 공동부와 로프의 끝에 있는 접착제가 로프를 앞쪽 다기관과 워터랜스의 본체에 고정시켜 연결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미국 특허 제5,555,851호는 증기발생기의 관들로부터 슬러지를 청소하는 자동화된 슬러지 청소봉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청소봉 안내부와 워터랜스가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이동되어 관들로부터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위해 관들 사이에 유체를 유도하도록 되어 있으며, 원격제어시스템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자동화된 슬러지 청소봉과 그 방법은 노-튜브-레인(no-tube-lane)이나 환형상의 체임버 또는 그 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내로 삽입되어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지지되면서 증기발생기의 외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편리하게 보관될 수 있는 청소봉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발생기 외부에서는 구부려질 수 있으면서 증기발생기 내부에서는 곧게 펴진 채로 유지되는 청소봉이나 다른 가늘고 긴 구조물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할된 지지부를 갖춘 청소봉을 제공하는바, 이는 선형모터에 의해 증기발생기의 벽을 통해 삽입되고 제거할 수 있으며, 증기발생기의 체임버내로 먼저 삽입되는 한 끝에 분할헤드를 갖추고 있다. 상기 지지부는 좌우측 분할부들을 갖추고 있는데, 각 측면의 분할부들은 함께 축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좌우측면의 관절부는 다른 측면의 관절부에 대해 반대로 꺾여지게 되고, 분할부들 사이의 이들 관절부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며, 한 측면의 분할부들은 청소봉 주위의 다른 분할부들의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청소봉과 분할부들은 증기발생기의 벽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하나의 선형모터에 의해 증기발생기내로 공급된다. 각 지지부의 분할부들은 공급되기 전에 감겨 있으며, 각 측면의 한쪽 끝분할부는 분할헤드에 인접한 청소봉의 끝 근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분할헤드는 지지부를 지나 뻗어 있으며, 지지된 청소봉의 잔여부들에 대해 이동하면서 관찰이나, 청소, 보수유지, 또는 시험을 위해 특정한 작업표면에 청소봉의 작업단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에서, 청소봉을 지지하는 채널형 지지부를 갖춘 일련의 견고한 분할부들은 증기발생기의 체임버 외부에서 지지부가 접혀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데, 이 힌지는 지지부가 사용될 때 증기발생기의 벽을 통해 삽입되기 바로 전에 체결된다. 유사하게, 하나의 선형안내모터가 사용되거나 2개의 모터들이 사용되어 체임버벽을 통해 청소봉과 지지부를 삽입할 수 있다. 분할헤드는 증기발생기 내부에서 견고한 지지부의 끝에서 뻗어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는 이 명세서에 상세히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과 그 작동 상의 장점 및 이를 사용함으로써 성취되는 특정한 목적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되되,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청소봉지지부(10)를 보유지지하는 체임버벽(50)을 갖춘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명확히 하기 위해 통상 그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용 관들이 도시되지 않음)를 도시한 것으로, 이 체임버(55)는 대략 그 중심에 증기발생기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와 함께 "노-튜브-레인(no-tube-lane)"을 갖추면서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분야에서 공지된 U관다발의 열교환기를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수의 열교환기용 관들(도시되지 않음)이 그들 사이에 소정의 공간 또는 통로를 갖추고 증기발생기내에 있게 된다. 이러한 증기발생기로는 캐나다형 중수로(CANDU)형이거나 다른 유형이 있다. 상기 청소봉지지부(10)는 브라켓(92)에 장착된 구동모터(90;바람직하기로 선형구동모터)에 의해 삽입되는 구부려지기 쉬운 청소봉(20)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기로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와 함께 회전가능한 장착부(95)에 고정된다.
