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722B1 -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 - Google Patents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722B1
KR100666722B1 KR1020060013830A KR20060013830A KR100666722B1 KR 100666722 B1 KR100666722 B1 KR 100666722B1 KR 1020060013830 A KR1020060013830 A KR 1020060013830A KR 20060013830 A KR20060013830 A KR 20060013830A KR 100666722 B1 KR100666722 B1 KR 10066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ionizer
aeration
con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제
박병길
이선용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공급되는 물에 함유된 환원촉진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돗물뿐만 아니라 지하수 등의 탄산염이 함유된 물도 효과적으로 이온화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온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수기는, 유입되는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함유된 환원촉진물질을 제거하는 폭기장치 및, 상기 폭기장치에 의해 환원촉진물질이 제거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수기는 공급되는 물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염 등의 환원촉진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보다 오랫동안 이온화상태를 유지하는 이온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해조로 유입되는 물이 세균에 감염될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온수기, 이온화, 환원촉진물질, 탄산염, 폭기, 공기, 에어펌프

Description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Water Ionizer With Bubbling Device}
도 1은 종래 이온수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에 적용되는 폭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에 적용되는 폭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 제2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케이스 102 : 배기구
104 : 급수파이프 200 : 필터부
210 : 제1 필터 220 : 제2 필터
222 : 프리카본필터 224 : 멤브레인필터
226 : 포스트카본필터 310 : 물탱크
320 : 저장탱크 400 : 폭기장치
410 : 에어펌프 420 : 폭기판
422 : 공기유입구 424 : 폭기구
426 : 공기유로 500 : 전해조
600 : 코크
본 발명은 이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복잡한 구성없이 공급되는 물에 함유된 환원촉진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돗물뿐만 아니라 지하수 등의 탄산염이 함유된 물도 효과적으로 이온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식수는 무색, 무취 상태의 냉수로서 각종 중금속과 유해물질 및 세균 등이 없고 적당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물로서, 그 물속에는 약알칼리성의 Ca+, Na+ 등이 함유된 생수가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 현대 성인병의 중요원인 중의 하나가 고기류, 생선류 등 산성식품의 과다섭취로 인한 체질의 산성화인데, 이러한 산성체질을 약알칼리 체질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알칼리수 음용이 권장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물을 전기분해하여 +이온의 무기질이 포함되는 음용수인 알칼리수와 비음용수인 산성수로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전해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온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수기능과 전해 이온수기 기능을 모두 갖추어, 먼저 정수부를 통과시켜 정수가 이루어진 물을 전해조를 통과시켜 수전부로 출수되도록 구성된 이온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온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이온수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온수기는, 크게 정수기(1)와 전해조(2)로 구분되어 지는데, 수돗물 등이 정수기(1)에서 정수된 다음 전해조(2)에서 산성이온수와 알칼리이온수로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해조(2)는 전기적 성질을 가진 이온만 통과할 수 있는 격벽(3)에 의해 양극실(4)과 음극실(5)로 구분되어 있으며, 여기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물이 전기분해 되면서 이온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즉, 양,음극실(4)(5)의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시키게 되면 양극실(4)에서는 수산이온이 환원되어 산소가스가 발생되므로 물속의 수산이온이 소비되고, 이때 수산이온 이외의 염소, 인, 유황 등의 음이온은 산을 형성하여 양극실(4)의 물은 산성을 띠게 된다.
음극실(5)에서는 수소이온이 환원되어 수소가스가 발생되므로 물속의 수소이 온이 소비되고, 이때 수소이온 이외의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양이온은 수소 이온쌍을 형성하여 음극실(5)의 용액은 알칼리성을 띠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알칼리이온수는 음료용으로 사용되고, 산성이온수는 피부미용이나 소독수로 사용되며, 특히 음료용으로서의 알칼리이온수는 전기분해에 의한 6각 고리구조가 갖추어져 건강유지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이온수기는, 공급되는 물에 CO3 -2, HCO3 -, CO2 등의 탄산염이 함유되어있는 경우 H+ 이온이 증가하게 되어 전기분해 당시 알칼리였던 물이 중성 또는 산성으로 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이온수기에 공급되는 물에 CO2가 다량 함유되어있는 경우, C02와 H2O가 결합되어 H2CO3로 된 후 H+와 CO3 -로 분리되는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H+ 이온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이온수기는 지하수와 같이 탄산염이 함유되어 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pH의 알칼리수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탄산염뿐만 아니라 이온수의 환원을 촉진시키는 기타 환원촉진물질이 함유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알칼리수가 빠르게 중성 및 산성으로 젼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반 수돗물뿐만 아니라 탄산염 등의 환원촉진물질이 함유된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pH의 알칼리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온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온수기는,
유입되는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함유된 환원촉진물질을 제거하는 폭기장치; 및,
상기 폭기장치에 의해 환원촉진물질이 제거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는,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필터와, 원수에 함유된 화학물질 및 미생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온수기는,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에 의해 걸러진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함유된 환원촉진물질을 제거하는 폭기장치;
