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153B1 - 표준 관리 블럭에 기반을 둔 계층적 시스템 관리 시스템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표준 관리 블럭에 기반을 둔 계층적 시스템 관리 시스템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153B1
KR100669153B1 KR1020040105569A KR20040105569A KR100669153B1 KR 100669153 B1 KR100669153 B1 KR 100669153B1 KR 1020040105569 A KR1020040105569 A KR 1020040105569A KR 20040105569 A KR20040105569 A KR 20040105569A KR 100669153 B1 KR100669153 B1 KR 10066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provider
managed
environmen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308A (ko
Inventor
김영호
안창원
정성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1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5Interprogram communication where tasks reside in different layers, e.g. user- and kernel-sp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의 관리 서버와 분산 연결된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환경에 관계없이 표준화된 관리 방법을 통해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계층적 관리 구조를 통해 관리의 확장성 및 호환성을 제공한다.
표준 관리 블록, HPI, IPMI, 관리 서버, 관리 대상 시스템

Description

표준 관리 블럭에 기반을 둔 계층적 시스템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Syste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standard management module}
도 1은 종래의 시스템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관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 시스템의 관리 서버와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컴포넌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관리 블록의 구성 모듈에서 관리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표준 관리 블록을 이용한 계층적 시스템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스템 관리 시스템(SMS: System Management System)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 관리 시스템(System Management System: 이하 "SMS"라 명명함)(100)은 중앙에서 관리 대상 시스템들의 운용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관리 서버(10)와 네트워크(20)를 통해 분산 연결되어 관리 및 시스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1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0)에서 요청하는 관리 작업을 처리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30)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10)는 관리 대상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분산 환경의 시스템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관리 대상 시스템(30)의 운영체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관리 에이전트 프로그램(도 1에서 도시하지 않음)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환경에서만 관리 대상 시스템(30)에 대한 정보 수집 및 관리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여, 관리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오류나 운영 체제가 응답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상태가 되었을 때, 정보의 수집이나 관리 작업의 수행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와 시스템의 발달로 원 거리에 관리 대상 시스템들이 분산 운용되는 환경에서, 정상적인 관리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복구 시간의 증가로 인한 관리 비용의 증가와 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서비스 제공의 차질로 손해 비용이 증가될 가능성이 높은 점이 문제가 된다.
또한, 중앙 집중화된 관리 서버 환경에서 특정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분석 및 처리 시간이 관리 대상 시스템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고, 관리 대상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상에 분산되어 있는 관리 대상 시스템의 운용 상태에 관계없이, 표준화된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시스템 관리 시스템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상위 레벨에 위치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이 하위 레벨에 위치하는 다른 관리 대상 시스템과 연동하는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 및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 중 최상위 레벨에 위치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 및 관리 서버는 동일한 표준 관리 블록을 이용하는 관리 컴포넌트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상위 레벨에 위치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이 하위 레벨에 위치하는 다른 관리 대상 시스템과 연동하는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 중 최상위 레벨에 위치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과 중앙의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시스템의 관리 서버 및 관리 대상 시스템은 각각 동일한 표준 관리 블록을 이용하고,
상기 관리 블록을 이용하는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컴포넌트는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받아서 적절한 프로바이더에 전달하고 상기 프로바이더에서 처리한 상기 요청에 대한 수행 결과를 관리 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제1 관리 모듈 및 HPI/IPMI와 연동하여 관리 정보의 수집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프로바이더들을 포함하며,
