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505B1 - 물품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505B1
KR100669505B1 KR20040075397A KR20040075397A KR100669505B1 KR 100669505 B1 KR100669505 B1 KR 100669505B1 KR 20040075397 A KR20040075397 A KR 20040075397A KR 20040075397 A KR20040075397 A KR 20040075397A KR 100669505 B1 KR100669505 B1 KR 100669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elt
roller
mixture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597A (ko
Inventor
김종한
Original Assignee
김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한 filed Critical 김종한
Priority to KR2004007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50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3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injection ram or piston
    • B29C45/54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injection ram or piston and plasticising scr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물품성형장치는 공급부, 사출부 및 성형부를 포함하며, 사출부의 가스/수분제거장치는 용융혼합물에 존재하는 가스 및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이중롤러를 구비하고, 롤러의 내부에는 롤러와 결합되는 중공회전축과 연결되는 냉각순환로가 연결되며, 롤러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성형홈이 형성되며, 성형홈을 롤러의 직경에 비하여 크기가 상당히 작다. 또한, 사출부는 이송/사출장치를 구비하며 제3스크류바에 의해 용융혼합물이 사출되고 사출개폐밸브에 의해 사출여부가 결정된다.
성형장치, 사출, 롤러, 가압, 스크류, 개폐, 용융혼합물, 수지류, 재생

Description

물품성형장치{Apparatus for forming articl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성형장치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물품성형장치의 공급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3은 도 2의 공급부의 평면개략도;
도 4는 도 1의 물품성형장치의 사출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5는 도 4의 사출부의 가스/수분제거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개략도;
도 6은 도 5의 가스/수분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도 5의 가스/수분제거장치에 결합되는 회전축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도 1의 물품성형장치의 사출부와 성형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및
도 9는 도 8의 성형부에 장착되는 수금형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물품성형장치 1100 : 공급부
1101 : 공급부베이스 1110 : 투입부
1111 : 제1투입구 1112 : 제2투입구
1120 : 용융/이송부 1121 : 제1용융/이송장치
1122 : 제2용융/이송장치 1123 : 제1스크류바
1124 : 제2스크류바 1125 : 가열부재
1126 : 혼합물배출구 1130 : 구동부
1131 : 제1회전축 1132 : 제1풀리
1133 : 전동기 1134 : 제2풀리
1136 : 지지부재 1200 : 사출부
1201 : 사출부베이스 1202 : 미끄럼판
1210 : 가스/수분제거장치 1211 : 하우징
1211a : 제3투입구 1212 : 롤러
1213 : 성형홈 1214 : 제2회전축
1215 : 냉각수순환로 1220 : 이송/사출장치
1221 : 제3스크류바 1222 : 사출개폐밸브
1223 : 노즐 1230 : 제1유압실린더
1240 : 제1이동부재 1250 : 제1안내봉
1260 : 멈춤턱 1270 : 제1고정부재
1280 : 제2고정부재 1290 : 제2유압실린더
1300 : 성형부 1301 : 성형부베이스
1310 : 제3고정부재 1320 : 제2이동부재
1321 : 냉각수유입관 1322 : 냉각수배출관
1330 : 제3유압실린더 1340 : 제4유압실린더
1350 : 냉각수저장탱크 1360 : 냉각수개폐밸브
1370 : 수금형조립체 1371 : 수금형
1372 : 금형조 1373 : 플랜지
1374 : 냉각수순환로
본 발명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물품의 재생용으로 용융혼합된 혼합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합성수지류의 물품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후 버려지는 합성수지류는 수거하여 재생하거나 폐기한다.
