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533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533B1
KR100663533B1 KR1020040089055A KR20040089055A KR100663533B1 KR 100663533 B1 KR100663533 B1 KR 100663533B1 KR 1020040089055 A KR1020040089055 A KR 1020040089055A KR 20040089055 A KR20040089055 A KR 20040089055A KR 100663533 B1 KR100663533 B1 KR 100663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gital content
message
digital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822A (ko
Inventor
안원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533B1/ko
Priority to JP2005320133A priority patent/JP2006146903A/ja
Priority to EP05024020A priority patent/EP1655649A2/en
Publication of KR2006003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소정 수신측으로 전송하고자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을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송신기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권한을 해석하며, 상기 해석된 사용권한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유료 컨텐츠 서비스와는 달리 각 개인 사용자들이 자기만의 컨텐츠에 저작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저작자 권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사용권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RIGHTS OF DIGITAL CONTENTS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디지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의 DRM 메시지 송신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의 DRM 메시지 송신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M 메시지 구성 일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DRM 메시지 구성 일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의 DRM 메시지 수신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의 DRM 메시지 수신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 전파되고, 이에 따라 고속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벨소리, 사진, 그림, 음악 및 동영상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다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여 다른 사용자가 그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사업자가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유료로 제공하면 각 사용자들이 사업자에게 이용료를 지불하고 원하는 컨텐츠를 수신받아 이용하는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초기 복제방지 기술을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나. 현재 사용자의 권한 정보에 대한 유연성과 편리성을 기반으로 한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일명 '디지털 컨텐츠 권리 관리') 기술로 발전되고 있다.
DRM 기술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권한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DRM 기술의 구현 방법에는 세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포워드-락(Foward-Rock) 방식이다. 포워드-락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자신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forward)이 금지된다. 이러한 포워드-락 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보안을 위한 별도의 인증키가 존재하지 않는다. 두 번째는 컴바인드 딜리버리(combined delivery) 방식이다. 컴바인드 딜리버리 방식에서는 서비스 사업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 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인증키를 함께 결합하여(binding) DRM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DRM 메시지를 수신하고 DRM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키에 따른 권리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한다. 세 번째는 세퍼레이트 딜리버리(separate delivery) 방식이다. 세퍼레이트 딜리버리에서는 서비스 사업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해당 인증키를 별도의 메시지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 시 별도로 구성된 인증키를 따로 수신하여야 한다. 이러한 세퍼레이트 딜리버리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DCF(DRM Contents Format)로 변형 및 암호화되고 이에 대한 인증키는 CEK(Contents Encryption Key) 또는 RO(Right object)라 하며 별도의 메시지로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술한 DRM 기술에서는 서비스 사업자는 서버를 통해 발생한 컨텐츠 및 인증키를 Wap 다운로드 방식 또는 Wap Push 방식으로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업을 실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사업자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만 저작자 권한이 보호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개인과 개인 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송수신 시에는 그 컨텐츠의 저작자 권한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과 개인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송수신 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저작자 권한을 보호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 사용자들이 자신의 컨텐츠에 사용권한을 부여하여 전송함으로써 타 단말기 사용자가 컨텐츠의 사용권한에 따라 그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소정 수신측으로 전송하고자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을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송신기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권한을 해석하며, 상기 해석된 사용권한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기가 전송하고자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을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권한을 해석하며, 상기 해석된 사용권한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간 즉, 송신측 단말기 및 수신측 단말기간의 디지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송신측 단말기(2) 및 수신측 단말기(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는 DRM 메시지 송신기 및 DRM 메시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신측 단말기(2)는 DRM 메시지 송신기를 통해 자신이 소유한 디지털 컨텐츠 중 저작권을 보호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해 사용권한(Right Object, 일명 'RO')을 생성하고, 디지털 컨텐츠와 사용권한(RO)을 무선망(8)을 통해 수신측 단말기(4)로 전송한다. 수신측 단말기(4)는 DRM 수신기를 통해 송신측 단말기(2)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와 사용권한을 수신하여 사용권한을 해석하고, 해석된 사용권한에 따라 그 컨텐츠를 이용한다. 이때 사용권한에는 컨텐츠 사용횟수, 컨텐츠 전송횟수, 컨텐츠 사용기간 등과 같은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측 단말기(2) 사용자는 사용권한을 이용하여 자신이 보호하고 싶은 컨텐츠를 다른 사람의 수신측 단말기(4)로 전송한 후에도 그 컨텐츠의 사용에 대해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의 DRM 메시지 송신기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메시지 송신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메시지 송신기는 컨텐츠 선택부(202), 컨텐츠 인코딩부(204), RO 에이전트(206), RO 정보 생성부(208), DRM 메시지 생성부(210), 컨텐츠 메시지생성부(212), RO 메시지 생성부(214), 송신부(216), RO 요청메시지 수신부(216)를 포함한다.
