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940B1 -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940B1
KR100658940B1 KR1020040022364A KR20040022364A KR100658940B1 KR 100658940 B1 KR100658940 B1 KR 100658940B1 KR 1020040022364 A KR1020040022364 A KR 1020040022364A KR 20040022364 A KR20040022364 A KR 20040022364A KR 100658940 B1 KR100658940 B1 KR 10065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nchor
focus
inpu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705A (ko
Inventor
조경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04002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9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크업 언어로 작성되며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페이지 문서를 수신하여 브라우져 창에 표시하고, 그 표시 문서의 포커스를 방향키만으로 유저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방향키 입력을 검사하는 제1단계와, 방향키 입력이 일정 시간 지속되는 롱(long)키이면 포커스 설정되어 있는 현재 프레임에서 그 입력 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레임내의 앵커 또는 위짓(widget)으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입력된 방향키가 쇼트키이면 포커스 설정되어 있는 현재 프레임내에서 입력 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방향키, 프레임, 앵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KEY NAVIG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키 네비게이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정보 단말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프레임셋(frameset) 화면 구성 예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네비게이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프레임셋 화면 구성 예시도.
도 6은 액세스키 처리에 대한 프레임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인팅 장치가 없는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key navigation)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개발 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들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로서는 소위 핸드폰, 셀룰라 폰으로 불리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품 특성상 소형의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제약된 조작장치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일반 퍼스널 컴퓨터 혹은 포인팅 장치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와 같이 웹 문서 혹은 왑 문서의 서핑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일반적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왑(wap) 페이지를 예시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 제작된 마크업 언어의 문서는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페이지 형태로서 제공된다. 단일 페이지 형태를 가지는 문서에는 해당 페이지를 식별하기 위한 메인 타이틀정보가 보통 페이지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하위에는 메인 타이틀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의 서브타이틀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서 페이지를 브라우져 창에서 스크롤시킴으로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지내 최하위에 위치하는 서브타이틀까지 모니터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수많은 방향키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된다.
아울러 문서 페이지 하단부를 브라우져 창에 위치시킨 경우 상층에 위치하는 타이틀이 브라우져 창을 벗어나 있기 때문에, 현재의 문서 페이지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다시 수 많은 방향키를 조작하여 페이지를 상부로 스크롤시켜야 하는 불편함 이 있다.
또한 메인 타이틀의 집합체인 메뉴 역시 특정 페이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메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페이지를 로딩시킨후 그 하위에 있는 메인 타이틀의 페이지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을 가진 페이지내에서 방향키 입력에 맞게 효율적으로 포커스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서 최소한의 조작으로 페이지 네비게이션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네비게이션 방법은 마크업 언어로 작성되며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페이지 문서를 수신하여 브라우져 창에 표시하고, 그 표시 문서의 포커스를 방향키만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서,
방향키 입력을 검사하는 제1단계와;
방향키 입력이 일정 시간 지속되는 롱(long)키이면 포커스 설정되어 있는 현재 프레임에서 그 입력 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레임내의 앵커 또는 위짓으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입력된 방향키가 쇼트키이면 포커스 설정되어 있는 현재 프레임내에서 입력 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함을 특 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현재 프레임내에서 상기 입력 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앵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입력 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레임내의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입력 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레임이 복수일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높은 프레임내의 앵커로 포커스 이동하되, 상기 우선 순위는 프레임 생성순서에 따라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브라우져 창에는 상기 페이지 문서에서 발췌된 메뉴 정보와 메인 타이틀 정보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고정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에는 다수의 프레임이 포함되되 그 중 하나의 프레임에는 메인 타이틀 혹은 메뉴가 표시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정된 프레임에 위치하는 메인타이틀을 통해 자신이 위치한 페이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된 프레임에 위치하는 메뉴를 통해 편리하게 타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방향키 입력이 일정 시간 지속되는 롱(long)키일 경우 그 입력 키 방향으로 인접한 프레임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프레임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제되어야 할 부분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제공되는 페이지 문서가 마크업(Markup) 언어로 작성되며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두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페이지 문서의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 가능한 페이지 문서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무선 전송된 경우의 동작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키 네비게이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정보 단말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프레임셋(frameset) 화면 구성을 예시한 것이며, 도 4, 도 5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네비게이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프레임셋 화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 액세스키 처리의 우선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모바일 브라우져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무선 인터넷 접속 시도한다. 무선 인터넷 접속에 의해 브라우져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페이지 문서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문서를 브라우져 창에 표시한다. 바람직한 방법으로 상기 브라우져는 페이지 문서에서 메뉴정보를 발췌하여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우져 창의 일부인 고정 프레임 창에 표시한 다. 브라우져 창은 크게 스크롤되는 페이지 문서가 표시되는 스크롤 프레임 창과 상기 고정 프레임 창으로 구분되어진다. 상기 고정 프레임 창에는 메뉴 정보 혹은 타이틀 정보가 고정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정 프레임 창을 통해 쉽게 자신이 위치한 타이틀을 인지할 수 있음은 물론 타 페이지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 창은 브라우져 창의 상단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하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페이지 문서를 수신하여 표시한 브라우져는 방향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방향키 입력이 있으면 그 입력된 방향키가 롱(long)키인지 쇼트(short)키인지 판단(10단계)한다. 본 발명에서 롱(long)키라 함은 방향키 입력이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를 일컫는다.
