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859B1 -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 Google Patents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859B1
KR100667859B1 KR1020040083612A KR20040083612A KR100667859B1 KR 100667859 B1 KR100667859 B1 KR 100667859B1 KR 1020040083612 A KR1020040083612 A KR 1020040083612A KR 20040083612 A KR20040083612 A KR 20040083612A KR 100667859 B1 KR100667859 B1 KR 100667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trumpet
larva
cryoprotectant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479A (ko
Inventor
강경호
김재민
김잔디
김영훈
선승천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8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8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78Physical preservation processes
    • A01N1/0284Temperature processes, i.e. using a designated change in temperature over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나팔고둥 유생을 동결방지제가 희석된 인공해수 안에 넣어 상기 동결방지제를 흡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동결방지제를 흡수한 나팔고둥 유생을 실온에서 평형시간동안 놓아두는 단계와, 상기 평형시간 이후 상기 나팔고둥 유생을 동결기를 사용하여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보전과 취급이 곤란하던 나팔고둥 유생을 냉동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팔고둥의 양식, 특히 인공종묘생산에 있어 과학적이고 예측 가능한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로인해 수산양식업의 과학화를 앞당기고, 기타 다른 산업에 비해 낙후된 양식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나팔고둥 유생을 냉동보존함으로써 종 보존은 물론 종묘를 생산해야 하는 양식어민들이 직접 성패를 관리해야하는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는 것이어서 양식어민들에게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많은 이득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나팔고둥 어획의 풍흉에 관계없이 유생의 보존이 가능하므로 나팔고둥 인공종묘생산을 계획하고 생산시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어서 양식어민 소득 증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나팔고둥, 유생, 냉동, 보존

Description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Freezing preservation method of Charonia sauliae larva}
본 발명은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금까지 연구되어있지 않은 나팔고둥 유생들을 냉동보존 가능하게 함으로써 나팔고둥의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인공종묘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0년대 이후부터 피조개, 새조개, 키조개, 전복 등 고급품종의 양식방법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나팔고둥의 경우는 양식어민들이 직접 성패를 관리해야하고, 상기 성패의 관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어획의 풍흉에 따라 유생의 보존량에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나팔고둥을 인공종묘 생산함에 있어 생산을 계획하고 시기를 조절함에 상당한 불편함을 갖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의 배우자 보존에 관한 연구는 주로 어류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금도 많은 어류를 대상으로 배우자 보존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의학이 나 축산업에서처럼 현장에서 산업적으로 실용화된 방법들은 그다지 많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용한 양식패류인 나팔고둥의 유생을 냉동보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나팔고둥의 인공종묘를 생산함에 있어 과학적이고 예측 가능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나팔고둥 유생을 동결방지제(CPAs)가 희석된 인공해수 안에 넣어 상기 동결방지제를 체내에 흡수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동결방지제를 흡수한 나팔고둥 유생 실온에서 평형시간동안 놓아두는 단계와, 상기 평형시간 이후 상기 나팔고둥 유생을 동결기를 사용하여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동결방지제(CPAs)는 유생을 냉동보존함에 있어 수분이 결빙됨으로 인해 세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글리세롤(glycer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프로판에디올(propanedial)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공해수 안에 동결방지제를 희석시킴에 있어 동결방지제의 함유량이 1.5 M(몰)이하의 경우에는 나팔고둥 유생이 동결시 결빙에 의해 죽게되며, 2 M 이상일 경우에는 동결방지제의 흡수량이 너무 많아져 세포가 파괴되므로, 상기 동결방지제의 함유량은 인공해수 안에 1.5 ~ 2 M의 농도로 혼합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결방지제를 흡수한 나팔고둥 유생의 평형시간은 10분이하일 경우에는 동결방지제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나팔고둥 유생을 동결시킬 경우 결빙되어 죽게되며, 20분 이상일 경우 동결방지제의 흡수량이 너무많아져 과포화상태가 되어 세포가 파괴되므로, 상기 평형시간은 10~20분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를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실험에 사용한 나팔고둥 유생은 각각 평균 450±10 ㎕의 유생을 이용하였다.
먼저 인공해수 안에 동결방지제인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글리세롤(glycer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프로판에디올(propanedial)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서로 혼합하여 1.5~2 M의 농도가 되도록 하고 각각의 수조에 준비된 나팔고둥 유생을 투입하였다.
다음 상기 동결방지제가 흡입된 유생을 0.5 ㎖ 용량의 스트로에 100~300개체의 밀도로 담고, 실온 20℃에서 10~20분 평형시간을 두었다. 평형시간 이후 유생 이 담긴 스트로를 피로그램 동결기를 사용하여 -1℃/1min의 속도로 0℃에서 -12℃까지 냉각하여 10분의 평형시간후 다시 -2℃/min 속도로 -35℃까지 냉각하였으며 평형시간 10분후 액체질소통에 넣었다. 다음 액체질소통에서 1일 보관후, 스트로를 30℃물에 넣어 해동하였다.
실험구는 각각 3개의 스트로를 사용하여 반복구를 두었으며, 생존율은 현미경상에서 활발한 섬모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유생을 카운팅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나팔고둥 유생의 생존율은 평형시간 10분을 준 글리세롤(glycer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프로판에디올(propanedial) 세 실험구에서는 1.0 M, 1.5 M , 2.0 M 모두 10%전후의 낮은 생존율을 보였고,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서는 1.0 M에서 22.4±3.2%, 1.5 M에서 44.1±3.6% 그리고, 2.0 M에서 40.3±3.2로 1.5 M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그리고 평형시간 20분을 준 글리세롤(glycer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프로판에디올(propanedial) 실험구는 생존율 10~20%정도로 평형시간 10분을 준 시험구보다 조금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1.5 M 구간에서 가장 높은 80.4±3.3을 나타내었고 1.0 M, 2.0 M에서는 각각 50.4±4.5, 58.0±2.2로 나타나 평형시간 20분을 준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1.5M구간에서 가장높은 생존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발명은 나팔고둥 유생을 냉동보존함에 있어 폐사율을 가장 낮도 록 조건들을 설정하고, 또 냉동 보존된 부유유생들을 필요할 때 해동시켜 종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보전과 취급이 곤란하던 나팔고둥 유생을 냉동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팔고둥 양식분야, 특히 인공종묘생산에 있어 과학적이고 예측 가능한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해 수산양식업의 과학화를 앞당기고, 기타 다른 산업에 비해 낙후된 양식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나팔고둥 유생을 냉동보존함으로써 종 보존은 물론 종묘를 생산해야 하는 양식어민들이 직접 성패를 관리해야하는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는 것이어서 양식어민들에게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많은 이득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나팔고둥 어획의 풍흉에 관계없이 유생의 보존이 가능하므로 나팔고둥의 인공종묘생산을 계획하고 생산시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어서 양식어민 소득 증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디메틸 설폭사이드가 희석된 인공해수 안에 나팔고둥 유생을 넣어 상기 동결방지제가 흡수되도록 하고, 상기 동결방지제가 체내에 흡수된 나팔고둥 유생을 스트로에 0.5 ㎖당 50 ~ 100개체의 밀도로 담아 실온 23℃에서 10~20분 평형시간동안 놓아둔 다음, 상기 유생이 담긴 스트로를 프로그램 동결기 사용하여 -1℃/1min의 속도로 0℃에서 -12℃까지 1차 냉각하고, 상기 1차 냉각된 나팔고둥 유생을 2차 냉각하며, 상기 2차냉각 후 스트로를 액체질소통에 넣어 1일동안 보관하여 상기 스트로를 30℃ 물에 넣어 해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나팔고둥 유생을 냉동보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나팔고둥 유생의 2차 냉각은 -2℃/min 속도로 -35℃까지 냉각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40083612A 2004-10-19 2004-10-19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KR100667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612A KR100667859B1 (ko) 2004-10-19 2004-10-19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612A KR100667859B1 (ko) 2004-10-19 2004-10-19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479A KR20060034479A (ko) 2006-04-24
KR100667859B1 true KR100667859B1 (ko) 2007-01-11