상기 청소봉(20)은 바람직하기로 캠러의 미국 특허 제5,570,969호에 게재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바, 분할안내헤드(25)는 청소봉(20)이 내부관다발의 영역(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정확히 찾아가게 하고 체임버(55)의 내부에서 움직이게 한다. 상기 청소봉(20)은 상기 영역들을 청소하는 물과 같은 세정액을 공급하거나, 체임버(55)를 관찰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와 이와 관련된 전선 및 광섬유를 운반하거나, 체임버(55) 안에 있는 부품들의 보전상태를 검사하고 수리하며 시험하기 위한 도구 및 다른 청소수단이나 보수유지기구 또는 관찰기구 등을 운반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에 있어서, "청소봉"이라는 용어에는 이들 작업이 단일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물청소와 더불어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관찰과 함께 조합되어 사용됨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는 서로 힌지로 연결된 다수의 분할부(35,45)로 각각 이루어지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에 힌지(130,140)가 설치되어 다른 지지안내부(40,30)의 힌지에 대해 반대쪽으로 축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각 힌지(130,140)가 선회하는 방향은 둥근 화살표(P)로 나타나 있다. 각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의 제 1분할부(34,44)는 한 쌍의 핀(60)이나 다른 적당한 연결수단에 의해 분할안내헤드(25;선택적으로 고정각 안내헤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좌측 지지안내부(30)의 제 1분할부(34)는 다른 것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로써, Y좌측 분할부들(34,35)을 연결하는 힌지(130)가 우측 분할부들(44,45)의 힌지(140)로부터 분할부 길이의 약 절반 정도에서 서로 축방향으로 벗어나 위치해 있다.
도 3은 청소봉(20)을 둘러싸는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의 분할부(35,45) 사이의 중첩되는 관계를 보다 명확히 도시하고 있는바, 이 중첩은 상기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가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청소봉(20)을 위한 지지와 보호를 향상시키는 한편, 청소봉(20)은 사용위치에 있을 때에도 여전히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와 분할부(35,45)내에서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다.
도 1로 되돌아와서, 체임버벽(50)의 외부에 도시된 상기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의 분할부는 감겨서 보관되거나 단순히 밖에 빼놓은 채로 놓이게 된다. 힌지(130,140)는 지지안내부가 접철식이 아닐 때보다도 훨씬 작은 공간에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를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청소봉(20)과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는 구동모터(90)를 작동시킴으로써 보관위치에서 체임버벽(50)을 통해 체임버(55)내로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모터(90)는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와 청소봉(20) 모두를 거의 동시에 체임버벽(50)을 통해 끌어당기면서 보관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청소봉지지부(10)의 부재들을 일직선으로 맞추게 된다.
상기 힌지들(130,140)이 반대방향으로 축선회되고 청소봉(20)의 길이를 따라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일단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가 청소봉(20) 주위로 정렬되면, 이들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는 체임버(55)내에서 청소봉(20)을 위한 견고한 지지부와 안내부를 형성하게 되면서 청소봉(20)이 그 안에서 미끄러지듯이 이동되게 한다. 두 가지의 구조적인 특징이 함께 작용하여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가 사용되는 동안 체임버내에서 곧게 펴진 채로 있게 되는데, 이들 특징은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가 핀(60)으로 분할안내헤드(25)에 연결된다는 것과,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의 양끝이 구동모터(90)와 회전가능한 장착부(95)에 고정된다는 것이다. 상기 청소봉(20)은, 회전가능한 장착부(95)를 갖춘 손구멍이나 창구 또는 관찰용 개구부를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삽입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어서, 청소봉(20)의 작업단이 체임버(55)내에서 적당히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 반덴버그의 미국 특허 제5,555,851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장치를 임의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된다.
상기 좌우측 지지안내부의 분할부(35,45)들은 사용위치에서 간단히 압착고정되거나, 통상적으로 서랍이나 찬장에 사용되는 자성체가 증기발생기의 내부에서 분할부(35,45)를 함께 유지하는 부가적인 지지부로서 이들이 합쳐지는 영역에 사용될 수 있다.
