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928B1 -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928B1
KR100686928B1 KR1020050042339A KR20050042339A KR100686928B1 KR 100686928 B1 KR100686928 B1 KR 100686928B1 KR 1020050042339 A KR1020050042339 A KR 1020050042339A KR 20050042339 A KR20050042339 A KR 20050042339A KR 100686928 B1 KR100686928 B1 KR 10068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rm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377A (ko
Inventor
장재석
임석빈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4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92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9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는 음원 서버에서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음원 신호를 선택한 제1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DRM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DRM 서버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음원을 제공받은 제1 단말기로부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는 단계, 편집 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DRM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DRM 서버로부터 편집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편집될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가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라면 DRM 서버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DRM 서버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인증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는 단계 및 암호화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편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RM, MP3, 음원 편집

Description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music source using DR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에서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제공하는 DRM을 이용하여 서버에서 제공하는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말기와 수신단말기가 상이할 경우에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사용자 컴퓨팅 장치
210 : 음원 다운로드 서버
220 : 음원 서버
230 : 사용자 단말기
240 : DRM 서버
본 발명은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이 발달함에 따라서 통신망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는 벨소리 제공 서비스로 단말기의 착신 신호음이 기계적인 벨소리가 아니라 상기 단말기의 이용자가 원하는 음원으로 상기 벨소리를 대체하는 서비스이다.
상기와 같은 벨 소리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특정 음원의 일정 부분을 편집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벨소리 서비스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부가서비스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특정 음원의 일정 부분만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정 음원의 일정 부분만을 이용할 경우에도, 상기 음원의 특 부분에 DRM을 이용한 인증 코드와 같은 사용자 인증이 존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음원의 특정 부분을 사업자의 임의로 제공하는 방식이 존재하였다.
그 외에, 서버에 저장된 음원을 사용자가 직접 편집하여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DRM 서비스에 의한 암호화 방식이 상기 편집된 음원에 제공되지 않아 상기 편집음원의 관리 및 사용제한에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RM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음원을 사용자가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편집하는 경우에 그 편집된 음원의 정보에도 인증정보를 포함시켜 편집 음원의 권리를 확고히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는 음원 서버에서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제1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편집 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편집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편집될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가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라면 상기 DRM 서버로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 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편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 기법에 의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서버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서 RO(Right Object)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에 미리 포함된 인증정보와 상기 암호화된 음원이 결합함으로써 정상적인 음원의 복호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는 음원 서버에서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 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편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 기법에 의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서버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서 RO(Right Object)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미리 포함된 인증정보와 상기 암호화된 음원이 결합함으로써 정상적인 음원의 복호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여 음원을 편집하는 음원 서버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제1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1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수단,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는 수단, 상기 편집 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편집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편집될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 가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라면 상기 DRM 서버로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는 수단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원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여 음원을 편집하는 음원 서버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수단,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는 수단, 상기 인증 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는 수단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원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결합되는 메모리 저장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메모리 저장 장치는 제1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제1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고, 상 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고, 상기 편집 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편집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편집될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가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라면 상기 DRM 서버로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결합되는 메모리 저장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메모리 저장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고, 상기 인증 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 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 컴퓨터 및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데스크 탑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기 이외에도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통신과 연결이 가능한 모든 컴퓨팅 장치가 본 발명의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망(105)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 통신망을 포함하여 데이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통신망이 가능하며 상기 통신망의 일 말단은 사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DRM 서버(107)는 상기 통신망(105)의 한 말단에 결합하며 상기 DRM 서버(107)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109)와 결합한다. 