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61B1 -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861B1
KR100658861B1 KR1020050098261A KR20050098261A KR100658861B1 KR 100658861 B1 KR100658861 B1 KR 100658861B1 KR 1020050098261 A KR1020050098261 A KR 1020050098261A KR 20050098261 A KR20050098261 A KR 20050098261A KR 100658861 B1 KR100658861 B1 KR 10065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gear
flow path
flow rate
inject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규
모창연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로관에 연통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며, 백노즐의 각 분사암 유로와 연통된 분배 챔버,및 상기 분배 챔버에 설치되며 공급된 세척수가 각 분사암 유로로 분배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식기 세척기의 백노즐의 각 분사암으로 분배되는 세척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일정한 양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대해 각 분사암이 갖는 최대 유량 및 유압을 증가시켜, 각 분사암의 분사공에 의한 세척 분사 범위 및 최대 분사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식기 세척기, 백 노즐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VARIABLE FLUX APPARATUS OF WASHING WATER IN DISHWASHER BACK NOZZLE}
도 1 은 식기 세척기의 백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에 의한 각 분사암의 개방 유로 면적 변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에 의한 각 분사암의 세척수 유량 변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기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각 분사암의 유압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각 분사암의 유량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백노즐 4: 상부 분사암
5: 제 1 중간 분사암 6: 제 2 중간 분사암
10: 분배 챔버 20,20': 제 1 기어
22: 세척수 유입부 24: 구동 블레이드
30; 제 2 기어 32,32a,32b: 유로차단판
40: 회전밸브 44: 구동블레이드
45: 유로차단판 47: 개방영역
48: 차단영역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 후방으로 설치된 백노즐에서 유로관으로 공급된 세척수가 유량조절부를 통해 각 분사암으로 분배되는 비율을 조절하여, 각 분사암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강도 및 세척 범위를 주기적으로 가변시켜, 세척수의 최대 분사 강도 및 분사 범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 내부에는 식기를 수납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가 마련되 어 있으며, 식기에 물을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 및 헹굼 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이나 헹굼을 위해 일정량의 물이 집수되는 집수실과 상기 집수실에 연결되어 소정방향으로 물을 공급하는 세척 펌프와 상기 세척 펌프의 일측에 연결되어 세척조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하부로터와 상기 세척 펌프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백노즐을 포함한다.
도 1 은 식기 세척기의 백노즐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노즐은 유로관의 상부에 대략 직선방향으로 설치된 상부 분사암과, 유로관의 중간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을 구비하며, 각 분사암의 분사공을 통해 세척조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식기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유로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유량 및 유압이 일정한 비율로 상부 분사암 및 중간 분사암으로 분배되는 바, 세척수의 분사 강도가 일정하여 식기 바구니의 식기들 중 세척수가 도달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 후방으로 설치된 백노즐에서 각 분사암으로 분배되는 세척수의 비율이 주기적으로 가변되도록 하여, 각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량 및 유압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면서, 각 분사암을 통한 세척수의 최대 분사 강도 를 높이고 세척수가 세척조 내부에 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는, 유로관에 연통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며, 백노즐의 각 분사암 유로와 연통된 분배 챔버 및 상기 분배 챔버에 설치되며, 공급된 세척수가 각 분사암 유로로 분배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절부는 세척수 공급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분사암 유로를 주기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차단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량조절부는 유로관에 연통되어 상기 분배챔버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유입부측에 설치되어 세척수 공급압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에 치합되어 연동회전하는 제 2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차단판은 상기 제 2 기어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유로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유입부는 상기 제 1 기어의 중심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어는 반경 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동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세척수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구동블레이드를 가압하여 상기 제 1 기어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기어는 상부 분사암 유로 측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차단판은 상기 제 2 기어를 중심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 1 차단판과, 상기 제 2 기어 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 1 차단판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사이에 두고 호형으로 대향 설치되는 제 2 차단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어에는 구동 블레이드 사이 공간을 가로막는 유로차단판을 더 구비하여, 구동 블레이드 사이 공간을 세척수가 통과하는 개방영역과 세척수가 통과하지 않는 차단영역으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량조절부는 세척수 유입부에 설치되어 세척수 공급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차단판은 상기 회전밸브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분사암 유로를 주기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밸브는 중심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축을 따라 상기 세척수 유입부가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는 다수개의 구동 블레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유로차단판은 상기 구동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 중 일부의 가로막아 세척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차단영역과, 세척수가 통과하는 개방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개방영역은 서로 대향 방향으로 위치하며 유로 면적이 상이한 2 개의 개방영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식기 세척기의 백노즐의 각 분사암으로 분배되는 세척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일정한 양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대해 각 분사암이 갖는 최대 유량 및 유압을 증가시켜, 각 분사암의 분사공에 의한 세척 분사 범위 및 최대 분사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를 도면이며, 도 3 은 도 2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는, 공급된 세척수가 백노즐(1)의 각 분사암 유로(4a,5a,6a)로 분배되는 분배 챔버(10)를 포함한다.
