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589B1 -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589B1
KR100661589B1 KR1019990041377A KR19990041377A KR100661589B1 KR 100661589 B1 KR100661589 B1 KR 100661589B1 KR 1019990041377 A KR1019990041377 A KR 1019990041377A KR 19990041377 A KR19990041377 A KR 19990041377A KR 100661589 B1 KR100661589 B1 KR 10066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exchange
trunk line
switching
subscriber
off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878A (ko
Inventor
이주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589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발신측 국설교환기의 가입자가 착신측 가입자를 호출하면, 상기 착신측 가입자의 오프넷 전환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오프넷 전환이 선택되면, 상기 착신측 국설교환기에서 발신측 국설교환기로 ISDN의 D 채널에 사용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환 및 목적지 국선번호"를 보내고, 상기 발신측 국설교환기는 해당 국선을 재발신하여 상기 착신측 국설교환기로의 국선을 해제한 후 "목적지 전화번호"를 발신하고, 상기 착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는 오프넷에서 호출을 받고 이동단말기로 통화한 다음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발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발신 국선을 해제함으로써, 이동단말기로 오프넷 전환시 전환시킨 국설교환기에서 외부 통화가 종료할 때까지 국선 두 개를 계속적으로 점유하지 않음으로서 국설교환기의 국선 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Method for converting offnet by non-occupancy of central office line in virtual private network}
도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사설교환망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종래의 오프넷 전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교환망의 블록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설교환망 20 : 국설교환기
30 : 이동단말기
본 발명은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교환망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기업네트워크에서 착신된 국선을 외부로 전환시 전환시키는 국설교환기의 국선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전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이동단말기로 전환시 외부 통화가 종료할 때까지 국선 두 개를 계속적으로 점유함으로서 국설교환기의 국선 사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사설교환망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0은 사설교환망이고, 20은 상기 사설교환망(10) 내의 국설교환기이며, 30은 이동단말기이다.
도2는 종래의 오프넷 전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지점에 있는 국설교환기의 가입자가 다른 지점에 있는 가입자를 호출하면, 상기 다른 지점의 가입자의 오프넷 전환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T1)(ST2)와; 상기 다른 지점의 가입자의 오프넷 전환이 선택되지 않으면, 링착신을 수행하는 단계(ST3)와; 상기 다른 지점의 가입자의 오프넷 전환을 수행하고자 하면, 상기 다른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새로운 국선을 점유한 다음 전환국선번호로 발신하는 단계(ST4)와; 상기 다른 지점의 국설교환기 가입자는 오프넷에서 호출을 받고 이동단말기(30)로 통화하고, 상기 다른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는 국선을 계속 통화중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T5)와; 상기 한 지점 또는 다른 지점의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다른 지점의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착신과 발신 국선을 해제하는 단계(ST6)(ST7)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ISDN 국선으로 사설교환망을 구성하여, 도1과 같이 A 지점과 B 지점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래서 A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가 B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를 호출한다(ST1).
B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가 부재중이고 외부의 전화번호로 전환이 가능하면, B 국설교환기에서 새로운 국선을 점유하여 전화번호를 다이얼한다(ST2 ~ ST4).
이에 따라 B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는 오프넷에서 호출을 받고 통화를 하게 되고, 통화가 연결되면 전환시키는 자를 끊게 된다. 이때 B 지점의 국설교환기에서는 외부의 두 명의 사용자가 통화 종료시까지 국선이 계속 통화중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ST5).
그리고 A 또는 B 지점의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B 국설교환기의 착신과 발신국선이 해제되게 된다(ST6)(ST7).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외부에서 국선이 착신되어 내부 가입자가 외근중이어서 착신 국선을 이동단말기(30) 등으로 전환시키고자 할 때 새로운 국선을 점유하여 발신하여 전환시키는데, 이 때 국설교환기의 두 개의 국선은 외부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계속 통화중 상태가 되어 국선 사용의 효율을 불필요하게 저하시키며 새로운 국선을 호출로 인한 통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 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교환망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기업네트워크에서 착신된 국선을 외부로 전환시 전환시키는 국설교환기의 국선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전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이동단말기로 전환시 외부 통화가 종료할 때까지 국선 두 개를 계속적으로 점유함으로서 국설교환기의 국선 사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은,
사설교환망에서 발신측 국설교환기의 가입자가 착신측 가입자를 호출할 경우 착신측 가입자의 오프넷 전환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단계중에 판별한 결과 오프넷 전환이 선택되었을 경우 착신측 국설교환기에서 발신측 국설교환기로 ISDN의 D 채널에 사용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환 및 목적지 국선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측 국설교환기가 해당 국선을 재발신한 다음 상기 착신측 국설교환기로의 국선을 해제한 후 "목적지 전화번호"를 발신하는 발신단계와;
상기 발신단계후에 착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가 오프넷에서 호출을 받고 이동단말기로 통화한 다음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었을 경우 상기 발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발신 국선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교환망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0은 사설교환망이고, 20은 상기 사설교환망(10) 내의 국설교환기이며, 30은 이동단말기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 국설교환기의 가입자가 착신측 가입자를 호출하면, 상기 착신측 가입자의 오프넷 전환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T11)(ST12)와; 상기 오프넷 전환이 선택되면, 상기 착신측 국설교환기에서 발신측 국설교환기로 ISDN의 D 채널에 사용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환 및 목적지 국선번호"를 보내고, 상기 발신측 국설교환기는 해당 국선을 재발신하여 상기 착신측 국설교환기로의 국선을 해제한 후 "목적지 전화번호"를 발신하는 단계(ST14)(ST15)와; 상기 착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는 오프넷에서 호출을 받고 이동단말기로 통화한 다음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발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발신 국선을 해제하는 단계(ST16 ~ ST18)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ISDN 국선으로 사설교환망을 구성하여, 도3과 같이 A 지점과 B 지점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래서 A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가 B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를 호출한다(ST11).