(a) 상기 관리 서버의 관리 작업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계층적 구조의 관리 대상 시스템 중 해당하는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관리 수행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수행 환경에 따라 상기 복수의 프로바이더 중 대응하는 프로바이더를 이용하여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관리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의 구성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 시스템(SMS)(200)은 관리의 주체가 되어 네트워크(220)를 통해 분산 연결된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230)의 관리 정보를 받아 운용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210)와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21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10)의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23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 시스템(2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200)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중앙의 관리 서버(210)가 그 하위에 있는 모든 관리 대상 시스템(230)을 모두 직접 관리하는 방식이 아니라, 계층적인 형태로 중간 관리 대상 시스템이 존재한다. 도 2에서는 중간 관리 대상 시스템이라고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앙의 관리 서버(210)에 연결되는 관리 대상 시스템(230)이 존재하고, 그 하위에 다른 관리 대상 시스템(230)이 존재하고, 다시 그 하위에 또 다른 관리 대상 시스템(230)이 존재하는 경우와 같이 계층적인 형태로 다른 관리 대상 시스템(230)의 상위에 존재하는 중간 관리 대상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때, 하나의 관리 대상 시스템(230)과 다른 관리 대상 시스템(230)과의 연결은 각 관리 대상 시스템(230)의 프로바이더(도 2에서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연동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계층적인 형태로 중간 관리 대상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10) 및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23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표준 관리 블록인 HPI/IPMI와 연동하여 관리 정보의 수집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프로바이더들과 관리 기능에 대한 요청을 받아서 적절한 프로바이더에 전달하고, 프로바이더에서 처리한 요청의 수행 결과를 요청한 시스템으로 다시 전송하는 모듈인 CIMOM(CIM Object Manager), 그리고 관리 대상 시스템 구성 요소들의 정적인 정보인 CIM 클래스와 인스턴스들을 저장하는 공간인 CIMOM Repository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관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환경은 시스템의 하드웨어 의존성과 운영 체제와의 관계에 의해 크게 3가지 환경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하드웨어 의존성이란 상위에서 구현한 프로그램이나 인터페이스의 실제 내용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드웨어(CPU 종류/개수, 디스크의 종류, 등)에 의해 변경이나 패치 등이 요구되는, 하드웨어와 그 상위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과의 사용 및 운용에서의 의존적인 부분을 의미한다. 운영 체제와의 관계는 해당 관리 상태에서 운영 체제의 동작 상태(정상동작 또는 비정상동작)에 따라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요소들에 해당하는 관리 환경을 도 3과 같이 시스템의 하드웨어 의존성(H/W Dependency)을 기준으로 In-Band 관리 환경과 Out-of-Band 관리 환경으로 나눌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로, In-Service 관리 환경(301)은 메인 시스템 H/W에서 동작하고, 운영 체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운영 체제에 의존적인 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관리되는 환경이다.
두 번째로, Out-of-Service 관리 환경(302)은 역시 메인 시스템 H/W에서 동작하지만 운영체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관리 환경이다. 즉, 운영체제가 부팅 중이거나 치명적인 에러로 인해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때는 물론 관리 에이전트 프로그램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상기 In-Service 관리 환경(301)과 Out-of-Service 관리 환경(302)은 통칭하여 In-Band 관리 환경이라고 한다.
마지막 세 번째로, Out-of-Band 관리 환경(303)은 메인 시스템 H/W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관리 대상 시스템의 보드에 연결된 CPU 이외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인 서비스 프로세서(Service processor)나 관리 대상 시스템이 블레이드 형태나 ATCA 구조인 경우, 여러 개의 관리 대상 시스템을 하나의 박스 형태로 연결, 관리하는 하드웨어적인 연결 장치가 있고, 이러한 관리 박스에 존재하며 관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인 샷시 관리 모듈(Chassis management module)을 통한 관리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준 관리 블록을 이용한 시스템 관리로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환경의 모든 관리 환경에서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 시스템에의 관리 컴포넌트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관리 블 록의 관리 컴포넌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 시스템의 관리 서버와 관리 대상 시스템은 동일한 관리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관리 블록의 관리 컴포넌트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 대상 시스템은 CIM(Commom Information Model)/WBEM(Web-Based Enterprise Management) 기반의 관리 컴포넌트 모듈로 구성된다.
CIMOM(CIM Object Manager)(401)은 관리 기능에 대한 요청을 받아서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관리 기능을 수행할 적절한 프로바이더에 전달하고, 프로바이더에서 처리한 요청의 수행 결과를 다시 상기 관리 기능을 요청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모듈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IMOM(401)은 표준 관리 블록의 최상위 계층에 위치한다.
다음, 상기 CIMOM(401)의 하위 계층에 위치하는 프로바이더 계층(410)은 표준 관리 블록인 HPI(Hardware Platform Interface)/IPMI(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와 연동하여 관리 정보의 수집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프로바이더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바이더 계층(410)은 PM 프로바이더(411), Policy 프로바이더(412), RPM 프로바이더(413) 그리고, HPI-Compliant 프로바이더로 통칭되는 SEL 프로바이더(414), FRU 프로바이더(415), SDR 프로바이더(416) 및 Watchdog 프로바이더(417)를 포함한다.