재생되어지는 합성수지류는 이전 제품과 동일 등급이나 그 이하의 등급의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수거된 합성수지류를 용융하고 용융된 수지류를 소정의 금형 안으로 사출한다. 또한, 금형 내에 사출된 수지류를 냉각한 후 탈형함으로써 원하는 재생물품이 얻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통상적인 성형장치는 용융된 여러종류의 수지류로부터 가스나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어 대량으로 물품을 생산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대형제품을 만드는 데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롤러를 사용하여 여러종류의 용융된 혼합수지류를 가압하여 가스와 수분을 완전하게 제거함으로써 소형물품의 대량생산과 대형물품 생산이 용이한 물품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1수지류와 제2수지류를 개별적으로 공급받아 가열혼합한 후 용융혼합된 용융혼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급부와, 공급부로부터 용융혼합물을 공급받아 용융혼합물에 함유된 가스 및 수분을 이중롤러가압방식으로 제거하여 반고체혼합물로 만든 후 반고체혼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사출하기 위한 사출부와, 사출부로부터 사출되는 사출물을 금형에 주입하고 소정의 물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물품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물품성형장치의 공급부는 제1수지류를 공급받아 용융하여 제1용융물을 생성하고 제1용융물을 이송하기 위한 제1용융/이송수단과, 제1용융/이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수단과, 제1용융/이송수단과 연결되며 제2수지류를 공급받아 용융하여 제2용융물을 생성하고 제1용융/이송수단으로부터 이송되는 제1용융물과 혼합하여 용융혼합물을 생성하고 용융혼합물을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제2용융/이송수단과, 제2용융/이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용융/이송수단과 제2용융/이송수단은 그 내주벽에 제1수지류와 제2수지률 용융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성형장치의 사출부는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혼합물을 가압하여 가스 및 수분을 제거하고 덩어리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한 가스/수분제거수단과, 가스/수분제거수단과 연결되며 덩어리혼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이송하여 사출하기 위한 이송/사출수단과, 이송/사출수단의 외부에 장착되어 이송/사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수분제거수단은 그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성형홈이 형성되며 성형홈이 합쳐지도록 서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1롤러 및 제2롤러와, 제1롤러와 제2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중공회전축 및 제2중공회전축과, 제1중공회전축과 제2중공회전축 내에 구비되어 제1롤러와 제2롤러의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1냉각수순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직경을 300~600mm로 하고, 성형홈 사이의 간격을 2~6mm로 할 수 있다.
또한, 성형홈은 반원통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송/사출수단은 그 말단부위에 개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성형장치의 사출부는 개폐수단을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성형장치의 성형부 사출부에 장착되는 암금형과 대응하는 수금형이 장착되며 수금형을 암금형과 결합되도록 수금형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이동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이동부재를 거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4구동수단과, 제4구동수단과 평행하게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이동부재를 미시적으로 이 동시키기 위한 제5구동수단과, 이동부재에 장착되는 수금형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금형은 그 내부에 성형물을 냉각하기 위한 제2냉각수순환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성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성형장치(1000)는 크게 외부로부터 수지류를 공급받아 용융하여 공급하는 공급부(1100), 공급부(1100)에서 공급된 융융물을 사출하는 사출부(1200) 및 사출부(1200)에서 사출되는 사출물을 성형하여 물품을 만드는 성형부(1300)를 포함한다.
공급부(1100)는 다종의 수지류를 외부에서 개별적으로 공급받아 용융하고 혼합하여 사출부(120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류가 투입되는 투입부(1110), 수지류를 용융 및 이송하는 용융/이송부(1120) 및 용융/이송부(1120)를 구동하는 구동부(1130)를 포함하며, 용융/이송부(1120)와 구동부(1130)는 각각 공급부베이스(1101)의 상면과 측부에 구비된다.
투입부(1110)는 제1투입구(1111)와 제2투입구(1112)로 이루어진다.
제1투입구(1111)는 폐기수지류로 형성한 풍쇄슬래그(atom ball)를 공급받으며, 제1용융/이송장치(1121)와 연결된다.
제1용융/이송장치(1121)는 그 내부에 용융된 수지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으로써 제1스크류바(1123)를 구비하며, 수지류를 용융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가 열부재(1125)를 그 내주벽에 구비한다.