이때 B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가 부재중이고, 외부의 전화번호로 전환이 가능하면 오프넷 전환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링착신을 수행한다(ST12)(ST13).
그래서 B 지점의 국설교환기에서 A 지점의 국설교환기로 ISDN의 D 채널에 사용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환 및 목적지 국선번호"를 보낸다(ST14). 그리고 A 지점의 국설교환기는 해당 국선을 재발신(국선 해제 후 재점유)하여 B 지점의 국설교환기로의 국선을 해제한 후 "목적지 전화번호"를 발신한다(ST15).
그러면 B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는 이동단말기(30)에 의해 오프넷에서 호출을 받고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ST16).
그리고 A 또는 B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A 지점의 국설교환기의 발신 국선을 해제하게 된다(ST17)(ST18).
이처럼 본 발명은 사설교환망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기업네트워크에서 착신된 국선을 외부로 전환시 전환시키는 국설교환기의 국선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프넷 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은 착신 국선을 외부로 전환시 착신된 국설교환기의 국선을 사용하지 않고 오프넷 전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착신된 국설교환기의 국선 사용 효율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국선 발신을 하지 않음으로써 전화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사설교환망에서 발신측 국설교환기의 가입자가 착신측 가입자를 호출할 경우 착신측 가입자의 오프넷 전환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단계중에 판별한 결과 오프넷 전환이 선택되었을 경우 착신측 국설교환기에서 발신측 국설교환기로 ISDN의 D 채널에 사용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환 및 목적지 국선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측 국설교환기가 해당 국선을 재발신한 다음 상기 착신측 국설교환기로의 국선을 해제한 후 "목적지 전화번호"를 발신하는 발신단계와;
    상기 발신단계후에 착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가 오프넷에서 호출을 받고 이동단말기로 통화한 다음 상기 발신측 또는 착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었을 경우 상기 발신측 국설교환기 가입자의 발신 국선을 해제하는 해제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
KR1019990041377A 1999-09-27 1999-09-27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 KR10066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377A KR100661589B1 (ko) 1999-09-27 1999-09-27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377A KR100661589B1 (ko) 1999-09-27 1999-09-27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878A KR20010028878A (ko) 2001-04-06
KR100661589B1 true KR100661589B1 (ko) 2006-12-27

Family

ID=1961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377A KR100661589B1 (ko) 1999-09-27 1999-09-27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5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878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5563B2 (ja) データ網通信通話の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網通信通話処理用ネットワークノード
EP0830795A2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mobility adjunct for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KR20000013749A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의호제어방법및그장치
KR100520370B1 (ko) 사설 교환기를 이용한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9980077411A (ko) 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시 발신자 이름 표시 방법
US20060094451A1 (en) Method of setting phon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H1050416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話確立方法
KR100661589B1 (ko) 사설교환망에서 국선 비점유에 의한 오프넷 전환방법
KR100228310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선택적 착신 전환 방법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20000030071A (ko) 구내 무선통신용 착/발신 장치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KR20020055847A (ko) 데이터 서비스에서 음성 서비스로의 호 전환 방법
KR100365734B1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 다이얼 톤 송출 방법
KR100674335B1 (ko) 지능망에서 통화자간 자동연결 방법
KR20010045585A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서 내선기능을 갖는 가입자접속장치
KR20020012987A (ko) 유무선 복합 사설망의 호 다중착신방법
JPH0964983A (ja) Isdn中継線による付加情報転送サービス方法
KR100329458B1 (ko) 사설교환기의 시시비에스기능 구현방법
KR100302335B1 (ko) 사설교환 시스템의 큐 시그널링을 이용한 국선 공유 방법
KR100464801B1 (ko) 무선가입자망의 가입자 접속장치 식별방법
KR20050117875A (ko) 유엠티에스 시스템에서 안내방송을 이용한 공중망단말기와의 서비스 처리 방법
KR20020068438A (ko) 웹폰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호와 전화망 호 간의 외부 호포워딩방법
KR19980044340A (ko) R2mfc신호를 이용한 사설교환망 및 그 운용방법
WO2001095643A1 (en) Call progress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