컨텐츠 선택부(202)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소정 수신측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컨텐츠 인코딩부(204)는 컨텐츠 선택부(202)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인코딩한다. 즉, 컨텐츠 인코딩부(204)는 컨텐츠를 DCF(DRM Contents Format)와 같은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한다.
RO 에이전트(206)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를 어떤 방식으로 전송할 것인지에 대한 DRM 메시지 전송방식을 선택한다. RO 에이전트(206)는 DRM 메시지 전송방식을 컨텐츠 및 RO를 결합하여 한번에 보내는 결합 전송방식 또는 컨텐츠 및 RO를 따로 분리하여 각각 보내는 분리 전송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송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RO 에이전트(206)는 컨텐츠 및 RO 결합 전송방식이 선택된 경우 컨텐츠에 대한 RO 정보와 인코딩된 컨텐츠가 결합된 DR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고, 컨텐츠 및 RO 분리 전송방식이 선택된 경우 인코딩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메시지를 먼저 전송한 후, 그 컨텐츠에 대한 RO 정보에 대한 RO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한다.
RO 정보 생성부(208)는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RO 정보를 생성한다. RO 정보는 송신측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사용권한으로서 컨텐츠 사용횟수, 컨텐츠 전송횟수, 컨텐츠 사용기간 등과 같은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 조건이 포함된다.
DRM 메시지 생성부(210)는 컨텐츠 및 RO 결합 전송방식의 경우 컨텐츠 인코딩부(204)로부터 인코딩된 컨텐츠와 RO 정보 생성부(208)에 의해 생성된 RO 정보를 결합하여 DRM 메시지를 생성한다.
컨텐츠 메시지 생성부(212)는 컨텐츠 및 RO 분리 전송방식의 경우 인코딩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메시지를 생성한다. RO 메시지 생성부(214)는 컨텐츠 및 RO 분리 전송방식의 경우 해당 컨텐츠의 RO 정보에 대한 RO 메시지를 생성한다.
송신부(216)는 컨텐츠 및 RO 결합 전송방식의 경우 DRM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컨텐츠 및 RO 분리 전송방식의 경우 컨텐츠 메시지와 RO 메시지를 따로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RO 요청메시지 수신부(218)는 컨텐츠 및 RO 분리 전송방식의 경우 수신측으로부터의 미리 전송한 컨텐츠에 대한 RO 요청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RO 에이전트(206)는 미리 전송한 컨텐츠에 대한 RO 정보를 생성하여 그에 대한 RO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의 DRM 메시지 송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RM 메시지 송신기는 302단계에서 컨텐츠 선택부(202)를 통해 수신측 단말기(4)로 송신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한다. 그리고 DRM 메시지 송신기는 304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DCF(DRM Contents Format)와 같은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한다. 그리고 DRM 메시지 송신기는 306단계에서 컨텐츠를 어떤 DRM 전송방식으로 전송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즉, DRM 메시지 송신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컨텐츠 및 RO를 결합하여 한번에 보내는 결합 전송방식 또는 컨텐츠 및 RO를 따로 분리하여 각각 보내는 분리 전송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송방식을 선택한다.
만약 컨텐츠 및 RO 결합 전송방식이 선택되면 DRM 메시지 송신기는 308단계에서 전송하기 위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RO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RO 정보는 송신측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사용권한으로서 컨텐츠 사용횟수, 컨텐츠 전송횟수, 컨텐츠 사용기간 등과 같은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 조건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RO 정보를 생성하고 나서 DRM 메시지 송신기는 310단계에서 인코딩된 컨텐츠와 RO 정보를 결합하여 DRM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M 메시지 구성 일예도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컨텐츠 및 RO 결합 전송방식에 따라 구성된 DRM 메시지를 도시하고 잇다. 도 4를 참조하면, DRM 메시지에는 DRM 정보(42), RO 정보(44), 송신자 정보(46), 컨텐츠 정보(46), 인코딩된 컨텐츠(49)가 포함된다.
