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137B1 - 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frequency shift key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frequency shift key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137B1
KR100663137B1 KR1020050084018A KR20050084018A KR100663137B1 KR 100663137 B1 KR100663137 B1 KR 100663137B1 KR 1020050084018 A KR1020050084018 A KR 1020050084018A KR 20050084018 A KR20050084018 A KR 20050084018A KR 100663137 B1 KR100663137 B1 KR 10066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keying
frequency
frequency shift
symbol
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주
김은기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청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청북도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8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1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An 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a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demodulation system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nhance largely th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erformance of the demodulator by modulating the same symbol with different frequencies. An 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uses (M+N)frequencies, wherein N is one or more. In the method, a transition-modulated frequency is determined by using a previous frequency and a presently transmitting symbol in order to modulate each of transmitting symbols to different frequencies.

Description

복조기의 동기 성능을 향상시킨 M 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법 및 그를 채용한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복조 시스템{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Frequency Shift Keying System using the Same}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Frequency Shift Keying System Using Improved Demodulator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이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으로 변조된 변조 파형과 그 심벌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modulation waveform modulated with a conventional 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nd its symbol tim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변조 상태도.2 is a modulation state diagram of a bi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이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으로 변조된 변조 파형과 그 심벌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ulation waveform modulated with the bin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of FIG. 2 and its symbol timin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4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변조 상태도.4 is a modulation state diagram of a quater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4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변조 상태도.5 is a modulation state diagram of a quater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에 사용되는 변조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 및 그를 채용한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tion scheme used for digital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nd a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종래의 디지털 통신을 위한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은, 디지털 신호 M개의 심벌에 따라 M개의 다른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즉 각 심벌에 각각 다른 주파수를 대응시켜 심벌이 전송될 시 그 심벌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변조시키게 되며, 이때 진폭은 일정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conventional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for digital communication, M different frequency signals are used according to M symbols of a digital signal, that is, when a symbol is transmitted in correspondence with a different frequency to each symbol, the symbol corresponds to that symbol. It is modulated with frequency, and the amplitude is generally constant.

이러한 종래의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서는, 수신부에서 M 개의 주파수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들을 각각 상관(correlation)시켜 위상 비동기 복조를 수행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since the receiver knows M frequencies in advance, phase asynchronous demodulation is performed by correlating the frequencies of the received signals.

이러한 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복조기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기능 블록이 동기부이다. 동기(Synchronization)를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반송파 복구 (carrier recovery) 방법과, 심벌 타이밍 복구(symbol timing recovery) 방법이 있다. M 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은 통상적으로 위상 비동기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반송파 동기는 필요하지 않고 심벌 타이밍 동기가 필요하게 된다. In the demodulator for performing such a demodulation process, the functional block which play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is a synchronizer. Synchronization methods include a carrier recovery method and a symbol timing recovery method. The M-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generally adopts a phase asynchronous scheme. In this case, carrier synchronization is not required and symbol timing synchronization is required.

M 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서 사용되는 심벌 타이밍 복구방식으로서 가장 최근에 개발된 기술은 MDS(Modulation-Derived Synchronization) 방식이 다. 여기서, MDS 방식이란 1989년 Shaw 등이 개발한 것으로서, 모든 M 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 적합한 동기 방식이다.As the symbol timing recovery method used in M-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the most recently developed technology is MDS (Modulation-Derived Synchronization). Here, the MDS method was developed by Shaw et al. In 1989 and is a synchronous method suitable for all M-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s.

이러한 MDS (Modulation-Derived Synchronization) 방식에서는, M개의 주파수로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된 신호를 복조할 때, 이하의 수학식 1 과 같은 넌코히어런트(non-coherent) 복조를 수행하고, 이하의 수학식 2 를 이용하여 심벌 타이밍 정보를 얻게 된다.In the Modulation-Derived Synchronization (MDS) scheme, when demodulating a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ed signal with M frequencies, non-coherent demodulation such as Equation 1 below is performed, and The symbol timing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2.

