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009B1 - Riding-type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Riding-type Paddy Field Work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009B1
KR100658009B1 KR1020030091036A KR20030091036A KR100658009B1 KR 100658009 B1 KR100658009 B1 KR 100658009B1 KR 1020030091036 A KR1020030091036 A KR 1020030091036A KR 20030091036 A KR20030091036 A KR 20030091036A KR 100658009 B1 KR100658009 B1 KR 10065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xle case
clutch
rear axle
suppor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5595A (en
Inventor
야기사와도시오
구보쯔마꼬또
무까이다께시
오까모또다꾸야
기무라히로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6343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8300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859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18179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068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67119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4005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5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전방 차축 케이스(20)에 지지된 전방륜(2) 및 후방 차축 케이스(30)에 지지된 후방륜(3)을 구비한 승용형 무논 작업기이며, 상기 전방륜(2)을 각각 독립 현가하는 동시에 상하 이동 가능한 신축 지지 기구(6)와, 상기 후방륜(3)을 기계 본체 좌우 방향에 따르는 횡축 중심(X) 주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요동 지지 기구(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무논 작업기이다.A passenger type non-non-working machine having a front wheel (2) supported on the front axle case (20) and a rear wheel (3) supported on the rear axle case (30), wherein each of the front wheels (2) is independently suspended. An elastic support mechanism (6)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and a swing support mechanism (7) capable of swinging the rear wheel (3)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center (X) along the machine body left and right directions Brother Munnon is a working machine.

차축 케이스, 전방륜, 후방륜, 요동 지지 기구, 신축 지지 기구 Axle case, front wheel, rear wheel, swing support mechanism, telescopic support mechanism

Description

승용형 무논 작업기 {Riding-type Paddy Field Working Machine}Riding-type Paddy Field Work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 제1 실시 형태의 전체 측면도이며, 승용형 무논 작업기의 일예로서 승용형 전식기를 도시하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sid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ing a riding type transfer machine as an example of a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도2는 도1의 전식기의 전체 평면도.FIG. 2 is an overall plan view of the electric machine of FIG. 1; FIG.

도3은 도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전방륜 현가 구조의 정면도.Fig. 3 is a front view of the front wheel suspension structure in the transfection machine of Fig. 1;

도4는 도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후방륜 현가 구조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평면도.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ctric system having a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1;

도5는 도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후방륜 현가 구조의 측면도.Fig. 5 is a side view of the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in the transfection machine of Fig. 1;

도6은 도5의 후방륜 현가 구조의 평면도.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of Figure 5;

도7은 도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전방륜 현가 구조의 다른 개변예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ront wheel suspension structure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1; FIG.

도8은 도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전방륜 현가 구조의 또 다른 개변예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8 is a side view showing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ront wheel suspension structure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1; FIG.

도9는 도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후방륜 현가 구조의 개변예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1;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전체 측면도이며,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승용형 무논 작업기의 일예로서 승용형 전식기를 도시하는 도면.Fig. 10 is an overall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iding type electric machine as an example of the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11은 도10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전방륜 및 후방륜의 현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uspension structures of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10;

도12는 도11의 현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spension structure of FIG.

도13은 도12의 전방륜 현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wheel suspension structure of FIG. 12; FIG.

도14는 도10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후방륜 현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Fig. 14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in the transfection machine of Fig. 10;

도15는 도14의 후방륜 현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of Fig. 14;

도16은 도15의 후방륜 현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FIG. 1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of FIG. 15; FIG.

도17은 도10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기계 본체 조향 구조를 도시하는 전체 평면도.Fig. 17 is an overall plan view showing a machine body steering structure in the transfection machine of Fig. 10;

도18은 도10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후방륜 구동용 후방 차축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전개 단면도.Fig. 18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ar wheel drive rear axle case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10;

도19는 도10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후방륜 구동용 후방 차축 케이스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1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rear axle case for rear wheel driving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10;

도20은 도10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사이드 클러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단면도.Fig. 2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ide clutch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10;

도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전체 측면도이며,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승용형 무논 작업기의 일예로서 승용형 전식기를 도시하는 도면.Fig. 21 is an overall side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ing a riding type electric machine as an example of the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22는 도2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좌측 사이드 클러치의 종단 배면도.Fig. 22 is a longitudinal rear view of the left side clutch in the transfection machine of Fig. 21;

도23은 도2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종단 배면도.FIG. 23 is a longitudinal rear view of the right side clutch and brake of the transfer machine shown in FIG. 21;

도24는 도2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자동 조향 기구의 개략 평면도.Fig. 2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21;

도25는 도24의 자동 조향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FIG. 25 is a plan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of FIG. 24; FIG.

도26은 도2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유압 회로도.FIG. 26 is a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the transfer machine of FIG. 21;

도27은 도21의 전식기에 있어서의 사이드 클러치 작동 특성을 도시하는 선도.Fig. 27 is a diagram showing the side clutch operating characteristics in the transfer machine of Fig. 2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주행 기계 본체1: driving machine body

2 : 전방륜2: front wheel

3 : 후방륜 3: rear wheel

6 : 신축 지지 기구 6: elastic support mechanism

7 : 요동 지지 기구 7: rocking support mechanism

20, 110 : 전방 차축 케이스20, 110: front axle case

30, 115 : 후방 차축 케이스30, 115: rear axle case

60, 137 : 제1 스프링60, 137: first spring

70, 164 : 제2 스프링70, 164: second spring

118 : 차체 프레임118 body frame

151 : 지지 아암151: support arm

159 : 측면 로드159: side load

L0 : 기준 레벨(기준 위치) L0: Reference level (reference position)

S1 : 신축 지지 기구의 수축 방향으로의 허용 스트로크 S1: permissible stroke in the contracting direction of the elastic support mechanism

S2 : 신축 지지 기구의 신장 방향으로의 허용 스트로크 S2: permissible stroke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lastic support mechanism

S3 : 요동 지지 기구의 상방측으로의 허용 스트로크 S3: Permissible stroke to the upper side of the swing support mechanism

S4 : 요동 지지 기구의 하방측으로의 허용 스트로크S4: Permissible stroke to the downward side of the swing support mechanism

X, a : 횡축 중심(요동 지지 기구의 요동 축 중심) X, a: horizontal axis center (swing axis center of the swing support mechanism)

본 발명은, 전방 차축 케이스에 지지된 전방륜 및 후방 차축 케이스에 지지된 후방륜을 구비한 승용형 전식기 등의 승용형 무논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그 차륜 현가 구조에 특징을 갖는 승용형 무논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such as a riding type transfer machine having a front wheel supported by the front axle case and a rear wheel supported by the rear axle cas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characterized by its wheel suspension structure.

