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884B1 -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 그비활성화제를 구비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구비하는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 그비활성화제를 구비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구비하는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884B1
KR100666884B1 KR1020040063294A KR20040063294A KR100666884B1 KR 100666884 B1 KR100666884 B1 KR 100666884B1 KR 1020040063294 A KR1020040063294 A KR 1020040063294A KR 20040063294 A KR20040063294 A KR 20040063294A KR 100666884 B1 KR100666884 B1 KR 10066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filter
deactivator
air
ph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940A (ko
Inventor
유지 나까지마
가쯔히로 하시쯔메
다이스께 다나까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5Protein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double bond
    • A01N41/04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A01N47/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containing —N=CX2 groups, e.g. isothiourea
    • A01N47/44Guanidin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substances of unknown or undetermined composition, e.g. substan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mode of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2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using wet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액상에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제공한다. 또한, 바이러스를 트랩하는 필터와, 이 필터에 부착된 상기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구비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Description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 그 비활성화제를 구비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VIRUS INACTIVATING AGENT AND VIRUS INACTIVATING METHOD, FILTER SET HAVING THE INACTIVATING AGENT,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FILTER SET}
도 1 은 λ파지의 비활성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M13 파지의 비활성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대장균 현탁액의 흡광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비활성화 필터에 의한 λ파지의 비활성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λ파지의 감염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비활성화 필터에 의한 M13 파지의 비활성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M13 파지의 감염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곰팡이의 건식시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곰팡이의 건식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곰팡이의 습식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한 공조용 실내유닛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14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제 1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 는 전체도, (B) 는 (A)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제 2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제 3 구성예를 나타내는 전체도, (B)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제 4 구성예를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17 은 도 14 내지 도 16 에 나타내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를 케이스 내에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은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제 5 구성예를 나타내는 전체도, (B)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제 6 구성예를 나타내는 전체도, (C)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제 7 구성예를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19 는 리모트 컨트롤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1 에 나타낸 공조용 실내유닛에 대해 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에 관한 공조용 실내유닛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저장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비활성화제를 구비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및 그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는 감염증은 현재에도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어,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의 대유행 등은 매년 매스미디어를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인플루엔자 등에 대해서는 의약품 개발에 의한 대처가 이미 이루어지고 있어, 백신을 유행 전에 접종함으로써 감염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아주 최근에 소동이 일어난 SARS 바이러스와 같이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미지의 바이러스가 갑작스럽게 출현한 경우, 그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백신이 빨리 개발되지 않아 다수의 감염자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천연두와 같이 이미 박멸되었다고 여겨지는 바이러스 등도 바이오 테러나 감염의 진입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감염이 확대되지 않는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한 경우, 예를 들어 종두 미접종자 등과 같이 면역이 없는 인간이 죽음의 위험성에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미지의 바이러스 또는 사람의 기억에서 잊혀진 바이러스에 대하여 우리들 인류가 취할 수 있는 대응으로는, (1)감염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가까이 가지 않고, (2)감염 가능성이 있는 인물과 접촉하지 않는 것 등이 있지만, 사회 전체의 생산성이 저하 하는 등 현실적인 대처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알코올이나 알칼리, 하이포아염소산 등을 분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바이러스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시킬 뿐이다. 또한, 산ㆍ알칼리 등의 약품은 인간을 비롯한 생물에게는 위험성이 높아 주의하여 취급해야 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만약 바이러스를 지속적으로 비활성화하는 방법이 개발되면,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에 사용할 수 있는 효율이 높은 바이러스 비활성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공조 설비를 완비함으로써 바이러스가 만연된 위험성이 생긴 경우에도 폐쇄공간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을 생각할 수 있다. 국제공개 제98/04334호 팜플렛에는 효소를 고정화한 공기정화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국제공개 제98/04334호 팜플렛의 공기정화 필터는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효소만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등에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 비활성화제를 구비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및 그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그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며, 액상에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모두를 함유하며, 액상에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제공한다.
상기 단백질 변성제는 우레아이고, 또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pfu protease 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러스는 엔벨로프 (envelope)를 갖는 바이러스이거나 또는 엔벨로프를 갖지 않는 바이러스이다.
상기 비활성화제는 살균작용 및 살진균작용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또 하나의 측면에 따라, 상기 바이러스 비활성화제가 존재하는 용액에 바이러스를 접촉시키는,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 하나의 측면에 따라,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이며, 바이러스를 트랩하는 필터와, 이 필터에 부착된 상기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구비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 하나의 측면에 따라,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그 흡입구에서 도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와, 그 열교환기로 열교환된 공기를 내뿜기 위한 취출구와, 그 취출구로부터 공 기를 내뿜게 하기 위한 송풍수단과, 그 공기가 흐르는 내부공간에 배치된 청구항 13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담지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바이러스 비활성화제가 활성화되는 분위기로 양성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공조용 유닛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조용 유닛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개구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닫아 상기 내부공간을 반밀폐상태 또는 밀폐상태로 유지하는 개폐수단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조용 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실내 송풍수단을 운전시켜 밀폐공간 내에서 상기 바이러스 비활성화제가 활성화되는 분위기로 된 공기를 교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은 상기 열교환기의 냉각운전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냉각운전 후에 실시되는 상기 열교환기의 가열운전에 의해 가열하여 기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은 상기 열교환기의 냉각운전에 의해 생성되어 드레인 받이에 저장된 응축수를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기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조용 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에 의해 고온다습으로 유지한 후, 상기 비활성화제 담지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열화방지 운전을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조용 유닛은 상기 비활성화제 담지체의 상기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활성화하기 전에 상기 내부공간에 공기를 도입하고 상기 비활성화제 담지체를 통과시켜 흘려보내는 바이러스 포집운전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해를 주지 않고서 바이러스를 효과적 및 지속적으로 비활성화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가 제공된다.
또한, 그 비활성화제를 구비하여 실내의 바이러스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조용 실내유닛 및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1.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단백질 및 핵산을 기본 조성으로 하는 감염성 물질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들이, 활성성분으로서 단백질 변성제 또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함으로써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하여,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고 또한 장기간 효과가 지속되며, 게다가 경제적으로 우수한 바이러스 비활성화가 가능한 것을 밝힌 것에 근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는,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 등의 기계에 장착하는 것도 용이하여, 실용화가 우수한 바이러스 비활성화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는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미생물, 특히 세균의 살균작용이 있으며, 또한 곰팡이 등의 진균의 살진균작용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백질 변성제는,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이로 인해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이다. 단백질 변성제에는 우레아, 염산구아니딘 및 도데실황산나트륨 (SDS) 과 같은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백질 분해효소란, 단백질 및 펩티드를 분해하는 성질을 갖는 효소를 총괄 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백질 분해효소는,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분해하고, 이로 인해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이며, 특히 프로테아제가 사용된다. 프로테아제는 주지의 산성, 중성 및 염기성의 어떠한 프로테아제이든 좋다. 예를 들어, 트립신 등의 세린프로테아제, 파파인, 칼파인, 카텝신 B 및 카텝신 L 등의 시스테인프로테아제, 펩신, 레닌 및 카텝신 D 등의 아스파라긴산 프로테아제 및 메탈로프로테아제 등의 프로테아제이어도 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프로테아제는 타카라 바이오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pfu protease S 이다. 이 프로테아제는 내열성이 높고, 또한 우레아나 SDS 와 같은 변성제와 공존해도 내구성이 높다.
프로테아제에 의해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사용되는 프로테아제의 최적조건을 고려하여 온도 및 보조효소 등의 조건을 실시자가 임의로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바이러스의 비활성화란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변성제나 효소와 같은 활성성분에 의해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변성 또는 분해함으로써 바이러스의 감염력을 없앨 수 있다. 또, 살균작용, 살진균작용이란, 세균 또는 진균을 사멸시키거나 또는 그 생육을 저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효소나 변성제에 의한 반응은 액상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도 용액 중 및 또한 그것에 준한 액상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 바이러스의 비활성화에 단백질 분해효소와 단백질 변성제를 병용하여 사용한다고 하는 독특하고 새로운 발상을 기초로 하여 달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측면에서 중요한 점 중 하나는 이들의 농도 및 처리시간과 같은 상세한 조건이 아니라, 단백질 분해효소와 단백질 변성제의 병용처리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것 자체에 있다. 바꿔 말하면, 단백질 분해효소의 종류 및 농도, 단백질 변성제의 종류 및 농도 등의 조건은 가능한 조합 전부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바이러스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단백질 분해효소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용균효소를 갖는 것도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당연히 그들 효소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서도 비활성화하기가 곤란하다. 그러나, 단백질 변성제가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변성함으로써 효소에 내성을 갖는 바이러스에도 분해효소가 작용하기 쉬워지는 등의 이점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의 두 가지를 병용함으로써 분해효소의 사용농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의 두 가지를 병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다 효율적으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바이러스 중에는 단백질 구조체의 외측을 둘러싸는 막구조물을 갖는 것도 있어, 이것을 엔벨로프라 한다. 이것은 세포막과 마찬가지로 지질 이중막이며, 바이러스 특이적인 단백질이 그 위에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엔벨로프를 갖 는 바이러스 및 갖지 않는 바이러스의 두 가지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광범위에 걸친 바이러스에 대하여 효과적인 비활성화제 및 비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2.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
이하,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단백질 변성제를 사용하여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예를 들어 우레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우레아는 약 9M 정도의 고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예를 들어 프로테아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농도는 예를 들어 pfu 프로테아제 S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를 사용한 경우에 최종 농도 2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테아제를 사용하는 경우, 처리온도나 처리시간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는 변동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프로테아제의 농도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조건에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경우에,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를 공존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pfu 프로테아제 S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를 사용한 경우, 단독으로는 최종 농도가 2 중량% 정도 필요하지만, 9M 의 우레아를 공존시킨 경우에는 0.2 중량% 정도의 농도로 충분한 비활성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공기조화기로의 이용
본 발명의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은 공기조화기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를 제공하며, 나아가 이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를 공조용 실내유닛에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필터를 사용하는 공조기로는 주거용 공조기뿐만 아니라 빌딩 등에 사용되는 업무용 공조기나 차량용 공조기 등도 들 수 있다.
(1)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는, 바이러스를 트랩하는 필터와 이 필터에 부착된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구비하는 것이다. 바이러스를 트랩하는 필터는 예를 들어 부직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는,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을 포함한다. 이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상기 서술한 필터에 부착시킴으로써 바이러스를 트랩하여 비활성화한다.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필터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필터 또는 입자 등의 담체에 후술하는 방법으로 담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는 액상에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것이지만, 필터의 섬유 또는 입자 등의 담체에 흡습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섬유의 표면 또는 담체 입자의 내부 등에 미소한 액상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비활성 화제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필터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및 폴리아미드 (PA)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담체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아크릴산-나트륨 중합체 등의 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필터를 흡습성 섬유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발수성 섬유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발수성 섬유를 조합함으로써 필터에 형상 유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필터가 다량의 습기를 흡수한 경우에도 형태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의 형태로는 여러 가지 구성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플리츠형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발수성 섬유에 의한 형상 유지 효과는 특히 플리츠형과 같은 구성을 갖는 필터에 효과적이다.
발수성 섬유를 조합시킴으로써 필터에 비활성화제를 부착시킬 때 침지ㆍ분사 등으로 다량의 습기가 주어지는 경우에도, 필터형의 구성을 파손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수성 섬유는 필터에 비활성화제를 부착시키기 전에 흡습성 섬유와 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필터형의 구성이 유지됨으로써 필터의 단위면적당 담지되는 비활성화제의 양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조기에 구비된 필터에는 풍압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만, 발수성 섬유를 추가함으로써 필터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필터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2) 공기조화기
본 발명에 따라서 제공되는 공기조화기는, 상기 서술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다.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는 공조용 실내유닛에 구비되며, 공기조화기가 작동하였을 때 빨아들이는 공기가 이 필터를 통과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이므로,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실내의 바이러스를 필터에 포집하여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에서는, 실험실에서 조작 가능한 바이러스 및 세균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비활성화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기초시험을 하였다. 또한, 비활성화제를 구비한 필터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세균 및 곰팡이의 비활성화 시험을 하였다.