이때, 수학식 2 의 극대점을 구하는 것이 바로 심벌 타이밍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아래 수학식에서, 1 ≤ m ≤ M 이고, f(s-i) 는 수신 신호이며, ωm 은 정규화 주파수이다. At this time, obtaining the maximum point of Equation 2 is to obtain the symbol timing. In the equation below, 1 ≦ m ≦ M, f (si) is the received signal, and ω m is the normalization frequency.

Figure 112005050476179-pat00001
Figure 112005050476179-pat00001

Figure 112005050476179-pat00002
Figure 112005050476179-pat00002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얻어진 종래의 이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서의 변조 파형 및 심벌 타이밍 정보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서, 도 1(a) 는 데이터 신호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 는 종래의 이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으로 변조된 변조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c) 는 도 1(b) 의 변조 파형에 대해 상기의 방식으로 얻은 심벌 타이밍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FIG. 1 shows modulation waveforms and symbol timing information in the conventional 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obtained in the above manner. In Figure 1, Figure 1 (a) shows a data signal waveform, Figure 1 (b) shows a modulation waveform modulated by a conventional 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Fig. 1 (c) also shows the symbol timing information obtained in the above manner for the modulation waveform of Fig. 1 (b).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서는, 도 1(a) 와 같이 동일 심벌이 연속되어 나오는 경우, 심벌 타이밍 정보를 획득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서는 데이터 전송 프레임 전에 심벌 타이밍 획득을 위한 프리앰블 프레임을 삽입하였다.As can be see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when the same symbols are continuously displayed as shown in FIG. 1A, a problem arises in acquiring symbol timing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conventional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 preamble frame for symbol timing acquisition is inserted before a data transmission frame.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프리앰블 프레임 삽입을 통한 심벌 타이밍 획득 방법에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acquiring symbol timing by inserting a preamble frame as described above.

즉, 프리앰블 프레임을 삽입한다 할지라도, 데이터 프레임에서는 도 1(c) 와 같은 현상에 의해서 데이터 프레임에서의 심벌 타이밍을 지속적으로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데이터 통신 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크기에 제한을 받게 되며, 또한 데이터의 수신 에러율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That is, even if the preamble frame is inserted, the symbol frame in the data frame cannot be continuously obtained by the phenomenon as shown in FIG. Due to this problem, the size of the data frame transmitted during data communication is limited, and also increases the reception error rate of the data.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동일한 심벌이 연속해서 전송될 경우에도 항상 다른 주파수가 전송되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동일한 심벌이 연속해서 송신될 경우에도 복조기 동기부에서의 동기 획득이 가능한 M 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new method of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o that different frequencies are always transmitted even when the same symbol is continuously transmit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state state shifted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capable of obtaining synchronization in a demodulator synchronizer even when symbols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심벌이 연속해서 전송될 경우에도 항상 다른 주파수가 전송되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복조기 동기부에서의 동기 획득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간단한 변복조 구조 및 프레임 구조를 갖는 매우 효율적인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opt a new method of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o that different frequencies are always transmitted even when the same symbol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hereby dramatically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erformance of the demodulator synchronizer, thereby simplifying the demodulation structure. And a highly efficient frequency shift keying demodulation system having a frame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 시 전송되는 심벌에 따라 상기 심벌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천이하여 변조하는 M 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법으로서, (M + N)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고(N 은 1 이상의 정수), 이전의 주파수와 현재 전송되는 심벌에 기초하여 천이 변조되는 주파수가 결정되며, 전송되는 매 심벌 마다 항상 다른 주파수로 천이 변조되는 M 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법 및 그를 채용한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for shifting and modulat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ymbol according to a symbol transmitted during digital communication, and using (M + N) frequencies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and the frequency shift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evious frequency and the current transmitted symbol, and the M-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which is always modulated with a different frequency for every transmitted symbol, and employs the same. A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ystem is provided.

이로써, 복조기 동기부에서의 동기 획득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간단한 변복조 구조 및 프레임 구조를 갖는 매우 효율적인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복조시스템의 사용이 가능하다.Thi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erformance in the demodulator synchronizer, and also enables the use of a highly efficient frequency shift keying demodulation system having a simpl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tructure and frame struct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M 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M-state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변조 상태도(state diagram)이며, 도 3은 도 2의 이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으로 변조된 변조 파형과 그 심벌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modulation state diagram of a bi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modulation waveform modulated by the bi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of FIG. A diagram illustrating symbol timing.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M 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서 사용하는 M 개의 주파수 이외에 1 개 이상의 N 개의 주파수를 더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N 은 1 이상의 정수를 의미한다.As can be see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one or more N frequencies in addition to the M frequencies used in the conventional M-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Here, N means an integer of 1 or more.