증기발생기의 내부에서 지지안내부의 분할부(35,45)를 함께 유지하는 부가적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다른 예로는 볼 플런저(ball plunger)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들 장치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지지안내부의 분할부(35;도 3 참조)에 있는 각각의 상부아암 및 하부아암(37,39)의 내부에 고정 또는 위치되는 스프링이 장착된 볼이다. 지지안내부의 분할부(45)의 알맞은 위치에 있는 맞춤홈이나 오목부가 이 볼과 맞물려 분할부(35,45)들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물론, 지지안내부의 분할부(35)의 내부에 맞춤홈이나 오목부가 위치되면서 볼 플런저가 지지안내부의 분할부(45)에 위치될 수 있다. 각 지지안내부의 분할부(35,45)는 이러한 형태를 갖추거나, 필요할 때에 분할부의 어느 한쪽에만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접히는 청소봉지지부(10)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바, 청소봉(20)은 힌지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안내분할부(75), 바람직하기로는 3 이상의 안내분할부(75)를 갖춘 하나의 지지안내부(70)에 의해 지지된다. 이 지지안내부(70)는 체임버벽(50)의 회전가능한 장착부(95)에 부착된 구동모터(85,90)에 의해 공급된다. 이 중 구동모터(85)는 체임버벽(50)을 통해 지지부와 정렬되게 청소봉(20)을 당기는 데에 사용되는데, 상기 지지안내부(70)는 미국 특허 제5,555,851호에 게재된 바와 같다.
상기 안내분할부(75)들은 보관위치에서 힌지(170)에 의해 접혀져서, 사용되지 않을 때 지지안내부(70)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든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2개의 안내분할부(75) 사이의 힌지연결부(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지지안내부(70)가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내로 삽입될 때 인접한 안내분할부(75)들은 일직선으로 맞춰지는 위치로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나사(275)가 안내분할부(75)의 고정나사블록(171,172)에 결합된다. 고정나사(275)는 상부끝에서 돌아 내려가고, 개구부(173)는 고정나사블록(171,172)의 개구부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고정나사(275)가 결합되어 지지안내부(70)의 외부로 빠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나사(275)가 결합되면, 일직선으로 맞춰진 안내분할부(75)들은 곧게 펴진 하나의 지지안내부(70)를 형성하게 된다.
채널(175)은 청소봉(20)을 보유지지하는 지지안내부(70)의 한 측면에 형성되며, 추가로 공간(33)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안내부(70)의 내부를 통해 구비되어 체임버(55)내로 공급되는 전선이나 철사 또는 다른 장치들을 보유지지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안내부(70)는 세 부분(72,73,74)으로 구성되는바, 커버(72)는 바람직하기로 나일론이나, 폴리머, 플라스틱, 또는 티바(Tyvar)나 델린(Delrin)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며, 이 부분은 채널(175)을 구비하고 그 안에 추가로 더 작은 채널(177)을 구비하는데, 이 채널(177)에는 청소봉(20)에 부착되는 임의의 비디오 탐사장치를 위한 여유공간을 둘 수 있다. 캡(73)은 바람직하기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74)도 바람직하기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캡(73)과 가이드(74)는 고정할 수 있는 볼트나 이와 유사한 적당한 고정구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또한, 커버(72)도 분리될 수 있는 적당한 고정구에 의해 캡(73)과 가이드(74)에 고정되어, 열교환기용 관들을 마멸로부터 보호하게 되며, 청소봉(20)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공간(33)에는 철사, 비디오 전선, 광섬유, 제어용 전선 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할안내헤드(25)는 제 1분할부(34,44)나 지지안내부(70)에 부착되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임의의 안내헤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의 적당한 예가 전술한 미국 특허 제5,555,851호에 게재되어 있고, 분할안내헤드의 구성도 보우만 등의 미국 특허 제4,980,120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어용 전선이 분할안내헤드(25)를 작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면, 이는 구동모터(90)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어 자동화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제 1분할부와, 분할부들, 지지안내부, 장착부 및, 다른 부재들은 나일론이나, 폴리머, 플라스틱, 또는 바람직하기로 고충격강도를 갖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유사하게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강, 황동, 경합금 및 경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들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모터(90)는 지지안내부의 분할부(35,45)와 청소봉(20) 모두와 맞물리고, 청소봉(20)과 함께 지지안내부를 증기발생기 내부의 원하는 곳에 위치시킨다. 