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767B1 -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767B1
KR100664767B1 KR1020000064746A KR20000064746A KR100664767B1 KR 100664767 B1 KR100664767 B1 KR 100664767B1 KR 1020000064746 A KR1020000064746 A KR 1020000064746A KR 20000064746 A KR20000064746 A KR 20000064746A KR 100664767 B1 KR100664767 B1 KR 10066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protrusion
sealing
discharge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219A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김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홍 filed Critical 김순홍
Priority to KR102000006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767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opened by tilting of the spout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2)발명의 목적
종래의 선행은 뚜껑을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한 뚜껑은 밀폐력이 저하되는 단점과 아울러 사용시 마다 배출관의 단부를 손으로 들어 올려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배출관의 후미를 손으로 밀게 되면 앞부분이 들어 올려지는 방식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밀폐력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밀폐돌기삽입공(103)과 밀폐돌기삽입홈(104)을 갖고 있는 배출관고정부(102)에 손으로 눌러 계폐를 시킬 수 있는 배출관(200)을 조립시킨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배출관에 밀폐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바, 밀폐력이 향상되고, 그 사용시는 배출관을 눌러 개폐를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도 1a∼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본체의 종단면도이고, 도 1b는 본체에 배출관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뚜껑의 종단면도이며, 도 1c는 뚜껑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배출관의 조립 위치를 달리하여 본 종단면도이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본체에 배배출관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뚜껑의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상기한 뚜껑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본체에 배배출관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뚜껑의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상기한 뚜껑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 100 : 본체 101 : 상면부
102 : 배출관고정부 103 : 밀폐돌기삽입공 104 : 밀폐돌기삽입홈
105 : 지지돌기삽입홈 106 : 배출공밀폐돌기 107 : 측면부
200 : 배출관 201 : 배출관조립부 202 : 배출관부
203 : 작동편 204 : 밀폐돌기 205 : 지지돌기
206 : 배출공 207 : 샘방지부 208 : 보조밀폐돌기
본 발명은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으로는 미국특허5,332,131호, 3,851,805호, 3,873,005호, 3,874,568호, 3,881,643호, 3,884,392호, 4,081,108호, 4,765,451호, 4,776,475호, 4,903,870호, 5,190,176호, 5,524,799호, 5,873,478호 등 다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행은 뚜껑을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한 뚜껑은 밀폐력이 저하되는 단점과 아울러 사용시 마다 배출관의 단부를 손으로 들어 올려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배출관의 후미를 손으로 밀게 되면 앞부분이 들어올려지는 방식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밀폐력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유인 즉, 그 사용시 배출관의 앞부분이 들어 올려지면 배출공이 열리고, 배출관의 앞부분이 내려지면 배출공이 닫히는 방식을 체택하였으나, 이는 일정 각을 그리면서 상하 이동하는 배출관의 방식에서는 그 유격이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로 기인 그 유격만치 밀폐력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결과는 용기를 가압하여 배출관을 통해 용기내의 내용물을 배출한 후 용기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 상기한 배출관에 잔존한 내용물을 용기내로 원활하게 흡입하지 못하여, 뚜껑과 용기의 외면을 불격하게 하는 단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뚜껑은, 배출관부에 밀폐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밀폐돌기는 본체의 배출관고정부에 있는 밀폐돌기삽입공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밀폐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관은 설정된 각도만치 상향될 수 있도록 된 밀폐돌기삽입홈에 상기한 밀폐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특징과, 상기한 배출관은 후미에 있는 작동편을 두어 그 사용시 작동편을 누르면 배출관이 상향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뚜껑(1)은 본체(100)의 배출관고정부(102)에 배출관(200)이 배출관조립부(201)를 중심으로 하여 조립된다.
