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811B1 -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811B1
KR100664811B1 KR1020050053022A KR20050053022A KR100664811B1 KR 100664811 B1 KR100664811 B1 KR 100664811B1 KR 1020050053022 A KR1020050053022 A KR 1020050053022A KR 20050053022 A KR20050053022 A KR 20050053022A KR 100664811 B1 KR100664811 B1 KR 10066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urveillance camera
center axis
ccd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265A (ko
Inventor
서성하
강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811B1/ko
Priority to US11/302,428 priority patent/US7493038B2/en
Priority to CN2005101216983A priority patent/CN1848919B/zh
Priority to EP05027554.4A priority patent/EP1672915B1/en
Publication of KR2006013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2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correlation-based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4Electrical details of the system, e.g. component blocks for carrying out specific functions
    • G08B13/19636Electrical details of the system, e.g. component blocks for carrying out specific functions pertaining to the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6Interfaces masking personal details for privacy, e.g. blurring faces, vehicle 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영 프레임 내의 특정 피사체를 가리기 위한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표시된 상태에서 감시용 카메라가 틸트 되어 틸트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감시 프레임 내의 이미지와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광학 중심 축도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킨다. 이후,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줌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180도 회전된 광학 중심 축을 기준으로 마스크의 크기와 위치를 조절한다. 따라서, 감시용 카메라의 광학 중심 축과 CCD의 중심 축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보호되어야 할 피사체에 대한 노출 걱정없이 주밍 동작과 틸팅 동작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감시용 카메라, 패닝, 틸팅, 프라이버시 마스크, 주밍, 광학 중심 축, 씨씨디 중심 축

Description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ivacy mask display}
도 1은 일반적인 감시용 카메라와 팬/틸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감시용 카메라가 팬/틸터에 의해 틸팅 또는 패닝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각각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줌 렌즈 11 : 포커스 렌즈
12 : 아이리스 13 : 씨씨디
14 : 디지털 신호 처리부 15 : 마이컴
16 : 인터페이스 17 : 마스크 생성부
20 : 팬 모터 21 : 틸트 모터
22 : 스텝 모터 드라이버 23 : 팬/틸터 마이컴
100 : 감시용 카메라 200 : 팬/틸터
본 발명은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감시용 카메라의 틸팅 동작과 주밍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히 가릴 수 있도록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표시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 Digital Video Recorder)가 상용화되어, 감시용 카메라가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감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감시 영상에 불특정 다수의 얼굴 등이 포함되어, 프라이버시(Privacy) 침해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영상에 의해 노출될 수 있는 불특정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모자이크(Mosaic) 이미지 등과 같은 프라이버시 마스크(또는 마스킹 블록이라고도 함)을 중첩 표시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감시 영상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자 하는 피사체만을 가릴 수 있는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포함된 영상을 상기 감시 영상과 중첩하여 표시하는 방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감시용 카메라와 팬/틸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는 줌 렌즈(10), 포커스 렌즈(11), 아이리스(12), 씨씨디 (13), 디지털 신호 처리부(14), 마이컴(15), 인터페이스(16), 마스크 생성부(17)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팬/틸터(200)는 팬 모터(20), 틸트 모터(21), 스텝 모터 드라이버(22), 그리고 팬/틸터 마이컴(2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팬 모터(20)와 틸트 모터(21)에는 각각 스텝 모터(Step Motor)가 사용되며, 상기 팬/틸터 마이컴(23)에서는, 감시용 카메라의 자세가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 각도가 되도록, 상기 스텝 모터 드라이버(2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팬 모터(20)와 틸트 모터(21)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팬닝 방향(수평 방향)의 회전 각도와 틸팅 방향(수직 방향)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거나 현재의 팬 각도와 틸트 각도를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는, 상기 팬/틸터(200)의 패닝 동작(수평 방향의 회전)과 틸팅 동작(수직 방향의 회전)에 의해 감시 영역을 변경하면서, 상기 감시 카메라(100)가 설치된 곳의 주변을 모두 감시할 수 있다. 상기 팬/틸터(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닝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틸팅 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재 틸트 각도가 60도인 상태에서 A 영역을 촬영하다가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의 반대편인 B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도 2의 (b)와 같이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를 패닝 방향으로 180도를 회전시키거나 아니면 도 2의 (c)와 같이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를 틸팅 방향으로 60도 정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전자와 같이 패닝 동작으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바꾸는 경우, 상기 팬 모터(20)를 180도를 회전하는데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후자와 같이 틸팅 동작으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바꾸는 경우, 회전 각도가 작아서 시간이 적게 걸리는 장점이 있는 대신, 카메라의 상하가 바뀌게 되어 카메라에 촬영되는 이미지가 뒤집히는 문제점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이미지가 뒤집히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틸팅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미지의 상하가 바뀌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도 2의 (d)와 같이 틸트 각도가 90도를 넘어가는 경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4)의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CCD 중심 축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즉 촬영 이미지의 상하좌우를 반전시킨다.