승용형 무논 작업기의 대표예인 승용형 전식기의 기어 현가 구조로서는, 기계 본체 전방부에 고정된 미션 케이스에 좌우의 전방륜을 지지하는 동시에, 기계 본체 후방부에 롤링 가능하게 지지한 후방부 후방 차축 케이스에 좌우의 후방륜을 지지한 것(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2003-102215호 공보 참조), 기계 본체 전방부에 고정된 미션 케이스에 좌우의 전방륜을 지지하는 한편, 미션 케이스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좌우의 스윙 케이스의 후단부에 후방륜을 각각 저어널하여 좌우의 후방륜을 독립적으로 상하 변위 가능하게 구성한 것(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2003-81140호 공보 참조)이 알려져 있다. As a gear suspension structure of a riding type electric machine,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a rear rear axle which supports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in a mission case fixed to the front of the machine body and rollably supports the rear of the machine body.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to the case (for example, se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02215), while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to the mission case fixed to the front of the machine body, The rear wheels are journaled to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wing cases that extend toward each other so that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can be independently displaced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81140). Known.

승용형 전식기에 있어서는, 밭 현장 내에서 고속 주행을 하면 경반의 요철에 기인하는 기계 본체 동요나 진동이 심해져 승차감이 악화되기 쉬워지는 동시에, 기계 본체 후방부에 연결된 모 이식 장치의 위치 및 자세도 크게 변화되기 쉬워져, 모 이식 장치의 자동 승강 제어를 해도 충분히 대응할 수 없게 되어 이식 깊이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실제 작업에서의 이식 주행 속도를 빠르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전식기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시켜 능률적인 이식 작업을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In the riding type electric machine, when the high-speed traveling in the field site, the machine main body shaking and vibration caused by the irregularities in the field become severe, and the riding comfort is aggravated, and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parent transplant apparatu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achine main body It becomes easy to change significantly, and even if it carries out automatic lifting control of a mother implantation apparatus, it cannot fully respond,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implantation depth precision may fall.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speeding up the transplant running speed in actual work, and it becomes difficult to perform efficient transplant work by fully utilizing the capacity of the electric machine.

특히, 모 이식 장치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후방륜이 경반의 요철을 통과함으로써 초래되는 기계 본체 자세의 변화는 크고, 모 이식 장치의 위치 및 자세 변화에의 영향이 큰 것이고, 이 후방륜의 현가 구조를 개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change in posture of the main body of the machine caused by the rear wheels located immediately before the parent implant device through the oblique irregularities is large, and the influence on the position and posture change of the parent implant device is large, and the suspension structure of the rear wheel is There is a need to improve.

여기서, 일본국 특허 공개 2003-102215호에 개시된 것에서는, 기계 본체 전방부에 고정된 미션 케이스에 좌우의 전방륜을 장착 지지하는 동시에, 기계 본체 후방부에 롤링 가능하게 지지한 후방부 전동 케이스(본 발명의 후방 차축 케이스에 상당하므로, 이하 후방 차축 케이스라 칭함)에 좌우의 후방륜을 지지한 사양으로 되어 있다. 이 사양의 것에서는, 후방륜이 주행하는 경반의 좌우 높이의 차에 대해서는 후방 차축 케이스의 롤링에 의한 서스펜션 기능이 발휘되어 기계 본체가 좌우로 크게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지만, 좌우 후방륜이 동시에 경반의 오목부 혹은 볼록부에 도달하였을 때의 서스펜션 기능은 없어 기계 본체 후방부가 크게 침하되거나, 들어 올려지거나 한다. 또한, 고정된 미션 케이스가 직접적으로 장착된 전방륜에는 당연히 서스펜션 기능은 없어 전방륜이 경반의 요철에 추종하여 주행 기계 본체에 자세 변화가 초래된다. Here, according to what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02215, the rear-side transmission cas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are attached to and supported by a mission case fixed to the front of the machine body, and rollably supported to the rear of the machine body ( Since it corresponds to the rear axle case of this invention, it is the specification which supported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to the rear axle case hereafter. In this specification, the suspension function due to the rolling of the rear axle case is exhibited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heights of the heel on which the rear wheels travel, and the main body of the machine is suppressed from greatly inclining from side to side. There is no suspension function when reaching the concave or convex, so that the rear of the machine main body is largely settled or lifted. In addition, the front wheel to which the fixed mission case is directly mounted does not have a suspension function, of course, so that the front wheel follows the unevenness of the head, causing a change in posture in the traveling machine body.                         

