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960B1 -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960B1
KR100663960B1 KR1020047005922A KR20047005922A KR100663960B1 KR 100663960 B1 KR100663960 B1 KR 100663960B1 KR 1020047005922 A KR1020047005922 A KR 1020047005922A KR 20047005922 A KR20047005922 A KR 20047005922A KR 100663960 B1 KR100663960 B1 KR 100663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charging
unit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922A (ko
Inventor
신민규
Original Assignee
신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규 filed Critical 신민규
Priority to KR102004700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9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회사 및 기종에 관계없이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 (20) 과, 배터리 장착부 (21) 와, 배터리 고정부 (22) 와, 배터리 감지부 (73) 와, 수평 및 수직 충전 단자부(25, 26) 와, 리미트 스위치부 (37, 47) 와, 제어부 (28), 및 충전 회로부(27)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CHARGER FOR MOBILE TELEPHON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회사 및 기종에 관계없이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 이동 통신 분야의 시장이 확대됨과 더불어, 이동 통신 단말기 분야의 경쟁은 날로 가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조하는 제조회사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제조 회사들은 단말기의 기능을 개선하고 수요자의 기호에 부합하기 위해 점점 소형화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델이 다양해지는 만큼 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형상이나 구조도 각 모델에 맞게 서로 상이하여, 제조 회사측에서는 새로운 단말기 모델마다 고유한 충전기를 새로이 제공하여야 하므로 추가의 제조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사용자 측면에서도 여행이나 장기 출장 등의 경우 반드시 자기의 충전기를 갖고 다녀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새로운 단말기의 구입으로 인하여, 폐기되는 충전기의 자원 손실과 환경 오염은 점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모델에 관계없이 동일한 충전기로 모든 형태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범용 충전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도 1 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은 현재 편의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판기용 충전기 (10) 로서, 이 충전기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조 회사 및 모델명에 맞는 커넥터 (11) 를 찾아서 이를 단말기(12) 와 연결함으로써 충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현재 도 1 에 도시된 충전기도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주고 있지만, 이 장치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제조회사와 모델명에 맞는 커넥터를 찾아서 단말기에 연결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단말기의 모델에 맞는 커넥터가 없으면 충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 모델이 출시할 때마다 새로운 모델에 맞는 커넥터를 곧바로 추가로 장착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기존에 출시되어 있는 모든 제조회사의 모델에 대한 커넥터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대용량일 수밖에 없어 공간상으로나 제조원가상으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정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범용 충전기로서 다양한 기종의 배터리를 자동 인식하여 충전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용량의 범용 충전기를 제공하여 공공용으로 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 (20) 과, 상기 하우징 (20) 내로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30) 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장착부 (21) 와, 상기 배터리 장착부 (21) 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30)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 (21) 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배터리 고정부(22) 와, 상기 배터리 장착부 (21) 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30) 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 (21) 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 (73) 와, 충전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배터리 (30) 의 금속 단자 (31, 32) 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 (48, 38) 로 구성된 수평 및 수직방향의 2 개의 충전 단자부 (25, 26) 와, 상기 복수의 충전 단자부 (25, 26)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단자부 (25, 26) 를 대응하는 상기 배터리의 금속 단자 (31, 32)에 정확히 접촉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배터리 (30) 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는 리미트 스위치부 (37, 47) 와, 상기 충전 단자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 단자부와 배터리 금속 단자의 접촉을 제어하고 충전에 필요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28), 및 상기 제어부 (28)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단자부에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 (27)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 (28) 는 상기 2 개의 충전 단자부중 수평 충전 단자부 (26) 를 단말기의 배터리와 우선 접촉시킨 후 충전 정보를 검색하고, 충전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수평 충전 단자부(26) 를 상기 배터리와 분리시킨 후 상기 2 개의 충전 단자부중 수직 충전 단자부 (25) 를 배터리와 다시 접촉시켜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 단자부는 단자부와 단자 보호부로 구성되고, 단 자는 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커넥터를 이용한 충전기의 간략한 외형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 는 배터리의 일반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충전 단자부와 배터리의 금속 단자가 접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단자부의 개별 단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단자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장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에 배터리가 충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회로의 회로도.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사시도로서, 배터리 장착부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배터리 장착부 (21), 배터리 고정부 (22), 2 개의 충전 단자부 (25, 26), 제어부 (28), 및 이들을 수용하는 하 우징 (20)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 (28) 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칩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충전 단자부 (25, 26) 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 단자부와 배터리 금속 단자의 접촉을 제어하고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한다.