한편,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마스크 생성부(17)의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 프레임 내의 임의의 위치에 소정 크기의 프라이버시 마스크(PM)를 중첩 표시하여, 사생활 보호 등이 요구되는 특정 피사체가 촬영 프레임 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촬영 프레임 내에 포함된 특정 피사체를 가리기 위한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중첩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가 패닝/틸팅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주밍 인/아웃(Zooming in/out)되는 경우, 촬영 프레임 내의 상기 특정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는 상기 회전 또는 주밍 동작에 따라 이동 및/또는 확대/축소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상기 마스크 생성부(17)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이동 및/또는 확대/축소되는 이미지를 가리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의 회전 또는 주밍 인/아웃에 대응하여 프 라이버시 마스크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조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절된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상기 이동 및/또는 확대/축소되는 이미지를 정확히 가리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가 주밍 인/아웃(줌 배율의 변동)되는 경우에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부정확하게 조절되는 위와 같은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의 줌 배율의 변동에 대해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부정확하게 조절되는 것은 CCD의 중심 축(CCD Center Axis)과 렌즈의 광학 중심 축(Optical Center Axis)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렌즈 광학 중심 축과 씨씨디 중심 축은, 씨씨디가 인쇄 회로 기판(PCB)에 부정확하게 실장되거나 렌즈가 정확히 정렬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CCD의 중심 축과 광학 중심 축의 불일치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줌 배율이 변동되면,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확대 또는 축소함과 동시에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CCD 중심 축이 아닌 광학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이동시킨다.
하지만, 감시용 카메라가 틸팅 방향으로 회전하여 틸트 각도가 90도를 초과하게 되고 또한 주밍 배율이 변동되는 경우, 촬영 이미지의 회전 중심과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이동 중심이 달라질 수가 있고, 이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부정확하게 조절되어 상기 특정 피사체를 정확히 가리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CCD 중심 축과 광학 중심 축이 일치하지 않는 감시용 카메라에서 틸팅 각도가 90도를 초과하고 주밍 배율이 변동되는 경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표시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은, 감시용 카메라가 틸트 되어 소정 틸트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감시 프레임 내의 이미지와 중첩 표시되고 있는 마스크를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광학 중심 축을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줌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보상된 광학 중심 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된 마스크의 크기와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시용 카메라가 틸트 되어 소정 틸트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광학 중심 축은 상기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틸트 각도는 90도이고, 상기 광학 중심 축은 CCD의 중심 점과의 오프 셋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표시 제어 장치는, 감시용 카메라의 CCD 출력 신호를 영상 프레임으로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 프레임의 일부 영역에 중첩 표시할 마스크를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부; 감시용 카메라의 광학 중심 축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틸트 각도가 소정 각도보다 커지게 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를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상기 광학 중심 축을 보상하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줌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틸트 각도에 따라 상기 마스크의 위치를 다르게 조절하도록 상기 마스크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은,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감시용 카메라(100)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감시용 카메라(100)의 줌 배율이 변동될 때, 피사체를 가리는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크기와 위치가 바뀌는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감시용 카메라(100)를 구성하는 줌 렌즈(10)와 포커스 렌즈(11)을 하나의 렌즈로 가정하고 이 렌즈의 줌 배율이 1배인 경우의 초점 거리를 f, 상기 렌즈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a, 상기 피사체가 상기 렌즈를 통해 상기 피사체 반대편에 형성되는 실상으로부터 상기 렌즈까지의 거리를 b이라 할 때, a, b, 및 f는 1/a+1/b=1/f의 관계가 성립하므로, b=(a*f)/(a-f)가 된다. CCD(13)는 렌즈와 피사체에 대한 실상 사이에 놓이므로, 상기 CCD(13)에 맺히는 상기 피사체에 대한 상의 크기는 거리 b에 비례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초점 거리 f는 a에 비해 훨씬 작은 값(a>>f)이므로, b≒(a*f)/a=f가 되어 b는 초점 거리에 비례하고, 따라서 CCD에 맺히는 상의 크기는 렌즈의 초점 거리 f에 비례한다.
상기 렌즈의 줌 배율이 n배가 되어 초점 거리가 nf가 되는 경우, nf도 a에 비해 훨씬 작은 값(a>>nf)이므로, b 값은 b=(n*a*f)/(a-n*f)≒(n*a*f)/a=n*f가 되어 줌 배율이 1배인 경우의 값과 비교하여 거의 n배가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줌 배율이 n배가 되면 CCD에 맺히는 상의 크기도 n배가 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줌 배율이 n배가 되면, CCD에 맺히는 상의 크기, 즉 감시 영상 내의 피사체의 크기가 n배가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감시 영상 내의 피사체의 위치도 이동한다.