여기서, SEL, FRU, SDR, Watchdog는 HPI(421)와 IPMI(431)에서 플랫폼 관리를 위해 정의 및 사용하는 플랫폼 관리 구성 요소들로, 상기 프로바이더들은 이러한 관리 구성 요소들의 정보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플랫폼 관리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SEL 프로바이더(414)는 시스템 이벤트 로그(system event log)라는 관리 대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시스템 이벤트를 로그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프로바이더이다.
FRU 프로바이더(415)에서 FRU가 시스템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교체 가능한 하드웨어 모듈(fan, power supply 등)을 의미함에 따라, FRU 프로바이더(415)는 이러한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정보와 동작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프로바이더이다.
SDR(sensor data recorder) 프로바이더(416)는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센서 정보(온도, 전압, 전류값 등)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프로바이더이다.
Watchdog 프로바이더(416)에서 watchdog는 하드웨어 모듈의 에러를 발견하고, 에러 발생시 정의된 관리 동작(reset, hot-swap)을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관리하는 프로바이더이다.
다음, PM(Platform Management) 프로바이더(411)는 도 3에서 설명한 바 있는 In-Band 관리 환경(301, 302)의 관리를 처리하는 메인 모듈로, HPI(421)와의 채널 연결을 생성하고 관리 대상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대상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는 Policy 프로바이더(412)로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In-Band 관리 환경(301, 302)에서 CIMOM(401)에서 전달되는 요청을 받아 각 관리 및 기능별로 분류하여 HPI-compliant 프로바이더로 전달하고, 처리 결과를 받아서 정상적인 수행인 경우에는 CIMOM(401)로 결과를 전달하고, 에러나 오류에 대한 이벤트 또는 로그가 감지되면 Policy 프로바이더(412)를 통해 에러 복구에 관련된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
RPM(Remote Platform Management) 프로바이더(413)는 마찬가지로 도 3에서 설명한 바 있는 Out-of-Band 관리 환경(303)에서 관리 대상 시스템의 정보 및 회복과 관련된 관리 기능의 요청을 처리하는 모듈이다. 이때, HPI(421)를 통하지 않고 IPMI(431)와 직접 연동하여 IPMI(431)에서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
Policy 프로바이더(412)는 PM 프로바이더(411)에서 파악한 관리 대상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Policy 프로바이더(412)의 유지하는 정책 및 규칙에 따라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환경을 결정하고, 운영체제 및 관리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는 Out-of-Band 환경(303)이면 RPM 프로바이더(413)를 통해 관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대로, In-band 환경(301, 302)이면 PM 프로바이더(411)를 통해 관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PM 프로바이더(411)의 이벤트나 로그 정보에 의해 관리 자원 및 시스템의 에러나 오류가 인지되면, 정책 및 규칙에 따라 복구와 관련된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에 대한 처리 결과를 로그로 저장하고, 관리 서버(201)의 요청이 발생하면 로그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새로운 정책 및 규칙을 생성하고 변경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관리 서버에서 정책 및 규칙에 대한 변경을 전송하면 Policy 프로바이더(412)가 유지하고 있는 정책 및 규칙을 업데이트 하는 작업도 처리한다.
여기서, HPI(421)와 IPMI(431)는 표준 관리 블록으로 In-Band 관리 환경(301, 302)에서는 HPI-compliant 프로바이더에서 전달되는 관리 기능의 요청을 IPMI(431)와 연동하여 처리하고, 결과를 다시 전송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반대로, Out-of-band 관리 환경(303)에서는 RPM 프로바이더(413)과 IPMI(431)가 직접 연결되어 IPMI(431)에서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이러한 표준 관리 블록에 기반하는 관리 컴포넌트 모듈에서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관리 블록의 구성 모듈에서 관리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시스템 관리 시스템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관리 서버(201)에서 CIMOM(401)을 통해 관리 작업에 대한 요청이 전달되면, PM 프로바이더(411)에서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및 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상태를 파악(S501)하여, 해당 상태 정보를 Policy 프로바이더(412)로 전달한다(S502).
그러면, Policy 프로바이더(412)는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정책 및 규칙을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통해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관리 수행 환경을 판단한다(S503). 판단결과, 관리 환경이 Out-of-Band 관리 환경(303)이면(S504), RPM 프로바이더(413)를 통해 IPMI(431)와 직접 연동하여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S511).