도 2 는, N =1 인 경우, 즉 1개의 주파수 톤을 더 사용한 이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변조 상태도(state diagram) 이다.FIG. 2 is a modulation state diagram of a bi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where N = 1, that is, one frequency tone is further used.

도 3(a)는 전송될 이진 데이터 신호 '0 0 1 1 1 0 1 1 0 1' 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3(b)는 도 2 의 변조 상태도에 의해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된 상태의 변조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3(b)에 적용된 주파수는 f1 = 1 Hz, f2 = 2 Hz, 및 f3 = 4 Hz 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가 가능한 주파수이면 된다.3 (a) shows the waveform of the binary data signal '0 0 1 1 1 0 1 1 0 1' to be transmitted. FIG. 3 (b) shows the modulation waveform of the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ed by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of FIG. Here, the frequencies applied to FIG. 3 (b) are f 1 = 1 Hz, f 2 = 2 Hz, and f 3 = 4 Hz.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 frequency is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frequency, and may be a frequency capable of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이하, 본 발명의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 따른 변조 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d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먼저, 첫 번째로 전송될 심벌에 대해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이전의 초기 주파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초기 주파수는 변조에 사용되는 어떠한 주파수로 설정하여도 무관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f1 으로 설정한다.First, in order for the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to be performed on a symbol to be transmitted first, a previous initial frequency is required, and this initial frequency may be set to any frequency used for modulation. Is set to f 1 .

초기 주파수를 f1 으로 하였을 때, 전송될 심벌이 '0' 인 경우는 도 2 의 변 조 상태도에 의해 변조 주파수가 f2 가 되고, 따라서 첫 번째 전송 심벌에 대해서는 도 3(b) 그래프의 시간 0 내지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f2 의 주파수로 변조된다. When the initial frequency is f 1 , when the symbol to be transmitted is '0', the modulation frequency is f 2 according to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of FIG. 2, and thus, the time of the graph of FIG. It is modulated at a frequency of f 2 as can be seen from 0 to 1.

다음, 두 번째로 전송될 심벌인 '0' 에 대해서는, 이전 주파수가 f2 이므로 도 2 의 변조 상태도에 의해 변조되는 주파수는 f3 이 되고, 두 번째 전송 심벌에 대해서는 도 3(b) 그래프의 시간 1 내지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f3 의 주파수로 변조된다. Next, for the second symbol '0' to be transmitted, since the previous frequency is f 2 , the frequency modulated by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of FIG. 2 becomes f 3 , and for the second transmission symbol, the graph of FIG. It is modulated with a frequency of f 3 as can be seen at times 1 and 2.

세 번째로 전송될 심벌인 '1' 에 대해서는, 이전 주파수가 f3 이므로 도 2 의 변조 상태도에 의해 변조되는 주파수는 f2 가 되고, 세 번째 전송 심벌에 대해서는 도 3(b) 그래프의 시간 2 내지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f2 의 주파수로 변조되게 된다. For the third symbol '1' to be transmitted, since the previous frequency is f 3 , the frequency modulated by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of FIG. 2 becomes f 2 , and for the third transmitted symbol, time 2 of the graph of FIG. 3 (b). As can be seen from 3 to 3 is to be modulated to a frequency of f 2 .

이후,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 의해 계속적으로 변조된 변조 파형이 도 3(b) 에 나타나 있다. Then, the modulation waveform continuously modulated by the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서는, 주파수 톤 1개가 추가된 도 2 와 같은 변조 상태도에 의해 현재 전송되는 심벌과 이전 주파수에 따라서 동일한 심벌이라 할지라도 항상 주파수가 천이되어 변조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경우, 연속적으로 같은 심벌이 전송되는 때에도 동일 주파수가 연속적으로 발생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i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mbol that is currently transmitted by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as shown in FIG. 2 to which one frequency tone is added is the same symbol according to a previous frequency. The frequency is always shifted and modulat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bi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ame symbol is transmitted continuously, the same frequency is not generated continuously.

