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376A -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376A
KR20060119376A KR1020050042338A KR20050042338A KR20060119376A KR 20060119376 A KR20060119376 A KR 20060119376A KR 1020050042338 A KR1020050042338 A KR 1020050042338A KR 20050042338 A KR20050042338 A KR 20050042338A KR 20060119376 A KR20060119376 A KR 2006011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terminal
computing device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4701B1 (ko
Inventor
장재석
임석빈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42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70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2User authentication using separate channels for security data
    • G06F21/43User authentication using separate channels for security data wireless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결합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 단말기 식별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응답받는 단계,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를 선택하여 구간을 편집하는 단계, DRM 서버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DRM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편집된 음원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암호화된 음원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편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RM, MP3, 음원 편집

Description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music source using DRM in PC}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에서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정보를 편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정보를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정보를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사용자 컴퓨팅 장치
210 : 음원 다운로드 서버
220 : 음원 서버
230 : 사용자 단말기
240 : DRM 서버
본 발명은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이 발달함에 따라서 통신망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는 벨소리 제공 서비스로 단말기의 착신 신호음이 기계적인 벨소리가 아니라 상기 단말기의 이용자가 원하는 음원으로 상기 벨소리를 대체하는 서비스이다.
상기와 같은 벨 소리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특정 음원의 일정 부분을 편집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벨소리 서비스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부가서비스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특정 음원의 일정 부분만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정 음원의 일정 부분만을 이용할 경우에도, 상기 음원의 특 부분에 DRM을 이용한 인증 코드와 같은 사용자 인증이 존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음원의 특정 부분을 사업자의 임의로 제공하는 방식이 존재하였다.
그 외에, 서버에 저장된 음원을 사용자컴퓨팅 장치로 전송받아 직접 편집하여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DRM 서비스에 의한 암호화 방식이 상기 편집된 음원에 제공되지 않아 상기 편집음원의 관리 및 사용제한에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RM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음원을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팅 장치로 전송받아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편집하는 경우에 그 편집된 음원의 정보에도 인증정보를 포함시켜 편집 음원의 권리를 확고히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결합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단말기 식별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응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를 선택하여 구간을 편집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편집된 음원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편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 기법에 의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서버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서 RO(Right Object)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는 상기 DRM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결합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여 음원을 편집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단말기 식별번호를 요청하는 수단,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응답받는 수단,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를 선택하여 구간을 편집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편집된 음원 정보를 암호화하는 수단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 기법에 의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DRM 서버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서 RO(Right Object)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는 상기 DRM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단말기 식별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응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를 선택하여 구간을 편집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편집된 음원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 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컴퓨터 및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데스크 탑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기 이외에도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통신과 연결이 가능한 모든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의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망(105)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 통신망을 포함하여 데이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통신망이 가능하며 상기 통신망의 일 말단은 사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DRM 서버(107)는 상기 통신망(105)의 한 말단에 결합하며 상기 DRM 서버(107)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109)와 결합한다. 상기 DRM 서버(107)는 상기 콘텐츠 서버(109)가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에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에 상기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해석할 수 있는 인증 정보(Right Object : RO)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RM 서버에서 제공하는 암호화 방식은 OMA(Open Mobile Alliance) 2.0을 바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는 콘텐츠 암호화 방식 중에서 세계적인 표준 중에 하나로 상기 암호화 방식에 관련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은, 우선 사용자 컴퓨팅 장치(200)에서 상기 음원 서버(220)로 특정 음원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한다(단계 201). 그러면 상기 음원 서버(220)는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210)로 상기 요구된 음원의 암호화된 음원 정보 파일을 제공한다(단계 203). 그러면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210)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0)로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제공하고(단계 205), 상기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30)로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전송한다(단계 207).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30)는 상기 DRM서버(240)로 인증정보를 요청하고(단계 209) 상기 인증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DRM서버(240)는 상기 음원 서버로 상기 단말기(230)의 사용자가 실제로 상기 음원을 구매했는지 확인한다(단계 211).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음원을 구매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DRM서버(2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30)에 상기 인증정보를 제공한다(단계213).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30)는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음원정보를 복호화하여 음원을 즐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에서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은, 우선 사용자 컴퓨팅 장치 (300)에서 상기 음원 서버(320)로 특정 음원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한다(단계 301). 그러면 상기 음원 서버(320)는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310)로 상기 요구된 음원의 암호화된 음원 정보 파일을 제공한다(단계 303). 그러면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310)는 상기 DRM서버(340)로 인증정보를 요청하고(단계 305) 상기 인증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DRM서버(340)는 상기 음원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상기 음원을 구매했는지 확인한다(단계 307).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음원을 구매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DRM서버(340)는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310)에 상기 인증정보를 제공한다(단계309).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한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310)는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음원 정보를 함께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300)로 제공한다. 상기 음원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컴퓨팅 장치(300)는 상기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313)상기 음원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음원 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음원을 즐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정보를 편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401)는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음원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특정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이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PC일 수 있으나 상기 특정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실행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나 DRM 서버와 결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라면 다른 어떤 형식이라도 상관없 다.
또한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는 DRM 서버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과 결합하고 있으며 또한 한편으로는 인터넷과 같은 다른 디지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팅 장치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DRM 서버는 사익 사용자 컴퓨팅 장치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편집된 음원 정보에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의 인증정보 요청은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제공하는 단말기의 식별 번호에 의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와 유선 및 무선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인식번호를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된 단말기 인식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DRM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정보를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원정보를 편집하기 위해서 단말기의 인식번호를 상기 단말기로 요청한다(단계 501). 상기 인식번호를 요청받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로 상기 인식번호를 제공하고, 상기 인식번호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포함된 특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포함된 음원정보를 편집한다(단계 503). 그 후, 상기 편집된 음원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하여 DRM 서버로 상기 단말기의 인식번호와 함께 상기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한다(단계505). 상기 인증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DRM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인식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기의 인식번호에 해당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507). 상기 인식 번호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미리 편집된 음원정보와 상기 DRM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암호화 한다(단계 509). 상기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단계 511)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미리 포함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정보를 복호화하여 즐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정보를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요청한다(단계 601). 상기 식별번호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로 상기 식별 번호를 전송한다(단계 603).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식별 번호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할 음원을 편집한다(단계 605). 여기서 상기 음원 정보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음원정보이다. 그 후, 상기 음원 정보를 편집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DRM 서버로 상기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한다(단계 607). 여기서 상기 단말기의 인증정보는 상기 참조번호 단계 601의 과정에서 단말 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인증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DRM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인증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단말기의 인증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DRM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로 상기 인증정보를 제공한다(단계 609). 그러면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제공된 인증정보와 미리 편집한 음원정보를 같이 암호화 한다(단계 611). 그 후 상기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단계 613), 상기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음원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DRM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음원을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팅 장치로 전송받아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편집하는 경우에 그 편집된 음원의 정보에도 인증정보를 포함시켜 편집 음원의 권리를 확고히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결합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단말기 식별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응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를 선택하여 구간을 편집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편집된 음원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원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 기법에 의한 콘텐츠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서버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서 RO(Right Object)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는 상기 DRM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번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6.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결합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여 음원을 편집하는 사 용자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단말기 식별번호를 요청하는 수단;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응답받는 수단;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를 선택하여 구간을 편집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편집된 음원 정보를 암호화하는 수단;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 기법에 의한 콘텐츠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RM 서버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서 RO(Right Object)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식별 번호는 상기 DRM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번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컴퓨팅 장치.
  11.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단말기 식별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응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원 정보를 선택하여 구간을 편집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편집된 음원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50042338A 2005-05-20 2005-05-20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KR100704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38A KR100704701B1 (ko) 2005-05-20 2005-05-20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38A KR100704701B1 (ko) 2005-05-20 2005-05-20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76A true KR20060119376A (ko) 2006-11-24
KR100704701B1 KR100704701B1 (ko) 2007-04-06