감시 영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크기가 줌 배율에 비례하여 2배로 커질 뿐 아니라, 상기 피사체의 위치도 렌즈의 광학 중심 축으로부터 멀어진다. 이때, 줌 배율 2배인 감시 영상 내의 피사체를 구성하는 각 픽셀은 줌 배율 1배인 감시 영상 내의 피사체를 구성하는 각 픽셀에 비해 광학 중심 축으로부터 2배만큼 먼 위치에 표시된다. 즉, 줌 배율이 n배가 되면, 감시 영상 내의 피사체는 줌 배율이 변동되기 전에 비해 광학 중심 축으로부터 n배만큼 멀어진다.
줌 배율이 Z1에서 Z2로 변경되는 경우, 줌 배율이 Z1인 감시 영상 내의 임의의 점 P1은 줌 배율이 Z2인 감시 영상 내에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하는 P2로 이동한다. P2=(Z2/Z1)*(P1-PC)+PC, 여기서 PC는 광학 중심점을 가리킨다. P2를 P1의 값으로부터의 차이값으로 표현하면 P2=(Z2-Z1)/Z1*(P1-PC)+P1이 된다. 그리고, 줌 배율이 Z1인 감시 영상 내의 각 점으로 이루어지는 피사체의 크기는 줌 배율의 비인 Z2/Z1가 된다.
따라서, 줌 배율이 Z1인 감시 영상 내의 피사체를 가리도록 설정된 프라이버스 마스크도, 줌 배율이 Z2로 변경되면, 위와 같은 식에 의해 변경되어야 한다.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직사각형으로 설정된 경우, 직사각형의 대각을 이루는 두 점, 즉 좌측 상단과 우측 하단 또는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의 두 점을 위와 같은 식에 의해 변환하거나, 직사각형의 중심점을 위와 같은 식에 의해 변환하고 중심점으로부터 꼭지점까지의 좌우 방향의 변위와 상하 방향의 변위를 줌 배율의 비로 곱하여, 변경된 줌 배율에 상응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새로 설정한다.
프라이버시 마스크는 줌 배율의 변경에 따라 광학 중심 축을 기준으로 크기와 위치가 변경되어 하므로, CCD의 중심 축과 렌즈의 광학 중심 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광학 중심 축의 위치 또는 오프셋 값은 미리 측정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한편, 틸트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촬영 프레임 내의 이미지를 이미지를 CCD의 중심 축, 즉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므로, 상기 광학 중심 축의 위치도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틸트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광학 중심 축의 위치를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얻은 새로운 광학 중심 축을 관리하여, 줌 배율의 변동에 따른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위치를 제어한다.
광학 중심 축의 위치가 상기 감시용 카메라(1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미리 측정되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팬/틸터(200)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감시용 카메라(200)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틸트 동작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팬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마스크 생성부(17)의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 프레임 내의 임의의 위치에 소정 크기의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중첩 표시하여, 사생활 보호 등이 요구되는 특정 피사체가 촬영 프레임 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주밍 배율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마스크 생성부(17)의 동작을 제어하여, 변경된 줌 배율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광학 중심 축의 위치를 독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상기 팬/틸터(200)의 틸팅 동작에 의해 틸트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4)의 동작을 제어하여, 프레임 내의 이미지를 CCD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마스크 생성부(17)의 동작을 제어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크도 CCD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틸트 각도가 90도를 초과하여 프레임 내의 이미지와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CCD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줌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광학 중심 축의 위치를 독출하고 이를 CCD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새로운 광학 중심 축을 구하고, 상기 마스크 생성부(17)의 동작을 제어하여, 변경된 줌 배율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구해진 새로운 광학 중심 축을 기준으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또한, 줌 배율이 변경되어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광학 중심 축을 기준으로 크기와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틸트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4)의 동작을 제어하여, 프레임 내의 이미지를 상기 CCD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생성부(17)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변경된 프라이버시 마스크도 상기 CCD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광학 중심 축의 위치도 CCD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새로운 광학 중심 축을 구한다.