분배 챔버(10)는 세척수 유입부(22)와 연통되며 상부 분사암(4)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상부 분사암 유로(4a)와,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좌측으로 위치하는 제 1 중간 분사암 유로(5a), 우측으로 위치하는 제 2 중간 분사암 유로(6a) 사이에 형성된다. 세척 펌프에서 유로관(2)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는 세척수 유입부(22)를 통해 분배 챔버(10)에 유입되어 각 분사암 유로(4a,5a,6a)로 공급된다.
분배 챔버(10)에는 유량조절부가 구비되며, 유량조절부는 공급된 세척수가 각 분사암 유로로 분배되는 비율을 조절한다.
유량조절부는 제 1 기어(20) 및 제 2 기어(30)를 포함한다. 제 1 기어(20)는 세척수 유입부(22)에 설치되어 세척수 공급압에 의해 회전한다. 제 1 기어에(20)에는 반경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동 블레이드(24)가 설치된다. 세척수 유입부(22)는 제 1 기어(20)의 중심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축(21)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유로관(2)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는 세척수 유입부(22)를 통해 유입되며, 방향이 전환되어 구동 블레이드(24)와의 접촉을 통해 제 1 기어(20)를 회전시키면서 구동 블레이드(24) 사이의 공간을 빠져나가도록 설계된다. 설계시 구동 블레이드(24)의 길 이, 크기 및 기울기 등을 조절하여 세척수의 유압이 전달되는 면적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제 1 기어(20)의 회전 토크를 설계할 수 있다.
제 2 기어(30)는 제 1 기어(20)와 치합되어 연동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분사암 유로(4a) 입구 측에 설치된다. 제 1 기어(20)가 세척수 공급압에 의해 회전하면 제 2 기어(30)가 연동회전한다. 제 2 기어(30)에는 유로차단판(32)이 설치된다. 유로차단판(32)은 바람직하게는 제 2 기어(30)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 1 차단판(34)과, 제 2 기어(30)의 가장자리부에 제 1 차단판(34)을 길이방향으로 사이에 두고 서로 대항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 차단판(36)을 포함한다. 제 2 차단판(36)은 가장자리부 형상을 따라 호형을 구비한다.
세척수 유입부(22)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구동 블레이드(24)를 가압하여 제 1 기어(20)를 회전시키고, 이와 함께 제 2 기어(30)가 회전된다. 이때 제 2 기어(30)의 회전에 따라 유로차단판(32)이 상부 분사암 유로(4a)를 개방하거나 막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세척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 유량이 일정할 때, 제 2 기어(30)의 회전에 따라 유로차단판(32)이 상부 분사암 유로(4a)를 막은 경우에 공급된 세척수의 대부분은 제 1 중간 분사암 유로(5a)및 제 2 중간 분사암 유로(6a)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 1 중간 분사암(5) 및 제 2 중간 분사암(6)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량 및 유압이 증대되고, 중간 분사암(5,6)의 분사공을 통해 세척수는 먼 거리로 분사된다. 이때 상부 분사암(4)의 분사공은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량의 감소로 가까운 거리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그러나 제 2 기어(30)의 유로차단판(32)이 유로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된 경 우에 상부 분사암 유로(4a)를 향한 흐름이 개방되므로 상부 분사암(4)으로 공급되는 세척수 유량이 증가하여, 상부 분사암(4)의 분사공은 세척수를 먼 거리로 분사할 수 다. 이때 중간 분사암(5,6)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부 분사암(4)으로 공급되는 량 만큼 세척수가 감소된 상태이므로 세척수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로 분사된다. 세척수 공급에 따라 제 1 기어(20) 및 제 2 기어(30)가 회전하면서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이하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에 의한 각 분사암의 개방 유로 면적 변화 상태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며, 도 5 는 세척수 유량 변화 상태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 2 기어(30)의 회전에 의해 유로차단판(32)이 상부 분사암 유로(4a)를 향한 세척수 흐름을 차단하면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 유로(5a,5b)만이 개방되어 진다. 이어서 제 1 기어(20)에 의해 제 2 기어(30)의 회전이 지속되면서 유로차단판(32)이 세척수 공급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세척수는 상부 분사암 유로(4a)로 유입가능하다, 이때 백노즐의 상부 분사암 유로(4a)및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 유로(5a,6a) 모두가 개방되고 세척수가 공급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분사암 유로(5a,6a)는 항상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분사암 유로(5a,6a)의 개방 면적은 제 1 및 제 2 기어 (20,30)의 회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그러나 상부 분사암 유로(4a)의 개방 면적은 유로차단판(32)의 위치에 따라 변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유로관(2) 및 세척수 유입부(22)를 통해 세척 펌프에서 공급되는 세척수 유량이 일정하면, 이와 같은 개방 유로 면적의 변화는 각 분사암의 세척수 유량 및 유압을 변화시킨다.
