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742B1 -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구조 - Google Patents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742B1
KR100665742B1 KR1020050135553A KR20050135553A KR100665742B1 KR 100665742 B1 KR100665742 B1 KR 100665742B1 KR 1020050135553 A KR1020050135553 A KR 1020050135553A KR 20050135553 A KR20050135553 A KR 20050135553A KR 100665742 B1 KR100665742 B1 KR 10066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wall
capillary tube
refrigerant
mounted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동식
김석균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7Flow-diver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가 동시에 운전되는 경우와, 벽걸이형 실내기만 단독으로 운전되는 경우에 각각 벽걸이형 실내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멀티형 에어컨의 벽걸이형 실내기 냉매 유량 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걸이형 실내기와 스탠드형 실내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에어컨 구조에 있어서, 벽걸이형 실내기로 흐르는 모세관을 제 1모세관과 제 2모세관으로 분할하여 구비하고,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가 모두 작동될 때에는 제 1모세관과 제 2모세관으로 모두 냉매가 흐르도록 하고, 벽걸이형 실내기가 단독드롤 작동될 때에는 제 2모세관으로만 냉매가 흐르도록 벽걸이형 실내기의 냉매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에어컨의 벽걸이형 실내기 냉매유량 제어구조를 제공한다.
멀티형 에어컨, 냉매 유량 제어