이에 대해, 일본국 특허 공개 2003-81140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서는, 기계 본체 전방부에 고정된 미션 케이스에 좌우의 전방륜을 장착 지지하는 한편, 미션 케이스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된 좌우의 스윙 케이스의 후단부에 후방륜을 각각 저어널하여 좌우의 후방륜을 독립적으로 상하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한 사양으로 되어 있다. 이 사양의 것에서는, 후방륜이 주행하는 경반의 좌우 높이의 차에 대해서는 좌우 스윙 케이스의 독립된 서스펜션 기능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되는 동시에, 좌우 후방륜이 동시에 경반의 오목부 혹은 볼록부에 도달하였을 때에도 서스펜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어 주행 기계 본체의 큰 전후 요동(피칭)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지만, 전방륜에는 당연히 서스펜션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방륜이 경반의 요철을 통과할 때에 기계 본체 자세가 변화되어 버리는 것이고, 개량의 여지가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what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81140, the left and right swing cases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mission case while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ar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mission case fixed to the machine body front part. The rear wheels are journaled to the rear end of the rear wheel, and the rear wheels on the left and right are independently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y can be vertically displac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heights of the heel of which the rear wheels travel is effectively absorbed by the independent suspension function of the left and right swing cases, and even when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simultaneously reach the recesses or convexities of the heel. The function can be sufficiently exerted to suppress large back and forth fluctuations (pitching) of the traveling machine body.However, since the front wheels are not equipped with a suspension function, the machine body posture changes when the front wheels pass through irregularities.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전방륜 및 후방륜에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시켜 원활하게 밭 현장 내를 고속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spension function on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so as to smoothly drive a high speed in a fiel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승용형 무논 작업기는 전방 차축 케이스에 지지된 전방륜 및 후방 차축 케이스에 지지된 후방륜을 구비한 승용형 무논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륜을 각각 독립 현가하는 동시에 상하 이동 가능한 신축 지지 기구와, 상기 후방륜을 기계 본체 좌우 방향에 따르는 횡축 중심 주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요동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가 단일의 케이스 부재로서 설치되고, 이 단일의 케이스 부재에 각 후방륜이 장착 지지되고,
상기 요동 지지 기구의 상기 횡축 중심이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지지 아암의 전단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이 횡축 중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가 주행 기계 본체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ont wheel supported on the front axle case and a rear wheel supported on the rear axle case, each of the front wheels, each independent suspension And an elastic support mechanism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nd a swing support mechanism capable of oscillating the rear wheel in a vertical direc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center along the machine body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ear axle case is provided as a single case member, and each rear wheel is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single case member,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axis of the swing support mechanism extends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arm which protrudes forward from the rear axle case,
The rear axle case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traveling machin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swing up and down using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axis as a supporting poi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후방륜이 좌우 한 쌍의 후방륜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좌우 후방륜이 동시에 경반에 있어서의 융기부나 오목부에 도달하면, 후방 차축 케이스가 평행하게 상하 이동하고, 각 후방륜이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여 주행 기계 본체의 큰 전후 틸팅(피칭)이 억제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rear wheel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the rear axle case moves up and down in parallel when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simultaneously reach the raised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in the light plate. The rear wheels simultaneously move up and down in the same direction, and large back and forth tilting (pitching) of the traveling machine main body is suppressed.

또한, 각 전방륜은 신축 지지 기구의 신축 작용에 의해 경반의 요철에 독립하여 추종함으로써, 기계 본체 전방부의 자세 변화가 억제된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신축 지지 기구에는 각 전방륜을 각각 독립하여 상하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요동 지지 기구에는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each front wheel follows the unevenness of the surface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of the elastic support mechanism, thereby suppressing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front part of the machine main body.
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said elastic support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1st spring which elastically supports each front wheel so that up-and-down displacement is independent, and the said swing support mechanism is the 2nd spring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said rear axle case. Is installed.

하나의 적합한 실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의 횡이동을 제한하는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후방륜이 좌우 한 쌍의 후방륜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동 케이스 및 지지 아암의 불필요한 횡이동을 제한하여 좌우 후방륜에 소기의 서스펜션 기능을 정확하게 발휘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In one suitable embodiment, a restricting means for limiting lateral movement of the rear axle cas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rear wheel is made up of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exhibit the desired suspension function on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by limiting unnecessary lateral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case and the support arm Exert.

이 경우, 상기 요동 지지 기구에 상기 지지 아암이 좌우 한 쌍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를 탄성 지지하는 서스펜션 스프링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규제 수단이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 또는 지지 아암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가설된 측면 로드를 구비하는 것도 적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작용 효과에다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좌우의 지지 아암에 의해 전동 케이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좌우 후방륜에 가해지는 기계 본체 하중이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서스펜션 스프링에 의해 정확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upport arms are provided on the swing support mechanism, and a suspension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axle case is provided, and the restrict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axle case or the support arm and the body frame. It is also suitable to have a hypothetical side rod. In this configuration, the transmission case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 arms arranged at interval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the machine body load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are arranged at right and left intervals. Suspension springs ensure accurate and stable suppo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승용형 무논 작업기의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발휘되는 작용 효과 및 유리한 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Other features of the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perational effects and advantages exerted from such a configuration will become apparent by read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승용형 무논 작업기를, 승용형 무논 작업기의 일예로서의 승용형 전식기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riding type electric machine as an example of a riding type munon work machine, referring drawings.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승용 전식기의 전체 구성〕[Overall constitution of passenger electric machine]

도1은 승용 전식기의 전체 측면을 도시하고, 도2는 그 전체 평면을 도시하고 있다. Fig. 1 shows the whole side of a passenger transponder, and Fig. 2 shows the entire plane thereof.

이 승용 전식기는 좌우 한 쌍의 전방륜(2)과 좌우 한 쌍의 후방륜(3)을 구비한 승용형 주행 기계 본체(1)의 후방부에 유압 실린더(40)의 작동으로 승강 요동하도록 장비된 4연 링크 기구로 이루어지는 승강 링크(41)를 거쳐서 8조 심기용 모 이식 장치(4)를 연결하고, 또한 8조 시비용 시비 장치(5)를 탑재함으로써 미드마운트 시비 사양으로 구성한 8조 심기용 승용 전식기가 구성되어 있다. This riding machine is designed to swing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40 at the rear portion of the riding type traveling machine main body 1 having a left and right pair of front wheels 2 and a left and right pair of rear wheels 3. 8 pairs constructed of mid-mount fertilization specifications by connecting an 8-row planting parent implant device 4 via an elevating link 41 formed of a 4-link link mechanism and equipped with an 8-roll fertilizer application device 5. A planting riding machine is constructed.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계 본체(1)는 그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을 차체 프레임(10)에 탑재된 벨트식 전동 장치(11) 및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 or hydrostatic transmission ; 무단 변속 장치의 일예)(12)를 거쳐서 미션 케이스(13)에 내장된 기어식 전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하고, 그 기어식 전동 장치로부터의 주행용 동력을 좌우의 전방 차축 케이스(20)에 내장된 전방륜 구동 장치(21)를 거쳐서 좌우의 전방륜(2)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후방륜(3)에 대해서는, 상기 미션 케이스(13)로부터의 출력이 전해지는 전후 방향의 제1 전동축(14) 및 후방 차축 케이스(30)에 내장된 후방륜 구동 장치(31)를 거쳐서 좌우의 후방륜(3)으로 전달하는 사륜 구동 형식 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raveling machine main body 1 is a belt type transmission device 11 and a hydrostatic typ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10 for power from the engine E mounted at the front thereof. The transmission is transmitted to a gear transmission (not shown) built into the mission case 13 via an HST or hydrostatic transmission 12, and for driving from the gear transmission. It is comprised so that a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 via the front wheel drive device 21 built in the left and right front axle cases 20. Regarding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the rear wheel drive device 31 incorporated in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4 and the rear axle case 3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which the output from the mission case 13 is transmitted is It consists of a four-wheel drive type that i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주행 기계 본체(1)에는 상기 엔진(E)을 내장하는 조종부 커버(15)와, 그 상방에 구비되어 좌우의 전방륜(2)을 조향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6)과, 탑승부 플로어(17) 및 운전 좌석(18) 등을 구비한 탑승 운전부가 설치되어 있다. The traveling machine main body 1 includes a control part cover 15 incorporating the engine E, a steering wheel 16 provided above the steering wheel 16 for steering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 and a passenger part floor ( 17) and a boarding driver provided with a driver's seat 18 and the like.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이식 장치(작업 장치의 일예)(4)는 기계 본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밭면(H)의 모 이식 부위를 미리 정지하는 5기의 정지 플로우트(42)를 구비한다. 또한, 미션 케이스(13)로부터의 작업용 동력이 제2 전동축(43)을 거쳐서 피드 케이스(44)로 전달되고, 그 피드 케이스(44)로부터의 분배 동력으로 8조분의 모를 적재하는 모 탑재대(45)가 좌우 방향에 소정 스트로크로 왕복 구동된다. 동시에, 좌우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병설된 8기의 로터리식 이식 기구(46)가 모 탑재대(45)의 하단부로부터 모를 소정량씩 취출하여 밭 현장에 이식하는 이식 작동을 행함으로써 8조분의 모내기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 본체 전방부의 부호 9는 예비 모 탑재대이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parent implantation apparatus (an example of the working apparatus) 4 includes five stationary floats 42 for stopping the mother transplantation site of the field surface H in advance with the running of the machine main body. ). In addition, the work force from the mission case 13 is transmitted to the feed case 44 via the 2nd transmission shaft 43, and the mother mounting table which loads 8 trillion bundles with the distribution power from the feed case 44 is carried out. 45 is reciprocally driven by a predetermined strok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t the same time, eight rotary implant mechanisms 46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ake out a predetermined amount of hair from the lower end of the mother mounting table 45 and carry out a transplanting operation for transplanting them into the field.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lant. In addition, the code | symbol 9 of a machine main body front part is a spare mother mounting stand.