상기 폭기장치에 의해 환원촉진물질이 제거된 물에 함유된 화학물질 및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제2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필터와 상기 전해조 사이에는, 상기 제2 필터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환원촉진물질이 탄산염인 경우, 폭기장치에서 폭기되는 기체는 공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폭기장치는,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펌프와, 공기유입구 및 다수의 폭기구를 구비하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 내부에 침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전달받아 각 폭기구를 통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폭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는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온수기는, 상기 전해조에서 생성된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각각 구분하여 배출하는 배출코크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1 필터는 약 5미크론 내외의 미세한 필터를 통해 원수에 함유된 먼지 나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세디먼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2 필터는, 활성판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 등을 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바이러스, 방사성 물질 등을 거를 수 있도록 역삼투막이나 나노여과막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탁 및 제균기능을 갖도록 한외여과막 구조로 구성되는 멤브레인필터; 및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을 제거하는 포스트카본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는 공급되는 물에 환원촉진물질이 함유되어 물의 이온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환원촉진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pH의 물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하수 등과 같이 CO3 -2, HCO3 -1, CO2 등의 탄산염이 함유된 물이 공급될 때 지하수에 함유된 탄산염을 제거한 후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이온수기는 지하수뿐만 아니라 각종 환원촉진물질이 함유된 물을 보다 용이하게 이온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400)를 구비하는 이온수기는, 급수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를 정화하는 필터부(200)와, 상기 필터부(200)에 의해 정화된 지하수를 저장하는 물탱크(310)와, 상기 물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지하수에 공기를 폭기하여 상기 물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지하에 함유된 탄산염을 제거하는 폭기장치(400)와, 상기 폭기장치(400)에 의해 탄산염이 제거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500)와, 상기 전해조(500)에서 생성된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각각 구분하여 배출하는 코크(600)와, 상기 각 부가 내부에 인입되는 본체케이스(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필터(210)와, 원수에 함유된 화학물질 및 미생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필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필터(210)는 약 5미크론 내외의 미세한 필터를 통해 원수에 함유된 먼지나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세디먼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필터(220)는, 활성판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 등을 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222)와,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바이러스, 방사성 물질 등을 거를 수 있도록 역삼투막이나 나노여과막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탁 및 제균기능을 갖도 록 한외여과막 구조로 구성되는 멤브레인필터(224)와,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을 제거하는 포스터카본필터(22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디먼트필터와, 프리카본필터(222)와, 멤브레인필터(224)와, 포스터카본필터(226)는 종래의 이온수기에 적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폭기장치(40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펌프(410)와, 상기 물탱크(310) 내부에 채워진 지하수에 침지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에어펌프(410)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전달 받아 지하수 내부로 토출함으로써 기포(B)를 발생시키는 폭기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물 속에서 기포(B)를 발생시키는 폭기장치(400)는, 어항 내의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공기분사기와 구성 및 기능에 있어 유사한 점이 있다.
이와 같이 지하수에 공기를 폭기시키면 지하수에 함유된 탄산염은 공기 내의 질소성분과 결합되어 탄산가스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탄산염이 탄산가스로 변환됨으로 인하여 지하수 내에 탄산염이 제거되면, 산화환원전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이온화된 물이 환원되는 환원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전해조(500)를 통해 이온화된 물이 오랫동안 이온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물탱크(310)는 상기 폭기장치(400)에 의해 발생되는 탄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에 하나 이상의 배기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대신 순수한 질소가스를 지하수에 폭기시키는 경우 탄산염 제거 효과가 향상되지만, 질소가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질소 생성 수단을 구비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공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순수한 질소가스를 이용할 때와 비교하여 탄산염 제거효과가 약간 저하되기는 하지만, 대기 중의 공기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구성 및 동작이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폭기장치(400)에 의해 탄산염이 제거된 물은 전해조(500)로 유입되어 전기분해를 통해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로 이온화된 후, 코크(600)를 통해 각각 본체케이스(100)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물을 이온화시키는 전해조(500) 및 서로 다른 이온수를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는 코크(600)는 구성 및 동작에 있어 종래의 전해조(500) 및 코크(6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에 적용되는 폭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에 적용되는 폭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폭기판(420)은, 에어펌프(410)로부터 발생되는 고압의 공기를 받기 위한 공기유입구(4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측면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다수의 폭기구(424)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422)를 통해 폭기판(420)으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는 폭기판(420) 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426)를 지나 다수의 폭기구(424)를 통해 고르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폭기구(424)는 보다 고르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폭기구(424)들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기판(420)은 본 실시예에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폭기판(4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고압의 공기를 받아들여 다수의 폭기구(424)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기둥 형상이나 구 형상 등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 제2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 필터를 거침으로써 정화된 물이 물탱크(310)에 저장되었다가 전해조(500)를 통해 이온화되어 외부로 배수되는데, 사용자가 이온수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아니하면 물탱크(310)에는 장시간 동안 물이 고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물탱크(310) 내에 물이 장시간 동안 고여 있게 되면 폭기장치(400)에 의해 폭기되는 공기 내에 존재하는 세균들이 물탱크(310) 내에서 번식하게 되는데, 물탱크(310)와 코크(600) 사이에는 필터 등 어떠한 세균 제거수단이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는 세균에 의해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사용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온수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제1 필터(210)와, 상기 제1 필터(210)에 의해 걸러진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310)와, 상기 물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물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함유된 환원촉진물질 즉, 탄산염을 제거하는 폭기장치(400)와, 