도 7 은 배터리 장착부 (21) 의 상세도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장착부 (21) 는 정면부 (74), 배터리 운반부(78), 및 연결부 (76) 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 (76) 는 장착되는 배터리의 크기에 맞게 상기 배터리 운반부 (78) 의 진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체가 내장된다. 상기 배터리 고정부 (22) 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21) 의 양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부 (21) 의 중앙에 배터리가 장착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탄성적 성질을 가진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 (21) 의 배터리 운반부 (78) 에 위치한 배터리 감지부 (73) 는 배터리의 장착 여부를 감지한다. 배터리의 감지부(73) 가 오프에서 온으로 되면, 즉 배터리가 장착되면 제어부 (28) 는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동작을 진행한다. 그러나 배터리 장착부 (21) 가 열린 후 배터리 감지부 (73) 의 신호값에 변화가 없으면, 배터리 장착부(21) 가 충전기 내부로 닫히고 다른 충전 동작은 진행되지 않는다.
도 3 는 일반적인 배터리 (30) 의 금속 단자의 2 가지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전 단자부 (25, 26) 는 상기 배터리 (30) 의 2 가지 유형의 금속 단자 (31, 32) 에 대응하여 이에 접촉하는 복수의 단 자 (38, 48) 로 구성되고, 본 장치에서는 바람직하게 수평 충전 단자부 (26), 수직 충전 단자부 (25) 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 단자부 (25, 26) 의 복수의 단자들 (38, 48) 을 대응하는 배터리의 금속 단자 (31, 32) 에 접촉시켜 배터리 충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4 를 다시 살펴보면, 도 4b 는 수평 충전 단자부 (26) 가 배터리 (30) 의 단자 (32) 에 접촉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수평 충전 단자부 (26) 는, 도 6 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상의 다수의 단자들 (38) 을 고정하는 단자 고정부 (36) 및 단자 보호부 (35)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 고정부 (36) 에는 리미트 스위치 (37) 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배터리 장착부 (21) 에 장착되는 배터리 (30)의 크기에 맞게 상기 배터리 운반부 (78) 의 이동이 제어된다. 상기 단자 보호부(35) 는 핀 형상의 단자들 (38) 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핀들이 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다수의 단자들 (38) 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 사이의 간격은 장착되는 상기 배터리의 금속 단자의 최소 폭보다 작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배터리의 금속단자의 최소 폭보다 상기 단자들 (38) 각각의 간격이 더 크게 배치된다면, 상기 배터리의 금속 단자 중에서 충전 단자부의 단자들과 접촉하지 않는 배터리 금속 단자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 (28) 가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정확한 충전 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 (37)를 이용하면 인입되는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충전 단자부 (26) 와 배터리 (30) 의 접촉에 필요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는 수직 충전 단자부 (25) 가 배터리 (30) 의 단자 (31) 에 접촉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기본적 구성은 도 4b 와 동일하다.