상기 DRM 서버(107)는 상기 콘텐츠 서버(109)가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101, 103)에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에 상기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해석할 수 있는 인증 정보(Right Object : RO)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RM 서버에서 제공하는 암호화 방식 은 OMA(Open Mobile Alliance) 2.0을 바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는 콘텐츠 암호화 방식 중에서 세계적인 표준 중에 하나로 상기 암호화 방식에 관련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은, 우선 사용자 컴퓨팅 장치(200)에서 상기 음원 서버(220)로 특정 음원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한다(단계 201). 그러면 상기 음원 서버(220)는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210)로 상기 요구된 음원의 암호화된 음원 정보 파일을 제공한다(단계 203). 그러면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210)는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200)로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제공하고(단계 205), 상기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30)로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전송한다(단계 207).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30)는 상기 DRM서버(240)로 인증정보를 요청하고(단계 209) 상기 인증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DRM서버(240)는 상기 음원 서버로 상기 단말기(230)의 사용자가 실제로 상기 음원을 구매했는지 확인한다(단계 211).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음원을 구매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DRM서버(2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30)에 상기 인증정보를 제공한다(단계213).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30)는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음원정보를 복호화하여 음원을 즐 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RM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에서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을 제공받는 방법은, 우선 사용자 컴퓨팅 장치(300)에서 상기 음원 서버(320)로 특정 음원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한다(단계 301). 그러면 상기 음원 서버(320)는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310)로 상기 요구된 음원의 암호화된 음원 정보 파일을 제공한다(단계 303). 그러면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310)는 상기 DRM서버(340)로 인증정보를 요청하고(단계 305) 상기 인증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DRM서버(340)는 상기 음원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상기 음원을 구매했는지 확인한다(단계 307).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음원을 구매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DRM서버(340)는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310)에 상기 인증정보를 제공한다(단계309).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한 상기 음원 다운로드 서버(310)는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음원 정보를 함께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팅 장치(300)로 제공한다. 상기 음원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컴퓨팅 장치(300)는 상기 음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313)상기 음원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음원 파일을 복호화하여 상기 음원을 즐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제공하는 DRM을 이용하여 서버에서 제공하는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원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받는다(단계401). 그러면 상기 음원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DRM 서버로 요청한다(단계403). 이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음원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자격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정보가 정확하다면 상기 음원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한다(단계 405). 상기 음원정보를 수신한 단말기가 상기 음원의 특정 구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구간만의 제공을 요구한다(단계 407). 그러면 상기 수신 단말기가 DRM 기능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인지를 DRM서버로 확인하여(단계 409), 상기 단말기가 DRM 기능이 존재한다면 상기 수신 단말기의 인증정보와 음원을 같이 암호화한다(단계 413). 그렇지 않고 상기 단말기가 DRM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기존의 방식으로 서버에서 암호화 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한다(단계 411). 그 후, 상기 인증정보와 음원이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415), 상기 음원 정보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상기 암호화된 음원정보에 적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말기와 수신단말기가 상이할 경우에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접속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 서버로 음원 선택 신호를 전송한다(단계501).이때 상기 선택 신호에는 상기 선택한 음원의 수신을 원하는 단말기의 정보가 포함된다. 그 후, 상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한 상기 음원 서버는 상기 DRM 서버로 상기 접속단말의 인증정보를 요청한다(단계 503). 상기 인증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DRM서버는 상기 음원서버로 상기 접속단말의 인증정보를 응답한다.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한 상기 음원 서버는 상기 인증정보가 유효할 경우에 상기 요청된 음원정보를 복호화하고(단계507), 상기 복호화된 음원정보를 상기 접속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509). 상기 음원정보를 수신한 상기 접속 단말기는 상기 음원에서 필요한 부분을 선택하여(단계 511), 상기 음원 서버로 상기 필요부분의 편집을 요청하고(단계 513), 상기 편집 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기 음원 서버는 상기 DRM 서버로 상기 편집된 음원을 전송받을 수신 단말기의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515). 상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DRM 서버는 상기 음원 서버로 상기 수신 단말기의 정보를 전송하고(단계517), 상기 수신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상기 음원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가 DRM 기능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519) 포함하지 않는다면 기존의 방식으로 암호화하여(단계 521) 상기 수신단말기로 편집된 음원을 전송한다(단계 523). 그러나 만일 상기 수신 단말기가 DRM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DRM 서버로 상기 수신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고(단계 525), 상기 DRM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응답받아(단계 527) 상기 편집된 음원 정보와 상기 수신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함께 암호화한다(단계 529). 그 후 상기 암호화된 음원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531),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복호화하여 즐길 수 있다.