시비 장치(5)는 기계 본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각 이식조에 대응하도록 정지 플로우트(42)에 장비된 홈 파기 기구(47)가 시비 홈을 형성하는 한편, 8기의 조출 기구(50)가 미션 케이스(13)로부터의 작업용 동력으로 비료 호퍼(51) 내의 비료를 소정량씩 조출하고, 전동 팬(52)의 작동으로 각 조출 기구(50)에서 조출된 비료를 안내 호스(53)를 거쳐서 대응하는 홈 파기 기구(47)를 향해 압송함으로써, 밭 현장에 있어서의 이식 모의 횡측 부위에 비료를 매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fertilizing device 5 has a groove digging mechanism 47 equipped in the stationary float 42 to form a fertilizing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transplantation tank as the machine main body travels, while the eight feeding mechanisms 50 perform the mission. The fertilizer in the fertilizer hopper 51 is dispensed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the working power from the case 13, and the fertilizer dispensed from each feeding mechanism 50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fan 52 is handled through the guide hose 53. It is comprised so that a fertilizer may be buried in the horizontal part of the transplantation simulation in a field site by sending it toward the groove | channel digging mechanism 47 to make.

이 승용 전식기에 있어서의 전후방륜의 지지를 행하는 현가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The suspension structure which supports the front and rear wheels in this riding machine is comprised as follows.

〔신축 지지 기구(6)에 의한 전방륜 현가 구조〕[Front wheel suspension structure by telescopic support mechanism 6]

이 신축 지지 기구(6)는, 하기와 같이 전방륜(2)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향의 탄성 압박력을 부여하는 제1 압축 스프링(제1 스프링의 일예)(60)과, 그 제1 압축 스프링(60)의 신축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전방륜(2)을 지지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20)에서 전방륜(2)을 상하 방향에 따라서 신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upport mechanism 6 includes a first compression spring (an example of the first spring) 60 which imparts a relatively downward elastic press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2 as described below, and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 The front axle case 20 supporting the front wheels 2 in a state that allow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6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front wheels 2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각 전방륜(2)은 전방륜 구동 장치(21)를 내장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20)에 장착되어 전방 차축 케이스(20) 내의 전방륜 구동 장치(21)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륜이 되어 있는 동시에, 스티어링 휠(16)의 회전 조작이 전달되는 타이로드(22)에 의해 중심 핀(23)의 축 중심(Y) 주위에서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서 조향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 is mounted to the front axle case 20 in which the front wheel drive device 21 is incorporated, so that the front wheel drive device 21 in the front axle case 20 is mounted. The steering wheel 16 is a driving wheel to which power is transmitted from, and the steering wheel 16 is steered over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round the axis center Y of the center pin 23 by the tie rod 22 to whic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16 is transmitted. Consists of.

상기 전방륜 구동 장치(21)는,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미션 케이스(13)로부터의 출력이 차동 기구(도면 외)를 거쳐서 횡방향 전동축(24)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고, 그 동력이 베벨 기어(24a, 23a)를 거쳐서 상기 중심 핀(23)을 겸하는 상하 방향 축으로 전달되어 그 상하 방향 축의 하단부에 설치된 베벨 기어(23b)와 전방 차축(25)에 설치된 베벨 기어(25a)의 맞물림에 의해 전방륜(2)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e front wheel drive device 21, the output from the mission case 13 to which power from the engine E is transmitted is transmitted by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24 via a differential mechanism (outside the drawing). The bevel gears 23b and bevel gears provided on the front axle 25 are transferred to a vertical axis which serves as the center pin 23 via the bevel gears 24a and 23a.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2 by the engagement of 25a).

그리고, 전방 차축 케이스(20)는 차체 프레임(10)측에 고정된 상부 케이스(20A)와, 전방륜측에 고정된 하부 케이스(20B)와, 그들 양 케이스(20A, 20B)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케이스(20A)에 대한 상대 위치가 상하로 위치 변경되는 중간 케이스(20C)로 구성되어 있다. The front axle case 20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case 20A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10 side, the lower case 20B fixed to the front wheel side, and the two cases 20A and 20B,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ase 20A is comprised by the intermediate case 20C which changes position up and down.