한편,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된 변조 파형으로부터 추출된 심벌 타이밍 정보를 나타낸 것이 도 3(c) 의 그래프이다. Meanwhile, the graph of FIG. 3 (c) shows symbol tim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modulated waveform modulated according to a bi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는 도 3(b) 의 변조 파형에 대해 얻은 심벌 타이밍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변조 파형으로부터 추출된 심벌 타이밍 정보의 각 최고점은 도 3(a)의 심벌 시작 시점과 정확히 대응된다.FIG. 3 (c) shows symbol timing information obtained for the modulation waveform of FIG. 3 (b). As can be seen in Figure 3 (c), each peak of the symbol tim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modulation waveform corresponds exactly to the symbol start time of Figure 3 (a).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경우, 연속적으로 같은 심벌이 전송되는 때에도 동일 주파수가 연속적으로 발생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복조기 동기부의 동기 획득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ame symbol is transmitted continuously, the same frequency is not generated continuously,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erformance of the demodulator synchronizer. have.

다음,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4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변조 상태도로서, N = 1 인 경우, 즉 주파수 톤이 1개 추가된 4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변조 상태도이다.First, FIG. 4 is a modulation state diagram of a quater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N = 1, that is, a quater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in which one frequency tone is added. Is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이하,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4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quater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주파수를 f1 으로 설정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 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변조에 사용되는 주파수라면 어느 것을 선택해도 상관없다. First, although the initial frequency is set to f 1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any frequency may be selected as long as it is used for modulation.

첫번째로 전송되는 심벌이 '01' 인 경우, 초기 주파수가 f1 이므로 도 4 의 변조 상태도에 의해 변조되는 주파수는 f3 가 되고, 첫 번째 전송 심벌에 대해서는 f3 의 주파수로 변조된다. If the symbols transmitted first is '01', the initial frequency is the frequency which is modulated by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of Figure 4 because f 1 is modulated at a frequency of about f, and the 3, the first transmission symbol f 3.

다음, 두 번째로 전송되는 심벌이 또한 동일한 '01' 인 경우, 이전 주파수가 f3 이므로 도 4 의 변조 상태도에 의해 변조되는 주파수는 f5 가 되고, 따라서 동일한 두 번째 전송 심벌에 대해서는 f5 의 주파수로 변조되게 된다. Next, in either case, the symbols being first transferred to the addition of the same "01", the frequency before the frequency is modulated by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of a so f 3 4, and the f 5, according to the same second transmission symbol f 5 It will be modulated with frequenc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을 4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에 적용한 경우, 연속적으로 같은 심벌이 전송된다 할지라도 항상 다른 주파수로 천이되어 변조되게 되므로, 도 3(c) 와 동일한 심벌 타이밍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quatern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even if the same symbol is continuously transmitted, it is always transitioned to another frequency and modulated. The same symbol timing information can be obtain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4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의 변조 상태도로서, N = 2 인 경우, 즉 주파수 톤이 2개 추가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modulation state diagram of the quatern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case where N = 2, that is, two frequency tones are added.

도 5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주파수를 f1 으로 하였을 때, 첫번째로 전송되는 심벌이 '11' 인 경우, 도 5 의 변조 상태도에 의해 변조되는 주파수는 f5 가 되고, 첫 번째 전송 심벌에 대해서는 f5 의 주파수로 변조된다. As can be seen in FIG. 5, when the initial frequency is f 1 , when the first transmitted symbol is '11', the frequency modulated by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of FIG. 5 becomes f 5 , and the first transmitted symbol Is modulated at a frequency of f 5 .

다음으로, 두 번째로 전송되는 심벌이 이전 심벌과 동일한 '11' 인 경우, 이전 주파수가 f5 이므로 도 5 의 변조 상태도에 의해 변조되는 주파수는 f3 이 되고, 따라서 동일한 두 번째 전송 심벌에 대해서 f3 의 주파수로 변조된다. Next, when the second transmitted symbol is '11' which is the same as the previous symbol, since the previous frequency is f 5 , the frequency modulated by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of FIG. 5 becomes f 3 , and thus, for the same second transmitted symbol. Modulated at a frequency of f 3 .