DRM 정보(42)는 컨텐츠 전송방식 정보 즉, 컨텐츠 및 RO 결합 전송방식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RO 정보(44)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 정보가 포함한다. 송신자 정보(46)는 송신측 단말기(2)의 고유번호, 전화번호, 등과 같은 송신측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정보(48)는 썸네일(thumnail) 또는 미리듣기 정보를 포함하며,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가 사진인지, 동영상인지, E-mail 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코딩된 컨텐츠(49)는 특정 포맷 예컨대 DCF 형식으로 인코딩된 컨텐츠 내용을 포함한다. DRM 메시지 송신기는 이와 같이 구성된 DRM 메시지를 생성하고 나서 312단계에서 DRM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4)로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 및 RO 분리 전송방식이 선택되면 DRM 메시지 송신기는 316단계에서 인코딩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318단계에서 컨텐츠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4)로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측 단말기(4)는 컨텐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할 경우 RO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DRM 메시지 송신기는 320단계에서 RO 정보 요청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DRM 메시지 송신기는 수신측 단말기(4)로부터 RO 정보 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RO 정보 요청메시지에 따라 322단계에서 미리 전송한 컨텐츠에 대한 RO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324단계에서 RO 정보에 대한 RO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측 단말기(4)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DRM 메시지 구성 일예도이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컨텐츠 및 RO 분리 전송방식에 따라 구성된 DRM 메시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및 RO 분리 전송방식의 경우에는 컨텐츠 메시지와 RO 메시지가 따로 구성된다. 도 5의 (a)는 컨텐츠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 고, 도 5의 (b)는 RO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메시지는 DRM 정보(52), 송신자 정보(56), 컨텐츠 정보(58), 인코딩된 컨텐츠(59)를 포함한다.
DRM 정보(52)는 컨텐츠 전송방식 정보 즉, 컨텐츠 전송방식이 컨텐츠 및 RO 분리 전송방식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자 정보(56)는 송신측 단말기(2)의 고유번호, 전화번호, 등과 같은 송신측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정보(58)는 썸네일(thumnail) 또는 미리듣기 정보를 포함하며,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가 사진인지, 동영상인지, E-mail 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코딩된 컨텐츠(59)는 특정 포맷 예컨대 DCF 형식으로 인코딩된 컨텐츠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 메시지는 DRM 정보(52), 송신자 정보(56), RO 정보(54)가 포함된다. DRM 정보 및 송신자 정보는 상기 설명한 바와 동일한 정보이다. RO 정보(54)는 송신측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사용권한으로서 컨텐츠 사용횟수, 컨텐츠 전송횟수, 컨텐츠 사용기간 등과 같은 컨텐츠 이용에 대한 제한 조건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의 DRM 메시지 수신기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의 DRM 메시지 수신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DRM 메시지 수신기는 수신부(602), DRM 메시지 분석부(604), 컨텐츠 디코딩부(608), RO 정보 분석부(608), 컨텐츠 어플리케이션(610), RO 요청메시지 생성부 (612), RO 요청메시지 송신부(614)를 포함한다.
수신부(620)는 송신측 단말기(2)로부터 컨텐츠 및 RO가 결합된 DRM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따로 전송되는 컨텐츠 메시지 및 RO 메시지를 각각 수신한다.
DRM 메시지분석부(604)는 수신된 DRM 메시지, 컨텐츠 메시지, RO 메시지를 각각 분석한다. 이러한 DRM 메시지 분석부(604)는 컨텐츠 및 RO가 결합된 DRM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DRM 메시지를 분석하여 컨텐츠는 컨텐츠 디코딩부(606)로 출력하고, RO 정보는 RO 정보 분석부(608)로 출력한다. 그리고 DRM 메시지 분석부(604)는 컨텐츠 메시지가 수신되면 컨텐츠를 컨텐츠 디코딩부(606)로 출력하고, RO 요청메시지 생성부(612)에 RO 요청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DRM 메시지 분석부(604)는 RO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메시지를 분석하여 RO 정보를 RO 정보 분석부(608)로 제공한다.
컨텐츠 디코딩부(606)는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된 컨텐츠를 본래의 컨텐츠 포맷으로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RO 정보 분석부(608)는 RO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의 사용권한 정보를 파악한다. 예컨대 컨텐츠를 얼마동안 사용할 수 있는지, 몇 번 전송할 수 있는지, 몇 번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용권한 정보를 확인한다.
컨텐츠 어플리케이션(610)는 컨텐츠 디코딩부(606)에 의해 디코딩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RO 정보 분석부(608)에 의해 분석된 사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그 사용권한에 따라 컨텐츠를 이용한다.