1. 비활성화제 및 비활성화 방법
(1) 재료
실험실에서 다룰 수 있는 바이러스의 대표예로서, 세균을 숙주로 하는 바이러스, 즉 박테리오파지를 사용하였다. 박테리오파지와 대장균에 의한 실험계는,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인간에 있어서의 바이러스의 감염 및 증식의 모델이라고 생각되는 이 박테리오파지를 사용한 시험을 실시하여, 시험관 내의 액 중에서 박테리오파지와 효소 또는 변성제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박테리오파지의 비활성화를 확인하였다.
박테리오파지로서 λ파지 및 M13 파지를 사용하였다. 이들 파지는 분자생물학적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cDNA 라이브러리의 구축, 유전자의 발현 해석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파지이다. λ파지는 템퍼레이트파지이며, 세균세포에 감염되었을 때 증식하여 세포를 죽이는 경우 (용균감염) 와, 용원화하여 프로파지가 되어 숙주균과 행동을 함께 하는 경우 (용원화) 의 두 가지 생활고리를 갖는 파지이다. M13 파지는 섬유상의 한가닥쇄 DNA 파지이다. 이것은 숙주 내에서 증식한 후 숙주를 용균하지 않고 균체 외로 방출된다. 각각 대장균 (E. coli) 의 XLl-Blue 주 및 JM109 주를 숙주로 한다. 쌍방 모두 숙주와 동일한 성질을 유지하지 않는 균주에는 감염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성질이나 숙주가 다른 파지를 사용하여 시험함으로써 폭넓은 바이러스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 대장균은 LB 배지 (표 1) 에 의해 배양하여 삼각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하룻밤 37℃ 에서 진탕배양하였다.
LB 배지의 조성
효모추출액 5 g
NaCl 5 g
트립톤 10 g
1000mL
한천(고체 배지만) 15 g
(2) 방법
<실시예 1 λ파지액의 제조>
λZAPⅡ (등록상표) vector kit (undigested) 및 Gigapack (등록상표) Ⅲ Packaging kit (모두 토요보 판매) 를 사용하고, 첨부 매뉴얼에 따라 λ파지 DNA 를 패키징하여 λ파지를 제조하였다.
숙주 균주로는 대장균 (E. coli) XLl-Blue MRF' 를 사용하였다. 미리 배양해 둔 XLl-Blue MRF' 에 제조한 λ파지를 감염시켜 다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λ파지 원액을 얻었다. 이 원액을 적절히 희석한 용액 10μL 를 XLl-Blue MRF' (OD∼1 에 SM 완충액 (표 2) 으로 세정 완료) 100μL 와 혼합하고, LB 배지를 사용하여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이 배양액에 0.7 중량% 아가로스 (agarose L03,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를 포함하는 LB 배지 (오토클레이브 멸균 후 항온조에서 45℃ 로 유지하고 있던 것. 이후는 톱아가라 칭함) 를 4mL 가하여 교반한 후,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포함하는 고체 LB 배지 상에 부었다. 톱아가가 충분히 냉각되어 고화된 것을 확인하여 37℃ 에서 하룻밤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의 고체 배지에 플라크가 출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5mL 의 SM 완충액을 가하여 냉장고에 1 일간 정치하였다. 고체 배지를 냉장고에서 꺼내고 SM 완충액을 회수하여 원심분리기에 장착하였다 (6000 ×g, 20 분, 2℃). 얻어진 상청을 λ파지액으로 하여 이후의 비활성화 시험에서 사용하였다. 또, λ파지액은 1.5mL 용량의 에펜도르프사 제조 튜브 (이후, 1.5mL 용량 튜브라 칭함) 에 O.5mL 씩 분주하여 클로로포름을 한 방울 가한 후, 4℃ 에서 보존하였다.
SM 완충액
Tris-HCl(pH 7.5) 50 mM
NaCl 100 mM
MgSO4ㆍ7H2O 10 mM
젤라틴 0.01 중량%
오토클레이브 멸균함.
<실시예 2 λ파지의 활성시험>
이후의 시험에 사용하는 λ파지의 실험계가 확립되어 있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λ파지의 활성시험을 하여, 회수율을 산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λ파지액 40μL 에 360μL 의 생리식염 인산 완충액 (PBS) + 1OmM MgSO4ㆍ7H2O 액을 첨가하였다. 시험 중에 일어날 수 있는 pH 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PBS 를 사용하고, 비활성화제에 기인하지 않는 λ파지의 감염력 저하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10 mM MgSO4 를 공존시켰다.
용액은 1.5mL 용량 튜브에 넣고 다시 600μL 의 PEG 액 (20 중량/부피% PEG6000, 2.5M NaCl) 을 가하여 얼음 속에서 3 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15,000 rpm 으로 20 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청을 버렸다. 얻어진 침전물 (λ파지ㆍPEG 복합물) 에 SM 완충액을 200μL 가하고 침전물을 잘 현탁하였다. PEG 액으로 처리한 이 λ파지 용액을 PEG 침전 처리액으로 하였다.
PEG 침전 처리액을 SM 완충액으로 희석한 액 1OμL 와 XLl-Blue MRF' 의 SM 현탁액 (100μL) 을 혼합하여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 후 톱아가를 3mL 가하여 교반하고,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포함하는 고체 LB 배지 상에 부었다. 37℃ 에서 5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출현한 플라크 수를 계수하였다. 얻어진 플라크 수로부터 pfu (플라크 형성 단위, pfu/mL) 를 구하였다.
비교 대조로서,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λ파지액을 PEG 침전 처리하지 않고 XLl-Blue MRF' 에 감염시키고, 플라크를 계수하여 pfu 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λ파지의 활성
시험 조건 감염력(pfu/mL)
PEG 침전 처리 1.9 ×108
무처리 9.2 ×108
PEG 침전 처리액은, PEG 침전 처리를 하였을 때 SM 완충액에 현탁함으로써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λ파지액의 1/5 농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표 3 으로부터 PEG 침전 처리 후의 λ파지의 회수율은 (1.9 ×1O8 ×5)/(9.2 ×1O8) ×1OO=103 % 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PEG 침전 처리를 하더라도 λ파지가 거의 회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PBS 및 MgSO4 를 사용하더라도 λ파지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λ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1>
변성제 또는 효소에 의한 λ파지의 비활성화를 시험하였다. 변성제는 우레아를 사용하고, 효소는 pfu 프로테아제 S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λ파지액 40μL 에 PBS+10mM MgSO4ㆍ7H2O 액을 352μ L 첨가하고, 또 pfu 프로테아제 S 를 8μL 첨가하였다 (최종 농도 2 중량%). 이것을 1.5mL 용량 튜브에 넣어, 프로테아제 처리액으로 하였다.
또한, λ파지액 40μL 에 9M 우레아를 함유하는 PBS+10mM MgSO4ㆍ7H2O 액을 360μL 첨가하여, 1.5mL 용량 튜브에 넣었다. 이것을 우레아 처리액으로 하였다.
또한, 파지액 40μL 에 9M 우레아를 함유하는 PBS+10mM MgSO4ㆍ7H2O 액을 352μL 첨가하고, 또 pfu 프로테아제 S 를 8μL 첨가하였다 (최종 농도 2 중량%). 이것을 1.5mL 용량 튜브에 넣어, 우레아ㆍ프로테아제 처리액으로 하였다.
대조로서, λ파지액 40μL 에 PBS+10mM MgSO4ㆍ7H2O 액을 360μL 첨가하였다. 이것을 무처리액으로 하였다.
각 처리액을 37℃ 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600μL 의 PEG 액 (20 중량/부피% PEG6000, 2.5M NaCl) 을 첨가하여, 얼음 속에서 3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15,000rpm 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버렸다. 얻어진 침전물에 SM 완충액을 200μL 첨가하고, 침전물을 잘 현탁하였다. 이 현탁액을 SM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이 희석액 10μL 와 대장균 XL1-Blue MRF' 의 SM 현탁액 (100μL) 을 혼합하고,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톱아가를 3mL 첨가하여 교반하고,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함유하는 고체 LB 배지상에 부었다. 37℃ 에서 5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출현된 플라크 수를 계수하여 pfu 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각 시험 조건에서의 λ파지의 감염력
시험 조건 감염력 (pfu/mL)
프로테아제 처리 1.8×108
우레아 처리 0
우레아ㆍ프로테아제 처리 0
무처리 1.9×108
λ파지액 9.2×108
이 결과, 프로테아제 처리액에서는 λ파지가 비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9M 의 우레아를 첨가한 우레아 처리액에서는, 프로테아제의 유무에 상관없이 λ파지가 비활성화되었다. 따라서, 고농도의 우레아에 의해 λ파지를 비활성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λ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2>
우레아 첨가 농도 및 우레아 처리 시간을 변화시켜, λ파지의 비활성화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λ파지액 40μL 에 각각 0M, 3M, 및 9M 의 우레아를 함유하는 PBS+10mM MgSO4ㆍ7H2O 액 360μL 를 혼합하여 1.5mL 용량 튜브에 넣었다. 각각의 혼합액과, 대조로서 λ파지액을 37℃ 에서 0, 15 및 6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600μL 의 PEG 액 (20 중량/부피% PEG6000, 2.5M NaCl) 을 첨가하여, 얼음 속에서 3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15,000rpm 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버렸다. 얻어진 침전물에 SM 완충액을 200μL 첨가하고, 침전물을 잘 현탁하였다. 이 현탁액을 SM 완충액으로 희석한 희석액 10μL 와 대장균 XL1-Blue MRF' 의 SM 현탁액 (100μL) 을 혼합하여,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톱아가를 3mL 첨가하여 교반하고,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함유하는 고체 LB 배지상에 부었다. 37℃ 에서 5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출현된 플라크 수를 계수하여 pfu 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각 시험 조건에서의 λ파지의 감염력 (pfu/mL)
처리시간 (분) 시험 조건
9M 우레아 3M 우레아 0M 우레아 λ파지액
0 4×106 9.4×107 1.1×108 8×108
15 0 1.5×108 1.1×108
60 0 1.1×108 1.4×108
전술한 바와 같이, λ파지액은 다른 처리액에 비하여 5 배 농도의 λ파지를 갖는다. 우레아 0M 의 용액에서는, λ파지액의 1/5 정도의 플라크가 관찰된 것에서, λ파지는 전혀 비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M 의 우레아를 첨가한 경우에도, λ파지는 처리시간에 상관없이 거의 비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9M 의 우레아를 첨가한 경우에서는, 처리시간 15 분 이상에서 λ파지는 완전히 비활성화되었다. 또, 우레아 첨가 직후에도 λ파지가 어느 정도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9M 의 우레아를 첨가한 경우, λ파지는 매우 급속히 비활성화되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5 λ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3>
실시예 4 에 있어서, 고농도의 우레아가 λ파지의 비활성화에 유효함이 시사 되었다. 그래서 다시, 9M 의 우레아에 의한 처리시간을 변화시켜 λ파지의 비활성화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λ파지액 40μL 과 360μL 의 9M 의 우레아를 함유하는 PBS+10mM MgSO4ㆍ7H2O 액을 혼합하여 1.5mL 용량 튜브에 넣었다. 이 혼합액을 37℃ 에서 0, 7.5, 15, 30 및 6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600μL 의 PEG 액 (20 중량/부피% PEG6000, 2.5M NaCl) 을 첨가하여, 얼음 속에서 3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15,000rpm 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버렸다.