Description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구조{Refregerant controlling structure of multi air conditioner}
도 1은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를 구비하는 2실 멀티형 에어컨의 일반적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에어컨의 벽걸이형 실내기 냉매 유량 제어구조의 냉매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 구조에서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냉매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 구조에서 스탠드형 실내기는 작동하지 않고 벽걸이형 실내기만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냉매 회로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탠드형 실내기 12 : 벽걸이형 실내기
110 : 제1모세관 112 : 제1개폐밸브
114 : 제1체크밸브 120 : 제2모세관
122 : 제2개폐밸브 124 : 제2체크밸브
본 발명은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가 동시에 운전되는 경우와, 벽걸이형 실내기만 단독으로 운전되는 경우에 각각 벽걸이형 실내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멀티형 에어컨의 벽걸이형 실내기 냉매 유량 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스탠드형 실내기와 동일한 용량의 실외기를 구비하고, 소용량의 벽걸이형 실내기를 설치하도록 하는 2실 멀티형 에어컨의 일반적인 개략도이다.
여기서 소용량의 벽걸이형 실내기(12)는 실외기 용량의 30% 정도 수준의 냉방용량을 필요로 하는 소형 실내기이다. 따라서, 스탠드형 실내기(10)과 벽걸이형 실내기(12)의 합산 냉방용량은 실외기 용량을 100%로 했을때,130% 정도 수준으로 예시할 수 있다.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 열교환기(30)를 통해 저온 저압의 냉매로 응축된 후 각 실내기단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치고, 각 모세관(9,11)을 통해서 저온 저압으로 각각 스탠드형 실내기(10)와, 벽걸이형 실내기(12)를 거쳐 저온의 냉매를 증발시켜 냉방을 구현한다. 이때, 각 실내기 단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각 실내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냉방운전이 되면 켜지고, 운전 off 신호가 오면 닫혀진다.
또한 스탠드형 실내기(10) 한대만 운전 시에는 소용량 압축기(22), 대용량 압축기(20) 2개의 압축기가 함께 운전되거나, 또는 1개씩만 운전되어 3단 용량제어를 실현한다. 벽걸이형 실내기(12)만 운전시에는 냉방용량이 맞는 소용량 압축기(22)만 가동하여 냉방운전을 구현한다.
그런데, 스탠드형 실내기(10)와 벽걸이형 실내기(12) 동시 운전시에는 대용량의 스탠드형 실내기(10)의 냉방 용량에 비하여 벽걸이형 실내기(12)의 냉방 용량이 적으므로 냉매유량 감소에 따른 벽걸이형 실내기(12)의 냉방 능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2실 동시 운전 벽걸이형 실내기(12)의 냉매 유량을 최적화 시키기 위해서 감압관인 벽걸이형 모세관(11)의 유량계수를 큰 사양으로 선정하면, 벽걸이형 실내기(12) 단독운전시에는 상기 벽걸이형 모세관(11)의 사양이 과도하게 커져서 과도한 냉매 유량증가로 벽걸이형 실내기(12)에서 냉매가 충분히 증발되지 않아 과열가스가 아닌 액상의 냉매로 압축기로 유입되어 압축기 내구성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걸이형 실내기에 공급되는 냉매가 운전상태에 따라서, 즉 동시 운전이냐 단독운전이냐에 따라서 냉매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걸이형 실내기와 스탠드형 실내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에어컨 구조에 있어서, 벽걸이형 실내기로 흐르는 모세관을 제 1모세관과 제 2모세관으로 분할하여 구비하고,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가 모두 작동될 때에는 제 1모세관과 제 2모세관으로 모두 냉매가 흐르도록 하고, 벽걸이형 실내기가 단독드롤 작동될 때에는 제 2모세관으로만 냉매가 흐르도록 벽걸이형 실내기의 냉매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에어컨의 벽걸이형 실내기 냉매유량 제어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벽걸이형 실내기의 냉매유량 제어구조는 실외기에 연결되어 있는 냉매 공급관을 이분하여, 일측에 제 1밸브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제 2모세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밸브의 하류는 다시 이분되어 각각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로 연결되며, 상기 제 1밸브와 벽걸이형 실내기의 사이에 제 1체크밸브와 제 1모세관 제 2개폐밸브를 차례로 구비하며, 제 2모세관의 하류에는 제 2체크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체크 밸브는 제1모세관과 제 2개폐밸브의 사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에어컨의 벽걸이형 실내기 냉매 유량 제어구조의 냉매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동시 운전시 벽걸이형 실내기의 냉방능력 감소를 줄이고, 벽걸이형 실내기 단독운전시에도 액상냉매의 압축기 흡입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인 냉매 유량 조정을 모색하기 위한 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유량 제어구조는 벽걸이형 실내기(12)로 통하는 모세관을 제 1모세관(110)과 제 2모세관(120)의 복수로 형성하여 실내기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모세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벽걸이형 실내기(12)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매유량 제어구조는 응축기(30)에서 실내기(10,12) 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냉매 공급관(32)을 이분하여, 일측에 제 1개폐밸브(112)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제 2모세관(120)을 구비하고, 상기 제 1개폐밸브(112)의 하류는 다시 이분되어 각각 스탠드형 실내기(10)와 벽걸이형 실내기(12)로 연결되며, 상기 제 1개폐밸브(112)와 벽걸이형 실내기(12)의 사이에 제 1체크밸브(114)와 제 1모세관(110)과, 제 2개폐밸브(122)를 차례로 구비하며, 제 2모세관(120)의 하류에는 제 2체크밸브(124)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체크밸브(124)는 제1모세관(110)과 제 2개폐밸브(122)의 사이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개폐밸브(112)와 제2개폐밸브(124)의 조작에 따라서 스탠드형 실내기(10)와 벽걸이형 실내기(12)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 구조에서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냉매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밸브(112)와 제2개폐밸브(124)가 모두 개방되면, 냉매는 스탠드형 실내기(10)와 벽걸이형 실내기(12) 모두로 공급되며, 특히 벽걸이형 실내기로는 제1모세관(110)과 제2모세관(120)을 통해서 모두 공급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 구조에서 스탠드형 실내기는 작동하지 않고 벽걸이형 실내기만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냉매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밸브(112)를 폐쇄하고 제2개폐밸브(122)를 개방하면 냉매는 벽걸이형 실내기(12)로만 공급되며 특히 제2모세관(120)을 통해서만 공급된다. 따라서 벽걸이형 실내기(12) 단독 운전에 최적화된 규격으로 제2모세관(120)의 사양을 결정하고, 제1모세관(110)은 사양은 실내기 모두 운전시에 제1모세관(110)과 제2모세관(120)의 합이 최적화가 되도록 결정하면 동시 운전시와 단독 운전시 모두에 적합한 냉매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 압축기를 탠덤형으로 구비하고, 스탠드형 실내기와 냉방용량이 동일한 실외기에 스탠드형 실내기, 소용량의 벽걸이 실내기가 부착되는 멀티형 에어컨에 있어서,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를 동시에 운전하는 경우와, 벽걸이형 실내기만 단독으로 운전하는 경우 서로 다른 유량의 냉매가 벽걸이형 실내기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동시 운전시의 벽걸이형 실내기의 냉방능력 저하를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냉방환경 제공하고, 벽걸이형 실내기의 단독 운전시에 압축기 측으로 과도한 냉매 유량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각각의 실내기 운전에 따른 유량제어를 위해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하여 전자 팽창밸브 등의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냉매 유량 변화가 가능하므로 설계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벽걸이형 실내기와 스탠드형 실내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에어컨 구조에 있어서,
    벽걸이형 실내기로 흐르는 모세관을 제 1모세관과 제 2모세관으로 분할하여 구비하고,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가 모두 작동될 때에는 제 1모세관과 제 2모세관으로 모두 냉매가 흐르도록 하고,
    벽걸이형 실내기가 단독으로 작동될 때에는 제 2모세관으로만 냉매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운전상태에 따라서 벽걸이형 실내기의 냉매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걸이형 실내기의 냉매유량 제어구조는 실외기에 연결되어 있는 냉매 공급관을 이분하여, 일측에 제 1밸브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제 2모세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밸브의 하류는 다시 이분되어 각각 스탠드형 실내기와 벽걸이형 실내기로 연결되며, 상기 제 1밸브와 벽걸이형 실내기의 사이에 제 1체크밸브와 제 1모세관 제 2개폐밸브를 차례로 구비하며, 제 2모세관의 하류에는 제 2체크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체크 밸브는 제1모세관과 제 2개폐밸브의 사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유량 제어구조.
KR1020050135553A 2005-12-30 2005-12-30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구조 KR100665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553A KR100665742B1 (ko) 2005-12-30 2005-12-30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553A KR100665742B1 (ko) 2005-12-30 2005-12-30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742B1 true KR100665742B1 (ko) 2007-01-10

Family

ID=3786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553A KR100665742B1 (ko) 2005-12-30 2005-12-30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74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804B1 (ko) 2배관식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US8713958B2 (en) Air conditioner having indoor and outdoor units
JP3925545B2 (ja) 冷凍装置
EP2829821B1 (en) Heat pump
US20060150667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101639837B1 (ko) 공기 조화기
WO2010015123A1 (en) Constant temperature dehumidifying air-conditioner
JP2006177658A (ja) 空気調和機
KR20100002770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283587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7232265A (ja) 冷凍装置
KR2019008869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JP5283586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1047622A (ja) 空気調和装置
KR20070028895A (ko)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194525A (ja) 多室型空気調和機
KR100665742B1 (ko) 멀티형 에어컨의 냉매 유량 제어구조
KR100713827B1 (ko) 멀티형 에어컨의 운전 제어 방법
KR100885566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70076305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80075581A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5114247A (ja) 空気調和装置
CN214949491U (zh) 空调器
JP3748620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80117935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