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992B1 -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동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동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992B1
KR100662992B1 KR1020050123217A KR20050123217A KR100662992B1 KR 100662992 B1 KR100662992 B1 KR 100662992B1 KR 1020050123217 A KR1020050123217 A KR 1020050123217A KR 20050123217 A KR20050123217 A KR 20050123217A KR 100662992 B1 KR100662992 B1 KR 100662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integrated circuit
driving integrat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992B1/ko
Priority to JP2006112575A priority patent/JP4392000B2/ja
Priority to US11/637,779 priority patent/US7843135B2/en
Priority to EP06126057A priority patent/EP1798771A3/en
Priority to CN200610162372XA priority patent/CN198362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includ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집적회로가 봉지기판 내에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이 제공되고;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집적회로(DRIVER IC)를 구비하며,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밀봉하는 봉지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구동집적회로 , 봉지기판, 흡습층

Description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동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Driver IC of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종래의 COG 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범프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 기판 120 : 유기 발광다이오드
130 : 구동집적회로 140 : 봉지기판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집적회로가 봉지기판으로 밀봉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전극 사이에 유기발광층을 위치시켜, 양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한 쪽 전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다른 쪽 전극에서 주입된 정공이 유기발광층에서 결합하고, 이때의 결합을 통해 발광층의 발광 분자가 일단 여기된 후 기저상태로 돌아가면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빛으로 발광시키는 평판표시장치의 하나이다.
이러한 발광 원리를 가지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시인성이 우수하고, 경량화, 박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저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구동집적회로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구동집적회로를 최근 기판상에 직접 실장하는 방식, 즉 칩온글래스(COG : Chip On Glass)방식이 보급되고 있고, 도 1은 이러한 COG방식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크게 기판(10), 유기 발광다이오드, 봉지기판(20), 구동집적회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기판(10) 상의 제 1 영역에 유기 발광다이오드(20)가 구비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에 신호라인을 전달하는 구동집적회로(30)가 제 2 영역에 구비된다. 이 때, 봉지기판(40)은 화소영역상의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밀봉하는 데, 유기발광층은 수분에 취약하여 유기발광층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봉지구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COG타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구동집적회로가 이물질, 오염, 습기로 인해 유발되는 부식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집적회로의 장착구조를 변경하여, 보다 구동집적회로의 부식을 방지하고 동시에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감소시키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신호라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집적회로(DRIVER IC)가 장착되며,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구동집적회로를 밀봉하는 봉지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라인이 형성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구동집적회로를 장착한 봉지기판으로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밀봉하면서, 상기 신호라인의 종단에 형성된 패드전극에 를 COG법으로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120)를 포함하는 기판(110), 및 구동집적회로(130)를 장착한 봉지기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판(110)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120)는 서로 대향한 한 쌍의 전극과, 상기 전극들 사이에 게재된 것으로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이 때,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수동구동형 또는 능동구동형의 어느 형태를 취하든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재 료, 구성등은 제한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120)는 후술할 (130)와 신호라인으로 연결되는데, 유기 발광다이오드(120)와 (130)를 연결하는 신호라인은 스캔신호를 전달하는 스캔라인(123)과,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라인(125)이 있다. 신호라인(123, 125)의 각 종단에는 구동집적회로(130)와의 접촉을 위한 패드전극(미도시)을 형성된다.