제어부 (28) 는 상기 2 개의 충전 단자부 (25, 26) 중 수평 충전 단자부 (26) 를 배터리와 우선 접촉시켜 충전 정보를 검색하고, 충전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수평 충전부 (26) 를 배터리와 분리시키고, 상기 2 개의 충전 단자부 (25, 26) 중 수직 충전 단자부 (25) 를 배터리와 다시 접촉시켜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또한, 제어부는 수직 충전 단자부 (25) 를 배터리와 우선 접촉시켜 충전 정보를 검색하고, 충전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수직 충전부 (25) 를 배터리와 분리시키고, 상기 2 개의 충전 단자부 (25, 26) 중 수평 충전 단자부 (26) 를 배터리와 다시 접촉시켜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도 5 는 충전 단자부의 개개의 단자를 도시한다. 배터리의 금속 단자와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개개의 충전 단자 (94) 에는 탄성부 (52) 가 내장되고, 배터리의 금속 단자와 접촉시 충전 단자의 단부(51) 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착된 배터리의 표면의 손상을 막기 위해 상기 충전 단자의 단부 (51) 는 유선형으로 라운드 처리된다. 또한, 배터리의 금속 단자와의 접촉 성공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충전 단자의 단부 (51) 의 직경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의 단부 (51) 의 직경을 1 mm 이하로 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의 제어부(28) 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충전 회로 (27) 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충전기에서 입력되는 전압에 대하여 필요한 만큼의 전압을 충전하기까지의 제어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충전 회로 (27) 의 구성을 살펴보면, 외부 교류전압을 입력하고 12 볼트의 직류 전압으로 정류시켜서 출력하는 정류회로 (도시하지 않음) 가 기본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충전 회로 (27) 는 상기 정류 회로에서 출력되는 12 볼트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 단자 (97) 와, 상기 입력 단자 (97) 에서 입력된 전압이 통과되는 저항 (96)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 회로는 상기 저항 (96) 을 통과한 전압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92) 에서 공급하는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기(95) 와, 상기 비교기 (95) 의 비교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 저항 (96) 를 통해 공급되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는 트랜지스터 (94) 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 (94) 는 상기 비교기 (95) 의 출력값에 따라서 에미터 단자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92) 는 본 발명의 충전 회로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28) 에서 인가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인가받아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 회로에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92) 는 제어부 (28) 에서 공급하는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입력받고, 이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비교기 (95)의 반전 단자 (-) 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 (95) 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92) 의 공급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해서 입력단자 (97) 로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 (28) 는 상기 충전 단자부의 단자들 (38, 48) 을 통하여 현재 충전기에 장착된 배터리에서 필요한 충전 전압의 크기를 판단하고, 이 판 단된 신호를 비트 라인을 통해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92) 로 공급함과 동시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30) 에서 공급하는 과부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92) 로 공급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28) 는 상기 충전 단자 (38, 48) 를 통해 충전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 극,- 극 단자를 판단하고, 다수의 충전 단자들 중 그에 해당되는 단자를 통해 충전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93) 는 상기 트랜지스터(94) 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해서, 과부하가 발생되는지를 감시하고, 상기 트랜지스터 (94) 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과부하 발생시에 상기 제어부 (28) 로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배터리 충전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충전 스위치 (29) 를 클릭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충전기의 충전 회로 (27) 가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회로 (27) 가 동작중이면 충전을 중지하고 연결된 수평 또는 수직 충전단자부 (25, 26) 의 단자와 배터리 (30) 를 분리한 후, 배터리 장착부(21) 를 오픈한다. 상기 동작은 충전 회로 (27) 가 동작 중임에도 불구하고 충전 단자부의 단자와 배터리의 분리시키는 동작이 없이 곧바로 배터리 장착부 (21) 를 오픈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충전 단자부의 손상을 방지한다. 충전 회로가 동작중이 아니면 충전 단자부와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바로 배터리 장착부 (21) 를 오픈한다. 배터리 장착부 (21) 가 오픈되면 배터리 (30) 를 장착한다. 이때 배터리 장착부 (21) 상에 위치한 배터리 고정부 (22) 에 의해 배터리는 중앙 위치로 고정되어 장착된다. 배터리가 배터리 장착부 (21) 에 장착되면 리미트 스위치 (37, 47) 는 장착된 배터리의 크기에 맞게 거리를 조절하여 수평 충전 단자부와 배터리를 접촉한다. 상기 배터리의 금속 단자와 상기 충전 단자부의 접촉은 수동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전기의 제어부 (28) 는 배터리와 접촉된 충전 단자부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배터리의 금속 단자부분과 기타 재질 부분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광센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정보 검색 단계에서 충전 정보, 즉 배터리의 + 극, - 극 및 충전 전압 등에 관한 정보가 검색되면 충전 회로 (27) 를 통해 충전이 시작된다. 그러나 접촉된 단자로부터 어떠한 충전 정보도 검색되지 않을 때에는 접촉된 수평 충전 단자부와 배터리를 분리한 후, 새로이 수직 충전 단자부를 배터리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배터리와 접촉시킨다. 상기 접촉된 단자를 통해 충전 정보를 검색한다. 충전 정보가 검색되면 충전이 시작된다. 이 경우에도 충전 정보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에는 접촉된 수직 충전 단자부와 배터리를 분리하고 재 장착 경고를 한 후, 배터리 장착부를 오픈시켜 배터리를 꺼내고 배터리를 다시 장착하여 상기의 단계들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한다.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 제어부는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제어하여 충전이 완료되면 접촉된 충전 단자와 배터리를 분리하고 충전 완료 표시를 한다. 