그 결과, 하부 케이스(20B)에 지지된 전방 차축(25)은 상부 케이스(20A)에 대해 중간 케이스(20C)의 상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상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게 되고, 전방륜(2)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As a result, the front axle 25 supported by the lower case 20B is supported such that the front axle 25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in the range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intermediate case 20C with respect to the upper case 20A, and the front wheel 2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또한, 전방 차축 케이스(20) 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1 압축 스프링(60)이 상기 중심 핀(23)의 주위에 권취된 상태로 장착되고, 이 제1 압축 스프링(60)은 상단부측이 상부 케이스(20A)에 상하 위치를 고정하여 부착된 베벨 기어(23a) 부착용 베어링(20Aa)의 이너레이스에 접촉하여 상향 이동을 규제받고, 하단부측이 중간 케이스(20C)의 내부 바닥부에 설치한 스러스트 베어링(20Ca) 접촉하여 그 이상의 하향 이동을 규제받고 있고, 중간 케이스(20C)를 거쳐서 하부 케이스(20B)에 하향의 탄성 압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oreover, in the front axle case 20, the 1st compression spring 60 which consists of a coil spring is mounted in the state wound around the said center pin 23, and this 1st compression spring 60 is the upper end side Upward movement is restricted by contacting the inner race of the bearing 20Aa for bevel gear 23a attached by fix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to the upper case 20A, and the lower end side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intermediate case 20C. The thrust bearing 20Ca is contacted, and further downward movement is regulated, and it is comprised so that downward elastic pressing force may be given to the lower case 20B via the intermediate case 20C.

또한, 상기 중심 핀(23)의 하단부측에 설치되는 베벨 기어(23b)는 하부 케이스(20B)에 고정된 베어링(20Ba)의 하방측에 위치하여 하부 케이스(20B)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여 중심 핀(23)의 상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중심 핀(23)에 고정되고, 중심 핀(23)은 그 상단부측에 설치된 고정 부재(23c)에 의해 하강 한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bevel gear 23b installed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center pin 23 is located below the bearing 20Ba fixed to the lower case 20B and is centered along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wer case 20B. It is fixed to the center pin 23 so that the up-down position of the pin 23 may be changed, and the center pin 23 is comprised so that the fall limit may be regulated by the fixing member 23c provided in the upper end part side.

상기 제1 압축 스프링(60)은 스프링 신축 스트로크의 전체 범위에서 항상 압축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압축 스프링(60)의 탄성 압박력을 신축 스트로크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응답성 좋게 작용시킬 수 있다.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60 is configured to be in a compressed state at all times throughout the entire range of spring stretching stroke. By this structure,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1st compression spring 60 can be made to respond responsively over the whole range of stretching stroke.

도3은 기계 본체가 통상 사용되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압축 스프링(60)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기준 레벨(L0)(각 전방륜의 기준 레벨에 상당)로부터 이 제1 압축 스프링(60)이 상방으로의 최대 허용 스트로크(S1)만큼 압축되어 스프링 하단부가 최대로 상승하는 상한 레벨(Lt)[이 상태는 하부 케이스(20B)의 상단부가 상부 케이스(20A)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하부 케이스(20B)의 상승이 정지된 상태임]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즉, 이 상태는 하부 케이스(20B)의 상단부가 상부 케이스(20A)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상승이 정지된 상태이다. 반대로, 하방으로의 최대 허용 스트로크(S2)는 상기 기준 레벨(L0)과, 제1 압축 스프링(60)이 최대한 하강한 하한 레벨(Lb)[이 상태는 중심 핀 상단부측의 고정 부재(23c)가 상부 케이스(20A)의 상방 부위에서 중심 핀(23)을 지지하는 베어링(20Ab)에 접촉하여 하강이 정지된 상태임] 사이의 거리이다. 제1 압축 스프링(60)은 그 스프링 신축 스트로크의 전체 범위에서 항상 압축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3 shows that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60 is upward from the reference level L0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level of each front wheel)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60 is located in a state where the machine body is normally used. The upper limit level Lt which is compressed by the maximum allowable stroke S1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pring rises to the maximum (in this state,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20B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20A and the lower case 20B). The rising of is stopped.] Is shown. That is, in this state,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20B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20A and the ascending is stopped. On the contrary, the maximum allowable stroke S2 downward is the lower limit level Lb at which the reference level L0 and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60 ar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this state is the fixing member 23c o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in). Is in a state where the lowering stops in contact with the bearing 20Ab supporting the center pin 23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20A. The 1st compression spring 60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in a compressed state always in the whole range of the spring expansion stroke.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 레벨(L0)로부터 보면, 상방측보다도 하방측으로의 허용 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은(즉, S1 < S2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전방륜(2)의 올라 탐에 의한 상부 이동보다도, 전방륜(2)의 함몰에 의한 하향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기계 본체의 앞으로 기울어지는 데 기인한 얕은 심기에 의한 들뜬 모의 발생을 억지하는 데 허용 스트로크 범위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viewed from the reference level L0, the allowable stroke to the lower side is set larger than the upper side (that is, the one set to S1 &lt; S2) due to the rising ride of the front wheel 2 The allowable stroke rang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for suppressing the excitation simulation caused by the shallow planting caused by the inclin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achine by more actively suppressing the downward movement due to the depression of the front wheel 2 than the upper movement. To make it available.

〔요동 지지 기구(7)에 의한 후방륜 현가 구조〕[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by swinging support mechanism 7]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각 후방륜(3)은 후방륜 구동 장치(31)를 내장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차축 케이스(30)에 장착되고, 그 후방 차축 케이스(30) 내의 후방륜 구동 장치(31)에 대해 상기 제1 전동축(14)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to 6, each of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is mounte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axle cases 30 incorporating a rear wheel drive device 31, and the rear axle case 30. The power from the said 1st transmission shaft 14 is transmitted with respect to the rear wheel drive device 31 in ().

