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73Y1 -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 Google Patents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473Y1
KR200484473Y1 KR2020150006206U KR20150006206U KR200484473Y1 KR 200484473 Y1 KR200484473 Y1 KR 200484473Y1 KR 2020150006206 U KR2020150006206 U KR 2020150006206U KR 20150006206 U KR20150006206 U KR 20150006206U KR 200484473 Y1 KR200484473 Y1 KR 200484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lkaline
purified
storage tank
alkal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110U (ko
Inventor
신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온
Priority to KR2020150006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7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칼리수 및 정수를 분리하여 각각 출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알칼리수 및 정수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각각 출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10)에 내장되어 원수를 여과 및 정제하는 필터부(20); 상기 필터부(20)에서 정제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30); 상기 저수조(30)에 저장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 및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40); 상기 본체(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 전해조(40)에서 생성된 알칼리수를 출수시키는 알칼리수코크(50); 상기 본체(10)의 전면 타측에 설치되어 저수조(30)에 저장된 정수를 출수시키는 정수코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ION WATER PRODUCER HAVING SEPARATE OUTLETS FORDISCHARGING PURIFIED WATER AND IONIC WATER}
본 고안은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를 생성하는 이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알칼리수 및 정수를 분리하여 각각 출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알칼리수 및 정수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각각 출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신체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폐와 간은 약 86%, 혈액에서는 약 83%를 차지하는 중요한 성분이다.
이러한 물은 인체 내 노폐물을 배출하고 세포가 영양분을 섭취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수분이 부족하면 몸속에 노폐물과 독소가 쌓여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최근 들어 식음료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알칼리수를 가정에서 만들어 마시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더욱이, 당뇨병 또는 심장병과 같은 각종 성인병의 원인 중 하나로서 체질의 산성화로 밝혀짐에 따라 알칼리수에 대한 관심이 극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최근의 수질오염, 생활의 질 향상과 더불어 평소 마시는 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개발된 이온수기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온수기는 의료용 물질 생성기로 잘 알려져 있으며, 수돗물 등의 원수를 양극과 음극의 전극에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분해함에 따라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이온수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4-0049560호와 등록실용신안 제20-0413957호에 기재되어 있다.
통상 이온수기에서 생성된 산성수는 배출하고 알칼리수를 음용하게 되는데, 알칼리수는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고, 인체의 수소이온농도(pH)의 균형을 회복시킬 수 있으며, 만성 설사, 위산과다, 소화불량, 위장내 이상발효 등 위장증상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 식약청은 알칼리수(알칼리 이온수)의 위장증상 개선효과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온수기는 단순히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만을 생성하여 출수하는 단조로운 기능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이러한 종래의 이온수기는 알칼리수만 출수되는 구조로 '의료기기허가'는 인정되었지만, 정수를 출수할 수 없으므로 '정수기품질인증(물마크)' 허가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온수기는 알칼리수만을 출수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알칼리수 또는 정수를 선택하여 음용하기 위해서는 이온수기와 정수기를 각각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이온수기와 정수기의 설치비 및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두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04-0049560호(공개일자 : 2004.06.12) 특허문헌 2 : 등록실용신안 제20-0413957호(등록일자 : 2006.04.06)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알칼리수 및 정수를 분리하여 각각 출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알칼리수 및 정수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출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알칼리수 및 정수를 각각 분리 출수하여 '의료기기' 허가뿐만 아니라 '정수기품질인증(물마크)' 허가를 받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이온수기와 정수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정수기를 따로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설치비 및 설치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에 원수를 여과 및 정제하는 필터부를 내장하고, 상기 필터부에서 정제된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하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를 전해조에서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 및 산성수를 생성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 일측에 전해조에서 생성된 알칼리수를 출수시키는 알칼리수코크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 