그 후, 충전 스위치를 클릭하면 배터리 장착부가 오픈되고 충전된 배터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충전 중일때와 방전 중일때는 발광 소자 (도시되지 않음) 를 통해 사용자가 충전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충전기를 상업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잠금 장치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충전 스위치 (29) 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의 주인이 아닌 사람이 충전된 배터리를 무단으로 가져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제조회사 및 기종에 관계없이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배터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배터리 장착부에 탄성부가 내장됨으로써 충전 단자부와 배터리의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단자부에도 핀 형상의 단자 내부에 탄성부를 내장하여 배터리와의 접촉을 안전하게 하고 충전 단자부의 단자보호부를 통해 핀 형상의 단자가 구부르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효과로는 배터리와 접촉하는 다수의 충전 단자를 마이크로칩에 연결하여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게 함으로써 제조 원가, 부피 축소, 에러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 마이크로칩 하나만 검사하면 에러를 찾을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수평 충전단자와 수직 충전 단자를 시간을 분리하여 배터리와 접촉함으로써 검색에 정확성과 효율성 및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가능 한 변경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회사 및 기종에 관계없이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2)

  1.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로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장착부,
    상기 배터리 장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배터리 고정부,
    상기 배터리 장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
    배터리 충전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배터리의 금속 단자에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로 구성된 수평 및 수직방향의 2 개의 충전 단자부,
    상기 충전 단자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충전 단자부를 상기 배터리의 금속 단자에 접촉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부,
    상기 충전 단자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단자부와 배터리 금속단자의 접촉을 제어하고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단자부에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개의 충전 단자부 중에서 수직 또는 수평 충전 단자부를 배터리와 우선 접촉시킨 후 충전 정보를 검색하고, 충전 정보를 얻지 못하는 경우에 배터리와 접촉시킨 충전 단자부와 분리시킨 후 상기 2 개의 충전 단자부 중에서 접촉시키지 않은 충전 단자부를 배터리와 다시 접촉시켜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충전 단자부는 단자부와 단자 보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부의 복수의 단자는 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부의 복수의 단자는 내부에 탄성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부의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는 유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부의 복수의 단자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 사이의 간격은 장착되는 상기 배터리의 금속 단자의 최소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이동 통신 단말 기용 충전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 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정면부, 배터리 운반부, 및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배터리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금속 단자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KR1020047005922A 2004-04-22 2001-11-15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KR100663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05922A KR100663960B1 (ko) 2004-04-22 2001-11-15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05922A KR100663960B1 (ko) 2004-04-22 2001-11-15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922A KR20060011922A (ko) 2006-02-06
KR100663960B1 true KR100663960B1 (ko) 2007-01-02

Family

ID=3712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922A KR100663960B1 (ko) 2004-04-22 2001-11-15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9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922A (ko) 2006-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6887B2 (en) Battery charger for portable equipment
US6509659B1 (en) Cable or module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794851B2 (en) Charging circuit and battery charger
US6043626A (en) Auxiliary battery holder with multicharger functionality
US7439706B2 (en) Battery determination system for battery-powered devices
US5861729A (en) Charger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having on-hook/off-hook detecting means and battery identifying means
US20060076934A1 (en) Control circuit for charging/discharging of secondary cell and a sensor node
WO199704816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harging batteries of different types
JP2001513316A (ja) 待機電流の小さい充電器
JP3924281B2 (ja) 移動通信端末機用充電器
CN115237235A (zh) 一种usb设备移出识别电路、方法及供电系统
KR10066396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US20080203970A1 (en) Battery-powered apparatus for portable system
US20020090983A1 (en)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unit of a mobile telephone handset
RU2272349C2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JP3351992B2 (ja) 携帯電子機器
JP2842844B2 (ja) 電池識別回路
KR100517127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기
KR102127705B1 (ko)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KR200372446Y1 (ko) 티티에이 표준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200363328Y1 (ko)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100223294B1 (ko)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구별방법
KR100504589B1 (ko)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EP1300920A1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al battery type recognition
CN116365719A (zh) 一种三合一无线快充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