상기한 본체(100)의 상면부(101)에는 돌향된 배출관고정부(102)를 형성하되,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 하방에는 천공된 형의 밀폐돌기삽입공(103)과 비천공된형의 밀폐돌기삽입홈(104)을 형성하고,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의 양측방 내벽부에 지지돌기삽입홈(105)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밀폐돌기삽입홈(104)의 전방부에는 배출공밀폐돌기(106)를 형 성하고, 측면부(107)의 중하방 내벽부에는 용기의 목에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나 또는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 등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배출관(200)은 배출관조립부(201)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으로는 배출관부(202)와 작동편(203)이 형성되고, 하방부에는 밀폐돌기(204)를 형성하며, 측방부로는 지지돌기(205)를 형성함과, 상기한 배출관부(202)와 밀폐돌기(204)의 후미부 까지는 내부에 배출공(206)이 형성되고, 상기한 배출관부(202)의 단부에는 곡면으로 된 샘방지부(207)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뚜껑(1)이 용기의 목에 조립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인 바, 이를 생략한다.
도 1b와 같은 상태에서 배출관(200)의 작동편(203)를 누르게 되면 밀폐돌기(204)가 밀폐돌기삽입홈(104)으로 이동하면서 배출관부(202)가 상향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도 1c와 같다.
상기한 상태에서 용기(c)를 가압하게 되면 용기(c)내의 내용물이 밀폐돌기 삽입공(103)과 배출공(206)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한 용기(c)를 가압하지 않게 되면 용기(c)가 복원되는 과정에 내부에 진공력이 발생하고, 상기한 연유로 배출공(206)에 있던 내용물은 용기(c) 내부로 강력하게 흡입되는 것이다
또한 배출관부(202)의 단부에 있는 샘방지부(207) 때문에 내용물이 뚜껑(1)의 외부로 흘러 내리지 않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용후 뚜껑(1)을 밀폐시키고자 할때는 배출관부(202)를 누르게 되면 밀폐돌기(204)가 밀폐돌기삽입공(103)으로 이동하고, 배출관부(202)의 단부는 배출공밀폐돌기(106)에 긴히 조립되어 재밀폐가 이뤄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최초인 도 1b와 같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2), 배출관(200)은 본체(100)의 상면부(101)상 임의 위치에 자유스럽게 구성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a, 도 3b), 배출관고정부(102)를 상면부(101)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에 조립되는 배출관(200)의 작동편(203)은 하방으로 꺽인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한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 도 3b와 같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4a, 도 4b), 배출관고정부(102)를 상면부(101)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에는 배출공밀폐돌기(106)와 가까운 곳에서 부터 밀폐돌기삽입공(103)과 밀폐돌기삽입홈(104)을 각각 형성한 것이며,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에 조립되는 배출관(200)의 배출관조립부(201)에는 배출관부(202) 방향으로 밀폐돌기(204)를 형성하고, 배출관조립부(201)의 하방에는 보조밀폐돌기(208)를 형성하되, 상기한 보조밀폐돌기(208)에는 배출관부(202)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공(206)과 연통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작동편(203)을 누르게 되면 밀폐돌기(204)는 밀폐돌기삽입공(103)을 빠져나오고, 보조밀폐돌기(208)는 밀폐돌기삽입공(103)으로 이동하여 배출공(206)이 열리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b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밀폐돌기(204)나 보조밀폐돌기(208)는 생략된체 로 사용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출관에 밀폐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바, 밀폐력이 향상되고, 그 사용시는 배출관을 눌러 개폐를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뚜껑(1)은 본체(100)의 배출관고정부(102)에 배출관(200)이 배출관조립부(201)를 중심으로 하여 조립된 것으로서, 상기한 본체(100)의 상면부(101)에는 돌향된 배출관고정부(102)를 형성하되,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 하방에는 밀폐돌기삽입공(103)과 밀폐돌기삽입홈(104)을 형성하고,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의 양측방 내벽부에 지지돌기삽입홈(105)을 형성한 것이며,
    그리고 상기한 밀폐돌기삽입홈(104)의 전방부에는 배출공밀폐돌기(106)를 형성하고, 측면부(107)의 중하방 내벽부에는 용기의 목에 결합되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한 배출관(200)은 배출관조립부(201)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으로는 배출관부(202)와 작동편(203)이 형성되고, 하방부에는 밀폐돌기(204)를 형성하며, 측방부로는 지지돌기(205)를 형성함과, 상기한 배출관부(202)와 밀폐돌기(204)의 후미부 까지는 내부에 배출공(206)이 형성되고, 상기한 배출관부(202)의 단부에는 곡면으로 된 샘방지부(20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를 상면부(101)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에 조립되는 배출관(200)의 작동편(203)은 하방으로 꺽인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를 