얻어진 침전물에 SM 완충액을 200μL 첨가하여, 침전물을 SM 완충액에 잘 현탁하였다. 이 현탁액을 SM 완충액으로 희석한 희석액 10μL 와, 대장균 XL1-Blue MRF' 의 SM 현탁액 (100μL) 을 혼합하여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톱아가를 3mL 첨가하여 교반하고,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함유하는 고체 LB 배지상에 부었다. 37℃ 에서 5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출현된 플라크 수를 계수하여 pfu 를 구하였다. 비교 대조로서 무처리액의 pfu 를 동일한 수순으로 구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9M 우레아 첨가시의 λ파지의 감염력
처리시간 (분) 감염력 (pfu/mL)
0 2.8×105
7.5 0
15 0
30 0
60 0
λ파지액 8.4×108
λ파지의 대부분은, 9M 의 우레아에 접촉후 즉시 비활성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비활성화율은 약 99.96% 에 달하였다. 또, 우레아를 첨가한 직후이면 λ파지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9M 의 우레아의 존재는 λ파지의 회수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표 5 및 표 6 의 결과로부터 λ파지의 비활성화율을 산출하여 도 1 의 그래프에 나타냈다. 비활성화율 = {1 - 각 처리액의 pfu/(무처리액의 pfu/5)}1×100 이다.
<실시예 6 M13 파지액의 제조>
M13 파지의 DNA 로서 M13mp 18RFI (동양방 판매) 를 사용하였다. 숙주균주는 대장균 JM109 를 사용하였다. M13 파지 DNA 용액 1μL 와 멸균증류수 9μL 를 혼합하여, JM109 의 컨피던트 셀 (E.coli JM109, 동양방 판매) 에, 첨부된 매뉴얼에 따라서 형질전환하였다. 이 형질전환한 대장균을, 별도로 제조해 놓은 LB 배지 (10mL) 에 접종하여, 37℃ 에서 하룻밤 천천히 진탕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 (6000g×20 분, 4℃) 하여 상청을 얻었다. 이 상청에는 M13 파지가 함유되고, 이것을 M13 파지 원액으로 한다. 이 원액 10μL 를 별도 배양하고 있던 JM109 의 SM 현탁용액 (OD∼1 에 SM 으로 세정 완료) 100μL 에 첨가하여,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이 배양액에 톱아가를 4mL 첨가하여 교반한 후,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함유하는 고체 LB 배지상에 부었다. 톱아가가 충분히 냉각되어, 고화된 것을 확인하고 37℃ 에서 하룻밤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의 고체 배지에 플라크가 출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5mL 의 SM 완충액을 첨가하여 냉장고에 1 일간 정치하였다. 고체 배지를 냉장고로부터 꺼내고 SM 완충액을 회수하여, 원심분리시켰다 (6000g×20 분, 2℃). 얻어진 상청을 M13 파지액으로 하여 이후의 비활성화 시험에서 사용하였다. 또, M13 파지액은 0.5mL 씩 1.5mL 용량 튜브에 분주하여, 클로로포름을 한 방울 첨가한 후 4℃ 에서 보존하였다.
<실시예 7 M13 파지의 활성시험>
이후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M13 파지의 실험계가 확립되어 있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M13 파지의 활성시험을 실시하여 회수율을 산출하였다.
상기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 40μL 에, 360μL 의 PBS+10mM MgSO4ㆍ7H2O 액을 첨가하였다. 시험중에 일어날 수 있는 pH 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PBS 를 사용하고, 비활성화제에 기인하지 않는 M13 파지의 감염력 저하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10mM MgSO4 를 공존시켰다.
용액을 1.5mL 용량 튜브에 넣고, 다시 600μL 의 PEG 액 (20 중량/부피% PEG6000, 2.5M NaCl) 을 첨가하여, 얼음 속에서 3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15,000rpm 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버렸다. 얻어진 침전물에 SM 완충액을 200μL 첨가하여, 침전물을 SM 완충액에 잘 현탁하였다. PEG 액으로 처리한 이 M13 파지 용액을 PEG 침전처리액으로 한다.
얻어진 PEG 침전처리액을 SM 완충액으로 희석한 액 10μL 와 JM109 의 SM 현 탁액 (100μL) 을 혼합하여,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톱아가를 3mL 첨가하여 교반하고,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함유하는 고체 LB 배지상에 부었다. 37℃ 에서 5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출현된 플라크 수를 계수하였다. 얻어진 플라크 수로부터 pfu (플라크 형성단위, pfu/mL) 를 구하였다.
비교 대조로서,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을 PEG 침전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JM109 에 감염시키고, 플라크 수를 계수하여 pfu 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7 에 나타냈다.
M13 파지의 활성
시험 조건 감염력 (pfu/mL)
PEG 침전처리 2.0×1010
무처리 1.1×1011
PEG 침전처리액은, PEG 침전처리했을 때에 SM 완충액에 현탁함으로써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의 1/5 농도로 되어 있다. 표 7 의 값으로부터, PEG 침전처리 후의 M13 파지의 회수율은 약 91% 였다. 이 결과로부터, PEG 침전처리하더라도 M13 파지가 거의 회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PBS 및 MgSO4 를 사용해도 M13 파지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M13 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1>
변성제 또는 효소에 의한 M13 파지의 비활성화를 시험하였다. 변성제는 우레아를 사용하고, 효소는 pfu 프로테아제 S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 40μL 에 PBS+10mM MgSO4ㆍ7H2O 액을 352μL 첨가하고, 또 pfu 프로테아제 S 를 8μL 첨가하였다 (최종 농도 2 중량%). 이것을 1.5mL 용량 튜브에 넣어, 프로테아제 처리액으로 하였다.
또한, M13 파지액 40μL 에 9M 우레아를 함유하는 PBS+10mM MgSO4ㆍ7H2O 액을 360μL 첨가하여, 1.5mL 용량 튜브에 넣었다. 이것을 우레아 처리액으로 하였다.
또한, M13 파지액 40μL 에 9M 우레아를 함유하는 PBS+10mM MgSO4ㆍ7H2O 액을 352μL 첨가하고, 또 pfu 프로테아제 S 를 8μL 첨가하였다 (최종 농도 2 중량%). 이것을 1.5mL 용량 튜브에 넣어, 우레아ㆍ프로테아제 처리액으로 하였다.
대조로서,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 40μL 에 360μL 의 PBS+10mM MgSO4ㆍ7H2O 액을 혼합하여, 이것을 무처리액으로 하였다.
각 처리액을, 37℃ 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600μL 의 PEG 액 (20 중량/부피% PEG6000, 2.5M NaCl) 을 첨가하여, 얼음 속에서 3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15,000rpm 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버렸다. 얻어진 침전물에 SM 완충액을 200μL 첨가하고, 침전물을 잘 현탁하였다. 이 현탁액을 SM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이 희석액 10μL 와 대장균 JM109 의 SM 현탁액 (100μL) 을 혼합하고,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톱아가를 3mL 첨가하여 교반하고,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함유 하는 고체 LB 배지상에 부었다. 37℃ 에서 5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출현된 플라크 수를 계수하여 pfu 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8 에 나타냈다.
각 시험 조건에서의 M13 파지의 감염력
시험 조건 감염력 (pfu/mL)
프로테아제 처리 0
우레아 처리 1.1×1010
우레아ㆍ프로테아제 처리 0
M13 파지액 1.1×1011
최종 농도 2 중량% 의 프로테아제에 의해 M13 파지가 완전히 비활성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9M 의 우레아에 의해서는, M13 파지는 거의 50% 정도의 비활성화율이 얻어졌다. 또, 프로테아제와 우레아를 모두 첨가한 계에서는, M13 파지가 완전히 비활성화되었다. 이상의 사실로부터 M13 파지의 비활성화에는 프로테아제가 유효하고, 또한 우레아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9 M13 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2>
다음으로, 프로테아제 농도를 변화시켜 M13 파지의 비활성화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 40μL 에 352μL 의 PBS+10mM MgSO4ㆍ7H2O 액을 첨가하였다. 1.5mL 용량 튜브를 사용하여, pfu 프로테아제 S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를 각각 0, 0.08, 0.8 및 8μL 첨가하였다. 각 용액에 첨가한 효소의 최종 농도는 각각 0, 0.02, 0.2 및 2 중량% 이다.
또한,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 40μL 에 9M 우레아를 함유하는 PBS+10mM MgSO4ㆍ7H2O 액을 352μL 첨가하였다. 1.5mL 용량 튜브를 사용하여 pfu 프로테아제 S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를 각각 0, 0.08, 0.8 및 8μL 첨가하였다. 각 용액에 첨가한 효소의 최종 농도는 각각 0, 0.02, 0.2 및 2 중량% 이다.
각 처리액을 37℃ 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600μL 의 PEG 액 (20 중량/부피% PEG6000, 2.5M NaCl) 을 첨가하여, 얼음 속에서 3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15,000rpm 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버렸다. 얻어진 침전물에 SM 완충액을 200μL 첨가하고, 침전물을 잘 현탁하였다. 이 현탁액을 SM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이 희석액 10μL 와 대장균 JM109 의 SM 현탁액 (100μL) 을 혼합하고,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톱아가를 3mL 첨가하여 교반하고,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함유하는 고체 LB 배지상에 부었다. 37℃ 에서 5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출현된 플라크 수를 계수하여 pfu 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9 에 나타냈다.
우레아 및 프로테아제의 각 농도에 있어서의 M13 파지의 감염력 (pfu/mL)
프로테아제 농도 ( 중량%) 시험 조건
0M 우레아 9M 우레아 M13 파지액
0 1.0×1010 6.3×109 2.2×1010
0.02 3.9×109 0
0.2 5×108 0
2 0 0
프로테아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플라크 수가 감소하고 있어, M13 파지의 비활성화는 효소 농도에 의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9M 의 우레아가 공존한 경우, M13 파지의 비활성화가 높아져, 보다 적은 프로테아제 농도에서 높은 비활성화율이 얻어지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시예 10 M13 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3>
프로테아제와 우레아가 공존하는 경우의 M13 파지의 비활성화를 더욱 상세하게 시험하였다. 실시예 9 의 결과로부터, 프로테아제 농도는 0.2 중량% 로 하고, 우레아 농도 및 처리시간을 변화시켜 M13 파지의 비활성화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 40μL 에 각각 우레아를 0M, 3M, 및 9M 함유하는 PBS+10mM MgSO4ㆍ7H2O 액을 359μL 첨가하였다. 1.5mL 용량 튜브를 사용하여, pfu 프로테아제 S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를 0.8μL (최종 농도는 0.2 중량%) 첨가하였다.
각 처리액을 37℃ 에서 0, 7.5, 15, 6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600μL 의 PEG 액 (20 중량/부피% PEG6000, 2.5M NaCl) 을 첨가하여, 얼음 속에서 3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15,000rpm 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버렸다. 얻어진 침전물에 SM 완충액을 200μL 첨가하고, 침전물을 잘 현탁하였다. 이 현탁액을 SM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이 희석액 10μL 와 대장균 JM109 의 SM 현탁액 (100μL) 을 혼합하고, 37℃ 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톱아가를 3mL 첨가하여 교반하고, 미리 준비해 둔 1.5 중량% 한천을 함유하는 고체 LB 배지상에 부었다. 37℃ 에서 5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출현된 플라크 수를 계수하여 pfu 를 구하고, 감염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 에 나타냈다.
시험 조건 0.2% 프로테아제 첨가시의 각 우레아 농도에 있어서의 M13 파지의 감염력 (pfu/mL)
처리시간 (분) 시험 조건
9M 우레아 3M 우레아 0M 우레아 M13 파지액
0 1×108 1.1×1010 1.7×1010 1.1×1011
7.5 0 0 2.0×1010
15 0 0 1.6×1010
60 0 0 1.1×109
프로테아제와 9M 의 우레아가 공존한 경우, M13 파지 대부분은 이들 활성성분과 접촉후, 즉시 비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M 의 우레아가 공존한 경우에서는, 활성성분과 접촉한 시점에서는 약 50% 의 비활성화에 그쳐 있었다. 그러나 처리시간 7.5 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거의 100% 가 비활성화되었다. 우레아가 공존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프로테아제 첨가후 15 분이 경과하여도 거의 비활성화되지 않고, 90% 이상의 비활성화율을 달성할 때까지 약 1 시간이 필요하였다.