제1 전동축(14)으로부터 후방륜 구동 장치(31)로의 동력 전달은 제1 전동축(14)에 연동 연결된 횡방향의 후방륜 전동축(32)과, 후방륜 전동축(32)으로부터 좌우의 대응하는 후방륜 구동 장치(31)로의 동력을 각각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클러치(33)를 거쳐서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동력 전달 구조는 후방부 후방 차축 케이스(34)에 내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그 후방부 후방 차축 케이스(34)의 좌우 각 단부에 형성한 통형 저어널(34A)에 좌우의 후방 차축 케이스(30)의 베이스단부측의 보스부(30A)가 외부에서 끼워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Power transmission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4 to the rear wheel drive device 31 is left and right from the transverse rear wheel transmission shaft 32 and the rear wheel transmission shaft 32 linked to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4.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lutches 33 which respectively clamp down the power to the corresponding rear wheel drive device 3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s built into the rear rear axle case 34. The bosses 30A on the base end side of the left and right rear axle cases 30 are externally fitted to the cylindrical journals 34A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rear axle case 34, respectively. It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사이드 클러치(33)는 스프링(33a)에 의해 평상시에는 클러치 온측으로 압박되어 있지만, 오프 조작 가능한 시프트 부재(33b)를 횡방향의 후방륜 전동축(32)에 끼움 삽입하고 있고, 스티어링 휠(16)의 소정 각도 이상의 조향 조작에 연동하여 선회 내측의 후방륜(3)에 대한 전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시프트 부재(33b)를 클러치 오프측으로 조작하는 조작 부재(33c)와 연계되어 있다. Although the said side clutch 33 is normally pressed by the spring 33a to the clutch on side, the shift member 33b which can be operated off is fitted to the rear wheel transmission shaft 32 of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teering wheel ( It is linked with the operation member 33c which operates the said shift member 33b to the clutch off side so that transmission to the rear wheel 3 of a turning inside may be interrupted | cooperated with steering operation more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of 16).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30) 내에 배치되는 후방륜 구동 장치(31)는 대응하는 후방륜(3)에 감속 전동하는 좌우의 기어식 감속 기구(35)를 거쳐서 후방 차축(36)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후방륜 전동축(32)과, 상기 후방 차축(36)과, 그 양 축 사이에 설치한 중계 축(37)의 각각에 설치한 기어군에 의해 구성되고, 후방 차 축 케이스(30)의 회전에 수반하여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rear wheel drive device 31 disposed in the rear axle case 30 transmits power to the rear axle 36 via the left and right gear type reduction mechanism 35 which decelerates and transmits to the corresponding rear wheel 3. It is comprised by the gear group provided in each of the said rear wheel transmission shaft 32, the said rear axle 36, and the relay shaft 37 provided between both shafts, and the rear axle case 30 of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move integrally with rotation.

후방 차축 케이스(30)는 상기 후방부 후방 차축 케이스(34)의 좌우 각 단부에 형성한 통형 저어널(34A)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기계 본체 좌우 방향에 따르는 횡축 중심(X)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지만, 그 후방 차축 케이스(30)를 요동시키기 위한 요동 지지 기구(7)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The rear axle case 30 is pivotally rotated relative to the cylindrical journal 34A formed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axle case 34 so as to swing around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axis X along the machine body left and right directions. Although configured as possible, the swing support mechanism 7 for swinging the rear axle case 30 is configured as follows.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0)의 후방부에서 승강 링크(41)가 부착된 수직 상승 벽부(10A)에 상부 받침 부재(71)의 일단측을 고정하여 후방 차축 케이스(30)에 하부 받침 부재(72)를 부착하고, 이들 상부 받침 부재(71)의 헐거운 단부측과 하부 받침 부재(72) 사이에 걸쳐서 제2 압축 스프링(제2 스프링의 일예)(70)을 장착하고 있다. 이 제2 압축 스프링(70)의 스프링 정수는 상기 제1 압축 스프링(60)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5 and 6, the rear axle case is fixed by fixing one end side of the upper support member 71 to the vertically rising wall portion 10A to which the lifting link 41 is attach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0. As shown in FIG. Attach the lower support member 72 to the 30, and attach a second compression spring (an example of the second spring) 70 between the loose end side of these upper support members 71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72. I wear it. The spring constant of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is set smaller than the spring constant of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60.

양 도면 중 부호(73)는 상기 상부 받침 부재(71)와 하부 받침 부재(72) 사이에 걸쳐서 설치한 중심재이고, 제2 압축 스프링(70)의 휘어짐을 억제하는 동시에, 상부 받침 부재(71)의 헐거운 단부측에 설치한 축부(71A)에 끼우도록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73A)에 의해 후방 차축 케이스(30)의 요동 각도 범위의 상한과 하한을 결정하고 있다. Reference numeral 73 in both figures is a cent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pport member 71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72 to suppress bending of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support member 71. The upper limit and the lower limit of the swing angle range of the rear axle case 30 are determined by the long hole 73A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haft portion 71A provided on the loose end side.

도5에 도시하는 상태는 기계 본체가 통상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제2 압축 스프링(70)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표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방측으로의 최대 허용 스트로크(S3)는 도면 중 제2 압축 스프링(70)의 하단부에 나타내는 기준 레벨(L0)(후방 차축 케이스, 나아가서는 후방륜의 기준 위치에 상당) 과, 그 하단부의 위치가 최대로 상승하는 상한 레벨(Lt)[이 상태는, 예를 들어 제2 압축 스프링(70)의 코일 간격이 없어진 상태임] 사이의 거리이다. 하방으로의 최대 허용 스트로크(S4)는 상기 기준 레벨(L0)과 제2 압축 스프링(70)이 최대한 하강한 하한 레벨(Lb)[이 상태는 중심재(73)의 긴 구멍(73A)의 상단부측이 축부(71A)에 접촉하여 하강이 정지된 상태임] 사이의 거리이다. The state shown in FIG. 5 has shown the standard position in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2nd compression spring 70 in the state in which a machine main body is normally used. The maximum allowable stroke S3 from this state to the upper side is the reference level L0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rear axle case, and also the rear wheel) indi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in the figure,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limit level Lt at which the position of maximally rises (this state is, for example, the coil spacing of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is lost). The maximum allowable stroke S4 downward is the lower limit level Lb at which the reference level L0 and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ar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this state is the upper end of the long hole 73A of the center member 73). Side is in contact with the shaft portion 71A, and the lowering is stopped.

이와 같이, 기준 레벨(L0)로부터 보면, 하방측보다도 상방측으로의 허용 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은(즉, S3 > S4로 설정하고 있는 것은), 후방륜(3)의 오목부로의 함몰에 의한 하향 이동보다도, 후방륜(3)의 볼록부에의 올라 탐에 의한 상향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기계 본체의 뒤쪽이 들리는데 기인한 얕은 심기에 의한 들뜬 모의 발생을 억지하는 데 허용 스트로크 범위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In this way, from the reference level L0, setting the allowable stroke to the upper side larger than the lower side (that is, setting S3 &gt; S4) is caused by the depression of the rear wheel 3 to the recessed portion. Allowing stroke to restrain the excitation of excitation caused by shallow planting caused by lifting of the rear of the machine main body by more actively suppressing upward movement by the tom of the rear wheel 3 than the downward movement. This is to ensure that the range can be used effectively.