상기의 방식에서 상기 접속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는 동일한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DRM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음원을 사용자가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편집하는 경우에 그 편집된 음원의 정보에도 인증정보를 포함시켜 편집 음원의 권리를 확고히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는 음원 서버에서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제1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편집 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편집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편집될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가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라면 상기 DRM 서버로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원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 기법에 의한 콘텐츠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서버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서 RO(Right Object)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에 미리 포함된 인증정보와 상기 암호화된 음원이 결합함으로써 정상적인 음원의 복호화가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6.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는 음원 서버에서 음원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원 편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 2.0 방식의 암호화 기법에 의한 콘텐츠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RM 서버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OMA(Open Mobile Alliance)2.0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서 RO(Right Object)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미리 포함된 인증정보와 상기 암호화된 음원이 결합함으로써 정상적인 음원의 복호화가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편집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여 음원을 편집하는 음원 서버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제1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1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수단;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는 수단;
    상기 편집 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 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편집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편집될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가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라면 상기 DRM 서버로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는 수단;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음원 서버.
  12.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DRM 서버와 결합하여 음원을 편집하는 음원 서버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는 수단;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수단;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는 수단;
    상기 인증 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는 수단; 및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음원 서버.
  13.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결합되는 메모리 저장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메모리 저장 장치는
    제1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제1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고, 상기 편집 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편집된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편집될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가 DRM을 지원하는 단말기라면 상기 DRM 서버로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음원을 전송받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리를 포함하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
  14.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결합되는 메모리 저장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메모리 저장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원 신호를 선택한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DRM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DRM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선택한 음원을 복호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음원을 제공받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원의 일정 부분만의 편집을 요청받고, 상기 인증 정보와 편집된 음원을 포함하여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
KR1020050042339A 2005-05-20 2005-05-20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068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39A KR100686928B1 (ko) 2005-05-20 2005-05-20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39A KR100686928B1 (ko) 2005-05-20 2005-05-20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77A KR20060119377A (ko) 2006-11-24
KR100686928B1 true KR100686928B1 (ko) 2007-02-26

Family

ID=3770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339A KR100686928B1 (ko) 2005-05-20 2005-05-20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9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6978A1 (en) 2002-06-24 2003-12-25 Evans Glenn F. Secure media path methods, systems, and architectures
JP2004312740A (ja) 2003-04-01 2004-11-04 Microsoft Corp スケーラブルメディアのための、スケーラブルで誤り復元性があるデジタル権利管理
KR20060028240A (ko) * 2004-09-24 2006-03-29 (주)잉카엔트웍스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30637A (ko) * 2004-10-06 2006-04-11 와이더댄 주식회사 음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6978A1 (en) 2002-06-24 2003-12-25 Evans Glenn F. Secure media path methods, systems, and architectures
JP2004312740A (ja) 2003-04-01 2004-11-04 Microsoft Corp スケーラブルメディアのための、スケーラブルで誤り復元性があるデジタル権利管理
KR20060028240A (ko) * 2004-09-24 2006-03-29 (주)잉카엔트웍스 음원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30637A (ko) * 2004-10-06 2006-04-11 와이더댄 주식회사 음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77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601B1 (ko) 애플리케이션들 및 미디어 콘텐츠의 보호되는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78363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ed therewith
RU25040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цифровыми правами
KR101944800B1 (ko) Drm 모듈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JP2005080315A (ja) 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5078653A (ja) コンテンツアクセスデータのユーザ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10106325A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가진 무선 pda용 전자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JP2000156676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ト用の安全配布システム
JP2008198176A (ja) DRM(DigitalRightsManagement)デバイスを用いてDRM機能と付加機能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4040209A (ja) サーバ、icカード、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コンテンツの取得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77752A (ja) 鍵管理装置、端末装置、コンテンツ管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0774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ntent management
KR100704701B1 (ko) Drm을 이용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음원 편집 방법및 장치
KR101032551B1 (ko) 콘텐츠 서비스 방법
KR100686928B1 (ko) Drm을 이용한 음원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0467570B1 (ko)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보안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KR100696249B1 (ko) Drm을 이용한 mp3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9514322A (ja) 互いに異なるdrm方式を支援する端末機間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drmゲートウェイの動作方法およびこの方法が採用されたdrmゲートウェイ
KR100799167B1 (ko) 데이터 저장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JP2004347636A (ja) チケット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203744B1 (ko)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재생 관리 방법
KR2008006361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KR100712921B1 (ko) 컨텐츠의 저장 및 재생 시간 단축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236459B1 (ko) Drm 복호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에서의 drm 복호화 방법
JP2006185201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ー、コンテンツ再生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セキュリティチップ及びコンテンツ生体認証方法並び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