상기 표 10 의 결과로부터 M13 파지의 비활성화율을 산출하여, 도 2 의 그래프에 나타냈다. 비활성화율 = {1 - 각 처리액의 pfu/(무처리액의 pfu/5)}×100 이다.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바이러스 비활성화제가 바이러스의 비활성화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비활성화제의 활성성분인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는, 각각 단독으로도 바이러스 비활성화에 유효하다. 그러나 이들을 병용함으로써 바이러스 비활성화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바이러스에 유효한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1 대장균의 살균시험 1>
본 발명의 비활성화제에 의한 대장균 Escherichia coli JM109 (이하, 대장균이라고 한다) 의 살균효과를 시험하였다.
대장균을 LB 배지중에서 10 시간, 37℃ 에서 진탕배양하여, 대수 증식기에 있음을 확인하고 원심분리 (5,000g×20 분, 37℃) 하여 회수하였다. 침전된 대장균을 PBS 에 현탁하고, 다시 원심분리 (5,000g×20 분, 37℃) 하여 회수하였다. 이것을 PBS 에 현탁하여, O.D.600 = ∼15 의 대장균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 대장균 현탁액 32μL 에 pfu 프로테아제 S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용액 (최종 농도 2 중량%) 을 8μL, 및 10M 우레아의 PBS 용액을 160μL 혼합하였다. 또한, 대장균 현탁액 32μL 에 pfu 프로테아제 S 를 8μL, 및 PBS 용액을 160μL 혼합한 것, 또한 대장균 현탁액 32μL 에 8μL 의 PBS 용액과 10M 우레아의 PBS 용액을 160μL 혼합한 것을 제조하였다. 비교 대조로서, 대장균 현탁액 32μL 에 PBS 용액 168μL 를 혼합한 것을 제조하였다. 각각 1.5mL 용량 튜브에 넣고, 37℃ 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각각의 튜브를 원심분리하고 (10,000g×20 분), 상청을 폐기하였다. 세포를 함유하는 침전물을 400μL 의 PBS 용액에 현탁하고, 이 현탁액을 LB 고체 배지에 뿌려 대장균을 배양하였다. 37℃ 에서 12 시간 인큐베이션하여 형성된 콜로니 수를 카운트하였다. 얻어진 콜로니 수를, 상기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대장균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비교하여, 대장균의 치사율을 산출하였다.
각 시험 조건에서의 대장균의 치사율
비활성화 성분 치사율 (%)
프로테아제+우레아 100
프로테아제 2.3
없음 1.2
비교 대조로서 PBS 용액만으로 처리한 대장균은 1% 남짓밖에 사멸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처리 조작에 의한 대장균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pfu 프로테아제 S 만에 의한 처리에서는 대장균이 거의 사멸되지 않았다. 한편, 10M 우레아와 프로테아제의 조합에 의해 대장균이 완전히 사멸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대장균의 살균시험 2>
본 발명의 비활성화제에 의한 대장균의 살균효과를, 균 현탁액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시험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O.D.600 = ∼15 의 대장균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 대장균 현탁액 160μL 에 pfu 프로테아제 용액 40μL, 및 10M 우레아 PBS 용액 800μL 를 혼합하여, 1.5mL 용량 튜브에 넣었다. 또한, 대장균 현탁액 160μL 에 pfu 프로테아제 용액 40μL, 및 PBS 용액 800μL 를 혼합하고, 마찬가지로 1.5mL 용량 튜브에 넣었다. 그리고, 비교 대조로서, 대장균 현탁액 160μL 에 PBS 용액 840μL 를 혼합하였다. 각각의 튜브를 37℃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튜브로부터, 인큐베이션 시간 0, 15, 35, 60 분에서 샘플링하고, PBS 에 의해 1/20 배로 희석한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600nm 에서 탁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3 에 나타냈다. 흡광도의 저하는 세균의 존재량의 저하를 나타낸다. 비교 대조의 흡광도는, 실험기간을 통틀어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프로테아제만에 의한 처리에서는 흡광도가 미소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프로테아제 및 10M 우레아를 처리함으로써 흡광도는 대폭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프로테아제와 우레아를 함유하는 비활성화제에 의해 대장균의 높은 살균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시사되었다.
2. 필터 및 공기조화기의 실시예
(1) 비활성화 필터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일 실시예를 기재한다.
<실시예 13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제조방법>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제) 를 사용하고, PBS 를 사용하여 단백질 농도 환산 2.1mg/ml 의 효소 용액을 조제하였다. 또 한, 단백질 변성제로서 10M 의 우레아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들 효소 용액 및 우레아 용액을 혼합하여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조제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에 부착시킨 바이러스 비활성화제의 조성은, 효소 용액을 1.75mL, 10M 우레아 용액을 50mL 로 하고, 필터의 비활성화제 담지량을 1.69 로 하였다. 여기서 기재한 필터의 비활성화제 담지량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 비활성화제 담지량 = 비활성화제 담지 필터 건조 중량/비활성화제 담지전 필터 건조 중량.
조제한 비활성화제를 셀파인 N (동양방 판매) 에 부착시켜 여분의 액을 제거하고, 클린 벤치에 있어서 상온에서 건조시켜, 상기한 담지량으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14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λ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1>
실시예 13 에서 제조한 비활성화 필터를 1.5cm×1.5cm 의 크기로 잘라내고, 이 필터편에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λ파지액 (40μL) 을 적하하여 고르게 침투시켰다. 이 파지액 부착 필터편을 멸균이 완료된 1.5mL 용량 튜브에 넣고 뚜껑을 덮어, 37℃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시간은, 5 분, 20 분 및 60 분 각각으로 실시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필터편이 들어 있는 1.5mL 용량 튜브를 얼음 속에서 5 분간 유지하였다.
미리 0℃ 로 냉각시켜 둔 SM 완충액 250μL 를, 각각의 1.5mL 용량 튜브에 넣고 파지를 회수하였다.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다시 SM 액 250μL 를 넣고 파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파지액의 총량을 측정하여, 그 안의 400μL 를 멸균이 완료된 1.5mL 용량 튜브로 옮겼다. 이 튜브에 600mL 의 PEG 액을 첨가하여, 얼음 속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튜브를 15000rpm 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침전물이 남은 튜브에 SM 완충액을 200μL 첨가하여, 침전물 (파지와 PEG 의 복합물) 을 분산시켰다. 이 파지 PEG 복합물의 분산용액을 사용하여 파지의 감염력을 상기 비활성화 시험의 실시예와 동일한 순서로 평가하였다.
또, 비교 대조로서 닛키유니버셜사 제의 효소고정 필터 「바이오프리」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이 필터 「바이오프리」는 효소만을 구비한 것으로, 단백질 변성제는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얻어진 결과를 도 4 및 도 5 에 나타냈다. 도면 중 흰 원은 본 실시예에 의한 필터를 사용한 측정결과를 나타내고, 검은 원은 대조 필터를 사용한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도 3 은 λ파지의 비활성화율을 나타낸다. 비처리의 비활성화율을 0 로 하고, 완전히 비활성화된 경우를 100 으로 나타냈다. 이 비활성화율은, 다음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비활성화율 (%) = 100 - (감염력×(파지액 총량/40/2))/λ파지액의 감염력) 이다. 여기서, 감염력이란 본 실시예의 측정결과이다. 도 5 는, 원래의 파지액의 감염력을 100 으로 하여 측정결과의 감염력을 상대치로 나타낸 것이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비활성화 필터에 의해 λ파지가 단시간 중에 거의 완전히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5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λ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2>
상기 실시예 14 에서는, 필터에 부착된 파지를 SM 완충액에 의해 회수하였다. 이 때, 파지가 필터에 잔존하면 회수되는 파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측정결과로서 얻어지는 파지의 외관상 비활성화율이 상승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오직 비활성화제의 기능에의한 파지 비활성화율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물로 세정하여 비활성화제를 제거한 필터를 시험에 제공하였다. 그리고, 인큐베이션 온도를 0℃ 로 하고, 비활성화제에 함유되는 효소가 기능하지 않는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우선, 통상의 조건에서의 시험으로서, 실시예 13 에서 제조한 비활성화 필터를 1.5cm×1.5cm 의 크기로 잘라내고, 이 필터편에 파지액 (40μL) 을 적하하여 고르게 침투시켰다. 이 파지액 부착 필터편을 멸균이 완료된 1.5mL 용량 튜브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에 37℃ 에서 6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후, 튜브를 얼음 속에서 5 분간 유지하였다.
한편, 실시예 13 에서 제조한 비활성화 필터를 1.5cm×1.5cm 의 크기로 잘라낸 필터편을, 담지된 비활성화제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세정하였다. 세정한 필터는 상온에서 하룻밤 두고 충분히 건조시켰다. 건조 후, 세정이 완료된 필터편에 상기와 동일하게 파지액을 부착시켰다. 이것을 멸균이 완료된 1.5mL 용량 튜브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 얼음 속에서 6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각각의 실험조건의 필터편이 들어간 튜브에, 미리 0℃ 로 냉각되어 있는 SM 완충액 250μL 를 넣어, 파지를 회수하였다. 파지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다시 SM 액 250μL 를 넣어 파지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파지액의 총량을 측정하여, 그 안의 400μL 를 멸균이 완료된 1.5mL 용량 튜브로 옮겼다. 이 튜브에, 600mL 의 PEG 액을 첨가하여 얼음 속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 후, 튜브를 15000 rpm 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침전물이 남은 튜브에 SM 완충액을 200μL 첨가하고, 침전물 (파지와 PEG 의 복합물) 을 분산시켰다. 이 파지 PEG 복합물의 분산용액을 사용하여, 파지의 감염력을 상기 비활성화 시험의 실시예와 동일한 수순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 대조로서 닛키유니버설사 제조의 효소 고정 필터 「바이오프리」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이 필터 「바이오프리」는 효소만을 구비한 것으로, 단백질 변성제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얻어진 결과를 포 12 에 나타낸다.
시험조건 37℃ 0℃, 세정필터
실시예 필터 97.7% (±2.7%) n=5 15.3% (±9.7%) n=4
대조 필터 42.1% (±10.5%) n=3 32.4% (±5.2%) n=3
일반적으로 효소는 0℃ 에서 거의 활성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인큐베이션 온도가 0℃ 일 때 얻어진 비활성화율은 효소의 작용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파지가 필터에 잔존되어 회수되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조 필터에서는 37℃ 에서의 비활성화율과 0℃ 에서의 비활성화율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대조 필터에 의해 얻어진 비활성화율은 효소반응에 기인하지 않는 것이 시사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필터에서는, 0℃ 와 37℃ 의 각각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여 얻어진 비활성화율에 큰 차이가 보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예의 필터에 의해 얻어진 비활성화율은, 비활성화제의 작용에 의해 파지가 비활성화된 것임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6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M13 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1>
λ파지액 대신에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4 와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었다. 도면 중의 백색 원은 본 실시예에 의한 필터를 사용한 측정결과를 나타내고, 흑색 원은 대조 필터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도 6 은 M13 파지의 비활성화율을 나타내고, 도 7 은 원래의 파지액의 감염력을 100 으로 하여, 측정결과의 감염력을 상대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비활성화 필터에 의해 M13 파지가 단시간 내에 거의 완전히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7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M13 파지의 비활성화 시험 2>
λ파지액 대신에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M13 파지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5 와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3 에 나타낸다.