관들 사이의 바람직한 설정위치에서, 분할안내헤드(25)가 청소봉(20)을 내부관 통로 아래로 유도하도록 작동되고, 클러치(도시되지 않음)가 지지안내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작동되어서, 청소봉(20)이 관들 사이에서 검사와 수리 등의 보수유지와 관찰 및 청소를 위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청소봉과 지지안내부의 위치결정은 미국 특허 제5,555,851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핀벨트식 구동조립체와 개구부로 이루어지거나, 마찰구동로울러를 사용하는 벨트식 구동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임의의 적당한 구동수단이 증기발생기내에서의 청소봉과 지지안내부의 위치결정과 조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청소봉과 지지안내부는 자동화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제어되고 조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하고 설명하여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되는 방법을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들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내로 삽입되면서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지지되되, 체임버의 맞은편 벽이나 열교환기용 관들 사이의 내부체임버들에 도달하도록 연장되면서 비교적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조립체를 제공하여, 내부관들을 용이하게 청소하고 관찰하며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증기발생기의 외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편리하게 보관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5)

  1.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내에 삽입되고, 사용위치와 보관위치가 있으며, 사용위치보다 보관위치에서 공간을 덜 차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내에 끼워 넣어지도록 이루어진 한쪽 끝과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 외부에 있는 외부끝을 갖추면서, 가늘고 길며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20)과,
    상기 사용위치에서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내에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20)을 곧게 펴진 채로 지지하고 안내하면서, 그 안에서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20)이 미끄러지듯이 이동되며, 분할안내헤드(25)에 연결된 부분을 갖추고, 보관위치에 있을 때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20)으로부터 분리되어 접혀질 수 있으며, 사용위치에 있을 때 중첩관계에 있는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를 갖추고, 각각의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는 사용위치에서 축선회하지 않고 보관위치에서 축선회할 수 있는 힌지(130,140)에 의해 축선회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분할부(35,45)로 형성되며, 좌측 지지안내부(30)의 분할부(35)는 우측 지지안내부(40)의 분할부(45)와 반대방향으로 축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측 지지안내부(30)의 분할부(35)를 축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30)가 우측 지지안내부(40)의 분할부(45)를 축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40)로부터 축방향으로 벗어나 있는 청소봉지지부(10)를 구비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봉(20)과 청소봉지지부(10)를 사용위치와 보관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85,90)를 추가로 구비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부를 곧게 정렬되고 견고하게 체결하는 고정구를 힌지에 추가로 구비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한쪽 분할부의 고정나사블록을 다른 인접하게 정렬된 분할부의 정렬된 개구부를 통해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75)로 이루어진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봉(20)은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 내부를 청소하는 청소수단을 구비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마찰구동로울러를 포함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17. 삭제
  18. 삭제
  19.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내에 삽입되고, 사용위치와 보관위치가 있으며, 사용위치보다 보관위치에서 공간을 덜 차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내에 끼워 넣어지도록 이루어진 한쪽 끝과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 외부에 외부끝을 갖추면서, 가늘고 길며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20)과,