이후, 틸트 각도가 90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마이컴(15)에서는, 프레임 내의 이미지는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마스크 생성부(17)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CCD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프라이버시 마스크와 광학 중심 축을 다시 상기 CCD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감시용 카메라의 광학 중심 축과 CCD의 중심 축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보호되어야 할 피사체에 대한 노출 걱정없이 주밍 동작과 틸팅 동작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감시용 카메라가 틸트 되어 현재 틸트 각도가 소정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감시 프레임 내에 중첩 표시되고 있는 마스크를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광학 중심 축을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줌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보상된 광학 중심 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된 마스크의 크기와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현재 틸트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광학 중심 축은 상기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중심 축은 CCD의 중심 점과의 오프 셋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카메라가 틸트 되어 현재 틸트 각도가 다시 상기 소정 각도보다 작아지는 경우, 상기 회전된 마스크를 상기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다시 180도 회전시키고, 상기 보상된 광학 중심 축을 원래의 값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6. 감시용 카메라의 CCD 출력 신호를 영상 프레임으로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 프레임의 일부 영역에 중첩 표시할 마스크를 생성하는 마스크 생성부;
    감시용 카메라의 광학 중심 축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틸트 각도가 소정 각도보다 커지게 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를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상기 광학 중심 축을 보상하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줌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틸트 각도에 따라 상기 마스크의 위치를 다르게 조절하도록 상기 마스크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스크 표시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틸트 각도가 소정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영상 프레임을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키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틸트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광학 중심 축은 상기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틸트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보다 작은 상태에서 줌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의 위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광학 중심 축을 기준으로 조절되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틸트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보다 큰 상태에서 줌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의 위치는 상기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광학 중심 축을 기준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중심 축은 CCD의 중심 점과의 오프 셋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틸트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보다 작아지게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된 마스크를 상기 CCD 중심 점을 기준으로 다시 180도 회전시키도록 상기 마스크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보상된 광학 중심 축을 원래의 값으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표시 제어 장치.
KR1020050053022A 2004-12-15 2005-06-20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6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022A KR100664811B1 (ko) 2005-06-20 2005-06-20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302,428 US7493038B2 (en) 2004-12-15 2005-12-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ivacy mask display
CN2005101216983A CN1848919B (zh) 2004-12-15 2005-12-15 用于控制隐避掩模显示的方法和设备
EP05027554.4A EP1672915B1 (en) 2004-12-15 2005-12-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ivacy mask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022A KR100664811B1 (ko) 2005-06-20 2005-06-20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65A KR20060133265A (ko) 2006-12-26
KR100664811B1 true KR100664811B1 (ko) 2007-01-04

Family

ID=3781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022A KR100664811B1 (ko) 2004-12-15 2005-06-20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347A1 (ko) * 2018-06-12 2019-12-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패닝 및 틸팅 제어가 되는 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최적화방법 및 프라이버시 마스크 최적화가 적용된 촬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59349T3 (es) * 2007-02-19 2011-05-20 Axis Ab Un método para compensar faltas de alineación de hardware en una cámara.
KR101875137B1 (ko) * 2013-03-26 2018-07-06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마스크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5529454A (zh) * 2022-08-22 2022-12-27 纵目科技(厦门)有限公司 摄像头光心偏移测试治具、测试方法、介质及电子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347A1 (ko) * 2018-06-12 2019-12-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패닝 및 틸팅 제어가 되는 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최적화방법 및 프라이버시 마스크 최적화가 적용된 촬상장치
KR20190140723A (ko) * 2018-06-12 2019-12-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패닝 및 틸팅 제어가 되는 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최적화방법 및 프라이버시 마스크 최적화가 적용된 촬상장치
US11418717B2 (en) 2018-06-12 2022-08-16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for optimizing privacy mask of camera with panning and tilting control and imaging device with privacy mask optimization applied
KR102574895B1 (ko) * 2018-06-12 2023-09-05 한화비전 주식회사 패닝 및 틸팅 제어가 되는 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최적화방법 및 프라이버시 마스크 최적화가 적용된 촬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65A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0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ivacy mask display
CN107770433B (zh) 影像获取装置及其影像平顺缩放方法
KR101187756B1 (ko) 감시용 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방법
JP5598672B2 (ja) 撮影装置および携帯型情報処理端末および撮影装置のモニタ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U2520574C2 (ru) Система операто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KR100664811B1 (ko)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351475B (zh) 摄像系统、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US1029185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self-image display mode, and control therefor
JPH0275284A (ja) 撮像装置及びぶれ補正装置
WO2013031155A1 (ja) 撮像装置
CN1848919B (zh) 用于控制隐避掩模显示的方法和设备
WO2011129036A1 (ja) 撮像装置および集積回路
US9667869B2 (en) Camera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horizontality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2253451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484613B2 (en)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capable to perform notification for change of capturing range associated with indicating inclusion of mikire, method of controlling, and storage medium
JP2005175852A (ja) 撮影装置及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735713B2 (ja) 撮影装置
TWI639338B (zh) 影像擷取裝置及其影像平順縮放方法
KR100988563B1 (ko) 팬 틸터와 팬 틸트 제어 방법
JP2015119299A (ja) 撮像装置
KR101158819B1 (ko) 감시용 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마스크 표시 제어방법
JP4640080B2 (ja) 撮像装置
JP2006005417A (ja) 撮影装置
JP2006229697A (ja) 撮像装置
JP2021125826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