상부 받침 부재(71)의 헐거운 단부측에 설치한 축부(71A)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받침 부재(71)의 헐거운 단부측이 상기 수직 상승 벽부(10A)로부터 떨어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떨어진 2점에서 고정 지지되어 축부(71A)의 기계 본체 횡외측으로의 돌출단부측에 상기 중심재(73) 및 제2 압축 스프링(70)이 장착되어 있고, 축부(71A)의 고정 핀(74)을 탈착함으로써 상기 제2 압축 스프링(70)을 컬러(75)와 함께 제거할 수 있다. In the shaft portion 71A provided on the loose end side of the upper support member 71, as shown in Fig. 6, the loose end side of the upper support member 71 is formed away from the vertically rising wall portion 10A. The center member 73 and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are mounted on the protruding end side of the shaft portion 71A to the machine main body transversely outward at two point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xing pin 74 of the shaft portion 71A. ),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can be removed together with the collar 75.

또한, 하부 받침 부재(72)의 축부(72A)도 그 각 단부의 고정 핀(76) 혹은 서클립(circlip)(79)을 제거함으로써, 후방 차축 케이스(30)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받침 부재(72)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중심재(73) 자체도 제거할 수 있 다. 따라서, 요동 각도 범위의 상한 하한의 설정 영역이 다르게 형성된 중심재(73)나, 압박력이나 스프링 정수가 다른 제2 압축 스프링(70)을 바꾸어 부착하면, 후방 차축 케이스(30)의 요동 작동 범위나 요동 성능을 다르게 한 설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member 72 fixed to the rear axle case 30 by removing the fixing pin 76 or the circlip 79 at each end of the shaft portion 72A of the lower support member 72 ( 72, thereby removing the center member 73 itself. Therefore, when the center member 73 and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having different pressing forces or spring constants are alternately attached, the oscillating operation range of the rear axle case 30 is different. The swing performance can be set differently.

또한, 제2 압축 스프링(70)의 스프링 정수는 상기 신축 지지 기구(6)의 제1 압축 스프링(60)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Moreover, it is suitable that the spring constant of the 2nd compression spring 70 is set smaller than the spring constant of the 1st compression spring 60 of the said telescopic support mechanism 6.

〔제1 실시 형태의 개변예〕[Modification Example of First Embodiment]

(1)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20)에는 상기 신축 지지 기구(6)를 구동함으로써, 제1 압축 스프링(60)의 기준 레벨(L0)을 변경하는 구동 수단(8)을 마련해도 좋다. (1) The front axle case 20 may be provided with a drive means 8 for changing the reference level L0 of the first compression spring 60 by driving the telescopic support mechanism 6.

이 구동 수단(8)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As this drive means 8, a hydraulic apparatus can be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이 구조에서는, 전방 차축 케이스(20)가 차체 프레임(10)측에 고정된 상부 케이스(20A)와, 전방륜(2)측에 고정된 하부 케이스(20B)로 이루어지고, 상부 케이스(20A)에 대해 하부 케이스(20B)가 상대적으로 상하로 위치 변경함으로써 신축되고, 전방 차축(25)이 상부 케이스(20A)에 대해 상하 방향에서 상대 이동하여 전방륜(2)의 높이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경된다. In this structure, the front axle case 20 is composed of an upper case 20A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10 side, and a lower case 20B fixed to the front wheel 2 side, and the upper case 20A. The lower case 20B is stretch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upper case, and the front axle 25 is moved relative to the upper case 20A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position of the front wheel 2 chang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do.

이 구조에서는, 중심 핀(23)을 하향으로 압박하는 탄성 압박용 제1 압축 스프링(60)은 그 중심 핀 상단부에 고정된 스프링 받침(23c)과, 중심 핀(23)의 상방 위치의 상부 케이스(20A) 내에 일체로 형성한 실린더실(8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 게 내장된 피스톤(81)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In this structure, the spring pressing 23c fixed to the center pin upper end part and the upper case of the upper position of the center pin 23 are the 1st compression spring 60 for elastic compression which presses the center pin 23 downward.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piston 81 built in the cylinder chamber 80 integrally formed in 20A so that sliding is possible.

상기 실린더실(80)에는 도면 외의 유압원으로부터 압력유가 공급되고, 피스톤(81)의 위치를 적정한 높이 위치에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실(80)에 공급되는 압유의 설정압은 도면 외의 압력 조정 밸브의 조작 등에 의해 변경 가능하고, 그와 같이 설정압을 변경함으로써 피스톤(81)의 높이 위치를 변경하여 신축 지지 기구(6)에 의한 기준 레벨 그 자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경반이 비교적 얕은 밭 현장이나, 경반이 깊은 밭 현장에 따라서 신축 지지 기구(6)의 기준 레벨을 변경하여 주행할 수 있다. The cylinder chamber 80 is configured to supply pressure oil from a hydraulic source other than the drawing, and to set the position of the piston 81 at an appropriate height position. The set pressure of the pressurized oil supplied to the cylinder chamber 80 can be changed by operation of a pressure regulating valve, etc., not shown in the drawing. By changing the set pressure in this way, the height position of the piston 81 is changed to expand / extend the support mechanism ( Since the reference level itself by 6) can be chang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eference level of the stretchable support mechanism 6 in accordance with, for example, a field site with a relatively shallow field or a field field with a deep field.

또한, 도면 중 부호 20Ac는 신축 지지 기구(6)에 의한 전방 차축(25)의 최대 하강량을 중심 핀(23)의 상단부의 고정 부재(23c)의 접촉에 의해 제한하도록 상부 케이스(20A) 내부에 일체 형성한 스토퍼이다. In addition,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20Ac denotes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20A so as to limit the maximum descending amount of the front axle 25 by the elastic support mechanism 6 by the contact of the fixing member 23c 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in 23. It is a stopp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2) 전방 차축 케이스(20)의 신축 지지 기구(6)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8)으로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를 이용해도 좋다. (2) As the drive means 8 which drives the expansion / extension support mechanism 6 of the front axle case 20, you may use an electric cylinder as shown in FIG.