상면부(101)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에는 배출공밀폐돌기(106)와 가까운 곳에서부터 밀폐돌기삽입공(103)과 밀폐돌기삽입홈(104)을 각각 형성한 것이며, 상기한 배출관고정부(102)에 조립되는 배출관(200)의 배출관조립부(201)에는 배출관부(202) 방향으로 밀폐돌기(204)를 형성하고, 배출관조립부(201)의 하방에는 보조밀폐돌기(208)를 형성하되, 상기한 보조밀폐돌기(208)에는 배출관부(202)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공(206)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KR1020000064746A 2000-10-27 2000-10-27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KR10066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746A KR100664767B1 (ko) 2000-10-27 2000-10-27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746A KR100664767B1 (ko) 2000-10-27 2000-10-27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219A KR20010025219A (ko) 2001-04-06
KR100664767B1 true KR100664767B1 (ko) 2007-01-04

Family

ID=1969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746A KR100664767B1 (ko) 2000-10-27 2000-10-27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0774B1 (en) 2004-02-19 2010-11-24 Jeong-Min Lee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CN104843305A (zh) * 2015-05-06 2015-08-19 李红彪 上翘卡位座式弯曲吸管盖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113A (en) * 1976-03-11 1978-03-28 Polytop Corporation Child resistant dispensing closure
JPS5636043U (ko) * 1979-08-28 1981-04-07
JPS5957352U (ja) * 1982-10-07 1984-04-14 凸版印刷株式会社 安全キヤツプ
JPS6096255U (ja) * 1983-12-09 1985-07-01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回動ノズル付冠蓋
JPS61205953U (ko) * 1985-02-14 1986-12-26
JPH04106248U (ja) * 1991-02-27 1992-09-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キヤツプ
WO1995011172A1 (de) * 1993-10-22 1995-04-27 Zeller Plastik Gmbh Behälterverschlus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113A (en) * 1976-03-11 1978-03-28 Polytop Corporation Child resistant dispensing closure
JPS5636043U (ko) * 1979-08-28 1981-04-07
JPS5957352U (ja) * 1982-10-07 1984-04-14 凸版印刷株式会社 安全キヤツプ
JPS6096255U (ja) * 1983-12-09 1985-07-01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回動ノズル付冠蓋
JPS61205953U (ko) * 1985-02-14 1986-12-26
JPH04106248U (ja) * 1991-02-27 1992-09-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キヤツプ
WO1995011172A1 (de) * 1993-10-22 1995-04-27 Zeller Plastik Gmbh Behälterverschlu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219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47636A3 (de)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unterdruck-probensammelbehälter
JP3640509B2 (ja) 密封アセンブリシステム及び密封アセンブリシステム組立方法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WO2004078600A3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KR100664767B1 (ko) 배출관 조립방식의 가압방식 용기 뚜껑
DE59908906D1 (de) Selbstschliessender behälterverschluss
KR100655513B1 (ko)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
KR100673662B1 (ko)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
KR100673660B1 (ko)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
KR200384793Y1 (ko)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KR100673661B1 (ko)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
KR200204641Y1 (ko) 부압 발생 용기
KR890002029Y1 (ko) 용기 뚜껑
KR100655515B1 (ko) 액체주출용 가압방식 뚜껑의 구조
KR20010000522A (ko)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의 구조
KR100460576B1 (ko) 발효된가스를제거하는기능이있는용기와그마개
JPH11105898A (ja) 容 器
KR20000072624A (ko) 액체주출용 뚜껑의 밀폐 구조
ATE120704T1 (de) Druckdeckeldose.
KR20010087799A (ko) 합성수지제 병뚜껑의 구조
KR200227201Y1 (ko) 액체 펌프 및 그 액체 펌프와 피스톤이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010025210A (ko) 젖꼭지형 뚜껑의 배출관 구조
KR20010016059A (ko)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에 있어서, 배출관의 샘방지부구조
JP2002126588A (ja) オール樹脂ポンプ
KR100650801B1 (ko) 음료용 배출대의 작동부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