타측에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를 출수시키는 정수코크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필터부는 프리복합필터와 UF멤브레인필터 및 포스트카본블록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필터부에서 정제된 정수를 저수조로 공급하는 정수공급라인에는 유량센서와 조리수출수라인을 연결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저수조의 제1정수출수라인에는 워터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워터펌프의 출구에는 제1,2분기관을 연결하며, 상기 제1분기관에는 알칼리수출수용 솔레노이드밸브와 전해조를 연결하고, 상기 제2분기관에는 저수조드레인용 솔레노이드밸브와 산성수드레인라인 및 저수조드레인라인을 연결하며, 상기 산성수드레인라인에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저수조의 제2정수출수라인에는 정수코크를 연결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에 따르면, 본체의 전면 양측에 알칼리수 및 정수를 분리하여 각각 출수할 수 있도록 알칼리수코크와 정수코크가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알칼리수 및 정수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출수하여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칼리수 및 정수를 각각 분리 출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기' 허가뿐만 아니라 '정수기품질인증(물마크)' 허가를 받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이온수기와 정수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이온수기와 정수기를 각각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수기를 따로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설치비 및 설치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온수기의 본체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온수기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에 내장되어 원수를 여과 및 정제하는 필터부(20); 상기 필터부(20)에서 정제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30); 상기 저수조(30)에 저장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 및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40); 상기 본체(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 전해조(40)에서 생성된 알칼리수를 출수시키는 알칼리수코크(50); 상기 본체(10)의 전면 타측에 설치되어 저수조(30)에 저장된 정수를 출수시키는 정수코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이온수기는 알칼리수 및 정수를 분리하여 각각 출수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이온수기는 본체(10), 필터부(20), 저수조(30), 전해조(40), 알칼리수코크(50) 및 정수코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이온수기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10)의 내부에는 필터부(20), 저수조(30), 전해조(40)가 내장되고, 본체(10)의 전면 양측에는 알칼리수코크(50) 및 정수코크(6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20)는 본체(10)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부(20)는 원수를 여과 및 정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20)는 상수원과 연결된 원수코크로부터 원수를 유입하여 정화된 물을 생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20)는 프리복합필터(21)와 UF멤브레인필터(22) 및 포스트카본블록필터(2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복합필터(21)는 원수에서 활성탄의 흡착으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리복합필터(21)는 고열로 처리된 카본으로 이루어져, 원수 속에 용해되어 있는 염소성분, 리할로메탄(THM), 기화학물질 등을 흡착, 제거시킴으로써 UF멤브레인필터(22)를 보호하고,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UF멤브레인필터(22)는 프리복합필터(21)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로부터 중금속 또는 이온성 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 이러한 UF멤브레인필터(22)는 중금속, 박테리아, 유기화학물질 또는 분자량이 극소한 이 물질을 걸러내는데 널리 이용된다.
상기 포스트카본블록필터(23)는 UF멤브레인필터(22)로부터 물을 수용하고 물 속에 용해된 가스상의 물질을 흡착 제거하여 저수조(30)로 여과 및 정제된 정수를 공급한다.
상기 저수조(30)는 필터부(20)에서 여과 및 정제된 정수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수조(30)의 하부에는 제1정수출수라인(80)과 제2정수출수라인(90)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전해조(40)는 저수조(30)에 저장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 및 산성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해조(40)는 내부로 공급된 정수를 (+),(-)전극판을 통해 전기분해하여 이온수인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알칼리수코크(50)는 본체(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알칼리수코크(50)는 전해조(40)에서 생성된 알칼리수를 외부로 출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알칼리수코크(50)로 알칼리수를 출수하여 음용할 수 있다.
상기 정수코크(60)는 본체(10)의 전면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정수코크(60)는 저수조(30)에 저장된 정수를 외부로 출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정수코크(60)로 정수를 출수하여 음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20)에서 여과 및 정제된 정수를 저수조(30)로 공급하는 정수공급라인(70)에는 유량센서(71)와 조리수출수라인(72)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유량센서(71)는 저수조(30)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조리수출수라인(72)은 주방에서 식기, 과일 등의 세척용이나 음식의 요리 등에 주로 사용되는 조리수를 외부로 출수시킨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저수조(30)의 제1정수출수라인(80)에는 워터펌프(81)가 연결되고, 상기 워터펌프(81)의 출구에는 제1,2분기관(82)(83)이 연결되며, 상기 제1분기관(82)에는 알칼리수출수용 솔레노이드밸브(84)와 전해조(40)가 연결되고, 상기 제2분기관(83)에는 저수조드레인용 솔레노이드밸브(85)와 산성수드레인라인(86) 및 저수조드레인라인(87)이 연결되며, 상기 산성수드레인라인(86)에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88)가 연결되고, 상기 저수조(30)의 제2정수출수라인(90)에는 정수코크(60)가 연결된다.