또한, 제1용융/이송장치(1121) 내의 제1스크류바(1123)는 미도시한 제1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제2투입구(1112)는 세라믹볼과 합성수지를 일정배합비율에 따라 배합한 혼합수지류를 공급받으며, 제2용융/이송장치(1122)와 연결된다
제2용융/이송장치(1122)는 제1용융/이송장치(1121)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용융된 수지류를 혼합하고 이송하기 위한 혼합/이송수단으로써 제2스크류바(1124)를 구비하며, 혼합수지류를 용융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가열부재(1125)를 그 내주벽에 구비한다.
또한, 제2용융/이송장치(1122)는 그 중간부가 제1용융/이송장치(1121)와 연결되고, 그 일단에는 배출구(1126)를 구비하며, 그 타단에는 지지부재(1136)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용융/이송장치(1121)에서 생성되는 용융된 풍쇄슬래그가 제2용융/이송장치(1122)로 이송되고 제2용융/이송장치(1122)에서 용융되는 수지류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용융/이송장치(1122) 내의 제2스크류바(1124)가 회전하면서 혼합용융된 수지류를 배출구(1126)로 보낸다.
또한, 제2스크류바(1124)는 제2용융/이송장치(1122)의 타단에 구비된 지지부재(1136)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부재(1136) 내에 구비되는 제1회전축(1131)에 결합된다.
제1회전축(1131)의 자유단에 구비된 제1풀리(1132)는 제2구동수단으로써 공 급부베이스(1101) 내에 구비된 전동기(1133)에 결합된 제2풀리(1134)와 벨트(1135)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동기(113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사출부(1200)는 공급부(1100)로부터 공급받은 용융혼합물의 가스 및 수분을 제거하고 이를 외부로 사출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혼합물에서 가스 및 수분을 제거하여 반고체의 덩어리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한 가스/수분제거장치(1210), 덩어리혼합물을 이송 및 사출하기 위한 이송/사출장치(1220) 및 이송/사출장치(1220)를 구동하기 위한 제1유압실린더(1230)를 포함한다.
가스/수분제거장치(1210)는, 도 5 내지 도 7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근에 용융혼합물이 투입되는 제3투입구(1211a)가 형성된 하우징(1211)을 갖는다.
하우징(1211) 내에는 소정의 직경, 본 실시예에서는 300~600mm의 직경을 갖는 2개의 롤러(1212)가 밀착되게 설치된다. 가스/수분제거장치(1210)는 서로 밀착되게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롤러(1212)를 가지며, 제3투입구(1211a)를 통해 2개의 롤러(1212) 사이로 용융혼합물이 제공되고 이렇게 제공된 용융혼합물은 밀착되어 회전하는 2개의 롤러(1212)에 의해 가압되면서 용융혼합물에 존재하는 가스와 수분이 제거되게 된다.
롤러(1212)는 그 중앙에 제2회전축(1214)이 결합되는 회전축결합홀(1217)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 본 실시예에서는 2~6mm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성형홈(12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성형홈(1213) 사이의 간격을 롤러(1212)의 직경에 대하여 상당히 작게 형성함으로써 성형되는 덩어리혼합물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롤러(1212)의 회전속도는 제1용융/이송장치(1121)의 제1스크류바(1122)와 제2용융/이송장치(1123)의 제2스크류바(1124)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데 약 80~100rpm/min정도가 바람직하다.
성형홈(1213)은 그 내부모서리가 둥근모양을 갖는 것이면 제한을 두지 않으 며, 본 실시예에서는 반원통모양의 성형홈(1213)을 형성함으로써 가스 및 수분이 제거된 덩어리혼합물이 원주모양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성형홈(1213)은 그 길이를 최대 100mm로 하고 그 내반경을 약 50~100mm로 하여, 성형홈(1213)에 의해 성형되는 덩어리혼합물이 약 50~100mm의 직경과 최대 100mm의 길이를 갖는 원주모양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롤러(1212)는 그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할 수 있는 공간부(1218)를 형성하며, 회전축결합홀(1217)에 냉각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1215a)와 배출구(1216a)를 형성한다.