만약 입력된 방향키가 롱(long)키이면, 브라우져는 포커스 설정되어 있는 현재 프레임에서 그 입력 키 방향으로 이동할 다음 프레임이 있는가를 판단(20단계)한다. 판단결과 그 입력 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레임이 존재한다면 그 인접 프레임내의 앵커로 포커스를 이동 설정(30 및 40단계)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프레임 1의 앵커 a에 포커스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방향키 " →"가 롱키 입력되었다면 브라우져는 포커스를 프레임 2의 앵커 b로 이동시킨다는 것이다. 롱키 입력시 그 입력 키 방향으로 이동할 다음 프레임이 없다면 일반적인 방법에서와 같이 그 키 방향으로 스크롤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만약 포커스 설정되어 있는 현재 프레임에서 그 입력 키 방향으로 이동할 다음 프레임이 없다면 브라우져는 새로운 방향키 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상기 10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된 방향키가 쇼트키이면, 브라우져는 5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프레임의 보이는 영역내에 그 입력 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요소, 즉 앵커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입력 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앵커가 존재하면 그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40단계)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프레임 1만이 브라우져 창에 표시되어 있고 현재 포커스가 앵커 c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방향키 " ↓"가 쇼트기 입력되었다면, 앵커 a로 포커스가 이동 설정된다는 것이다.
만약 50단계의 검사결과 브라우져 창에 표시된 영역내에 이동 가능한 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브라우져는 6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프레임이 스크롤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스크롤 처리 가능하다면 70단계로 진행하여 페이지 문서를 스크롤 처리한후 80단계로 진행하여 포커스 가능요소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포커스 가능요소인 앵커가 존재하면 그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40단계)하고, 앵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방향키 입력을 기다린다.
한편 60단계의 검사결과 현재 프레임의 스크롤이 불가능하다면 브라우져는 입력된 키 방향으로 다음 프레임이 존재하는가를 검사(90단계)하여 다음 프레임이 존재하면 30단계와 40단계를 거쳐 인접 프레임내의 앵커로 포커스를 이동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키 네비게이션 방법을 정리해 보면 크게 세 가지의 규칙을 갖는다.
그 첫 번째 규칙은, 기본적으로 방향키 입력에 따른 포커스 이동은 해당 프레임 내부에서의 이동을 첫 번째 우선 순위로 한다는 것이다. 즉, 동일 프레임내에서는 입력되는 키 방향으로 존재하는 앵커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이때 입력되는 키 방향으로 존재하는 앵커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상/하 방향으로 완전 중첩된 앵커를 최우선 순위로 하고, 완전 중첩되는 앵커가 없는 경우에는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일부 중첩된 앵커를 차우선 순위로 하여 포커스 이동 설정한다. 만약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일부 중첩하는 앵커가 없는 경우라면,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벗어난 관계에 위치하는 앵커의 경우에는, 두 앵커간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와 상/하 방향으로의 거리중 큰 거리를 나타내는 방향에 위치하는 앵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단말기 사용자가 느끼기에 합리적일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한편 두 번째 규칙은, 동일 프레임내에서 더 이상 포커스 이동할 앵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키와 관련된 인접 프레임내의 앵커로 포커스를 이동 설정한다는 것이다. 이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하나의 프레임 밑에 복 수의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즉, 상부 프레임에서 " ↓" 방향 키 입력이 있는 경우 그 방향으로 포커스 이동시킬 앵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하부에 존재하는 두 개의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으로 포커스를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현재 포커스가 있는 프레임의 앵커와 이동 가능한 프레임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최단거리에 있는 프레임으로 포커스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롱키를 정의함으로서 앵커의 경유 없이 직접 프레 임간 포커스 이동이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왑(wap) 액세스 키에 대한 우선 순위 부여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왑 액세스 키는 기본적으로 해당 프레임만을 대상 프레임으로 고려한다. 그러나 만약 입력된 키와 매칭되는 요소가 해당 프레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전체 페이지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프레임에 있는 왑 액세스키를 가지는 요소가 선택되도록 정하여 포커스를 이동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규칙과 고정 프레임 창을 통해서, 사용자는 방향키만으로 손쉽게 페이지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동일 페이지내에서 프레임간 이동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동일 프레임내에서도 포커스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프레임으로 페이지 문서를 구성함으로서, 롱키 조작에 따라 손쉽게 프레임간을 이동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메뉴, 타이틀과 같은 상위 항목을 브라우져 창의 일부 영역에 고정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로의 이동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동일 프레임내에서 방향키 입력에 맞게 포커스 위치가 이동하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사용으로 보다 편리하게 웹이나 왑 문서를 서핑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 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휴대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
    마크업 언어로 작성되어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페이지 문서를 수신하여 브라우져 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방향키 입력을 검사하는 단계와;