상기 저수조(30)의 제1정수출수라인(80)과 전해조(40) 사이에는 워터펌프(81) 및 알칼리수출수용 솔레노이드밸브(84)가 연결되어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해조(40)에서 생성되는 알칼리수는 알칼리수코크(50)를 통해 외부로 출수되고, 상기 전해조(40)에서 생성되는 산성수는 산성수드레인라인(86)을 통해 외부로 출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해조(40)에는 알칼리수를 알칼리수코크(50) 또는 산성수드레인라인(86)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유로전환밸브(4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30)의 제2정수출수라인(90)에는 정수코크(60)가 연결되어 정수코크(60)로 정수를 외부로 출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10)의 전면 양측에 알칼리수 및 정수를 분리하여 각각 출수할 수 있도록 알칼리수코크(50)와 정수코크(60)가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알칼리수 및 정수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출수하여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알칼리수 및 정수를 각각 분리 출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기' 허가뿐만 아니라 '정수기품질인증(물마크)' 허가를 받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정수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이온수기와 정수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이온수기와 정수기를 각각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수기를 따로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설치비 및 설치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본체 20 : 필터부
21 : 프리복합필터 22 : UF멤브레인필터
23 : 포스트카본블록필터 30 : 저수조
40 : 전해조 50 : 알칼리수코크
60 : 정수코크 70 : 정수공급라인
71 : 유량센서 72 : 조리수출수라인
80 : 제1정수출수라인 81 : 워터펌프
82 : 제1분기관 83 : 제2분기관
84 : 솔레노이드밸브 85 : 솔레노이드밸브
86 : 산성수드레인라인 87 : 저수조드레인라인
88 : 체크밸브 90 : 제2정수출수라인

Claims (4)

  1. 본체(10)에 내장되어 원수를 여과 및 정제하도록 프리복합필터(21)와 UF멤브레인필터(22) 및 포스트카본블록필터(23)로 이루어지는 필터부(20); 상기 필터부(20)에서 정제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30); 상기 저수조(30)에 저장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 및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40); 상기 전해조(40)에서 생성된 알칼리수를 출수시키는 알칼리수코크(50); 상기 저수조(30)에 저장된 정수를 출수시키는 정수코크(60)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30)의 제1정수출수라인(80)에는 워터펌프(81)가 연결되고, 상기 워터펌프(81)의 출구에는 제1,2분기관(82)(83)이 연결되며, 상기 제1분기관(82)에는 알칼리수출수용 솔레노이드밸브(84)와 전해조(40)가 연결되고, 상기 제2분기관(83)에는 저수조드레인용 솔레노이드밸브(85)와 산성수드레인라인(86) 및 저수조드레인라인(87)이 연결되며, 상기 저수조(30)의 제2정수출수라인(90)에는 정수코크(60)가 연결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 양측에 알칼리수 및 정수를 분리하여 각각 출수할 수 있도록 알칼리수코크(50)와 정수코크(6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40)에는 알칼리수를 알칼리수코크(50) 또는 산성수드레인라인(86)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유로전환밸브(41)가 구성되며,
    상기 산성수드레인라인(86)에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88)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6206U 2015-09-16 2015-09-16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KR200484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06U KR200484473Y1 (ko) 2015-09-16 2015-09-16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06U KR200484473Y1 (ko) 2015-09-16 2015-09-16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10U KR20170001110U (ko) 2017-03-24
KR200484473Y1 true KR200484473Y1 (ko) 2017-09-11

Family

ID=5849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206U KR200484473Y1 (ko) 2015-09-16 2015-09-16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0965A (zh) * 2017-08-22 2017-12-26 张本松 自洁式过滤系统
KR102255850B1 (ko) * 2019-09-10 2021-05-25 (주)케이엔비코퍼레이션 산소 용존량을 높인 직수 연무식 수소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811B1 (ko) * 2004-09-03 2006-06-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나노 필터를 구비한 이온수기
KR101335747B1 (ko) * 2012-03-12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560A (ko) 2002-12-06 2004-06-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온수기의 개선구조
KR200413957Y1 (ko) 2006-02-03 2006-04-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성수 유출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정수기
KR101147790B1 (ko) * 2010-02-26 2012-05-18 (주)에코베이스 포터블 하이브리드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811B1 (ko) * 2004-09-03 2006-06-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나노 필터를 구비한 이온수기
KR101335747B1 (ko) * 2012-03-12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10U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955B1 (ko) 정수기
CN103951020B (zh) 健康饮水机
CN104787938A (zh) 一种有效去除重金属的电解水机
KR100590834B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생활용수를 활용한 이온수 시스템
KR200484473Y1 (ko)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CN203833687U (zh) 健康饮水机
JP3753987B2 (ja) 還元水生成装置
KR100987959B1 (ko) 정수기
KR101407728B1 (ko) 정수기
KR101504259B1 (ko) 수소수의 제조장치
KR20160144823A (ko) 격막형 수소수기
KR20140123303A (ko) 알칼리이온수 및 냉온수를 생성하는 정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46572B1 (ko) 정수기에 장착되는 기능수기
WO2008062507A1 (fr) Système de production d'eau à hydrogène électrolytique
CN2215482Y (zh) 可生饮碱性离子保健水处理装置
KR100311911B1 (ko) 정수및살균수제조장치
KR101991758B1 (ko) 이온수기 어셈블리
KR101586302B1 (ko) 이온수기
KR100592811B1 (ko) 나노 필터를 구비한 이온수기
KR20090043787A (ko) 정수 기능이 있는 이온수기
JP7226959B2 (ja) 電解水素水生成器
KR20140146381A (ko) 알칼리수소환원냉온수기/냉온정수기
JP2012200683A (ja) 電解水生成装置
JP6682330B2 (ja) 電解水素水生成器及び電解水素水のpH低下方法
KR100592810B1 (ko) 역삼투압 필터를 구비한 이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