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669B1 - 복강경용 투관기 - Google Patents

복강경용 투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669B1
KR100659669B1 KR1020050084000A KR20050084000A KR100659669B1 KR 100659669 B1 KR100659669 B1 KR 100659669B1 KR 1020050084000 A KR1020050084000 A KR 1020050084000A KR 20050084000 A KR20050084000 A KR 20050084000A KR 100659669 B1 KR100659669 B1 KR 10065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aling plate
base plate
housing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철
류호길
Original Assignee
비앤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알(주) filed Critical 비앤알(주)
Priority to KR102005008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19Sealing means between cannula and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용 투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안내관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밸브안착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밸브안착부에 배치되어 안내관으로 가스나 수술기구 등의 유입을 허용하고 내부의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 상부에 배치되어 안내관으로 관체의 진입을 안내하는 관체가이드; 및 상기 관체가이드를 덮어씌워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체가이드는 상기 체크밸브의 상면을 덮어씌우고 중앙에 안내공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 상면에 배치되며 중앙에 관체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밀착공이 실링판본체에 형성된 실링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복강 내부로 가스나 수술기구 등의 유입이 원활하게 되고, 수술 중에는 복강 내부에서 외부로 가스누출을 완벽히 차단하면서도 수술기구의 움직임 등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관체가이드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부품수가 대폭 감소됨으로써 투관기의 상단부 부피를 상당히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작업 및 제조공수 등이 수월해지는 동시에 전반적으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복강경용 투관기, 하우징, 체크밸브, 베이스판, 실링판

Description

복강경용 투관기 {Troca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강경용 투관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용 투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용 투관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용 투관기 내로 삽입된 관체가 유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안내관
1b : 밸브안착부 2 : 체크밸브
2a : 슬릿공 3 : 반구형밸브
3a : 밀착관통공 4 : 밸브실링재
5 : 상부덮개 6 : 하부덮개
7 : 관체 10 : 하우징
12 : 안내관 12a : 관통공
13 : 상통 13a : 나사산
14 : 밸브안착부 14a : 지지돌기
15 : 하통 15a : 나사산
16 : 손잡이 20 : 체크밸브
22 : 밸브안착턱 24 : 슬릿공
30 : 관체가이드 40 : 베이스판
42 : 안내공 50 : 실링판
52 : 밀착공 54 : 실링판테두리
60 : 하우징커버 60a : 중공
본 발명은 복강경용 투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강 내부로 가스나 수술기구 등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수술 중에도 복강 내부에서 외부로 가스누출이 완벽히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투관기 내의 수술기구의 움직임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강경용 투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개복 수술과는 달리 복강경 수술은 복강경용 투관기(트로카 : trocar)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부에 미소 절개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복강경용 투관기를 복부 내부로 삽입한 후, 복부 등 내부에 가스를 불어 넣어 기복을 만들어 수술 공간을 확보한 다음, 상기 복강경용 투관기를 통해 내시경 등 다양한 수술기구를 복강 내의 수술부위로 투입시켜 상기 내시경을 통해 수술부위를 관찰해 가면서 시술하는 방식으로, 담낭 절제술, 담도 결석 제거술, 간결석 제거술, 충수돌기 절제술 및 일반외과수술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복강경 수술은 각종 장기 수술시 복부를 절개하지 않고 복부 표면에 조그마한 절개부를 형성하여 복강경 투관기를 삽입한 후 다양한 수술기구를 투입시켜 시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술시간이 짧고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복강 내부가 외부의 공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트로카는 내시경 수술에 사용되는 장비의 하나로서, 환자의 피부를 관통하여 복강 내부로 삽입된 후 인체 내부로 소형카메라와 수술기구를 투입하거나 세척수 및 가스를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일례로, 종래기술의 복강경용 투관기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복강경용 투관기는 안내관(1a)과 밸브안착부(1b)가 구비된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밸브안착부(1b)에 배치되며 하단부에 슬릿공(2a)을 갖는 체크밸브(2)와, 이 체크밸브(2) 상부에 배치되어 수술기구 등의 관체(7)를 가이드하고 중앙에 밀착관통공(3a)이 형성된 반구형밸브(3)와, 이 반구형밸브(3)와 체크밸브(2)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실링재(4) 및 상기 반구형밸브(3)를 상하방으로 덮어씌우는 상, 