RO 요청메시지 생성부(612)는 미리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RO 정보가 필요한 경우 그에 대한 RO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RO 요청메시지 송신부 (614)는 RO 요청메시지를 송신측 단말기(4)로 전송한다. 그러면 송신측 단말기(4)는 RO 정보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대한 RO 정보를 생성하여 수신측 단말기(2)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DRM 메시지 수신기는 RO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그 사용권한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이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의 DRM 메시지 수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DRM 메시지 수신기는 702단계에서 송신측 단말기(2)로부터의 DRM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DRM 메시지 수신기는 송신측 단말기(2)로부터 컨텐츠 및 RO가 결합된 DRM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따로 전송되는 컨텐츠 메시지 및 RO 메시지를 각각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DRM 메시지 수신기는 704단계에서 DRM 메시지를 분석한다. 즉, DRM 메시지 분석부(604)는 수신된 DRM 메시지가 컨텐츠 및 RO가 결합된 DRM 메시지이면 그 DRM 메시지를 분석하여 컨텐츠 및 RO 정보를 분리하고, 컨텐츠와 RO가 분리되어 구성된 DRM 메시지이면 각 컨텐츠 메시지 및 RO 메시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 결과, DRM 메시지 수신기는 706단계에서 DRM 메시지에 RO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RO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DRM 메시지 수신기는 708단계에서 해당 컨텐츠의 RO 정보를 분석한다. 즉, DRM 메시지 수신기는 해당 컨텐츠의 RO 정보를 분석하여 그 컨텐츠의 사용 기한, 사용 횟수, 전송 횟수 등과 같은 사용권한을 인식한다. 그리고 DRM 메시지 수신기는 710단계에서 RO 정보(사용권한)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이용한다.
그리고 DRM 메시지 수신기는 수신된 DRM 메시지에 RO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712단계에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RO 요청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DRM 메시지 수신기는 714단계에서 송신측 단말기(2)에 RO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송신측 단말기(2)는 RO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RO 정보에 대한 RO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4)로 전송하게 된다. 송신측 단말기(4)의 DRM 메시지 수신기는 716단계에서 이러한 송신측 단말기(4)로부터의 RO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RO 메시지를 분석한다. 이때, DRM 메시지 수신기는 해당 컨텐츠의 RO 정보를 분석하여 그 컨텐츠의 사용 기한, 사용 횟수, 전송 횟수 등과 같은 사용권한을 인식한다. 그리고 DRM 메시지 수신기는 718단계에서 RO 정보(사용권한)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신측 단말기(2) 사용자가 사용권한을 이용하여 자신이 보호하고 싶은 컨텐츠를 다른 사람의 수신측 단말기(4)로 전송한 후에도 그 컨텐츠의 사용에 대해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유료 컨텐츠 서비스와는 달리 각 개인 사용자들이 자기만의 컨텐츠에 저작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저작자 권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사용자들 각각이 자신의 컨텐츠에 사용권한을 부여하여 전송함으로써 타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사용권한에 따라 이용토록 하여 자신의 컨텐츠의 사용에 대해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자에 의한 컨텐츠 전송 서비스가 아닌 개인의 저작권이 보호되는 개인간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소정 수신측으로 전송하고자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을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송신기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권한을 해석하며, 상기 해석된 사용권한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송신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컨텐츠들 중 소정 수신측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를 특정 컨텐츠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컨텐츠 인코딩부와,
    상기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권한 생성부와,
    상기 인코딩된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생성된 사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 생성부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메시지를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권한 관리 메시지 전송방식이 컨텐츠 및 사용권한 분리 전송방식인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 메시지와 상기 사용권한 메시지를 각각 생성하여 따로 전송하도록 하고, 컨텐츠 및 사용권한 결합 전송방식인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 정보를 하나의 디지털 권한 관리메시지로 결합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디지털 권한 에이전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및 사용권한 분리 전송방식의 경우 수신측으로부의 사용권한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권한 요청메시지 수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수신기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사용권한을 해석하는 사용권한 해석부와,
    상기 해석된 사용권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디지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사용권한이 결합된 디지털 권한 관리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 정보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사용권한이 각각 별도의 메시지로 수신되면 그 메시지를 각각 분석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 메시지 분석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한 정보는 컨텐츠 이용을 제한하는 조건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용을 제한하는 조건 정보는 컨텐츠 사용횟수, 컨텐츠 전송횟 수, 컨텐츠 사용기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기가 전송하고자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을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권한을 해석하며, 상기 해석된 사용권한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를 특정 컨텐츠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인코딩된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생성된 사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생성된 사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방식이 컨텐츠 및 사용권한 분리 전송방식인지 컨텐츠 및 사용권한 결합 전송방식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및 사용권한 분리 전송방식이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 메시지와 상기 사용권한 메시지를 각각 따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및 사용권한 결합 전송방식이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 정보를 결합한 디지털 권한 관리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권한을 해석하는 과정과,
