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167B1 -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167B1
KR100664167B1 KR1020040086845A KR20040086845A KR100664167B1 KR 100664167 B1 KR100664167 B1 KR 100664167B1 KR 1020040086845 A KR1020040086845 A KR 1020040086845A KR 20040086845 A KR20040086845 A KR 20040086845A KR 100664167 B1 KR100664167 B1 KR 10066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tereo
control signal
mono
radio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790A (ko
Inventor
주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본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모노 음향을 출력하고, 이어잭에 이어폰 삽입시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이 삽입되는 이어잭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스테레오 이어폰의 삽입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삽입시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와 라디오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미삽입시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라디오 인에이블신호를 입력받고,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되는 특정 라디오 방송을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하는 라디오 모듈과; 상기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모노 음향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라디오 모듈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모노 음향 차단부와; 상기 스테레오 이어잭 삽입에 따른 상기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상기 모노 음향 차단부와 라디오 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변환부와; 상기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어부의 모노 음향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어부의 모노 음향을 상기 이어잭으로 전송하는 음향 선택 출력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RADIO MODULE}
도 1은 종래의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스테레오 이어폰 21: 이어잭
23: 제어부 25: 라디오 모듈
27: 모노 음향 차단부 29: 디지털 신호 변환부
31: 음향선택 출력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본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모노 음향을 출력하고, 이어잭에 이어폰 삽입시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호 착신시나 메시지(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수신시 알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어잭(11)은 스테레오 이어폰(20)과 휴대용 단말기를 인터페이스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모노 음향(호 착신 알림음, 메시지 수신 알림음 등)을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20)측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20)은 라디오 모듈(15)을 위한 안테나(antenna) 역활을 수행한다.
제어부(13)는 상기 이어잭(11)에 삽입되는 스테레오 이어폰(20)의 삽입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20)이 삽입되면, 이어폰 감지신호(ear_sense Detected)와 모노 음향 제어신호(Mono Select) 및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Sound route Select를 통해서 출력)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호 착신, 메시지 수신시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음향에 대해서는 모노 코덱(Mono CODEC)을 통해 모노 음향을 부호화 및 암호화하고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Sound route Select를 통해서 출력)를 출력한다.
라디오 모듈(15)은 상기 제어부(13)로부터 스테레오 이어폰(20)의 삽입에 따른 감지신호(ear_sense Detected)와 모노 음향 제어신호(Mono Select)를 입력받아 라디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 방송의 스테레오 음향을 모노 음향으로 출력한다.
선택 출력부(17)는 상기 제어부(13)의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어부(13)의 모노 음향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라디오 모듈(15)의 모노 음향을 수신하여 상기 이어잭(11)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하는 라디오 모듈임에도 불구하고, 제어부가 스테레오 코덱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라디오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모노 음향출력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므로 스테레오 이어폰으로 모노 음향만을 출력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이어잭에 삽입되는 이어폰을 감지하여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하는 이어폰인 경우에 라디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 방송을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어폰이 삽입되는 이어잭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스테레오 이어폰의 삽입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삽입시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와 라디오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미삽입시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라디오 인에이블신호를 입력받고,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되는 특정 라디오 방송을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하는 라디오 모듈과;
상기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모노 음향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라디오 모듈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모노 음향 차단부와;
상기 스테레오 이어잭 삽입에 따른 상기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상기 모노 음향 차단부와 라디오 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변환부와;
상기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어부의 모노 음향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어부의 모노 음향을 상기 이어잭으로 전송하는 음향 선택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이어잭(21)에는 이어폰 즉, 스테레오 이어폰 또는 모노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는데, 본 발명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 기를 통해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스테레오 이어폰(20)을 상기 이어잭(21)에 삽입해야 한다.
제어부(23)는 모노 코덱(Mono CODEC)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모노 음향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이어잭(21)을 통해 스테레오 이어폰(20)의 삽입여부를 감지(ear_sense)한다.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20)의 삽입여부 감지결과,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삽입시에는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라디오 모듈(25)을 인에이블(enable)시키는 라디오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라디오 모듈(25)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이 미삽입시에는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1,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를 보여주는 것이 도면에 도시된 Sound route Select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3)는 기존에 라디오 모듈(25)로 출력되던 모노 음향 제어신호(Mono Select)를 이용하지 않기 위해 상기 모노 음향 제어신호(Mono Select)를 라디오 모듈(25)에 접속시키지 않는다(NC; Not Connected).
라디오 모듈(25)은 상기 제어부(23)의 라디오 인에이블신호(Radio Enable)에 의해 인에이블 됨과 동시에 이어폰(20)의 삽입여부 감지(ear_sense Detected)에 따라 특정 채널의 수신 라디오 방송의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한다.