하부덮개(5,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은 수술기구 등의 관체(7)가 반구형밸브(3)의 밀착관통공(3a)을 통해 체크밸브(2)의 슬릿공(2a)으로 안내되면 이 체크밸브(2)의 슬릿공(2a)이 관체(7)의 직경에 맞게 벌어지면서 복강 내부로 관체(7)가 진입되도록 되고, 이후 수술 도중 상기 관체(7)가 전후좌우로 요동할 경우, 이 관체(7)의 요동에 따라 반구형밸브(3)가 밸브실링재(4)와 밀착된 상태로 요동하면서 관체(7)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체크밸브(2)는 복강 내부로의 관체(7) 진입이나 가스 공급 전에는 슬릿공(2a)이 밀폐되어 있다가 관체(7)나 가스가 공급되면 벌어지게 되고, 또한, 관체(7) 교환시 관체(7)를 외부로 뽑아내면 다시 닫혀 복강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한편, 상기 반구형밸브(3)는 관체(7) 등 수술기구가 복강 내로 투입되었을 때 벌어져 있는 체크밸브(2)의 슬릿공(2a)을 통해 누출되는 복강 내의 가스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수술기구가 전후좌우로 요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복강경용 투관기는 관체가이드인 반구형밸브(3)가 상하로 폭이 큰 반구형 볼(bowl) 형상으로 되어 있어 그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이 반구형밸브(3)는 관체(7)의 요동시 상하방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 반구형밸브(3)의 배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하우징(1)의 상단부 부피가 커지게 되고, 또한, 상기 반구형밸브(3)를 설치하기 위해서 밸브실링재(4) 및 상, 하부덮개(6) 등 많은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이에 따른 부품비용의 상승과 제조작업 및 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복강 내부로 가스나 수술기구 등의 유입이 원활하게 되고, 수술 중에는 복강 내부에서 외부로 가스누출을 완벽히 차단하면서도 수술기구의 움직임 등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관체가이드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부품수가 대폭 감소됨으로써 투관기의 상단부 부피를 상당히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작업 및 제조공수 등이 수월해지는 동시에 전반적으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복강경용 투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강경용 투관기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안내관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밸브안착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밸브안착부에 배치되어 안내관으로 가스나 수술기구 등의 유입을 허용하고 내부의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 상부에 배치되어 안내관으로 관체의 진입을 안내하는 관체가이드; 및 상기 관체가이드를 덮어씌워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체가이드는 상기 체크밸브의 상면을 덮어씌우고 중앙에 안내공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 상면에 배치되며 중앙에 관체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밀착공이 실링판본체에 형성된 실링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용 투관기에서 상기 실링판은 수술기구 등 밀착공으로 관통된 관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유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판과 분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용 투관기에 있어서, 상기 실링판의 테두리에는 실링판테두리가 실링판본체보다 두껍게 설치되며, 이 실링판테두리의 직경은 베이스판상에서 유동되는 동안 이 베이스판의 안내공이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씌우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용 투관기에 있어서, 상기 실링판테두는 원형링 형상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용 투관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안착부 테두리에 체크밸브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용 투관기는 안내관(12)과 밸브안착부(14)가 구비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밸브안착부(14)에 배치되는 체크밸브(20)와, 이 체크밸브(20) 상부에 배치되는 관체가이드(30) 및 이 관체가이드(30)를 덮어씌우는 하우징커버(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수술기구 등의 관체(7)가 관통될 수 있게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2a)을 갖는 안내관(12)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밸브안착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안착부(14) 테두리에는 체크밸브(2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돌기(14a)는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손잡이(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은 그 상단부가 원통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원통체는 상통(13)과 하통(15)으로 분리되며, 이 상통(13)의 하단 외주면에 나사산 (13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통(15)의 내주면에 나사산(15a)이 형성되어 이들 나사산(13a,15a)들이 서로 나사 체결되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안착부(14)는 상통(13)의 상단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16)는 하통(15)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20)는 하우징(10)의 밸브안착부(14)에 배치되어 안내관(12)으로 가스나 수술기구 등의 유입을 허용하고 내부의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부가 넓고 