Family

ID=3714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612A KR100667859B1 (ko) 2004-10-19 2004-10-19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12300A1 (en) * 2018-06-05 2021-07-15 Bühler Insect Technology Solutions Ag Large-Scale, High Density Storage of Larva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47A (ko) * 1989-06-26 1991-01-29 사까이 다다아끼 육류 및 해산물의 동결방법
KR20050030416A (ko) * 2003-09-26 2005-03-30 강경호 피조개 부유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47A (ko) * 1989-06-26 1991-01-29 사까이 다다아끼 육류 및 해산물의 동결방법
KR20050030416A (ko) * 2003-09-26 2005-03-30 강경호 피조개 부유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12300A1 (en) * 2018-06-05 2021-07-15 Bühler Insect Technology Solutions Ag Large-Scale, High Density Storage of Larva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479A (ko) 200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ahina Frost resistance in insects
Muchlisin Current status of extenders and cryoprotectants on fish spermatozoa cryopreservation
Macdonald et al. Musteloid sociality: the grass-roots of society
Gil et al. Effects of cryoprotectants and diluents on the cryopreservation of spermatozoa from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Bernáth et al. Chilled and post‐thaw storage of sperm in different goldfish types
KR100704491B1 (ko) 피조개 부유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CN103931531A (zh) 一种利用冰点前临界低温长期保存香港牡蛎眼点幼虫的方法
KR100667859B1 (ko) 나팔고둥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KR20180082275A (ko) 능성어 정자의 동결 보존액 및 이를 사용한 능성어 정자의 동결 보존 방법
KR100667728B1 (ko) 우렁쉥이 미충형유생의 냉동보존방법
KR100667727B1 (ko) 눈썹참갯지렁이 유생의 냉동보존방법
Yang et al. Optimization of a sperm cryopreservation protocol for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Viveiros Current status of sperm cryopreservation in siluriform catfishes
Marina et al. State of the art in cryopreservation of bivalve spermatozoa
Le et al. Semen cryopreservation of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JPH10150879A (ja) 真珠貝類の人工種苗生産法
Yamaner et al. A brief overview on cryopreservation method of sturgeon sperm
KR100515011B1 (ko) 범가자미 정자 냉장보존을 위한 인공정장
Rani et al. Preliminary studies on the cryopreservation of spermatozoa in the fresh water fish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Patel et al. Cryopreservation of Fish Gametes: An Innovative Approach for Breeding Conservation
BETSY et al. Effect of age on the spermatological and fertilisation parameters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innaeus 1758) brooders cryopreserved at three dilution ratios.
KR100604262B1 (ko) 넙치 정자의 냉장보존용 인공정장
JP2006296390A (ja) サカナ受精卵の凍結保存液およびその調整方法
Islam et al. Development of a sperm cryopreservation protocol of Gangetic Mystus (Mystus cavasius)
Taghizadeh et al. Effect of Extenders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ethanol on Motility Parameters of Goldfish (Carassius auratus gibelio) Spermatozoa after Short-Term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