Family

ID=3770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338A KR100704701B1 (ko) 2005-05-20 2005-05-20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7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6288A1 (en) * 2007-01-07 2008-07-17 Apple Inc. Creating and purchasing ringtones
KR101386753B1 (ko) * 2007-07-12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원을 재생하는 재생 단말기 및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KR101498919B1 (ko) * 2009-07-30 2015-03-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저장장치 기반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217A (ja) 2000-05-30 2001-12-14 Hiroaki Suzuki コンテンツ保護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30026706A (ko) * 2001-09-26 2003-04-03 (주)네오클릭 P2p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KR20030030586A (ko) * 2001-10-11 2003-04-18 박연일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8240A (ko) * 2004-09-24 2006-03-29 (주)잉카엔트웍스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6288A1 (en) * 2007-01-07 2008-07-17 Apple Inc. Creating and purchasing ringtones
KR101386753B1 (ko) * 2007-07-12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원을 재생하는 재생 단말기 및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KR101498919B1 (ko) * 2009-07-30 2015-03-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저장장치 기반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701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4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CN101305545B (zh) 用于管理安全可移除介质的数字版权的方法和装置
US76171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electronic content
RU226091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безопасного и удоб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цифровым электронным контентом
KR20130022846A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nfc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2008516548A (ja) コンテンツ暗号化方法、これを利用したネットワークによる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5078653A (ja) コンテンツアクセスデータのユーザ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0156676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ト用の安全配布システム
US200801547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right obje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using the same
KR20080046253A (ko) Lan에 미디어 컨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디지털 보안
US20030009667A1 (en) Data terminal device that can easily obtain content data again, a program executed in such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such program
US816613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ent-side encoding of user-generated content
CN104966001A (zh) 一种多媒体文件的处理方法及装置
JP2004040209A (ja) サーバ、icカード、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コンテンツの取得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04701B1 (ko)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CN101375543B (zh) 经由服务器将版权对象从一个设备移动到另一设备的装置和方法
WO20060703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ntent management
US20090013185A1 (en) Compatible system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849639B1 (ko) 동영상 파일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467570B1 (ko)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보안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KR100686928B1 (ko)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JP2005039429A (ja) 契約認証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再生認証方法
CN101297518A (zh) 在支持不同drm方法的用户终端机间提供内容操作的drm网关方法和执行其方法的drm网关
KR101602735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0712921B1 (ko) 컨텐츠의 저장 및 재생 시간 단축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