하단이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그 상단부에는 밸브안착부(14)에 안착되도록 하는 도우넛 형상의 밸브안착턱(22)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는 관체 등의 수술기구가 통과할 때 벌어졌다가 이 관체가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밀착되는 신축성을 갖는 슬릿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체가이드(30)는 체크밸브(20) 상부에 배치되어 안내관(12)으로 관체(7) 등 수술기구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관체가이드(30)는 체크밸브(20)의 상면을 덮어씌우고 중앙에 안내공(42)이 형성된 베이스판(40)과, 이 베이스판(40) 상면에 배치되며 중앙에 관체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밀착공(52)이 형성된 실링판(5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관체가이드(30)의 실링판(50)은 수술기구 등 밀착공(52)으로 관통된 관체(7)의 전후좌우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40) 상에서 유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판(40)과 분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체가이드(30)의 실링판(50)의 실링판본체(51)은 밀착공(52) 을 통해 각각 직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관체(7)가 틈새 없이 밀착된 상태로 관통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탄성고무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 실링판(50)의 테두리에는 베이스판(40) 상면과 하우징커버(60)의 저면에 각각 밀착되어 베이스판(40)의 안내공(42)으로부터 상방으로 만에 하나 누출될 수 있는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실링 기능을 갖는 경질의 실링판테두리(54)이 설치되어 있으며, 실링판테두리(54)는 실링판본체(51)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이 실링판테두리(54)의 직경은 수술기구 등의 조작에 따라 실링판(50)이 베이스판(40) 상에서 유동되는 동안 이 베이스판(40)의 안내공(42)이 실링판테두리(54) 외주면을 벗어나 이 실링판테두리(54)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공(42)을 충분히 덮어씌울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링판테두리(54)은 상통(13) 내주면의 원 형상에 대응해서 원형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외에도 원형에 제한되지 않고 베이스판(40)의 안내공(42)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우징커버(60)는 관체가이드(30)를 덮어씌워 하우징(10)의 상통(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중앙에는 수술기구 등 관체(7)가 관통되도록 하는 중공(60a)이 형성되어 있고, 특히, 상기 하우징(10)의 상통(13)에 결합되어 그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실링판(50)의 실링판테두리(54)이 베이스판(40) 상면에 밀착되어 실링기능을 수행하도록 가압하는 동시에 이 실링판테두리(54)이 관체(7)의 움직임에 따라 베이스판(40) 상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복강경용 투관기는 하우징(10)의 상통(13)과 하통(15)을 서로 나사 결합시키고, 상통(13)의 밸브안착부(14)에 체크밸브(20)를 안착시키며, 이 체크밸브(20) 상방으로 관체가이드(30)인 베이스판(40)과 실링판(50)을 순차적으로 배치한 후 하우징커버(60)를 덮어씌워 하우징(10)의 상통(13)에 결합시킴으로써 투관기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러한 복강경용 투관기는 우선 손잡이(16)를 이용하여 수술 대상자의 복부면에 안내관(12)의 하단부가 밀착되도록 지지시킨 후 상기 안내관(12)을 통해 커터(미도시)를 투입시켜 해당 복부면을 절개시키는 동시에 상기 투관기가 복강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커터를 제거한 다음 상기 투관기의 안내관(12)을 통해 복강 내부의 공간 확보용 개스를 투입시킬 수도 있고, 또한, 수술에 필요한 다양한 직경을 갖는 수술기구인 관체(7)를 투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관체(7)는 하우징커버(60)의 중공(60a)을 시작으로 실링판(50)의 밀착공(52)과, 베이스판(40)의 안내공(42)과, 체크밸브(20)의 슬릿공(24) 및 안내관(12)의 관통공(12a)을 따라 복강 내부로 안내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술 도중 필요한 수술기구를 교체할 경우에는, 투입되어 있던 관체(7)를 꺼내고 새로운 관체(7)를 투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기존 관체(7)가 투관기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체크밸브(20)의 슬릿공(24)이 닫히면서 복강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또한, 수술 중에는, 관체(7)의 관통에 의해 체크밸브(20)의 슬릿공(24)이 열려 있는 대신, 이 체크밸브(20)의 상방에서 관체 (7)의 전후좌우 움직임에 따라 실링판(50)이 유동되는 한편 이 실링판(50)의 밀착공(52)이 관체(7)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1차적으로 실링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실링판(50)의 실링판테두리(54)이 베이스판(40)의 안내공(42)을 밀폐시켜 2차적으로 긴밀하게 실링하여 복강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복강경용 투관기는 복강 내부로 가스나 수술기구 등의 유입이 원활하게 되고, 수술 중에는 복강 내부에서 외부로 가스누출을 완벽히 차단하면서도 수술기구의 움직임 등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관체가이드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부품수가 대폭 감소됨으로써 투관기의 상단부 부피를 상당히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작업 및 제조공수 등이 수월해지는 동시에 전반적으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5)

