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202B1 -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202B1
KR100669202B1 KR1020030057226A KR20030057226A KR100669202B1 KR 100669202 B1 KR100669202 B1 KR 100669202B1 KR 1020030057226 A KR1020030057226 A KR 1020030057226A KR 20030057226 A KR20030057226 A KR 20030057226A KR 100669202 B1 KR100669202 B1 KR 10066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pring
connection piece
bin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442A (ko
Inventor
송정헌
Original Assignee
송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헌 filed Critical 송정헌
Priority to KR102003005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2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1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38Tensioning by single movement of an actua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 화물, 물건 등을 결속시키는 경우 보다 견고하게 결속시켜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운송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이한 결속작업과 더불어 벨트의 위치에 구애됨이 없이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물이나 화물을 결속시키는 벨트와, 상기 벨트상에 연결되어 신축력에 의한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양측에서 감싸여지되 스프링의 양측 고리부가 각각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내,외측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벨트 보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10)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결속되는 한쌍의 벨트연결편(20)과; 상기 벨트연결편(20)의 벨트관통공(22)에 두겹 이상으로 접혀서 삽입 관통된 상기 벨트(10)에 각각 결속되고 상기 스프링(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스프링연결편(40)과; 상기 스프링연결편(40) 사이에 상기 내,외측커버(50)를 삽입시켜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 스프링, 벨트연결편, 벨트관통공, 스프링연결편,

Description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SAFETY APPARATUS OF BELT USING SPR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의 벨트연결편을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의 스프링이 연결된 스프링연결편을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이 삽입된 내,외측커버를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의 이탈방지를 위한 스프링연결편의 결합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연결편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의 사용상태도.
삭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벨트 20: 벨트연결편
22: 벨트관통공 24: 벨트삽입홈
30: 스프링 32: 고리부
40: 스프링연결편 42: 벨트결속홈
44: 스프링연결홈 50: 내측커버
51: 외측커버 52: 관통공
60: 보호덮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 화물, 물건 등을 결속시키는 경우 보다 견고하게 결속시켜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운송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이한 결속작업과 더불어 벨트의 위치에 구애됨이 없이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물, 화물, 물건 등을 운송하는 경우 흔들림이나 일측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속시키는 수단으로 고무 로프나 나일론 로프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무 로프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적재물이나 화물을 고정시킬 때 고무 로프가 끊어지거나 운송시 적재물의 중량에 의해 고무 로프가 늘어나면서 끊어지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나일론 로프의 경우에는 사용상 편리성은 있으나 신축성과 유동성이 없어 적재물이나 화물의 흔들림이나 편향시 수시로 고정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러움과 더불어 화물 낙하 등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어 자칫 인명피해를 가져다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물을 고정하는 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적재물의 유동에 따른 벨트의 헐거움 또는 풀림 현상을 방지시킴으로써 운송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여 간단하게 단시간에 결속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벨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결속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적재물이나 화물을 결속시키는 벨트와, 상기 벨트상에 연결되어 신축력에 의한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양측에서 감싸여지되 스프링의 양측 고리부가 각각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내,외측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벨트 보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결속되는 한쌍의 벨트연결편과; 상기 벨트연결편의 벨트관통공에 두겹 이상으로 접혀서 삽입 관통된 상기 벨트에 각각 결속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스프링연결편과; 상기 스프링연결편 사이에 상기 내,외측커버를 삽입시켜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의 벨트연결편을 보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의 스프링이 연결된 스프링연결편을 보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이 삽입된 내,외측커버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의 이탈방지를 위한 스프링연결편의 결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연결편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는 적재물이나 화물을 결속시키는 벨트(10)와, 상기 벨트(10)를 상호 연결시켜 견고하게 결속시키기 위한 스프링(30)과, 상기 벨트(10)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결속되는 한쌍의 벨트연결편(20)과, 상기 벨트연결편(20)의 벨트관통공(22)에 두겹 이상으로 접혀서 삽입 관통된 상기 벨트(10)에 각각 결속되고 상기 스프링(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스프링연결편(40)과, 상기 스프링(30)의 양측에서 감싸여지되 스프링(30)의 양측 고리부(32)가 각각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측에 관통공(52)이 형성된 내,외측커버(50,51)와, 상기 스프링연결편(40) 사이에 상기 내,외측커버(50,51)를 삽입시켜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연결편(20)의 벨트관통공(22)으로 삽입되어 타측으로 돌출된 벨트(10)의 접혀진 부위의 일측이 상기 스프링연결편(40)의 벨트결속홈(42)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벨트(10)상에 결속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벨트연결편(20)의 벨트삽입홈(24)에 상기 벨트(1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벨트관통공(22)을 통해 상기 벨트(10)를 접혀서 돌출시킨 다음 상기 스프링연결편(40)을 연결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연결편(40)의 스프링연결홈(44)에 연결된 스프링(30)의 신축력에 의해 적재물이나 화물 등이 보다 견고하게 결속됨으로써 일측으로 편향되거나 낙하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30)을 감싸고 있는 내측커버(50) 및 외측커버(51)는 상기 스프링(30)에 이물질의 접촉을 차단함과 더불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프링(30)의 수축시 내측커버(50)가 외측커버(51)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벨트(10)를 벨트연결편(20)의 벨트삽입홈(24)에 끼워 삽입시킨 후 벨트관통공(22)에 접어서 삽입 관통시켜 스프링연결편(4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스프링연결편(40)의 벨트결속홈(42)에 상기 벨트(10)의 접혀진 일측을 삽입시키고 상기 벨트(10)를 양측으로 당기게 되면 벨트(10)상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타측의 스프링연결편(40)도 동일하게 삽입시킨 후 다른 스프링연결편(40)을 상기 스프링연결편(40)에 볼트결합시키되 상기 벨트결속홈(42)에 삽입된 벨트(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벨트결속홈(42)의 개구된 부위가 서로 엇갈리게 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벨트연결편(20)을 벨트(10)에 결속시키는 경우 벨트연결편(20)의 내측에 여유분의 벨트(10)가 구비되게 하여 결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프링연결홈(40)에 연결된 스프링(30)이 끊어지거나 이상이 있을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벨트연결편(20)의 사이에 구비된 여유분의 벨트(10)가 지지하고 있어 적재물의 낙하 등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벨트(10)상에 또하나의 연결수단으로 벨트 보완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 스프링(30)의 신축력을 이용하여 벨트(10)를 적재물에 보다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스프링(30)이 끊어지더라도 벨트(10)상에는 아무 이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적재물의 운송시 흔들리거나 일측으로 편향되더라도 상기 벨트(10)상에 결속된 스프링(30)의 신축력으로 상황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게 되어 벨트(10)의 끊어짐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안전하게 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벨트(10)가 끊어진 경우에도 벨트연결편(20) 및 스프링연결편(40)을 분리시킨 후 끊어진 부위의 일측 벨트(10)와 타측 벨트(10)에 벨트연결편(20)을 설치한 후 스프링연결편(40)을 재차 설치하면 됨으로써 운송중에 벨트(10)가 끊어진 경우에도 손쉬운 연결작업으로 적재물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결속됨으로써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고, 스프링에 의한 신축력으로 적재물이나 화물의 유동에 따른 벨트의 헐거움을 차단함과 더불어 벨트의 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운송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벨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결속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적재물이나 화물을 결속시키는 벨트와, 상기 벨트상에 연결되어 신축력에 의한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양측에서 감싸여지되 스프링의 양측 고리부가 각각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내,외측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벨트 보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10)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결속되는 한쌍의 벨트연결편(20)과;
    상기 벨트연결편(20)의 벨트관통공(22)에 두겹 이상으로 접혀서 삽입 관통된 상기 벨트(10)에 각각 결속되고 상기 스프링(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스프링연결편(40)과;
    상기 스프링연결편(40) 사이에 상기 내,외측커버(50)를 삽입시켜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
KR1020030057226A 2003-08-19 2003-08-19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 KR10066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226A KR100669202B1 (ko) 2003-08-19 2003-08-19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226A KR100669202B1 (ko) 2003-08-19 2003-08-19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442A KR20050019442A (ko) 2005-03-03
KR100669202B1 true KR100669202B1 (ko) 2007-01-16