    상기 사용위치에서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내에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20)을 곧게 펴진 채로 지지하고 안내하면서, 그 안에서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20)이 미끄러지듯이 이동되며, 분할안내헤드(25)에 연결된 부분을 갖추고, 보관위치에 있을 때 구부리기 쉬운 청소봉(20)으로부터 분리되어 접혀질 수 있으며, 사용위치에 있을 때 중첩관계에 있는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를 갖추고, 각각의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는 사용위치에서 축선회하지 않고서 보관위치에서 축선회할 수 있는 힌지(130,140)에 의해 축선회가능하게 연결된 2 이상의 분할부(35,45)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 지지안내부(30)에 있는 2 이상의 분할부(35)를 축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30)가 우측 지지안내부(40)에 있는 2 이상의 분할부(45)를 축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40)로부터 축방향으로 벗어나 있어서, 상기 좌우측 지지안내부(30,40)가 사용위치보다 보관위치에서 공간을 덜 차지하게 되는 청소봉지지부(10)를 구비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봉(20)과 청소봉지지부(10)를 사용위치와 보관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85,90)를 추가로 구비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마찰구동로울러를 포함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좌우측 지지안내부를 형성하는 2 이상의 분할부는 각각의 좌우측 지지안내부를 형성하는 분할부들로 이루어진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좌우측 지지안내부에 있는 분할부를 곧게 정렬되고 견고하게 체결하는 고정구를 힌지에 추가로 구비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한쪽 분할부의 고정나사블록을 다른 인접하게 정렬된 분할부의 정렬된 개구부를 통해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75)로 이루어진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봉(20)은 증기발생기의 체임버(55) 내부를 청소하는 청소수단을 구비하는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KR1019990008938A 1998-07-29 1999-03-17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KR100670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24,130 1998-07-29
US09/124,130 US6412449B1 (en) 1998-07-29 1998-07-29 Segmented lance assembly
US9/124,130 1998-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208A KR20000011208A (ko) 2000-02-25
KR100670420B1 true KR100670420B1 (ko) 2007-01-16

Family

ID=2241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938A KR100670420B1 (ko) 1998-07-29 1999-03-17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412449B1 (ko)
EP (1) EP0976976B1 (ko)
JP (1) JP2000079594A (ko)
KR (1) KR100670420B1 (ko)
CN (1) CN1134022C (ko)
AR (1) AR014581A1 (ko)
BR (1) BR9901072A (ko)
CA (1) CA2262335C (ko)
DE (1) DE69910132T2 (ko)
HR (1) HRP990053A2 (ko)
HU (1) HU222920B1 (ko)
ID (1) ID23318A (ko)
RO (1) RO117939B1 (ko)
RU (1) RU2232346C2 (ko)
TR (1) TR199900414A2 (ko)
TW (1) TW380193B (ko)
UA (1) UA55425C2 (ko)
ZA (1) ZA9914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6056A1 (de) * 2000-02-10 2001-08-30 Siemens Ag Flexible Lanze zum Bearbeiten oder Inspizieren eines Rohrbodens eines Dampferzeugers
US7204208B2 (en) * 2003-06-17 2007-04-17 S.A. Robotics Method and apparatuses to remove slag
US20090211612A1 (en) * 2008-01-08 2009-08-27 Christos Athanassiu Super-thin water jetting lance
KR101086344B1 (ko) * 2009-07-01 2011-11-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US9920925B2 (en) * 2013-12-20 2018-03-20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Steam generator sludge lance apparatus
DE102015118615B3 (de) * 2015-10-30 2016-09-01 Areva Gmbh Flexible Lanze zum Bearbeiten oder Inspizieren eines Rohrbodens eines Dampferzeugers
US20170175568A1 (en) * 2015-12-16 2017-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Acoustic Cleaning of Gas Turbine Engine Components
US10393367B2 (en) 2017-09-08 2019-08-27 Bwxt Nuclear Energy, Inc. Multi-angle sludge lance
JP7360990B2 (ja) 2020-04-24 2023-10-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発生器の検査装置、及び、蒸気発生器の検査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2872U (ko) * 1975-03-10 1976-09-13