롤러(1212)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1214)은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이며, 그 내부에는 롤러(1212)의 공간부(1218)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로(1215)와 공간부(1218)로부터 순환된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배출로(1216)를 구비한다.
냉각수공급로(1215) 및 냉각수배출로(1216)는 각각 제2회전축(1214)에 형성된 관통홀(1214a)을 통하여 유입구(1215a) 및 배출구(1216a)와 연결된다.
이송/사출장치(1220)는 가스/수분제거장치(1210)와 연결된다.
또한, 이송/사출장치(1220)는 그 내부에 제3스크류바(1221)를 구비하여 가스/수분제거장치(1210)로부터 유입되는 덩어리혼합물을 분쇄하고 개폐수단으로 설치된 사출개폐밸브(1222)로 이송한다. 이때, 이송/사출장치(1220)에 저장가능한 최대저장량은 240kg(120ℓ)로, 이는 1회 사출할 수 있는 양이 120ℓ임을 말한다.
사출개폐밸브(1222)는 미도시한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제어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이송/사출장치(1220)의 일단에는 노즐(1223)이 형성되어 사출물이 배출되는 것을 돕는다. 이때, 노즐(1223)의 직경은 40mm이상, 바람직하게는 40~60mm로 하고, 사출속도는 2.0~3.5m/min, 바람직하게는 2.5m/min로 저속사출하며, 금형 내의 사출압력은 40~50kg/c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사출장치(1220)의 타단에는 제3스크류바(1221)와 결합되도록 제1이동부재(1240)가 구비된다.
제1이동부재(1240)는 그 하부가 제1안내봉(1250)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측은 제3구동수단인 제1유압실린더(1230)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1유압실린더(1230)의 작동에 의해 제1이동부재(1240) 및 제3스크류바(1221)가 전후로 이동한다.
또한, 이송/사출장치(1220)는 제1고정부재(1270)에 의해 미끄럼판(1202)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미끄럼판(1202)는 사출부베이스(1201) 위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출부(1200) 자체가 사출부베이스(1201) 위에서 미끄러지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판(1202)에는 제1이동부재(1240)의 작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멈축턱(1260)이 구비된다.
성형부(1300)는 사출부(1200)로부터 사출되는 사출물을 금형에 주입하여 소정의 물품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부(1200)와 결 합된다.
사출부(1200)의 노즐을 포함한 일부는 사출부베이스(1201) 또는 성형부베이스(130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고정부재(1280)에 삽입되게 결합되며, 제2고정부재(1280)에는 암금형(1281)이 장착된다.
또한, 제2고정부재(1280)와 사출부(1200)의 제1고정부재(1270)는 제2유압실린더(1290)에 의해 결합되어 사출부(1200) 전체가 사출부베이스(1201) 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이동부재(1320)는 제2고정부재(1280)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2이동부재(1320)는 제2고정부재(1280)와 제3고정부재(1310)에 연결된 제2안내봉(1380)을 따라 안내된다. 이때, 제2이동부재(1320)의 이동거리는 약 4~5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탈형된 물품이 외부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제2이동부재(1320)는 제4구동수단으로 그 일측에 결합되는 제3유압실린더(1330) 및 제4유압실린더(1340)와 결합된다.
제3유압실린더(1330)와 제4유압실린더(1340)는 제3고정부재(1310)에 의해 성형부베이스(1301)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제3유압실린더(1330)는 제2이동부재(1320)의 거시운동을 실행하고, 제4유압실린더(1340)는 제2이동주재의 미시운동을 실행한다.
또한,제2이동부재(1320)는 그 타측에 제2고정부재(1280)에 장착되는 암금형(1281)과 대응하는 수금형(1370)이 장착된다.
수금형조립체(1370)는, 도 9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373)에 의해 제2이동부재(132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때, 볼트(1375) 등의 결합수단을 플랜지(1373)에 형성된 관통홀(1373a)을 관통시켜 제2이동부재(1320)에 형성된 결합홀(1320a)에 결합한다.