    상기 해석된 사용권한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 으로 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한 정보는 컨텐츠 이용을 제한하는 제한 조건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용을 제한하는 제한 조건 정보는 컨텐츠 사용횟수, 컨텐츠 전송횟수, 컨텐츠 사용기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89055A 2004-11-03 2004-11-0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663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55A KR100663533B1 (ko) 2004-11-03 2004-11-0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5320133A JP2006146903A (ja) 2004-11-03 2005-11-02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デジタルコンテンツ権限管理装置及び方法
EP05024020A EP1655649A2 (en) 2004-11-03 2005-11-03 Device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55A KR100663533B1 (ko) 2004-11-03 2004-11-0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822A KR20060039822A (ko) 2006-05-09
KR100663533B1 true KR100663533B1 (ko) 2007-01-02

Family

ID=3569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055A KR100663533B1 (ko) 2004-11-03 2004-11-0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655649A2 (ko)
JP (1) JP2006146903A (ko)
KR (1) KR100663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87B1 (ko) * 2006-07-05 2008-04-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Drm 시스템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다단계 판매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881995B1 (ko) * 2006-08-18 2009-02-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 내부 또는 외부의 drm 서버를 통한 drm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1741B1 (ko) * 2007-08-01 2014-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664A (ko) * 2000-12-23 2002-06-29 남궁석 피투피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거래방법 및 시스템
JP2003087267A (ja) 2001-09-06 2003-03-20 Fujitsu Ltd ピアトゥピア通信による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11983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워터마킹방법
KR20060012728A (ko) * 2004-08-04 2006-02-09 장소영 휴대 전화용 데이터 오브젝트의 연동 방법 및 장치
KR20060030611A (ko) * 2004-10-06 2006-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보안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664A (ko) * 2000-12-23 2002-06-29 남궁석 피투피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거래방법 및 시스템
JP2003087267A (ja) 2001-09-06 2003-03-20 Fujitsu Ltd ピアトゥピア通信による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11983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워터마킹방법
KR20060012728A (ko) * 2004-08-04 2006-02-09 장소영 휴대 전화용 데이터 오브젝트의 연동 방법 및 장치
KR20060030611A (ko) * 2004-10-06 2006-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보안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컨텐츠 보안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5166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5649A2 (en) 2006-05-10
KR20060039822A (ko) 2006-05-09
JP2006146903A (ja)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522516B (zh) 多内容电子邮件的安全标题信息
US7715564B2 (en) License information conversion apparatus
RU2295157C2 (ru) Способ сов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объектов прав между пользователями
KR101248790B1 (ko) 다수의 소비자 시스템들 중 하나에 암호화된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암호화된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보안 콘텐트 패키지를 발생시키는 방법
KR101354759B1 (ko)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US20060041511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terminal
US20080216177A1 (en)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JP2008516548A (ja) コンテンツ暗号化方法、これを利用したネットワークによる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805602B1 (ko) 방송 서비스의 암호화 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51094B1 (ko) 이동 무선 단말에 다운로딩될 수 있는 컨텐트 객체들의 프리미엄-기반 권고를 위한 방법
KR20030022819A (ko)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 라이선스 관리장치, 중계장치 및단말장치
KR20130022846A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nfc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48535A1 (en) Process and system for selectable data transmission
US200801547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right obje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using the same
JP2004187230A (ja) ストリーミング配信システム、およびストリーム配信サーバ装置
JP2010239174A (ja) 鍵情報管理方法、コンテンツ送信方法、鍵情報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装置、コンテンツ送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1006635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1375543A (zh) 经由服务器将版权对象从一个设备移动到另一设备的装置和方法
US200900638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prietary data format content
KR20060119376A (ko)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KR100812379B1 (ko) 자작 컨텐츠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02142B1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콘텐츠 저작권 보호 방법
KR100712921B1 (ko) 컨텐츠의 저장 및 재생 시간 단축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7070920A (zh) 基于通信类应用的信息传送方法及装置
KR2008006361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