JPH05116092A (ja) * 1991-10-25 1993-05-14 Natl Space Dev Agency Japan<Nasda> 宇宙用プラツトフオーム補給機
WO1996017695A1 (en) * 1994-12-07 1996-06-13 Foster-Miller, Inc. Deployment system for an upper bundle steam generator cleaning/inspection device
US5570969A (en) * 1995-03-02 1996-11-05 The Babcock & Wilcox Company Composite waterlance and cavity connection
US5782209A (en) * 1995-09-20 1998-07-2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Segmented automated sludge lan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2872A (en) 1975-03-29 1976-10-05 Sekisui Chemical Co Ltd Molding method
US5341406A (en) * 1987-03-18 1994-08-23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Sliding lance guide flexible lance system
US4980120A (en) 1989-12-12 1990-12-25 The Babcock & Wilcox Company Articulated sludge lance
US5411043A (en) 1993-09-24 1995-05-02 The Babcock & Wilcox Company Articulated annular sludge lance
CA2135135A1 (en) 1993-11-17 1995-05-18 Frank Kamler Sludge lance nozzle
CA2115109C (en) 1994-02-01 2000-04-25 James P. Vanderberg Automated sludge lance
JP3666199B2 (ja) 1997-08-28 2005-06-29 豊和工業株式会社 フイルタの塵落し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2872U (ko) * 1975-03-10 1976-09-13
JPH05116092A (ja) * 1991-10-25 1993-05-14 Natl Space Dev Agency Japan<Nasda> 宇宙用プラツトフオーム補給機
WO1996017695A1 (en) * 1994-12-07 1996-06-13 Foster-Miller, Inc. Deployment system for an upper bundle steam generator cleaning/inspection device
US5570969A (en) * 1995-03-02 1996-11-05 The Babcock & Wilcox Company Composite waterlance and cavity connection
US5782209A (en) * 1995-09-20 1998-07-2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Segmented automated sludge l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208A (ko) 2000-02-25
RU2232346C2 (ru) 2004-07-10
EP0976976A3 (en) 2001-04-18
HUP9900418A2 (hu) 2000-06-28
CA2262335C (en) 2008-09-09
AR014581A1 (es) 2001-02-28
DE69910132T2 (de) 2004-05-13
UA55425C2 (uk) 2003-04-15
JP2000079594A (ja) 2000-03-21
HU222920B1 (hu) 2003-12-29
CN1243319A (zh) 2000-02-02
EP0976976B1 (en) 2003-08-06
CA2262335A1 (en) 2000-01-29
TW380193B (en) 2000-01-21
RO117939B1 (ro) 2002-09-30
HU9900418D0 (en) 1999-04-28
TR199900414A2 (en) 2002-05-21
US6412449B1 (en) 2002-07-02
CN1134022C (zh) 2004-01-07
DE69910132D1 (de) 2003-09-11
EP0976976A2 (en) 2000-02-02
HRP990053A2 (en) 2003-06-30
HUP9900418A3 (en) 2001-12-28
ID23318A (id) 2000-04-05
BR9901072A (pt) 2000-06-06
ZA991436B (en) 200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7298B2 (ja) 蒸気発生チューブを遠隔検査する装置
KR100670420B1 (ko) 분할된 청소봉조립체
JP3137446B2 (ja) 可撓性ランス装置
KR100270492B1 (ko) 복잡한 형상의 구조물 내에서의 이물질 탐색 및 제거장치
US4231419A (en) Manipulator for inspection and possible repair of the tubes of heat exchangers, especially of steam generators for nuclear reactors
US5411043A (en) Articulated annular sludge lance
US7086353B2 (en) Lance system for inter-tube inspecting and lancing as well as barrel spraying of heat transfer tubes of steam generator in nuclear power plant
US5615734A (en) Sludge lance inspection and verification system
JP3250811B2 (ja) 蒸気発生器の上側チューブ束のクリーニング・検査・補修のための装置
JP2001159696A (ja) ジェットポンプの検査補修方法および装置
CN211348662U (zh) 蒸汽发生器检查装置
CN212905517U (zh) 蒸汽发生器检查装置
CN104246902B (zh) 用于热交换器检查的管板步行器
JP4201378B2 (ja) 熱交換器用作業ロボット
EP0512774A1 (en) Annular foreign object search and retrieval apparatus
CA2158829C (en) Segmented automated sludge l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