예컨대, 유로차단판(32)에 의해 상부 분사암(4)으로 세척수 공급이 규제되면 세척수가 제 1 및 제 2 분사암(5,6)으로만 공급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분사암(5,6)으로 공급되는 세척수 유량 및 유압이 증가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5,6)의 분사공들의 세척수 분사 강도가 최대가 되고, 전방으로부터 먼 곳의 식기까지 세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상부 분사암(4)의 분사공들의 세척수 분사강도는 최소가 되어 분사공으로부터 전방의 가까운 곳의 식기들을 세척하게 된다.
이어서, 유로차단판(32)이 회전하면서, 상부 분사암을 향한 세척수 흐름을 개방하여, 상부 분사암을 향한 개방 유로 면적이 최대가 되면, 세척수가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5,6) 및 상부 분사암(4)의 3곳으로 분배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5,6)으로 공급되는 세척수 유량은 최소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상부 분사암(4)은 공급 가능한 최대 세척수 유량을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5,6)의 분사공의 세척수 분사 강도는 최소가 되어 전방으로부터 가까운 곳의 식기들을 세척하게 되며, 상부 분사암(4)의 분사공의 세척수 분사강도는 최대가 되어 분사공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식기들을 세척하게 된다.
이를 제 1 및 제 2 분사암 분사공의 세척수 강도 변화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세척수의 강도가 강->중->약->중->강으로 연속적으로 변화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사공의 세척수 강도가 연속적으로 변화면서 세척 범위 역시 최대 위치와 최소 위치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바, 세척수가 분사되는 범위가 확대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5,6)의 분사공을 통한 세척수 강도의 증강을 유도할 수 있는 바, 분사 세척수의 세기가 약에서 강으로 커지는 구간에서 식기에 정착된 오염물을 분리시키는 세척수의 강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세척수의 강도가 약에서 중으로 변화는 부분에서는 점착된 오염물을 균열시키고, 중에서 강으로 변화는 부분에서 분리시키게 되어, 식기에서 보다 쉽게 오염물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제 1 기어와 대비하면, 구동 블레이드(24) 사이에 유로차단판(32')이 형성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블레이드(24) 사이의 공간은 개방영역(26')과 차단영역(28')으로 구분되며, 개방영역(26')이 각 분사암 유로(4a,5a,6a)를 향할 때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제 2 기어(30)의 유로차단판(32)은 제 1 기어(20')의 개방영역(26')이 상부 측을 향할 때 상부 분사암 유로(4a)로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개방영역(26')은 제1 및 제 2 중간 분사암(5,6)에 동시적으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서로 대칭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중간 분사암(5) 및 제 2 중간 분사암(6) 간의 세척수 분사 강도 및 세척 범위 차이를 유도하기 위해 대칭된 개방영역(26')은 서로 상이한 크 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어(20')의 회전에 따라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 유로(5a,6a) 역시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게 되며, 일측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보다 집중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각 분사암의 최대 분사 강도 및 세척 범위를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공급된 세척수가 백노즐의 각 분사암 유로로 분배되는 분배 챔버(10)를 포함한다.