또한, 수금형조립체(1370)는 그 내부에 금형조(1372)가 형성되며, 금형조(1372)를 둘러싸도록 냉각수순환로(1374)가 설치된다. 이때, 냉각수순환로(1374)를 통해 순환되는 냉각수는 약 12℃정도가 바람직하며, 금형내부의 온도가 50~60℃가 될 때까지 수금형(1371)을 냉각한다.
냉각수순환로(1374)는 제2이동부재(1320)에 형성되는 냉각수유입관(1321) 및 냉각수배출관(1322)과 연결된다.
냉각수유입관(1321) 및 냉각수배출관(1322)은 냉각수저장탱크(1350)와 자동제어되는 개폐밸브(136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물품성형장치(10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외부의 풍쇄슬래그는 제1투입구(1111)를 통해 투입되며 제1용융/이송장치(1121)에 의해 용융되어 제2용융/이송장치(1121)로 이송된다. 폐합성수지, 세라믹볼 및 기타 첨가물은 제2투입구(1112)를 통해 투입되어 제2용융/이송장치(1121)에 의해 용융되며, 제1용융/이송장치(1121)에서 이송된 풍쇄슬래그의 용융물과 혼합되어 용융혼합물이 생성되며, 배출구(1126)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배출된 용융혼합물은 가스/수분제거장치(1210)에 의해 그 안에 함유된 가스 및 수분이 제거되며 원주모양의 반고체형 덩어리혼합물로 되며, 이 덩어리혼합물은 이송/사출장치(1220)를 거치면서 노즐(1223)로 보내져 금형으로 저속사출된다.
이때, 성형부(1300)의 제2이동부재(1320)에 장착되는 수금형조립체(1370)와 제2고정부재(1280)에 장착된 암금형(1281)이 결합된 동안에는 이송/사출장치(1220)를 통해 혼합물이 사출되며, 제2이동부재(1320)가 원위치로 이동하여 수금형조립체(1370)와 암금형(1281)이 분리된 동안에는 사출이 중지되며, 사출여부는 사출개폐밸브(1222)에 의해 제어된다.
금형 내의 혼합물은 냉각되어 원하는 물품으로 성형되면 탈형하여 소정의 검사를 마친 후 완성품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물품성형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물품성형장치는 그 사출부가 가스/수분제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용융혼합물에 존재하는 가스 및 수분을 용이하게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물품의 질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성형장치는 그 사출부가 저속사출방식을 택하고 있어 대용량의 사출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사출부가 약 120ℓ정도의 대량의 혼합물을 저장하였다가 1회 또는 다수회에 사출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물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물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제1수지류와 제2수지류를 개별적으로 공급받아 가열혼합한 후 용융혼합된 용융혼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용융혼합물을 공급받아 상기 용융혼합물에 함유된 가스 및 수분을 2개의 롤러가 서로 밀착되게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2개의 롤러 사이로 제공되는 상기 용융혼합물을 가압하는 이중롤러 가압방식으로 제거하여 반고체혼합물로 만든 후 상기 반고체혼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사출하기 위한 사출부; 및
    상기 사출부로부터 사출되는 사출물을 금형에 주입하고 소정의 물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물품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수지류를 공급받아 용융하여 제1용융물을 생성하고 상기 제1용융물을 이송하기 위한 제1용융/이송수단;
    상기 제1용융/이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수단;
    상기 제1용융/이송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수지류를 공급받아 용융하여 제2용융물을 생성하고 상기 제1용융/이송수단으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제1용융물과 혼합하여 상기 용융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용융혼합물을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제2용융/이송수단; 및
    상기 제2용융/이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융/이송수단과 제2용융/이송수단은 그 내주벽에 상기 제1수지류와 제2수지률 용융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가스 및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덩어리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한 가스/수분제거수단;
    상기 가스/수분제거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덩어리혼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이송하여 사출하기 위한 이송/사출수단; 및
    상기 이송/사출수단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사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수분제거수단은
    그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성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성형홈이 합쳐지도록 서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1롤러 및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중공회전축 및 제2중공회전축;
    상기 제1중공회전축과 상기 제2중공회전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1냉각수순환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직경은 300~600mm이고 상기 성형홈 사이의 간격은 2~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홈은 반원통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사출수단은 그 말단부위에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는 상기 개폐수단을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사출부에 장착되는 암금형과 대응하는 수금형이 장착되며 상기 수금형을 상기 암금형과 결합되도록 상기 수금형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거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4구동수단;
    상기 제4구동수단과 평행하게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미 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5구동수단; 및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는 상기 수금형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금형은 그 내부에 성형물을 냉각하기 위한 제2냉각수순환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성형장치.