모노 음향 차단부(27)는 디지털신호 변환부(29)의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제1, 제2 다이오드(D1, D2)로 구비되어, 상기 라디오 모듈(25)의 출력 스테레오 음향을 수신하여 상기 이어잭(21)으로 출력하고, 음향 선택 출력부(31)의 출력 모노 음향 신호이 라디오 모듈(25)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 서, 상기 제1 다이오드(D1)는 스테레오 음향중 왼쪽(Left)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D2)는 스테레오 음향중 오른쪽(Right) 음향을 출력한다.
디지털신호 변환부(29)는 상기 스테레오 이어잭(20) 삽입에 따른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상기 모노 음향 차단부(27)의 제1, 제2 다이오드(D1, D2)로 출력한다.
음향 선택 출력부(31)는 상기 제어부(23)의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에는 상기 제어부(23)의 모노 음향을 차단하고, 상기 제어부(23)의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에는 상기 제어부(23)의 스테레오 음향을 상기 이어잭(21)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음향 선택 출력부(31)는 상기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모노 음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음향 선택 출력부(31)와 어떠한 것과도 연결되지 않은 NC(Not Connected) 측으로 상기 제어부(23)의 모노 음향을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음향 선택 출력부(31)는 상기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모노 음향을 이어잭(21)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모노 코덱만을 구비한 제어부가 라디오 모듈을 모노 음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차단하고, 이어잭을 통한 스테레오 이어폰 삽입여부에 따라 라디오 모듈이 상기 제어부로부터 독립적으로 라디오 방송의 스테레오 음향을 스테레오 이어폰으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어잭에 삽입되는 이어폰을 감지하여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하는 이어폰인 경우에 자동으로 라디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 방송을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생동감 있는 음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어폰이 삽입되는 이어잭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스테레오 이어폰의 삽입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삽입시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와 라디오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미삽입시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라디오 인에이블신호를 입력받고,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되는 특정 라디오 방송을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하는 라디오 모듈과;
    상기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모노 음향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라디오 모듈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모노 음향 차단부와;
    상기 스테레오 이어잭 삽입에 따른 상기 스테레오 음향 제어신호를 상기 모노 음향 차단부와 라디오 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변환부와;
    상기 제1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어부의 모노 음향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음향 루트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어부의 모노 음향을 상기 이어잭으로 전송하는 음향 선택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음향 차단부는,
    라디오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스테레오 음향중 왼쪽 음향을 출력하는 제1 다이오드와;
    상기 라디오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스테레오 음향중 오른쪽 음향을 출력하는 제2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86845A 2004-10-28 2004-10-28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64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45A KR100664167B1 (ko) 2004-10-28 2004-10-28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45A KR100664167B1 (ko) 2004-10-28 2004-10-28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90A KR20060037790A (ko) 2006-05-03
KR100664167B1 true KR100664167B1 (ko) 2007-01-04

Family

ID=3714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845A KR100664167B1 (ko) 2004-10-28 2004-10-28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90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43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노 및 스테레오 음원 출력 장치
US2009026407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volume adjusting method for audio device
KR20110097530A (ko)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US8306233B2 (en) Transmission of audio signals
US8073482B2 (en) Mobile phone with optional audio output function
WO2004025829A1 (en) A stereophonic apparatus having multiple switching function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KR102555485B1 (ko) 스피커 장치, 스피커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및 스피커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7053507A (ja) 音声出力装置
KR100664167B1 (ko) 라디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30713A (ko) 홈 씨어터 시스템의 무선 헤드폰 신호 송/수신 장치
US20070019822A1 (en) Audi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10345B1 (ko)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KR100693589B1 (ko) 음원 데이터의 동시 재생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50232448A1 (en) Audio signal switching mechanism
JP3144831U (ja) ステレオ出力可能なワイヤレス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9100269A (ja) リモコン送信機及び音響機器の制御方法
KR200314454Y1 (ko) 복합 리시버의 오디오 출력 선택장치
KR20040026909A (ko) 음악 청취와 전화 통화를 같이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3513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에 연결되는 원격 송수화기에서의신호 절환장치
KR10063152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오디오 처리방법
KR101500345B1 (ko) 음소거 기능 제어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010084447A (ko) 엠피쓰리 복합형 휴대폰
JP2010068395A (ja) 受信音声識別方法
KR1006907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향 출력장치 및 방법
KR20010048283A (ko) 티브이시청중에 폴더를 닫을 시 티브 음성신호를 청취하는티브이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