분배 챔버(10)는 세척수 유입부(42)와 연통되며 상부 분사암 유로(4a)와 제 1 중간 분사암 유로(5a), 제 2 중간 분사암 유로(6a)와 연통되어 있다. 세척 펌프에서 유로관(2)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는 세척수 유입부(42)를 통해 분배 챔버에 유입되어 각 분사암 유로로 분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조절부는 회전밸브(40)를 포함한다.
회전밸브(40)는 세척수 유입부(42) 측에 설치되며, 세척수 공급압에 의해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척수 유입부(42)는 회전밸브(40)의 중심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축(41)을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회전밸브(40)의 반경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동 블레이드(44)가 설치되어, 세척수 유입부(42)를 통해 공급된 물이 구동 블레이드(44) 사이를 빠져나가면서 구동 블레이드(44)를 가압하고, 이 가압력에 의해 회전밸브(40)는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회전밸브(40)에는 유로차단판(45)이 설치되는 데, 유로차단판(45)은 구동 블레이들(44)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 중 일부를 가로막아 구동 블레이드(44) 사이로 세척수가 배출되지 못하는 차단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구동 블레이드(44) 사이의 공간은 유로차단판(45)이 설치되어 물이 배출되지 못하는 차단영역(48)과, 물이 배출가능한 개방영역(47)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세척수 유입부(42)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방향이 전환되어 구동 블레이드(44)와 접촉하여 회전밸브(40)를 회전시키면서, 유로차단판(45)이 설치되지 않은 개방영역(47)으로 빠져나간다. 바람직하게는 유로차단판(45)이 설치되지 않은 개방영역(47)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 유로(5a,6a) 에 대응하여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유로면적이 넓은 제 1 개방영역(47a)과 상대적으로 유로 면적이 좁은 제 2 개방영역(47b)으로 형성된다. 설계시 구동 블레이드의 길이, 크기 및 기울기 등을 조절하여 세척수의 유압이 전달되는 면적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회전기어의 회전 토크를 설계할 수 있다.
세척수가 구동 블레이드에 가하는 압력에 회전밸브(40)가 회전하면, 구동 블레이드 사이의 개방영역(47) 및 차단영역(48)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때 2 개방영역(47a,47b)의 유로면적 차이에 따라, 제 1 개방영역(47a)이 향하는 분사암 유로를 통한 세척수의 공급량이 최대가 되며, 제 2 개방영역(47b)이 향하는 분사암 유로를 통한 세척수의 공급량이 중간이 되며 유로차단판(45)이 형성된 차단영역(48)이 향하는 분사암 유로를 통한 세척수 공급량이 최소가 된다.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의 각 분사암의 유압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는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의 각 분사암의 유량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2 개방영역(47a,47b)의 유로 면적이 상이하므로, 제 1 및 제 2 중간 분사암 및 상부 분사암 각각의 분사공의 세척 강도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같이, 각 분사암의 분사공의 세척수 강도가 연속적으로 변화면서 세척 범위 역시 최대 위치와 최소 위치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바, 세척수가 분사되는 범위가 확대된다.
또한 세척수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가 특정 분사암으로 주기적으로 집중됨으로 분사암 분사공을 통한 세척수의 세척 강도가 주기적으로 최대가 된다. 따라서 세척 펌프를 통해 일정한 세척수가 공급되더라도 식기에 정착된 오염물을 분리시키는 최대 세척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 세척기의 백노즐의 각 분사암으로 분배되는 세척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각 분사암의 분사공에 의한 세척 분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분사공의 최대 분사 강도를 더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식기로부터 오염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시킬수 있게 되어 세척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이 가능하다.