KR20040075397A 2004-09-21 2004-09-21 물품성형장치 KR100669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5397A KR100669505B1 (ko) 2004-09-21 2004-09-21 물품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5397A KR100669505B1 (ko) 2004-09-21 2004-09-21 물품성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086U Division KR200370658Y1 (ko) 2004-09-21 2004-09-21 물품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597A KR20060026597A (ko) 2006-03-24
KR100669505B1 true KR100669505B1 (ko) 2007-01-15

Family

ID=3713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5397A KR100669505B1 (ko) 2004-09-21 2004-09-21 물품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828B1 (ko) 2009-07-28 2010-03-08 (주)산본환경 고형연료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747Y1 (ko) 1999-08-31 2000-02-15 최정일 폐섬유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합판의 제조장치
KR200222441Y1 (ko) 2000-11-29 2001-05-02 박용국 발포스티로폼의 용해처리장치
KR20020093418A (ko) * 2001-06-08 2002-12-16 권선기 폐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20030070297A (ko) * 2002-02-23 2003-08-30 윤혁중 폐스티로폼 감융 재생방법 및 그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747Y1 (ko) 1999-08-31 2000-02-15 최정일 폐섬유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합판의 제조장치
KR200222441Y1 (ko) 2000-11-29 2001-05-02 박용국 발포스티로폼의 용해처리장치
KR20020093418A (ko) * 2001-06-08 2002-12-16 권선기 폐수지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20030070297A (ko) * 2002-02-23 2003-08-30 윤혁중 폐스티로폼 감융 재생방법 및 그 재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828B1 (ko) 2009-07-28 2010-03-08 (주)산본환경 고형연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597A (ko) 200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7412B (zh) 一种挤出模压加工塑料瓶盖的设备
CN110142816B (zh) 波纹管制造方法
CN112454797B (zh) 一种注塑系统及注塑方法
KR101347255B1 (ko) 사출 잔여수지 재활용장치
CN110667032A (zh) 一种生产封盖用注塑设备
CN115592907A (zh) 一种注塑机及其控制系统
KR100669505B1 (ko) 물품성형장치
KR101309975B1 (ko) 기능성 수지 혼련 압출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수지
KR200370658Y1 (ko) 물품성형장치
CN212948862U (zh) 一种应用于注塑机的分料装置
CN106113358B (zh) 一种药瓶瓶盖自动生产装置
CN214562745U (zh) 一种可快速冷却的注塑机
KR101809412B1 (ko) 재혼합모듈이 구비된 플라스틱 시트 제조장치
JPH0727131Y2 (ja) 押出成型機
CN214082760U (zh) 一种可移动加热制塑成型装置
CN112297354A (zh) 一种充分混料快速冷却注塑装置
KR20120065881A (ko) 수지 재활용을 위한 용융압출유닛
KR102023545B1 (ko) 자동 떡 생산장치
CN210705720U (zh) 一种聚乳酸塑料餐具成型机的送料机构
CN113858529A (zh) 一种用于生产瓶盖的注塑装置及其使用方法
CN206605718U (zh) 一种连续工作的注塑成型装置
KR100818356B1 (ko) 도로표시용 원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11361046A (zh) 一种塑料注塑预塑装置
KR101366053B1 (ko) 사출성형 장치
CN104890178A (zh) 一种注射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