시험조건 37℃ 0℃, 세정필터
실시예 필터 99.96% (±0.14%) n=13 50.2% (±16.5%) n=6
대조 필터 62.969% (±23.5%) n=11 57.4% (±20.2%) n=4
일반적으로 효소는 0℃ 에서 거의 활성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인큐베이션 온도가 0℃ 일 때 얻어진 비활성화율은, 효소의 작용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파지가 필터에 잔존되어 회수되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조 필터에서는 37℃ 에서의 비활성화율과 0℃ 에서의 비활성화율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대조 필터에 의해 얻어진 비활성화율은 효소반응에 기인하지 않는 것이 시사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필터에서는, 0℃ 와 37℃ 의 각각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여 얻어진 비활성화율에 큰 차이가 보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예의 필터에 의해 얻어진 비활성화율은, 비활성화제의 작용에 의해 바이러스가 비활성화된 것임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8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인플루엔저 바이러스의 비활성화 시험>
엔벨로프막을 갖는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저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비활성화 필터에 의한 바이러스의 비활성화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13 에서 제조한 비활성화 필터를 10㎜ ×10㎜ 로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인플루엔저 바이러스는 Influenza virus A/H1N1 형 (ATCC 번호 VR-95) 을 사용하였다.
발육 계란의 부화 계란의 뇨막강 내에 인플루엔저 바이러스를 접종하고, 37℃ 의 부란기에서 7 일간 배양하였다. 장뇨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하여 (3000 rpm, 30 분), 상청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상청을 바이러스 원액으로 하였다.
아토마이저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원액을 비활성화 필터에 부착시켰다. 필터에 부착된 바이러스 원액의 양은, 바이러스액 부착 전후의 필터의 중량차로부터 환산하여 20μL 이었다. 비교 대조로서 비활성화제를 담지하지 않은 무처리의 필터에 동일한 방법으로 바이러스 원액을 부착시켰다.
각 필터를 상대습도 90% 의 데시케이터에 넣고, 35℃ 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 후, 필터를 멸균처리한 1.8mL 용량의 튜브에 넣고, 멸균 PBS 를 1mL 첨가하여 5 분간 교반하여 바이러스를 추출하였다. 이 바이러스 추출액을 평가용 바이러스액이라 한다.
평가용 바이러스액을 적절하게 희석하여, 개의 신장 유래의 MDCK 세포에 접종하여 MDCK 세포의 변성 정도 (CPE, 5 일간) 를, 도립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여 TCID50 (50% 감염가) 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시험의 TCID50 은 1.77 ±0.15 (n = 3) 이고, 무처리 필터를 사용한 필터의 TCID50 은 4.83 ±0.06 (n = 3) 이었다.
<실시예 19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폴리오바이러스의 비활성화 시험>
엔벨로프막을 갖지 않은 바이러스인 폴리오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비활성화 필터에 의한 바이러스의 비활성화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13 에서 제조한 비활성화 필터를 10㎜ ×10㎜ 로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폴리오바이러스는 약독 폴리오바이러스인 Polio virus I 형 Sabin 주 (LSc, 2ab) 를 사용하였다.
녹색 원숭이의 신장 유래 세포 (BGM 세포) 에 폴리오바이러스를 접종하여 37 ℃ 에서 4 일간 배양하였다. 이것을 원심분리하여 (3000 rpm, 30 분) 상청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상청을 바이러스 원액으로 하였다.
아토마이저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원액을 비활성화 필터에 부착시켰다. 필터에 부착된 바이러스 원액의 양은, 바이러스액이 부착되기 전후의 필터의 중량차로부터 환산하여 20μL 이었다. 비교 대조로서 비활성화제를 담지하지 않은 무처리 필터에 동일한 방법으로 바이러스 원액을 부착시켰다.
각 필터를 상대습도 90 % 의 데시케이터에 넣고, 35℃ 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 후, 필터를 멸균처리한 1.8mL 용량의 튜브에 넣고, 멸균 PBS 를 1mL 첨가하여 5 분간 교반하여 바이러스를 추출하였다. 이 바이러스 추출액을 평가용 바이러스액이라 한다.
평가용 바이러스액을 적절하게 희석하여, 녹색 원숭이의 신장 유래 세포 (BGM 세포) 에 접종하여 BGM 세포의 변성 정도 (CPE, 5 일간) 를 도립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여 TCID50 (50% 감염가) 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시험의 TCID50 은 3.03 ±0.15 (n = 3) 이고, 무처리 필터를 사용한 필터의 TCID50 은 5.03 ±0.06 (n = 3) 이었다.
<실시예 20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대장균의 멸균시험>
상기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O.D. 600=∼15 의 대장균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에서 제조한 비활성화 필터에, 대장균 현탁액 40μL 을 빠짐없이 골고루 적하하였다. 비교 대조로서 비활성화 처리를 하지 않은 필터 (무처 리 필터) 에도 마찬가지로 대장균 현탁액을 적하하였다.
각각의 필터를 1.5mL 용량의 튜브에 넣고, 37℃ 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 후, 각 튜브에 200μL 의 PBS 를 첨가하여 원심분리하고, 필터에 부착된 대장균을 회수하는 조작을 2 회 행하였다.
대장균을 회수한 액을 원심분리 (10,000 g ×20 분) 하여, 상청을 폐기하였다. 세포를 포함하는 침전물을 400μL 의 PBS 에 현탁하고, 이 현탁액을 LB 고체 배지에 파종하여 대장균을 배양하였다. 37℃ 에서 12 시간 인큐베이션하여 형성한 콜로니 수를 세었다.
얻어진 콜로니 수를 처리 전의 대장균 현탁액으로부터 얻어진 콜로니 수와 비교하여 치사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비활성화 필터로 처리한 대장균 현탁액의 치사율은 99.1 % 이었다. 이에 대해 무처리 필터로 처리한 대장균 현탁액의 치사율은 57.5 % 이었다. 비활성화 필터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무처리 필터에 의해 얻어진 결과와 비교하면 97.9 % 의 치사율이 얻어졌다.
<실시예 21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살진균 시험 (건조시험)>
JIS 규격의 곰팡이 저항성 시험 방법 (JIS Z 2911 : 200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활성화 필터의 곰팡이 살균 효과를 시험하였다. 곰팡이는 아스페르길스 니겔 (Aspergillus niger) 을 사용하였다.
곰팡이 포자를 5 백금이(白金耳) 취하여 0.1 중량% Tween80 을 함유하는 멸균수 10mL 에 현탁하였다. 이것을 포자 현탁액으로 하였다. 건열 멸균한 유리섬유 (Φ12㎜) 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두께 1.5㎜) 를 상기 포자 현탁액에 담 가 클린 벤치 내에서 건조시켜 포자 담체를 제조하였다.
멸균 샬레 내에서 실시예 13 에서 제조한 비활성화 필터 상에 포자 담체를 놓고, 그 위에 유리판 (두께 5㎜, 50㎜ ×50㎜) 을 올려 샬레의 뚜껑을 덮었다 (도 8). 이 상태에서 35℃, 상대습도 80 % 의 항온항습에서 인큐베이트하였다.
비교 대조로서 비활성화제를 담지하지 않은 무처리의 필터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곰팡이의 생육상황을 관찰한 결과, 본 실시예의 건식시험에서는, 비활성화 필터, 무처리 필터의 양 쪽에서 곰팡이의 생육은 관찰되지 않았다 (도 9).
본 시험과 병행하여 포자 현탁액을 포테토덱스트로오스 한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곰팡이의 생육이 확인된 점에서 (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본 시험에서 사용한 곰팡이 포자 그 자체에 생육에 관한 문제는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2 비활성화 필터를 사용한 살진균 시험 (습식시험)>
아스페르길스 니겔 (Aspergillus niger) 을 사용하여,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포자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에서 제조한 비활성화 필터 (10㎜ ×10㎜) 에 포자 현탁액 20μL 을 균일하게 적하하여 클린 벤치 내에서 건조시켰다. 동일하게 무처리 필터에 포자 현탁액을 적하하고 건조시켜 비교 대조로 하였다.
각각의 곰팡이 포자 부착 필터를 포테토덱스트로오스 고체 배지 상에 놓고, 35℃, 상대습도 80 % 의 항온항습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곰팡이의 생육상황을 관찰한 결과, 무처리의 필터에서는 곰팡이의 생육이 확 인되었으나, 비활성화 필터에서는 배양 22 일 동안 곰팡이의 생육은 관찰되지 않았다 (도 10).
본 시험과 병행하여 포자 현탁액을 포테토덱스트로오스 한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곰팡이의 생육이 확인된 점에서 (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본 시험에서 사용한 곰팡이 포자 그 자체에 생육에 관한 문제는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비활성화 필터는 살진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리 필터에서는 곰팡이의 생육이 확인된 점에서, 필터 그 자체에 살진균 능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비활성화제의 존재에 의해 비로소 곰팡이의 생육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비활성화 필터에 담지된 비활성화제가 곰팡이의 양분으로 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지만, 이와 같은 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공기조화기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용 실내유닛 및 공기조화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공조용 실내유닛 (10) 의 단면도, 도 12 는 공조용 실내유닛 (10) 및 공조용 실외유닛 (30) 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 (100)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또는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공조용 실내유닛 (10) 은, 실내의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 그릴 (흡입구 ; 11) 과, 흡입 그릴 (11) 로부터 도입된 실내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와, 이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되돌리기 위한 취출구 (16) 와, 흡입 그릴 (11) 로부터 공기를 도입함과 동시에, 취출구 (16) 로부터 실내로 열교환된 공기를 내뿜게 하기 위한 크로스 플로 팬 (실내 송풍수단 ; 17) 과, 실내 열교환기 (14) 의 공기유로 상류측 근방에서 상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주된 요소로 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공조용 실내유닛 (10) 의 내부 전면부터 내부 상면에 걸쳐 배치되고, 흡입 그릴 (11) 을 통과하여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로 도입되는 공기 중에서 먼지ㆍ오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프리 필터 (19)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공조용 실내유닛 (10) 에 있어서, 흡입 그릴 (11),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취출구 (16), 크로스 플로 팬 (17) 및 프리 필터 (19) 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취출구 (16) 에는 내뿜는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널리 알려진 취출 루버 (20) 및 취출플랩 (21) 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취출플랩 (21) 의 동작에 의해 취출구 (16) 의 개폐가 가능하다.
도 12 는 상기 서술한 공조용 실내유닛 (10) 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100) 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 에서 도면 중의 부호 30 은 공조용 실외유닛이다. 이 공조용 실외유닛 (30) 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31),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하기 위한 실외 열교환기 (32), 및 실외 열교환기 (32) 에서의 냉매와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실외 팬 (33) 을 갖는 것이다. 또한 도 13 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사방 밸브 (34) 및 전자 팽창 밸브 (35) 도 이 공조용 실 외유닛 (30) 에 설치되어 있다.
또 부호 50 은 이들 공조용 실내유닛 (10) 및 공조용 실외유닛 (30) 을 연결함과 동시에, 냉매를 이들 공조용 실내유닛 (10) 및 공조용 실외유닛 (30) 사이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냉매배관이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60 은 리모콘 (리모트 컨트롤) 이고, 이에 의해 공기조화기 (100) 의 운전상태가 설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는 예컨대 도 14 내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 있다.
도 14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제 1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4(A) 는 전체도, 도 14(B) 는 도 14(A) 의 부분 확대도이다.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는 필터 본체 (18a) 와, 이 필터 본체 (18a) 를 구성하는 섬유 (18b) 에 직접 담지된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이하 간단히 「비활성화제」라고 함 ; 18c)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섬유 (18b) 로는 예컨대 유리, 레이온, 셀룰로오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산계, 폴리아크릴아미드 계통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예컨대, 셀파인N (토요보 판매) 과 같은 초흡습성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비활성화제 (18c) 를 섬유 (18b) 에 담지시키는 경우, 물리적으로 담지하는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화학적으로 담지하는 형태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재의 카르복실기를 아미드화하여, 아미드 결합에 의해 비활성화제에 함유시키는 활성성분과 화학결합시킴으로써, 활성성분을 기재에 담지시킬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기에 한정하지 않고, 수산기나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이더라도 화학결합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학적으로 담지하는 방법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신실험화학강좌 생물화학 (1), p. 363∼409, 마루젠 1(1978)).