    방향키 입력시 그 방향키 입력이 일정 시간 지속되는 롱(long)키이면 포커스 설정되어 있는 현재 프레임에서 그 입력된 방향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레임내의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향키 입력이 일정 시간 미만의 쇼트(SHORT)키 입력이면 현재 프레임내에서 입력된 방향키 방향으로 인접하는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되,
    a)현재 포커스 설정된 앵커와 좌/우, 상/하 방향으로 완전 중첩되는 앵커가 존재하면 입력된 방향키 방향으로 완전 중첩되는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고,
    b)완전 중첩되는 앵커 없이 일부 중첩된 앵커만이 존재하면 입력된 방향키 방향으로 일부 중첩되는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고,
    c)일부 중첩되는 앵커도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포커스 설정된 앵커와 인접 앵커간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와 상/하 방향으로의 거리중 큰 거리를 가지는 앵커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네비게이션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포커스 설정되어 있는 현재 프레임에서 방향키 입력에 따라 포커스 이동할 앵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쇼트키에 해당하는 방향키 입력 방향으로 존재하는 인접 프레임으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되, 그 인접 프레임이 복수일 경우 현재 포커스 설정되어 있는 앵커와 이동 가능한 프레임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최단거리에 있는 프레임으로 포커스 이동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네비게이션 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져 창에 표시할 페이지 문서에서 메뉴 정보 혹은 메일 타이틀정보를 발췌하여 상기 브라우져 창의 일부인 고정 프레임 창에 고정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네비게이션 방법.
  6. 삭제
KR1020040022364A 2004-03-31 2004-03-31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 KR100658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364A KR100658940B1 (ko) 2004-03-31 2004-03-31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364A KR100658940B1 (ko) 2004-03-31 2004-03-31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705A KR20050096705A (ko) 2005-10-06
KR100658940B1 true KR100658940B1 (ko) 2006-12-18

Family

ID=3727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364A KR100658940B1 (ko) 2004-03-31 2004-03-31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786B2 (en) 2007-08-24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mediu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voice web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9588B (zh) * 2013-11-14 2019-07-16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文件下载方法、装置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475A (ko) * 2000-12-13 2002-06-22 윤종용 이동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항목 이동을 제어하는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475A (ko) * 2000-12-13 2002-06-22 윤종용 이동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항목 이동을 제어하는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786B2 (en) 2007-08-24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mediu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voice web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705A (ko)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259B1 (ko) 향상된 포켓 컴퓨터 및 연관된 방법들
JP3724492B2 (ja) 問題解決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4412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viewing and navigation of content
JP5128458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と、それを用いた記録媒体
EP1614098B1 (en) Smooth scrolling with highlighted navigation and marking of page changes
KR20070034767A (ko) 다중 표시영역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간의 데이터 표시 방법
US20080207273A1 (en) Sliding-type mobile phone with a supplemental display secreen
US20090249203A1 (en) User interface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ts recording medium
JP4475408B2 (ja) 表示装置
KR20070085631A (ko) 사용자 대화형 영상 인터페이스를 갖춘 휴대용 전자 장치
JP4796397B2 (ja) 携帯端末
US8689144B2 (en) Electronic apparatus, program, and foc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JP5396860B2 (ja) 携帯通信端末、ブラウジング方法、およびブラウジングプログラム
CN112506415B (zh) 电子设备和用于电子设备的方法
KR101018066B1 (ko) 텍스트 응답 요소에서의 포커스를 억제하는 다기능 키 입력을 갖는 줌 기능
KR100795590B1 (ko)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전자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산물
JP4757785B2 (ja) 選択装置、制御方法、選択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658940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
KR100757145B1 (ko) 정보단말기에서의 포인터 이동 방법 및 포인터처리모듈에서의 포인터 이동방법
US20090037833A1 (en) Electronic Device and Enhancing Document Viewing In Electronic Device
JPWO2006103830A1 (ja)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CN113311982A (zh) 信息选取方法及装置
KR101999340B1 (ko) 웹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4697816B2 (ja) 入力制御装置
KR100785068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