이상과 같이, N = 2 즉, 주파수 톤을 2개 추가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조 상태도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같은 심벌이 전송된다 할지라도 동일 주파수가 연속적으로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도 3(c) 와 동일한 심벌 타이밍 정보를 얻게 되고, 따라서 복조기 동기부의 동기 획득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dulation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N = 2, that is, two frequency tones are added, even if the same symbol is transmitted continuously, the same frequency is not generated continuously. The same symbol timing information as 3 (c) is obtained, and thus th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erformance of the demodulator synchronizer can be greatly improved.

이상의 내용은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동 업계에 종사하는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명백히 한다.The foregoing has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it is obvious that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M 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은, 디지털 통신 시 동일한 심벌이 연속해서 전송될 경우에도 항상 다른 주파수로 천이되어 변조되도록 함으로써, 복조기 동기부에서의 동기 획득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shifts and modulates a different frequency even when the same symbol is continuously transmitted during digital communication, thereby improving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erformance in the demodulator synchronizer. It can greatly improve.

또한, 본 발명의 M 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식은, 복조기 동기부에서의 동기 획득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간단한 변복조 구조 및 프레임 구조를 갖는 매우 효율적인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복조시스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schem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matically improve th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performance in the demodulator synchronizer, thereby enabling the use of a highly efficient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 demodulation system having a simpl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tructure and a frame structure. Can be.

Claims (2)

디지털 통신 시 전송되는 심벌에 따라 상기 심벌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천이하여 변조하는 M 진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법으로서,An M-ary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for shifting and modulat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symbol according to a symbol transmitted during digital communication, (M + N)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고(N 은 1 이상의 정수),Using (M + N) frequencies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이전의 주파수와 현재 전송되는 심벌에 기초하여 천이 변조되는 주파수가 결정되며, 전송되는 매 심벌 마다 항상 다른 주파수로 천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 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법.A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to which the transition is modulat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evious frequency and the currently transmitted symbol. 제 1 항의 M 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방법을 채용한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복조 시스템.A frequency shift keying demodulation system employing the M-ary state transitio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of claim 1.
KR1020050084018A 2005-09-09 2005-09-09 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frequency shift key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663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018A KR100663137B1 (en) 2005-09-09 2005-09-09 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frequency shift keying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018A KR100663137B1 (en) 2005-09-09 2005-09-09 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frequency shift keying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137B1 true KR100663137B1 (en) 2007-01-02

Family

ID=3786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018A KR100663137B1 (en) 2005-09-09 2005-09-09 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frequency shift key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13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491A (en) 2002-05-01 2003-11-14 Futaba Corp Multilevel fsk modul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491A (en) 2002-05-01 2003-11-14 Futaba Corp Multilevel fsk modul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467B1 (en) Reception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ignals
JP4397964B2 (en)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apparatus
JP3289610B2 (en) OFDM demodulator and method
KR100346205B1 (en) Ofdm/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ilot tone inserting and detecting apparatus
JPH10190609A (en) Orthogonal frequency multiplex modulated signal demodulating method
KR970060768A (en) OFDM transmitter and OFDM receiver
US11245434B2 (en) Low power long-range radio
KR100663137B1 (en) M-ary state shift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of a demodulator, and frequency shift keying system using the same
EP2090049A1 (en) Amplitude-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0269930A (en) Synchronization system for multi-carrier receiver, synchronizing circuit for multi-carrier receiver, and multi-carrier receiver
JP4129271B2 (en)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apparatus
EP1267534A1 (en) Digital modul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4397951B2 (en)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apparatus
CN100440763C (en) Synchronous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transmitter, and method of inserting guard spacing in symbol
JP3531827B1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JP3531830B1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KR100226700B1 (en) Circuit for detecting synchronization in ofdm receiving system
JP3518739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receiving method
JP3761068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ignal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JP3518763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receiving method
JP3518755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receiving method
JP3531823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JP3531829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JP3518760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receiving method
JP3531832B2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