본 구성예에 의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의하면, 필터 본체 (18a) 에,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기능을 갖는 비활성화제 (18c) 를 담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활성화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양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5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제 2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구성예에서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및/또는 흡습성을 갖는 담지체 (18d) 에 비활성화제 (18c) 를 담지시키고, 다시 상기 담지체 (18d) 를 바인더 (도시 생략) 를 사용하여 섬유 (18e) 에 고정시킨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담지체 (18d) 의 재질로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산계,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비닐알코올계 등의 합성재료, 혹은 면, 양모, 알긴산나트륨, 만난, 한천 등의 천연재료, 혹은 레이온 등의 재생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섬유 (18e) 의 재질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아미드 (PA)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구성예에 의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의하면, 흡수성 및/또는 흡습성을 갖는 담지체 (18d) 에 비활성화제 (18c) 를 담지시키고, 다시 상기 담지체 (18d) 를 바인더를 사용하여 섬유 (18e) 에 고정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술한 제 1 구성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도 16(A)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제 3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비활성화 필터 (18) 는, 복수의 비활성화제 (18c) 를 담지시킨 담지체 (18d) 와, 이들을 상하로부터 샌드위치형상으로 사이에 끼우는 기재 (18f, 18g) 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담지체 (18d) 의 재질로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산계,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비닐알코올계, 면, 양모, 레이온, 알긴산나트륨, 만난, 한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 (18f, 18g) 는 섬유 (18e) 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담지체 (18d) 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재 (18g) 로는, 바이러스 입자 (입경 : 수 십 미크론 ∼ 수 백 미크론) 의 직경보다 작은 메시 (mesh)를 가진 부직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예에 의한 플랫형의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의하면, 비활성화제 (18c) 를 담지한 담치제 (18d) 를 상하 2 개의 기재 (18f, 18g) 에 의해 샌드위치 형상으로 사이에 끼운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술한 구성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 도 16(B)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제 4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픈 샌드위치식의 플랫형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이더라도, 상기 서술한 구성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지금까지 서술해 온 제 1 구성예 내지 제 4 구성예와 같은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9) 에 넣어 예컨대 실내용 공조 유닛 (10) 의 공기유로 등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8(A)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제 5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비활성화 필터 (18) 는, 비활성화제를 직접 담지시킨 섬유에 의해 필터 본체 (18a) 를 구성하고, 이 필터 본체 (18a) 를 주름지게 접어 구성하고 있다.
본 구성예에 의한 플리트 (pleat) 형의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의하면, 비활성화제를 직접 담지한 섬유에 의해 필터 본체 (18a) 를 구성하고, 이 필터 본체 (18a) 가 주름진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구성예의 것과 비교하여 압손이 낮음과 동시에, 바이러스와의 접촉 기회가 증가하므로 포집률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B)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제 6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비활성화 필터 (18) 는 비활성화제 (18c) 를 담지시킨 섬유를 묶은 단면 형상이 원형인 봉형 부재 (18h) 이고, 이들 봉형 부재 (18h) 의 양단에서 각각 지지부재 (18i, 18j) 에 연결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예에 의한 봉형의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의하면, 비활성화제를 담지한 섬유에 의해 봉형 부재 (18h) 를 구성하고, 이 봉형 부재 (18h) 의 양단을 각각 지지부재 (18i, 18j) 에 연결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제 1 구성예 내지 제 4 구성예와 비교하여 압손이 낮음과 동시에, 비활성화제 담지량이 증대되기 때문에 비활성화 능력이 크고, 수명을 더욱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6 구성예에서는, 봉형 부재의 단면형상은 원형이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혹은 중공체 형상이어도 된다. 또 봉형 부재의 방향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세로방향, 가로방향, 혹은 경사진 방향 등에 방향을 통일시켜도 되며 교차시켜도 된다. 또한 본 구성예의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공조용 실내유닛 (10) 에 실장하는 경우는, 예컨대 취출구 (16), 혹은 흡입 그릴 (11) 과 취출구 (16) 의 양방 등, 공기의 흐름이 빠른 곳 등에 장착할 때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8(C) 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제 7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비활성화 필터 (18) 는 우레탄 등의 다공체 (18k) 의 표면에 비활성화제 (18c) 를 담지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예에 의한 해면형상 형의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 1 구성예 내지 제 4 구성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서술한 필터 본체의 재질로는 예컨대 면이나 양모 등의 천연섬유 레이온이나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재생섬유,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섬유의 부직포 또는 면직물, 유리섬유 매트, 금속섬유 매트, 나아가서는 아크릴산계,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비닐알코올계 등의 합성수지, 혹은 알긴산나트륨, 만난, 한천 등의 천연ㆍ재생재료인 흡수성 및/또는 흡습성 재료가 사용되고, 상기 필터 본체에 상기 비활성화제가 직접 고정, 또는 담지체를 사이에 두고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는 액상에서 반응하는 것이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필터의 섬유 또는 담지체에 흡수성 및/또는 흡습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섬유의 표면 또는 담지체 내부 등에 미소한 액상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비활성화제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필터의 구성에 의하면, 비활성화제는 상온, 상습에서도 활성을 갖지만, 바이러스 비활성화제에 함유되는 효소는 온도가 높을수록 활성화되기 때문에, 고온다습한 분위기로 함으로써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온도는 효소의 가장 적합한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또한 공기조화기 및 필터의 내열온도 이하의 온도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pfu 프로테아제 S (pfu protease S, 타카라 바이오사 판매) 를 사용한 경우, 바람직한 온도범위는 30∼80℃ 이다.
여기에서 상기 서술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구비한 공조용 실내유닛 (10) 에는 내부공간 (S) 을 고온다습한 비활성화제 활성화 분위기로 유지하는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내부공간 (S) 은 흡입 그릴 (11) 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취출구 (16) 로부터 유출될 때까지의 공기유로 (공간) 를 의미한다. 이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한 구성요소를 새로 부가하지 않고,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공기조화기 (100) 가 통상 구비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운전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 (100) 에 기존의 열교환기 등을 구비하는 냉매회로를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 모드를 형성해 놓고, 이 운전 모드를 공기조화기 (100) 의 제어수단이 실행함으로써, 공조용 실내유닛 (10) 의 내부공간 (S) 내를 바이러스 비활성화제가 활성화시키는 고온다습한 분위기로 유지하고, 활성화된 바이러스 비활성화제의 작용에 의해,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미리 포집된 바이러스를 파괴하여 불가역으로 비활성화시키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처리 프로세스를 실현한다.
이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 모드에서는, 고온다습한 분위기로 하기 위해 수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용 공조 유닛 (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의 냉각운전을 소정 시간 계속하여 실시하고, 동 열교환기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다습으로 하기 위한 수분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의 냉각운전은, 동 열교환기를 증발기 (이베포레이터 (evaporator)) 로서 사용하는 냉방운전시 및 제습운전시와 동일한 경로로 냉매를 순환시키면 되고, 이하에서는 이 냉각운전을, 「응축수 생성운전」으로 부르기로 한다.
이 응축수 생성운전에서는, 도 13 의 냉매회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용 실외유닛 (30) 측의 압축기 (31) 및 실외 팬 (33) 을 운전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고, 공조용 실내유닛 (10) 측에서는, 취출구 (16) 에 형성된 플랩 (21) 을 열어 크로스 플로 팬 (17) 을 운전한다.
이 때, 냉매의 순환경로는 도 13 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31) 로부터 토출된 후에 사방밸브 (34) 로 순환방향이 선택전환되어, 실외 열교환기 (32), 전자 팽창 밸브 (35),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및 사방밸브 (34) 의 순서로 시계 방향으로 흘러 압축기 (31) 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은 냉매의 흐름으로 하면,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에는 기액 2 상 흐름의 냉매가 공급되어 공기와 열교환되므로, 기화열을 빼앗긴 공기가 냉각됨과 동시에, 공기 중의 수 분은 온도저하에 의해 응축되어 열교환기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응축수는,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의 표면으로부터 드레인 받이 (22) 에 적하된 후,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배수 유로를 통해 공조용 실내유닛 (10) 으로부터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 서술한 응축수 생성운전이 종료된 후에는, 생성된 응축수를 가열하여 기화시킴으로써, 내부공간 (S) 을 고온다습으로 하는 가열운전으로 이행한다.
이 가열운전에서는 도 13 의 냉매회로도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31) 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사방밸브 (34) 의 전환조작에 의해 응축수 생성 운전시와는 역방향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즉 압축기 (31) 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사방밸브 (34) 로부터 유출되어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전자 팽창 밸브 (35), 실외 열교환기 (32) 및 사방밸브 (34) 의 순서로 흘러 압축기 (31) 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가열운전에서도, 냉매를 난방운전시와 동일하게 순환시키면,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에 공급된 고온고압의 가스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다. 그 결과,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방열하는 기능을 발휘하므로, 이 방열량을 가열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열교환기 표면에 부착된 응축수를 기화시킬 수 있다.
이 가열운전시에는, 응축수의 기화ㆍ발열을 촉진시키기 위해, 난방운전시와는 달리, 공조용 실외유닛 (30) 의 압축기 (31) 및 실외 팬 (33) 은 운전되지만, 공조용 실내유닛 (10) 측에서는 크로스 플로 팬 (17) 의 운전을 정지하고, 또한 취 출플랩 (21) 을 조작하여 취출구 (16) 를 닫는다. 그 결과, 공조용 실내유닛 (10) 의 내부공간 (S) 은 취출구 (16) 가 닫힌 반밀폐상태로 되고,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의 방열로 내부공간 (S) 내의 온도가 상승됨과 동시에,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가 방열 (가열) 되어 기화된 응축수의 증기가 내부공간 (S) 내에 체류되어 습도를 상승시키므로, 고온다습의 비활성화제 활성화 분위기 (바이러스 비활성화 분위기) 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단, 응축수가 기화된 증기는, 대략 바로 위에 상승되는 유로를 통과하므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가 확실하게 흡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보다 상측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증기유로가 형성되기 쉬운 실내 열교환기의 바로 위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설치에 대해서는, 적어도 통상의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을 한 경우의 공기류 경로에 배치함과 동시에, 가열운전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기 내부에서의 증발공기에 접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하면 되고, 반드시 비활성화 필터의 설치위치를 실내 열교환기 상측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하여 내부공간 (S) 이 비활성화제 활성화 분위기로 되면, 바이러스 활성화 필터 (18) 에 담지된 비활성화제 (18c) 가 활성화되므로, 동 필터 (18) 에 포집된 바이러스는 비활성화제 (18c) 의 작용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가열 운전 시간은, 목표로 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율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응축수 생성 운전 및 가열 운전을 행함으로써, 공조용 실내유닛 (10) 의 내 부공간 (S) 을 바이러스가 비활성화되는 분기위로 필요시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 분위기 중에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담지된 비활성화제 (18c) 가 활성화되고, 포집된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 모드는, 조작부 등이 적절한 곳에 설치된 소정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원터치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스위치 조작은 예컨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모콘 (60) 에 미리 설치한 바이러스 제거 버튼 (61) 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바이러스 제거 버튼 (61) 을 누름으로써,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를 실행하는 특정한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리모콘 (60) 의 바이러스 제거 버튼 (61) 을 누른 경우, 적외선 등의 제어신호가 공조용 실내유닛 (10) 의 도시하지 않은 수신부에 송신된다. 또 도시한 리모콘 (60) 에는 상기 기술한 바이러스 제거 버튼 (61) 외에도 예컨대 표시부 (62), 운전/정지 조작버튼 (63), 온도설정 스위치 (64), 습도설정 스위치 (65) 및 운전전환 조작버튼 (6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신호는 수신부로부터 공기조화기 (100) 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보내지고, 이 신호를 받은 제어부에서는 소정 제어스텝에 기초하여 상기 기술한 응축수 생성운전 및 가열운전을 실시하여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한다. 이러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의 실시는 바이러스 제거 버튼 (61) 을 눌러 생성된 제어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된 경우, 다른 운전모드에 우선하여 실행된다. 즉, 냉방운전이나 난방운전을 실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바이러스 제거 버튼 (61) 이 눌려진 경우에는 실시 중인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중지하고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 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기술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중단할 수도 있다.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를 중단하는 제어신호는 예컨대 바이러스 제거 버튼 (61) 을 다시 누름으로써 생성되도록 해도 되고, 또는 리모콘 (60) 에 전용 중지 버튼을 설치해도 된다. 이렇게, 리모콘 (60) 등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원터치로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의 실시 및 중단을 선택가능하게 하였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 이러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는 공기조화기 (100) 가 종래 구비하고 있는 냉난방 운전용 타이머 기능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에서는 고온다습한 분위기가 형성되지만, 실내나 실외 환경 (온도 및 습도) 에 따라서 목표 도달시간이 변동된다. 즉, 응축수 생성운전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량이 원하는 양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나, 이 응축수를 기화시켜 원하는 온도 및 습도로 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은 상기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응축수 생성운전을 실시할 때에는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의 표면에 응축수가 생성되기 쉬운 운전조건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응축수가 생성되기 쉬운 운전조건의 구체예를 든다. 제 1 구체예에서는 스로틀 기구로서 설치한 전자팽창밸브 (35) 의 개도를 통상의 냉방운전시에 비해 작게 설정하여 운전한다. 그 결과, 냉매의 흡열량이 증가하여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의 표면온도가 더욱 저하되므로, 열교환기 표면에 결로하는 응축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공조용 실내유닛 (10) 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온도 검출수단의 검출값 (실내온도) 에 기초하여 전자팽창밸브 (35) 의 개도를 조정해도 되고, 실내온도가 높을수록 전자팽창밸브 (35) 의 개도는 작아진다.