신호라인(123, 125)은 다양한 방법으로 기판상에서 연장되어 구동집적회로(130)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라인(125)은 유기 발광다이오드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130)로 연결되고, 스캔라인(123)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데이터라인이 연결되는 (130)의 반대측으로 연결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기판(140)은 종래 유기 발광다이오드(120)만을 밀봉한 것과 달리 구동집적회로(130)가 장착되며, 장착되는 구동집적회로(130)를 외부로부터 밀봉한다. 구동집적회로(130)는 봉지기판(140)에 다양한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는데, 예컨데, 봉지기판(140)에 리브를 형성하여 리브사이에 억지끼움으로 장착하거나, 접착제등으로 장착할 수 있고, 당업자의 다양한 변경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구동집적회로(130)가 장착되는 부분의 봉지기판(140)에는 상기 구동집적회로(130)의 두께보다 두꺼운 길이의 보호돌기(14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돌기(141)는 기판(110)과 봉지기판(140)이 접촉할 때, 구동집적회로(130)로 가해질 수 있는 외력으로부터 구동집적회로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구동집적회로(130)는 데이터신호, 스캔신호 및 아이콘 신호들을 전달하는 신 호라인으로 전기적으로 유기 발광다이오드에 연결되는데, 유기 발광다이오드(120)의 화소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소자가 형성될 경우 이는 반도체 소자의 소스 또는 드레인 및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한편,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도면으로 구동집적회로가 기판상에 형성되는 패드부 및 신호선을 나타내는데, 이에 따르면, 구동집적회로(130)는 패드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범프들(133, 135)를 구비한다. 패드전극과 구동집적회로(130)의 범프(133, 135)들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패드전극과 범프(133, 135) 사이에 이방성 도전필름등의 도전물질이 게재되어 유기 발광다이오드(120)와 구동집적회로(1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집적회로(1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구동집적회로(130)는 신호라인의 종류에 따라 별개로 제어하거나, 신호라인을 특정수만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집적회로(130)는 외부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입력라인(140)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봉지기판(140)의 재료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봉지기판(140)은 캡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형의 경우, 봉지기판(140)과 밀착하게될 기판의 가장자리부가 돌출되어 봉지기판과 기판 사이에 위치하게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될 공간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봉지기판(140)과 기판(1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질소-리치(rich) 상태로 형성되거나, 아르곤 등의 불활성기체로 충전되어 산소 분 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봉지기판(140)과 기판(110)사이의 접착제는 열경화형, 화학경화형, 자외선경화형등의 재료가 있으며, 비제한적이나 경화성이 높은 자외선경화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봉지수단에는 흡습재(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흡습재(150)는 봉지기판(140)과 기판(110)사이의 공간에 침투한 수분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황산염, 금속 과염소산염 및 오산화인등이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폴리머 나노 파티클 층(pnpl)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110) 상의 제 1 영역에 유기 발광다이오드(120) 및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120)의 제 1 및 제 2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라인을 형성한다. 이 때, 신호라인(123, 125)의 종단에는 구동집적회로(13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패드전극를 형성한다. 신호라인(123, 125)은 제 1 영역의 유기 발광다이오드(120)에서 제 2 영역의 구동집적회로(130)로 연결되는데, 도 3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라인(125)이 제 1 영역에 가까운 측으로 연장되고, 스캔라인(123)이 양측으로 분할되면서 연장되어, 제 1 영역에 먼 측으로 반원을 그리면서 연장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구동집적회로(130)를 장착한 봉지기판(140)으로 유기 발광다이오 드(120)를 밀봉한다. 밀봉시에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데, 접착제를 바르고, 봉지기판(140)을 덮은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패드전극와 대향되는 범프(133, 135)를 구비한 구동집적회로(130)가 상기 패드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COG법). 즉, 패드전극 상에 도전볼과 이를 함유한 수지로 이루어진 이방성 도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위치시키고, 구동집적회로(130)를 패드전극에 압착시킨다. 이로써, 구동집적회로(130)의 저면에 구비된 범프(133, 135)는 도전물질을 통해 패드전극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을 기준으로 주로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예컨데, 스캔라인이 일측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고, 구동집적회로가 다수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구동집적회로가 있는 방향으로 여러방법으로 연장되면서 형성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COG법으로 구동집적회로를 실장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유기발광다이오드 뿐만아니라, 구동집적회로를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집적회로를 봉지기판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기구적인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켜, 기판 내 셀수를 증가시키고 이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 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10)

  1.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된 기판;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신호라인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집적회로(DRIVER IC)가 장착되며,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구동집적회로를 밀봉하는 봉지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에는 상기 구동집적회로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보호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집적회로는 상기 봉지기판에 접착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의 종단에는 전극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집적회로는 상기 각 전극패드에 연결되는 범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와 상기 전극패드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필름이 구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집적회로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은 스캔신호를 전달하는 스캔라인,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라인은 상기 구동집적회로의 근접한 범프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라인은 상기 구동집적회로의 먼 범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에는 흡습제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0.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라인이 형성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구동집적회로를 장착한 봉지기판으로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밀봉하면서, 상기 신호라인의 종단에 형성된 패드전극에 구동집적회로를 COG법으로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50123217A 2005-12-14 2005-12-14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동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KR10066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217A KR100662992B1 (ko) 2005-12-14 2005-12-14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동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JP2006112575A JP4392000B2 (ja) 2005-12-14 2006-04-14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の駆動集積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37,779 US7843135B2 (en) 2005-12-14 2006-12-13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6126057A EP1798771A3 (en) 2005-12-14 2006-12-1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0610162372XA CN1983624B (zh) 2005-12-14 2006-12-14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制造该显示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217A KR100662992B1 (ko) 2005-12-14 2005-12-14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동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992B1 true KR100662992B1 (ko) 2006-12-28