만일, In-Band 관리 환경(301,302)이고 Out-of-Service 관리 환경(302)이면, PM 프로바이더(411)를 통한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S521).
한편, In-Service 관리 환경(301)이면, SEL 프로바이더(414), FRU 프로바이더(415), SDR 프로바이더(416), Watchdog 프로바이더(417)로 구성되는 HPI-compliant 프로바이더를 이용하여 HPI(421)/IPMI(431)와 연동하여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S506).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준 관리 블록을 이용한 시스템 관리 시스템은 관리 대상 시스템의 운영 체제 및 관리 에이전트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즉,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환경에 관계없이 관리 정보의 수집 및 관리 기능의 수행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계층적, 대칭적 관리 시스템 환경의 구성을 통해 분산된 많은 서버에 대한 용이한 관리 및 새로운 관리 대상 시스템의 추가로 인한 관리 서버의 성능 저하 및 회복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9)

  1.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상위 레벨에 위치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이 하위 레벨에 위치하는 다른 관리 대상 시스템과 연동하는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 및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 중 최상위 레벨에 위치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 및 관리 서버는 동일한 표준 관리 블록을 이용하는 관리 컴포넌트로 각각 구성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 및 관리 서버는 전송방법으로 CIM(Common Information Model)/WBEM(Web-Based Enterprise Management)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컴포넌트는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받아서 복수의 프로바이더 중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프로바이더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바이더에서 처리한 요청의 수행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CIMOM(CIM Object Manager); 및
    HPI(Hardware Platform Interface)/IPMI(Il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와 연동하여 관리 정보의 수집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복수의 프로바이더로 이루어진 프로바이더 계층
    을 포함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더 계층은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제1 관리 환경의 관리를 처리하며, 상기 HPI와의 채널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1 프로바이더;
    상기 제1 프로바이더에서 수집된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는 제2 프로바이더;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제2 관리 환경에서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정보 및 회복과 관련된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처리하는 제3 프로바이더; 및
    상기 제1 관리 환경에서 상기 CIMOM에서 전달되는 요청을 각 관리 기능별로 분류하여 전달되면, 그 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프로바이더들로 구성된 제4 프로바이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바이더는 상기 제4 프로바이더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받아서 정상적인 경우에는 그 결과를 상기 CIMOM으로 전달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바이더는 상기 제4 프로바이더에서의 상기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 에러나 오류에 대한 이벤트 또는 로그가 감지되면, 상기 에러 복구에 대한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로바이더는 상기 제2 관리 환경에서 상기 HPI를 통하지 않고 상기 IPMI와 직접 연동하여 상기 IPMI에서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제1 관리 환경은 메인 시스템 H/W에서 동작하고 운영 체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운영 체제에 의존적인 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관리되는 환경인 시스템 관리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제1 관리 환경은 메인 시스템 H/W에서 동작하고 운영체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며, 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관리되지 않는 환경인 시스템 관리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환경이 상기 제1 환경인 경우에는 상기 제4 프로바이더로부터 전달되는 관리 기능의 요청을 상기 HPI가 상기 IPMI와 연동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전송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환경이 상기 제2 환경인 경우에는 상기 제3 프로바이더와 상기 IPMI가 직접 연결되어 상기 IPMI에서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
  12.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상위 레벨에 위치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이 하위 레벨에 위치하는 다른 관리 대상 시스템과 연동하는 복수의 관리 대상 시스템 중 최상위 레벨에 위치하는 관리 대상 시스템과 중앙의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시스템의 관리 서버 및 관리 대상 시스템은 각각 동일한 표준 관리 블록을 이용하고,
    상기 관리 블록을 이용하는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컴포넌트는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청을 받아서 적절한 프로바이더에 전달하고 상기 프로바이더에서 처리한 상기 요청에 대한 수행 결과를 관리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제1 관리 모듈 및 HPI/IPMI와 연동하여 관리 정보의 수집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프로바이더들을 포함하며,
    (a) 상기 관리 서버의 관리 작업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계층적 구조의 관리 대상 시스템 중 해당하는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에 대한 관리 수행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수행 환경에 따라 상기 복수의 프로바이더 중 대응하는 프로바이더를 이용하여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상태는 상기 복수의 프로바이더 중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정책 및 규칙을 이용하는 제1 프로바이더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통해 판단하는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1 프로바이더에서 판단 결과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상태가 제1 관리 환경이면, 상기 제1 관리 환경에서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정보 및 회복과 관련된 관리 기능의 요청을 처리하는 제2 프로바이더를 상기 IPMI와 연동하여 관리 요청을 수행하는 관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환경은 메인 시스템 H/W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관리 환경으로, 다른 지원 모듈을 통한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관리 환경인 관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1 프로바이더에서 판단 결과,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상태가 제2 환경인 경우에는 상기 HPI와의 채널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3 프로바이더를 이용하여 관리 요청을 수행하는 관리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1 프로바이더에서 판단 결과,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의 관리 상태가 제2 환경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프로바이더 중 상기 제1 내지 제3 프로바이더들 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의 프로바이더들을 이용하여 관리 요청을 수행하는 관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환경은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이 메인 시스템 H/W에서 동작하지만 운영 체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환경인 관리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환경은 상기 관리 대상 시스템이 메인 시스템 H/W에서 동작하고 운영 체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운영 체제에 의존적인 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관리되는 환경인 관리 방법.