상기 폭기장치(400)에 의해 탄산염이 제거된 물에 함유된 화학물질 및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제2 필터(220) 및, 상기 제2 필터(2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물탱크(310)가 제1 필터(210)와 제2 필터(220) 사이에 위치되면, 물탱크(310) 내부로 폭기되는 공기 내에 세균이 존재하더라도 제2 필터(220)를 지나는 동안 모든 세균이나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사용자는 세균 감염의 우려 없이 안심하고 이온화된 물을 마시거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2 필터(220)와 전해조(500)가 직접 연결되면 사용자가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물공급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필터(220)와 전해조(500) 사이에는 상기 제2 필터(2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320)가 추가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는, 공급되는 물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염 등의 환원촉진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보다 오랫동안 이온화상태를 유지하는 이온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해조로 유입되는 물이 세균에 감염될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유입되는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200);
    상기 필터부(20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310);
    상기 물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물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함유된 환원촉진물질을 제거하는 폭기장치(400); 및,
    상기 폭기장치(400)에 의해 환원촉진물질이 제거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필터(210)와, 원수에 함유된 화학물질 및 미생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필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3.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제1 필터(210);
    상기 제1 필터(210)에 의해 걸러진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310);
    상기 물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물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함유된 환원촉진물질을 제거하는 폭기장치(400);
    상기 폭기장치(400)에 의해 환원촉진물질이 제거된 물에 함유된 화학물질 및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제2 필터(220); 및,
    상기 제2 필터(2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220)와 상기 전해조(500) 사이에는, 상기 제2 필터(220)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320)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촉진물질이 탄산염인 경우, 상기 폭기장치(400)에서 폭기되는 기체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장치(400)는,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펌프(410)와,
    공기유입구(422) 및 다수의 폭기구(424)를 구비하는 공기유로(426)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310) 내부에 침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에어펌프(410)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전달받아 각 폭기구(424)를 통해 기포(B)를 발생시키는 폭기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7.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310)는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8.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500)에서 생성된 알칼리이온수와 산성이온수를 각각 구분하여 배출하는 코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9.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210)는,
    약 5미크론 내외의 미세한 필터를 통해 원수에 함유된 먼지나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세디먼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10.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220)는,
    활성판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 등을 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222)와,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바이러스, 방사성 물질 등을 거를 수 있도록 역삼투막이나 나노여과막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탁 및 제균기능을 갖도록 한외여과막 구조로 구성되는 멤브레인필터(224)와,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을 제거하는 포스터카본필터(22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기.
KR1020060013830A 2006-02-13 2006-02-13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 KR10066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830A KR100666722B1 (ko) 2006-02-13 2006-02-13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830A KR100666722B1 (ko) 2006-02-13 2006-02-13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722B1 true KR100666722B1 (ko) 2007-01-09

Family

ID=3786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830A KR100666722B1 (ko) 2006-02-13 2006-02-13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7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958Y1 (ko) 2003-08-06 2004-01-07 (주)에코에이드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20040097046A (ko) * 2004-10-20 2004-11-17 (주)원봉 산소수/환원수 발생 정수시스템
KR20050100048A (ko) * 2004-04-13 2005-10-18 배금주 산소수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958Y1 (ko) 2003-08-06 2004-01-07 (주)에코에이드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20050100048A (ko) * 2004-04-13 2005-10-18 배금주 산소수 정수기
KR20040097046A (ko) * 2004-10-20 2004-11-17 (주)원봉 산소수/환원수 발생 정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955B1 (ko) 정수기
RU211980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й среды (варианты)
KR100985918B1 (ko) 미생물 및 이물질의 혼입 차단을 위한 밀폐형 전해 수소 함유 냉·온수 정수기 및 정수 방법
ES2437765T3 (es) Instalación y procedimiento de pretratamiento de agua bruta
CN103951020B (zh) 健康饮水机
CN102010038A (zh) 一种纳米催化电解絮凝装置
CN103951118B (zh) 商务水机
GB2267508A (en) Electrolytic and filter treatment of water
CN203833744U (zh) 商务水机
KR100419536B1 (ko) 전기분해 정수기
CN105540761A (zh) 一种水体消毒设备及利用其进行水体消毒的方法
CN203833687U (zh) 健康饮水机
JP5641375B2 (ja) 浄水器
KR100987959B1 (ko) 정수기
KR200337958Y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20100125866A (ko) 기능성 복합 필터
KR100666722B1 (ko)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수기
RU232239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JP2005329331A (ja) 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20130040627A (ko) 전해 환원수 제조장치
GB2257982A (en) An electrolytic method of drinking-water purification
KR200484473Y1 (ko)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CN2215482Y (zh) 可生饮碱性离子保健水处理装置
JPH07155562A (ja) 整水装置
KR200473934Y1 (ko) 음용수 또는 세정수가 생성되는 무격막형 전해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