  1.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2a)을 갖는 안내관(12)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밸브안착부(14)가 구비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밸브안착부(14)에 배치되어 안내관(12)으로 가스나 수술기구 등의 유입을 허용하고 내부의 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0);
    상기 체크밸브(20) 상부에 배치되어 안내관(12)으로 관체의 진입을 안내하는 관체가이드(30); 및
    상기 관체가이드(30)를 덮어씌워 하우징(10)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체가이드(30)는 상기 체크밸브(20)의 상면을 덮어씌우고 중앙에 안내공(42)이 형성된 베이스판(40)과, 이 베이스판(40) 상면에 배치되며 중앙에 관체(7)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밀착공(52)이 실링판본체(51)에 형성된 실링판(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용 투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판(50)은 수술기구 등 밀착공(52)으로 관통된 관체(7)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40) 상에서 유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판(40)과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용 투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판(50)의 테두리에는 실링판테두리(54)가 실링판 본체(51)보다 두껍게 설치되며, 이 실링판테두리(54)의 직경은 베이스판(40) 상에서 유동되는 동안 이 베이스판(40)의 안내공(42)이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씌우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용 투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판테두리(54)은 원형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용 투관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안착부(14) 테두리에 체크밸브(2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용 투관기.
KR1020050084000A 2005-09-09 2005-09-09 복강경용 투관기 KR10065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000A KR100659669B1 (ko) 2005-09-09 2005-09-09 복강경용 투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000A KR100659669B1 (ko) 2005-09-09 2005-09-09 복강경용 투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669B1 true KR100659669B1 (ko) 2006-12-21

Family

ID=3781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000A KR100659669B1 (ko) 2005-09-09 2005-09-09 복강경용 투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6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672B1 (ko) 2009-01-16 2009-07-29 (주)다림써지넷 착탈 가능한 실링부재를 갖는 멀티채널 트로카
KR101004763B1 (ko) * 2008-09-04 2011-01-04 정현국 복강경용 투관침
KR101525126B1 (ko) * 2013-12-10 2015-06-02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조립체
KR101638284B1 (ko) * 2015-03-03 2016-07-08 김동준 복수천자용 배액 체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437A (ja) * 1992-05-29 1993-12-14 Daihatsu Motor Co Ltd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437A (ja) * 1992-05-29 1993-12-14 Daihatsu Motor Co Ltd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330437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63B1 (ko) * 2008-09-04 2011-01-04 정현국 복강경용 투관침
KR100909672B1 (ko) 2009-01-16 2009-07-29 (주)다림써지넷 착탈 가능한 실링부재를 갖는 멀티채널 트로카
KR101525126B1 (ko) * 2013-12-10 2015-06-02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조립체
KR101638284B1 (ko) * 2015-03-03 2016-07-08 김동준 복수천자용 배액 체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9363B2 (en) Arthroscopic cannula dams for fluid control
KR101151310B1 (ko) 복강경 투관침
KR100936926B1 (ko)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CN101396309B (zh) 具有凝胶和织物密封组件的手术造口组件
AU2008256789B2 (en) Seal assembly for a cannula
KR100659669B1 (ko) 복강경용 투관기
JP3135994U (ja) 弾性リングを備えたトロカール・カニューレ
KR101714765B1 (ko) 단일공 복강경 수술 개창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용 의료기기
JP2008507334A5 (ko)
KR101109675B1 (ko)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CN105030306B (zh) 穿刺器
CN103892892B (zh) 改良型穿刺器
KR100661060B1 (ko) 복강경용 투관기
CN108125707B (zh) 采用水封式结构的腹腔镜穿刺器
KR101317960B1 (ko) 트리플 리플렛 구조를 갖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트로카 장치
KR100786728B1 (ko) 복강경용 투관침
KR20130020233A (ko)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KR20120087641A (ko) 복강경 수술용 싱글포트
KR101142439B1 (ko) 복강경 수술용 싱글포트
KR100924928B1 (ko) 트로카의 밸브구조
KR20200068199A (ko) 클리닝 기능을 가진 트로카
JPH0654798A (ja) 腹腔内気体漏出防止具
KR101487087B1 (ko) 액체 분출 방지용 캐뉼러
CN209332126U (zh) 腔镜手术单孔多通道路入装置
CN106369215B (zh) 伸缩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