Family

ID=3781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217A KR100662992B1 (ko) 2005-12-14 2005-12-14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동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43135B2 (ko)
EP (1) EP1798771A3 (ko)
JP (1) JP4392000B2 (ko)
KR (1) KR100662992B1 (ko)
CN (1) CN19836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848B1 (ko) * 2006-11-03 2007-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923924B2 (en) * 2007-04-03 2011-04-12 Tsinghua Universit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source with anode and cathode leads
KR100840091B1 (ko) * 2007-08-17 2008-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JP2009070597A (ja) * 2007-09-11 2009-04-02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
TW200950178A (en) * 2008-01-30 2009-12-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LED lighting device
US20110069049A1 (en) * 2009-09-23 2011-03-24 Open Labs, Inc. Organic led control surface display circuitry
KR101811341B1 (ko) * 2010-12-09 2017-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3904096B (zh) * 2012-12-27 2018-02-2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双面oled显示面板及制造方法
CN105405864B (zh) * 2015-12-08 2019-05-17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封装方法
KR101889468B1 (ko) * 2016-07-19 2018-09-2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효율의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친환경 미생물 슬러지를 이용한 연속 회분식 활성 슬러지법에 의한 오염 해수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766A (ja) 1998-09-30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0275B1 (en) * 1993-09-20 2005-12-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optical device
JPH10268361A (ja) * 1997-03-27 1998-10-09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29567B1 (ko) 1997-08-08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집적회로및이를포함하는표시장치
US6528357B2 (en) * 1998-03-13 2003-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manufacturing array substrate
US6833668B1 (en) 1999-09-29 2004-12-21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a desiccant
JP2003523046A (ja) * 1999-12-17 2003-07-29 オスラム オプト セミコンダクタ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有機led装置
KR100477101B1 (ko) 2000-10-06 2005-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2002287653A (ja) 2001-01-19 2002-10-04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90157B2 (en) 2001-09-21 2003-07-08 Eastman Kodak Company Sealing structure for highly moisture-sensitive electronic device element and method for fabrication
US20030197475A1 (en) * 2002-04-04 2003-10-23 Makoto Takamura Flat-pane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JP4050972B2 (ja) 2002-10-16 2008-02-2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4526771B2 (ja) * 2003-03-14 2010-08-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0591798B1 (ko) 2003-06-27 2006-06-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능동 구동형 유기 전계발광 소자 패널
TWI223219B (en) * 2003-10-17 2004-11-01 Delta Optoelectronics Inc Organic electroluminance display panel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495644B2 (en) * 2003-12-26 2009-02-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0615212B1 (ko) * 2004-03-08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US7764012B2 (en) * 2004-04-16 2010-07-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reduced frame portion, manufacturing method with improve productivity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US7679591B2 (en) * 2004-07-09 2010-03-16 Au Optronics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7916263B2 (en) * 2004-12-02 2011-03-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766A (ja) 1998-09-30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83624B (zh) 2011-05-11
US20070132376A1 (en) 2007-06-14
JP2007164124A (ja) 2007-06-28
US7843135B2 (en) 2010-11-30
EP1798771A3 (en) 2011-05-04
EP1798771A2 (en) 2007-06-20
JP4392000B2 (ja) 2009-12-24
CN1983624A (zh)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992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동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KR10072211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073280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45244B1 (ko) 연성 표시소자
KR1010942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8424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0029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68380A (ko)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1420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9119448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9093443B2 (en) Tape packag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476030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72447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08886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399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8615820B (zh) Oled显示装置
KR10146815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US11991896B2 (en) Display panel having second substrate with barrier structure for defining open spaces that adjoin adhesive layer
KR10067376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1500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CN114761867A (zh)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3543397A (zh) 有机el器件
KR20020051700A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KR20170014709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4141847B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