Claims (9)

  1. 유로관에 연통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며, 백노즐의 각 분사암 유로와 연통된 분배 챔버; 및
    상기 분배 챔버에 설치되며, 공급된 세척수가 각 분사암 유로로 분배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세척수 공급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분사암 유로를 주기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차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유로관에 연통되어 상기 분배챔버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유입부측에 설치되어 세척수 공급압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에 치합되어 연동회전하는 제 2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차단판은 상기 제 2 기어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유입부는 상기 제 1 기어의 중심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어는 반경 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동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세척수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구동블레이드를 가압하여 상기 제 1 기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는 상부 분사암 유로 측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차단판은 상기 제 2 기어를 중심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 1 차단판과, 상기 제 2 기어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 1 차단판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사이에 두고 호형으로 대향 설치되는 제 2 차단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에는 구동 블레이드 사이 공간을 가로 막는 유로차단판을 더 구비하여, 구동 블레이드 사이 공간을 세척수가 통과하는 개방영역과 세척수가 통과하지 않는 차단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세척수 유입부에 설치되어 세척수 공급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차단판은 상기 회전밸브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분사암 유로를 주기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밸브는
    중심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축을 따라 상기 세척수 유입부가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는 다수개의 구동 블레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유로차단판은 상기 구동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 중 일부의 가로막아 세척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차단영역과, 세척수가 통과하는 개방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영역은 서로 대향 방향으로 위치하며 유로 면적이 상이한 2 개의 개방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KR1020050098261A 2005-10-18 2005-10-18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KR10065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261A KR100658861B1 (ko) 2005-10-18 2005-10-18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261A KR100658861B1 (ko) 2005-10-18 2005-10-18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861B1 true KR100658861B1 (ko) 2006-12-15

Family

ID=3773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261A KR100658861B1 (ko) 2005-10-18 2005-10-18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421A (zh) * 2018-07-09 2020-01-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喷淋装置
CN111973115A (zh) * 2020-08-21 2020-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
WO2022154336A1 (ko) * 2021-01-13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7654U (ko) * 1980-11-19 1982-05-29
KR940007141B1 (ko) * 1988-12-02 1994-08-06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포터블 통신장치용 어댑터
JPH07265246A (ja) * 1994-03-30 1995-10-17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0146074B1 (ko) * 1996-03-25 1998-08-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배장치
KR200154009Y1 (ko) * 1997-01-20 1999-08-02 신정웅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공급량 조절장치
JP2000279359A (ja) * 1999-03-30 2000-10-10 Yokogawa Denshikiki Co Ltd 食器洗浄機
KR200376014Y1 (ko) * 2004-11-13 2005-03-11 허정석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7654U (ko) * 1980-11-19 1982-05-29
KR940007141B1 (ko) * 1988-12-02 1994-08-06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포터블 통신장치용 어댑터
JPH07265246A (ja) * 1994-03-30 1995-10-17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0146074B1 (ko) * 1996-03-25 1998-08-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배장치
KR200154009Y1 (ko) * 1997-01-20 1999-08-02 신정웅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공급량 조절장치
JP2000279359A (ja) * 1999-03-30 2000-10-10 Yokogawa Denshikiki Co Ltd 食器洗浄機
KR200376014Y1 (ko) * 2004-11-13 2005-03-11 허정석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공급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421A (zh) * 2018-07-09 2020-01-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喷淋装置
CN111973115A (zh) * 2020-08-21 2020-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
CN111973115B (zh) * 2020-08-21 2023-10-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
WO2022154336A1 (ko) * 2021-01-13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0206A (en) Floodwashing process and floodwasher
EP2271800B1 (en) Washing machine
US9492055B2 (e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US9107559B2 (en) Dishwasher with filter assembly
EP1458277B2 (de)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umsteuereinrichtung
WO2011132358A1 (ja) 食器洗い機
EP3292808B1 (e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CN103147254A (zh) 滚筒洗衣机及其洗涤方法
KR20050014517A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 유로 제어 장치
KR100658861B1 (ko) 식기 세척기 백노즐의 세척수 유량가변장치
EP2728057A1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US20140332041A1 (en) Dishwasher with directional spray
KR20180025761A (ko) 식기세척기
EP3488757B1 (en) Dishwasher
KR20100023176A (ko) 식기 세척기
CN110468559B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
WO2010098097A1 (ja) 食器洗い機
JP4548326B2 (ja) 噴流可動ノズル
KR100457594B1 (ko) 식기세척기의 다단 분사장치
KR19990070296A (ko) 식기세척기
KR200437712Y1 (ko) 다방향 유로분배기구를 갖는 식기 세척기
CN218852656U (zh) 用于清洗机的喷淋臂及清洗机
CN115670341A (zh) 用于清洗机的喷淋臂、清洗机及清洗机的清洗控制方法
JPH07265246A (ja) 食器洗浄機
KR20240019565A (ko) 싱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