Family

ID=3722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226A KR100669202B1 (ko) 2003-08-19 2003-08-19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2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442A (ko)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78669A1 (en) Sealed handle with integrated shock absorber
KR100669202B1 (ko) 스프링을 이용한 벨트 안전 보완장치
US9468809B2 (en) Device for attaching two mechanical connectors
US4873742A (en) Safety tie down bar hand grip system
KR101511367B1 (ko)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일방향 벨트 고정 장치
FR2677258A1 (fr) Longe d&#39;assurance en sangle cousue equipee d&#39;un amortisseur de choc.
KR200439949Y1 (ko) 벨트 안전 보완장치
KR200479567Y1 (ko) 화물결속용 탄력띠
KR100230481B1 (ko) 드럼세탁기의 운송용 고정볼트 체결용 홀캡의분실방지장치
KR200480031Y1 (ko) 다 방향 로프 연결 고리용 다중 체결 고리
JP6867317B2 (ja) 荷物の固縛方法
US6176073B1 (en) Coupling link
SU825370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обв зки предметов
CN210040402U (zh) 一种燃料电池用底座紧锁结构
KR960006630Y1 (ko) 다용도 줄넘기
KR101991653B1 (ko) 안전 포장상자
KR200266360Y1 (ko) 화물 모서리 보호막대
KR200283280Y1 (ko) 로프 타래 휴대용 주머니
KR200156650Y1 (ko) 중량물 취급용 훅핀
KR102502578B1 (ko) 적재화물 코너 보호장치
KR102227658B1 (ko) 화물 고정용 벨트 권선장치
KR101877972B1 (ko) 적재화물 고정용 고리 어셈블리
KR930006867Y1 (ko) 적재물의 찌그러짐 방지장치
KR20230034567A (ko) 죔줄용 안전 손잡이
KR200256741Y1 (ko) 화물 자동바 벅클에 부착하는 고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214

Effective date: 20061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