제 2 구체예로는 크로스 플로 팬 (17) 의 회전속도를 통상의 냉방운전시보다 저하시킨 저속운전을 실시함으로써, 송풍하는 풍량을 감소시켜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를 통과하는 풍량을 적게 해도 된다. 이러한 운전을 실시하여도 공기의 흡열량이 감소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의 표면온도가 더욱 저하되므로, 열교환기 표면에 결로하는 응축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3 구체예로서는 외기온도를 검출하여 공조용 실내유닛 (30) 에 설치된 실외 팬 (33) 의 회전수를 조정해도 된다. 이 경우, 외기온도가 높을수록 실외 팬 (33) 의 회전수를 높게 설정하면 실외 열교환기 (32) 에서 응축시키는 냉매량이 증가하므로,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에 공급되는 기액 2 상 흐름의 냉매량도 증가한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의 표면온도는 더욱 저하되므로, 열교환기 표면에 결로하는 응축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기술한 제 1 내지 제 3 구체예는 단독으로 채용할 수도 있고, 복수를 적절히 조합하여 채용할 수도 있고,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채용할 수도 있다.
단, 가열운전에 앞서 반드시 응축수 생성운전을 하는 제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냉방운전에 의해 응축수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통상의 냉방운전을 냉각운전으로서 자리매김하여 냉방운전 후에 가열운전을 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그런데,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에서는 상기 기술한 응축수 생성운전 및 가열운전을 실시함으로써, 비활성화제 (18c) 를 활성화하여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당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 설명하는 운전을 전후에 추가함으로써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의 효율 향상이나 비활성화제 (18c) 의 고수명화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제일 처음에, 응축수 생성운전 전에 실시하는 포집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이 포집운전은 실내의 바이러스를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포집하는 운전을 의미하며, 크로스 플로 팬 (17) 을 운전하여 흡입그릴 (11) 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빨아들여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통과시킨 다음 취출구 (16) 로부터 실내로 되돌려보내는 운전을 의미한다. 이 포집운전에서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포집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실내공기가 흘러지나가면 되고, 단순히 공기만 순환시키는 송풍운전이면 된다. 또한, 당연히 통상의 냉방ㆍ제습 운전이나 난방운전을 실시해도 동일하게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통해 실내공기가 순환하므로, 실내 상황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송풍운전, 냉방ㆍ제습 운전 및 난방 운전 중에서 선택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면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공기가 통과할 때, 공기는 필터본체 (18a) 등을 통과할 수 있지만 공기와 함께 순환하는 바이러스의 대부분은 통과하지 못하고 포집된다. 따라서, 실내 넓이, 상정되는 바이러스량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포집능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운 전시간의 포집운전을 계속하면 실내의 바이러스는 그 대부분이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포집된다. 이렇게 대부분의 바이러스를 포집한 상태에서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를 실시하면 1 회의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으로 대부분의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의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비활성화시켜 바이러스량이 적은 실내 환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모드의 가열운전 종료 후에는 내부공간 (S) 내의 고온다습 상태를 신속히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특히 비활성화제 (18c) 의 수명을 고려하였을 때, 비활성화제 (18c) 가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내에 잔존하는 수분과의 사이에서 가수분해를 일으켜 자기분해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비활성화제 (18c) 의 활성화 정도를 통상의 분위기 레벨로 되돌릴 수 있는 환경, 즉 저온ㆍ저습도의 분위기로 하는 것이 비활성화제의 경시적 열화를 억제하는 데에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컨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주지의 환기장치 (도시하지 않음) 를 구비하고 있는 공조용 실내유닛의 경우, 비활성화제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소정 비활성화제 활성상태 유지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가열운전이 종료된 후에 적당한 운전시간을 정하여 환기운전을 실시한다. 이 환기운전에서는 실내로의 직접적인 고온고습의 분위기의 유출로 인한 공조필터링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취출구 플랩 (21) 을 닫은 상태로 하여 내부공간 (S) 을 반밀폐상태로 유지하면서 환기팬 (도시하지 않음) 의 작동에 의해 내부공간 (S) 에 존재하는 고온다습한 분위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환기운전을 소정 시간 실시하여 고온다습한 분위기를 실외로 배출한 후에는 환기팬에 추가하여 크로스 플로 팬 (17) 에 의한 송풍운전도 개시한다. 이 때 취출구 플랩 (21) 을 담힘 상태로 하여 내부공간 (S) 의 반밀폐상태가 유지되고, 이 내부공간 (S) 내에 환기 및 송풍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제습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환기 및 송풍을 병용한 열화방지 운전은 내부공간 (S) 의 용적 등에 따라 적당한 운전시간을 설정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공기조화기 (100) 의 제어수단이 바이러스 비활성화 운전모드 종료 후에 환기운전 및 송풍운전을 실시하는 열화방지 운전모드를 실행하면 내부공간 (S) 이 고온다습한 환경을 신속하게 해소하여 비활성화제 (18c) 가 쓸모없이 활성화되고 있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비활성화제 (18c) 의 열화를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즉,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교환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기술한 설명에서는 공조용 실내유닛이 환기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환기장치가 없는 공조용 실내유닛 (10) 의 경우에는 환기운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가열운전 종료 후에 반밀폐상태의 내부공간 (S) 에서 크로스 플로 팬 (17) 에 의한 송풍운전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으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를 건조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환기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송풍운전과 환기운전을 병용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의 열화방지 운전을, 환기장치를 구비하 지 않은 경우에는 송풍운전 단독에 의한 열화방지 운전을 실시하는 제어를 채용하였으나, 환기장치를 구비하는 경우라도 비활성화제 활성화를 위한 고온도나 고습도의 정도에 따라, 송풍운전 단독 또는 송풍운전과 환기운전의 병용에 의해 비활성화제 담지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열화방지 운전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설명한 공조용 실내유닛 (10) 은 흡입그릴 (11) 이 항상 열림상태가 되기 때문에, 취출플랩 (21) 을 닫는 가열운전시 등에는 내부공간 (S) 이 반밀폐상태가 된다.
그래서,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내부공간 (S) 을 밀폐로 하여 가열운전을 실시하는 구성의 공조용 실내유닛 (10A) 을 도 20 에 나타내어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흡입그릴 (11A) 에 예컨대 흡입구 플랩 (12) 과 같은 흡입구 개폐수단을 설치해 두고, 가열운전시 등 필요에 따라 흡입그릴 (11A) 을 닫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열운전시 등에는 흡입그릴 (11A) 및 취출구 (16) 가 모두 플랩에 의해 닫힌 밀폐상태의 내부공간 (S) 으로 되어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고온다습한 분위기가 외부로 누출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밀폐상태에서 가열운전을 실시하면 분위기가 위부로 누출되지 않아 내부공간 (S)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기가 쉬워지므로, 비활성화제 (18c) 를 활성화시키는 효율이 향상된다. 즉, 반밀폐상태에서 가열운전을 하는 것보다 단시간에 목표로 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고온다습한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해 소비하는 가열에너지량이나 응축수량도 적다.
또한, 이렇게 내부공간 (S) 을 밀폐상태로 한 가열운전시에는 크로스 플로 팬 (17) 을 회전시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반을 실시함으로써 밀폐된 내부공간 (S) 내에서의 고온다습한 분위기가 거의 균일화된다.
따라서,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는 그 전체영역에 걸쳐 비활성화제 (18c) 가 활성화되게 된다. 즉,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전체영역에서 비활성화제 (18c) 가 기능하여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로서의 능력을 최대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21 및 도 2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은 실내 열교환기 (13, 14, 15) 의 냉각운전에 의해 생성되어 드레인 받이 (22) 에 저장된 응축수를, 드레인 받이 (22) 의 근방적소에 설치한 전기히터 (23) 등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기화시켜 고온다습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도면 중의 부호 24 는 단열재, 25 는 드레인 받이 (22) 의 저면에 형성된 드레인 구멍이다.
즉, 통상의 냉방ㆍ제습 운전이나 상기 기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응축수 생성운전을 실시하여 생성되고ㆍ열교환기 표면으로부터 드레인 받이 (22) 에 적하한 것을 저장하는 오목부 (22a) 를 형성해 둔다. 이 오목부 (22a) 는 바람직하게는 드레인 팬 (22) 의 저면에 형성되어 공조용 실내유닛 (10) 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상으로 되고, 거의 바로 위로 상승하는 증기가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의 전체영역에 걸쳐 균등하게 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 (22a) 의 응축수 저장용량은 내부공간 (S) 을 원하는 고온다습으로 하고, 필요한 가열운전시간을 유지할 수 있는 만큼의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응축수 저수용량은 오목부 (22a) 의 단면형상이나 길이에 추가하여 드레인 구멍 (25) 의 근방에 설치된 제방판 (22b) 의 높이 등에 의해 규정된다.