KR1020040105569A 2004-12-14 2004-12-14 표준 관리 블럭에 기반을 둔 계층적 시스템 관리 시스템및 관리 방법 KR10066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69A KR100669153B1 (ko) 2004-12-14 2004-12-14 표준 관리 블럭에 기반을 둔 계층적 시스템 관리 시스템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69A KR100669153B1 (ko) 2004-12-14 2004-12-14 표준 관리 블럭에 기반을 둔 계층적 시스템 관리 시스템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308A KR20060067308A (ko) 2006-06-20
KR100669153B1 true KR100669153B1 (ko) 2007-01-15

Family

ID=3716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569A KR100669153B1 (ko) 2004-12-14 2004-12-14 표준 관리 블럭에 기반을 둔 계층적 시스템 관리 시스템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316B1 (ko) * 2006-12-05 2008-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ca 시스템에서 ipmi 메시지를 이용한 보드의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926A (ja) * 1993-08-25 1995-03-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サーバ装置
JPH09265460A (ja) * 1996-03-28 1997-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分散処理システム及び分散処理方法
KR20030057383A (ko) * 2001-12-27 2003-07-04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네트워크 시스템, 정보 관리 서버 및 정보 관리 방법
KR20050081232A (ko) * 2004-02-12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926A (ja) * 1993-08-25 1995-03-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サーバ装置
JPH09265460A (ja) * 1996-03-28 1997-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分散処理システム及び分散処理方法
KR20030057383A (ko) * 2001-12-27 2003-07-04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네트워크 시스템, 정보 관리 서버 및 정보 관리 방법
KR20050081232A (ko) * 2004-02-12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308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6915B2 (en) Virtual systems management
CN100417081C (zh) 检查和修复网络配置的方法和系统
US7287179B2 (en) Autonomic failover of grid-based services
JP4945935B2 (ja) 自律運用管理システム、自律運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332661A1 (en) Computer System and Its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20090259734A1 (en)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a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a distribution management server
US200500971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JP4677813B2 (ja) サーバ性能計測方法及びサーバ性能計測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0430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system diagnostic scheduling using service level objectives
US7886053B1 (en) Self-management of access control policy
KR20090085058A (ko) 분산 서버 시스템, 백업 관리자에 의한 수행을 위한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장치 판독가능 매체
CA2504333A1 (en) Programming and development infrastructure for an autonomic element
JP2008033852A (ja) リソース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1114978A (zh) 高速缓存发往应用服务器的客户机请求的系统和方法
WO2007060664A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ata protection resources
JP2008077325A (ja) ストレージ装置及びストレージ装置に対する設定方法
WO2012050224A1 (ja) コンピュータリソース制御システム
KR102176028B1 (ko)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12194A (ko) 통합관리시스템과보안시스템을통합하기위한시스템
US10970148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input/output stack
JP5999254B2 (ja) 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49012B2 (e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669153B1 (ko) 표준 관리 블럭에 기반을 둔 계층적 시스템 관리 시스템및 관리 방법
JP2008129828A (ja) ブレードサーバの動的割り当て方法
US11240245B2 (en) Compu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