또 오목부 (22a) 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폭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분할형성한 것 등, 각종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상기 기술한 제 1 실시 형태의 가열운전과 동일하게, 내부공간 (S) 을 반밀폐 또는 밀폐상태로 하여 전기히터 (23) 에 통전시켜 가열한다. 이 때, 크로스 플로 팬 (17) 은 내부공간 (S) 을 반밀폐상태로 한 경우에는 운전을 정지하고, 밀폐상태로 한 경우에는 교반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통상의 공조용 실내유닛에 가열수단인 전기히터 (23) 가 추가되고, 드레인 받이 (22) 의 형상에 약간의 변경을 가함으로써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기히터 (23) 의 통전은 도 19 에 나타낸 압축기 (31) 및 실외 팬 (33) 의 운전ㆍ정지와 동일하게, 필요한 가열운전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단속하여 통전시키는 등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내부공간 (S) 내부는 고온다습한 비활성화제 활성화 분위기로 유지되고, 비활성화제 (18c) 가 활성화하여 바이러스를 활발하게 파괴하므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가열운전 전후에 실시하는 포집운전이나 환기운전 등의 각종 운전에 대해서는 상기 기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실시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조용 실내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8) 에 담지시킨 비활성화제 (18c) 를 활성화시키는 분위기로 하는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바이러스를 적극적으로 파괴하여 비활성화시켜 실내의 바이러스량을 저감하여 바이러스의 감염가능성이 낮은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조용 실내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빌딩 등에 사용되는 업무용 공기조화기일지라도 기본 구성은 상기 기술한 공기조화기 (114) 와 동일하고, 또한 차량용 공기조화기에도 엔진 냉각수 등을 사용하는 가열유닛을 사용하는 구성을 채용하는데, 자동차 실내에 공기를 내뿜는 취출구에 대한 필터의 적용형태는 동일하다. 또한 공기조화기 이외에 공기청정기, 제습기, 건조기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는 마스크, 의료 관계자용 착의, 벽지 또는 벽면 등에 사용되는 도장재, 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반송하는 들것 및 캡슐의 내부에 시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의료 폐기물 및 병원과 같은 환자를 수용하는 시설 내에 살포하기 위한 스프레이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현관 매트, 플로어 매트, 카펫, 자동차의 시트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등에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과적이고 지속적으 로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 비활성화제를 구비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및 그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Claims (22)

  1. 삭제
  2. 단백질 변성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 모두를 함유하고, 액상에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변성제가 우레아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변성제가 계면활성제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도데실 황산나트륨 (SDS) 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가 프로테아제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가 pfu protease S 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가 엔벨로프 (envelope)를 갖는 바이러스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가 엔벨로프를 갖지 않는 바이러스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세균의 살균작용을 갖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11. 제 2 항에 있어서, 살진균작용을 갖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12. 제 2 항에 따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가 존재하는 용액에 바이러스를 접촉시키는,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13.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로서, 바이러스를 트랩하는 필터 및 이 필터에 부착된 제 2 항에 따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구비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14.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부터 도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내뿜기 위한 취출구,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기를 내뿜게 하기 위한 송풍수단, 상기 공기가 흐르는 내부공간에 배치된 제 13 항에 따른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담지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 필터, 및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바이러스 비활성화제가 활성화되는 분위기로 양성하는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공조용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개구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닫고, 상기 내부공간을 반밀폐상태 또는 밀폐상태로 유지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된 공조용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송풍수단을 운전시켜 밀폐공간 내에서 상기 바이러스 비활성화제가 활성화되는 분위기로 된 공기를 교반하는 공조용 유닛.
  17. 제 14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냉각운전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냉각운전 후에 실시되는 상기 열교환기의 가열운전에 의해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것인 공조용 유닛.
  18.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냉각운전에 의해 생성되어 드레인 받이에 저장된 응축수를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것인 공조용 유닛.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에 의해 고온다습하게 유지한 후, 상기 비활성화제 담지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열화방지 운전을 실시하는 공조용 유닛.
  20.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제 담지체의 상기 바이러스 비활성화제를 활성화하기 전에, 상기 내부공간에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비활성화제 담지체를 통과시켜 흐르게 하는 바이러스 포집운전을 실시하는 공조용 유닛.
  21.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서의 공기흐름을 체류시키는 내부공기 체류수단을 갖는 공조용 유닛.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비활성화제 활성화 수단에 의해 고온다습하게 유지한 후, 상기 비활성화제 담지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열화방지 운전을 실시하는 공조용 유닛.
KR1020040063294A 2003-08-19 2004-08-11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 그비활성화제를 구비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구비하는공기조화기 KR100666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7883 2003-08-19
JP2003207883 2003-08-19
JP2003348670A JP2005095112A (ja) 2003-08-19 2003-10-07 ウイルス不活化剤およびウイルス不活化方法、該不活化剤を備えたフィルター、並びに該フィルターを具備する空気調和機
JPJP-P-2003-00348670 2003-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940A KR20050020940A (ko) 2005-03-04
KR100666884B1 true KR100666884B1 (ko) 2007-01-10

Family

ID=3410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294A KR100666884B1 (ko) 2003-08-19 2004-08-11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 그비활성화제를 구비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구비하는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50042716A1 (ko)
EP (1) EP1510130B1 (ko)
JP (1) JP2005095112A (ko)
KR (1) KR100666884B1 (ko)
CN (1) CN10040655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5421A (en) * 2006-02-28 2007-08-29 David Clayton Breeze Method for disabling influenza virus
US7752860B2 (en) * 2006-04-18 2010-07-13 Tecumseh Product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vaporator performance
JP2008212824A (ja) * 2007-03-05 2008-09-18 Toyobo Co Ltd 酵素担持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EP1969952A1 (en) * 2007-03-07 2008-09-17 Friesland Brands B.V. Allergen-free or dairy free LCPUFA powdered compositions and the use thereof in food products and especially infant formulas
EP1969953A1 (en) * 2007-03-13 2008-09-17 Friesland Brands B.V. Allergen-free, protein-free or at least dairy free powdered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the use thereof in food products
JP4999793B2 (ja) * 2008-07-02 201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100030346A (ko) * 2008-09-10 2010-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8671A (ko) 2009-11-03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백질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5419645B2 (ja) * 2009-11-12 2014-02-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マスク
US9901128B2 (en) * 2009-12-24 2018-02-27 David A. Gray Antimicrobial apparel and fabric and coverings
CN102455050A (zh) * 2010-10-19 2012-05-16 叶福春 一种空调外机盖
US8778264B2 (en) 2010-10-28 2014-07-15 Guy L. McClung, III Fluid treatment systems
US8911676B2 (en) 2010-10-21 2014-12-16 Guy L. McClung, III Treatment systems for fluids
EP2717662A4 (en) * 2011-05-26 2014-06-18 Huawei Tech Co Ltd JUST AIR RADI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120140003A (ko) * 2011-06-20 2012-12-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다층 부직포
CN102614538B (zh) * 2012-04-28 2014-07-02 上海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处理生活垃圾的除臭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US9399986B2 (en) 2012-07-31 2016-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Devices and systems for isolating biomolecules and associated methods thereof
US10435670B2 (en) 2014-04-15 2019-10-0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continuously inactivating a virus during manufacture of a biological product
CN107746797B (zh) * 2017-10-31 2019-03-05 山东亦度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使用一次性袋子进行狂犬病毒灭活、灭活剂水解的装置及方法
CN107631375A (zh) * 2017-11-09 2018-01-26 江苏森蝶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运用量子级电凝并技术对空气进行净化的装置
WO2021230359A1 (ja) * 2020-05-15 2021-11-18 Jnc株式会社 抗ウイルス剤
JP7327661B2 (ja) * 2020-05-15 2023-08-16 Jnc株式会社 抗ウイルス剤
US20230213511A1 (en) * 2020-05-22 2023-07-06 School Corporation, Azabu Veterinary Medicine Educational Institution Method for evaluating allergen inactivators and kit for evaluating allergen inactivators
DE102020126375A1 (de) 2020-10-08 2022-04-14 Iris Barnsted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virionenbelasteter Luft
KR102564934B1 (ko) * 2021-01-15 2023-08-07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N113251555B (zh) * 2021-07-02 2021-10-12 呼研所生物安全科技(广州)股份有限公司 风帘隔离诊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106A (en) * 1972-10-02 1974-06-18 Swift & Co Tenderization of meat with proteolytic enzymes
JPS6049795A (ja) * 1983-08-31 1985-03-19 Kanai Hiroyuki 殺菌性繊維シ−ト
JPH0814383B2 (ja) * 1986-11-06 1996-02-14 三洋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
EP0321603A1 (fr) * 1987-12-23 1989-06-2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 hydrolysat de protéines de lactosérum et d'un aliment hypoallergéniques
JPH0241166A (ja) 1988-07-29 1990-02-09 New Japan Radio Co Ltd 除菌用フィルタ
US5300059A (en) * 1991-11-19 1994-04-05 Hydro Slip Technologies Inc. Bloodbag and method of making same
EP0687186B1 (en) 1992-06-30 2000-01-26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 for producing viral protective barrier materials
US5578113A (en) * 1994-07-19 1996-11-26 Holmes Product Corp. Air treatment system
CN1125045A (zh) * 1994-08-21 1996-06-26 沂南县农药厂 病毒净水剂及制备方法
CA2238296C (en) * 1995-12-12 2008-07-22 Takara Shuzo Co., Ltd. Ultrathermostable protease genes
US6579352B1 (en) * 1996-07-25 2003-06-17 Nikki-Universal Co., Ltd. Air cleaning filter
WO1998056489A1 (de) * 1997-06-13 1998-12-17 Hoelter Heinz Ionisationsfilter zur reinigung von luft
US6192887B1 (en) * 1998-05-19 2001-02-27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Broad spectrum microbicidal and sperm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having activity against sexually transmitted agents including papillomaviruses
US6241603B1 (en) * 1999-02-16 2001-06-05 Ronald Watson Ventilation filter mechanism
GB9919127D0 (en) * 1999-08-13 1999-10-13 Avecia Ltd Filter
US20020176854A1 (en) * 2001-05-25 2002-11-28 Payton Hugh W. Method for reducing allergenicity in indoor spaces
JP3806347B2 (ja) * 2001-12-18 2006-08-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アレルゲン不活性化方法及び空調機
JP4043387B2 (ja) 2003-03-18 2008-02-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調用室内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84022A (zh) 2005-02-23
EP1510130A1 (en) 2005-03-02
JP2005095112A (ja) 2005-04-14
CN100406556C (zh) 2008-07-30
KR20050020940A (ko) 2005-03-04
US20050042716A1 (en) 2005-02-24
US20090269249A1 (en) 2009-10-29
EP1510130B1 (en)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884B1 (ko) 바이러스 비활성화제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 방법, 그비활성화제를 구비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구비하는공기조화기
JP3649241B1 (ja) 空気清浄部材および空気調和装置
US6579352B1 (en) Air cleaning filter
US20130199234A1 (en) Air cleaning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07191B1 (ko) 공기 청정 장치
US20040050254A1 (en) Air purifying filter using modified enzymes
KR20050112112A (ko) 유해물질 제거방법, 그리고 이에 이용하는 공기정화용필터, 마스크, 닦개시트 등의 유해물질 제거재료, 및 그보관방법
US20060278086A1 (en) Air cleaner, function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device
WO2006011541A1 (ja) エア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処理装置
BRPI0511006B1 (pt) sistema de filtração de ar de unidade de resfriamento e compartimento refrigerado por tal sistema.
JP2005152793A (ja) 機能性フィルターと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4043387B2 (ja) 空調用室内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8609027B2 (en) Air cleaning filter comprising protein deactivating ag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4552391B2 (ja) 空気清浄フィルターおよび空気清浄装置
JP2005161022A (ja) 空気清浄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US20120234176A1 (en) Air cleaning filter comprising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disinfectan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4776896B2 (ja) フィルターおよび不織布およびマスク
TR202011411A1 (tr) Termokimyasal Dezenfeksiyon Sağlayan, Enerji Depolamalı Bir Maske.
JP2006231180A (ja) エアフィルタ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05161023A (ja) 空気清浄部材および空気清浄ユニット
CN100396335C (zh) 除去有害物质的方法、使用该方法的空气净化用过滤器、口罩、擦拭片等除去有害物质材料以及其保管方法
CN100371026C (zh) 空气净化部件及空气净化单元
WO202202407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contaminating air supply in enclosed spaces
JP3970111B2 (ja) 空調用室内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9233074A (ja) 有害物質除去材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