이 구조에서는, 상술한 유압 장치를 이용하여 구동 수단(8)을 구성한 경우와 같은 전방 차축 케이스(20)를 이용하여 유압 실린더 대신에 전동 실린더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In this structure, the electric cylinder is used instead of the hydraulic cylinder by using the front axle case 20 as in the case where the drive means 8 is constituted using the above-mentioned hydraulic apparatus.

구체적으로는, 피스톤형 부재(82)의 상하 위치 조절을 상부 케이스(20A)의 상단부에 설치한 전동 모터(83)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나사축(84)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피스톤형 부재(82)의 중앙부에 나사축(84)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피스톤형 부재(82)의 회전 방지를 행하는 가이드부(85)로서의 돌출조를 상부 케이스(20A)의 내부에 형성하여 전동 모터(83)의 구동력에 의해 나사축(84)을 거쳐서 피스톤형 부재(82)의 상하 위치 조절을 행하고, 이에 의해 신축 지지 기구(6)의 기준 레벨을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Specifically, the piston type is performed by the screw shaft 84 which is driven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electric motor 8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20A. In the center of the member 82, a screw portion for screwing with the screw shaft 84 is formed to form a protrusion in the upper case 20A as a guide portion 85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piston type member 82. The up-down position of the piston-type member 82 is adjusted via the screw shaft 84 by the drive force of the electric motor 83, an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reference level of the expansion-contraction support mechanism 6 may be changed.

(3) 후방 차축 케이스(30)의 요동 지지 기구(7)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8)을 마련해도 좋다. (3) A drive means 8 for driving the swing support mechanism 7 of the rear axle case 30 may be provided.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받침 부재(71)를 차체 프레임(10)의 후방부에 설치된 수직 상승 벽부(10A)에 대해 횡지지축(77)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상부 받침 부재(71)의 헐거운 단부측의 축부(71A)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구동 수단(8)으로서의 조절용 유압 실린더(86)를 설치하고 있다. 이 조절용 유압 실린더(86)의 신축에 의해 상기 횡지지축(77) 주위에서 상부 받침 부재(71)를 요동시켜 수직 상승 벽부(10A)에 대한 부착 각도를 변경하여 제2 압축 스프링(70)에 대한 상단부측의 받침 위치를 변경하고, 후방 차축(36)의 상하 위치를 상기 횡축 중심(X) 주위에서 변경함으로써, 요동 지지 기구(7)의 기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upper support member 71 is pivotably mounted about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77 with respect to the vertically rising wall portion 10A provid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0. The adjustment hydraulic cylinder 86 as the drive means 8 is provided in the edge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in which the shaft part 71A on the loose end side of the member 71 was provide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djusting hydraulic cylinder 86 causes the upper support member 71 to swing around the lateral support shaft 77 to change the attachment angle to the vertically rising wall portion 10A to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It is comprised so that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oscillation support mechanism 7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support position of the upper end part side with respect to, and changing the up-down position of the rear axle 36 around the said horizontal axis center X.

물론, 구동 수단(8)으로서 전동 실린더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n electric cylinder as the drive means 8.

(4) 후방 차축 케이스(30)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7)의 구체 구성으로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받침 부재(71)의 헐거운 단부측과 하부 받침 부재(72) 사이에 걸쳐서 설치한 중심재(73)와, 그 중심재(73)에 외부에서 끼운 제2 압축 스프링(70)에 의해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4) As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wing support mechanism 7 that supports the rear axle case 30 so as to be swingable, as shown in FIG. 5, the loose end side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72 of the upper support member 71. It is not limited to what was comprised by the center material 73 provided across and the 2nd compression spring 70 externally inserted in the center material 73, For example, you may comprise as shown in FIG. .

이 구조에서는, 제2 압축 스프링(70)으로서의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에 훅 부분(70a)을 형성하고, 이 훅 부분(70a)을 상부 받침 부재(71)의 헐거운 단부측과 하부 받침 부재(72) 각각에 설치된 축부(71A, 72A)에 계지하고, 코일 스프링의 외측에는 그 휘어짐을 억제하는 통형 가이드(78)를 관통하여 끼우고 있다. 상기 통형 가이드(78)에는 제2 압축 스프링(70)의 신축 작동을 행하는 축부(71A)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하 방향으로 긴 절결 부분(78a)을 형성하고 있다. In this structure, hook portions 70a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as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and the hook portions 70a are loosely end side of the upper supporting member 71 and the lower supporting member 72. Locked to the shaft portions 71A and 72A provided in each of them, the outer side of the coil spring penetrates through a cylindrical guide 78 that suppresses its bending. The cylindrical guide 78 is formed with a notch portion 78a that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haft portion 71A which expands and contracts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70.

〔제2 실시 형태〕[2nd Embodiment]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후방 차축 케이스의 요동 지지 기구는 후방 차축 케이스의 상하 요동의 지지점(a)이 이 후방 차축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지지 아암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상이하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앞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In the swing support mechanism of the rear axle cas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point is that the support point a of the up and down swing of the rear axle case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arm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rear axle case. It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 Hereinafter, although it demonstrates concretely, about the member similar to previous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not repeated.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승용형 전식기에 있어서도 신축 지지 기구(6)에 의한 전방륜 현가 구조와, 요동 지지 기구(7)에 의한 후방륜 현가 구조에 의해 전방륜(2) 및 후방륜(3)이 각각 상하 변위 가능하게 현가되어 있다. Also in the riding type transf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wheel 2 and the rear wheel 3 have a front wheel suspension structure by the elastic support mechanism 6 and a 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by the swing support mechanism 7. Each of these is suspended so that up-and-down displacement is possible.

〔신축 지지 기구(6)에 의한 전방륜 현가 구조〕[Front wheel suspension structure by telescopic support mechanism 6]

도13에 전방륜 현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륜(2)은 전방 차축 케이스(110)에 장착되어 있고, 이 전차축 케이스(110)는 기계 본체측에 고정된 상부 케이스(110a)와 전방륜측에 고정된 하부 케이스(110b)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이 전방 차축 케이스(110)라 후술하는 서스펜션 스프링(137)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신축 지지 기구(6)가 구성되어 있다. 13 shows a front wheel suspension structure. As shown, the front wheels 2 are mounted on the front axle case 110, and the front axle case 110 has an upper case 110a fixed to the machine body side and a lower case fixed to the front wheel side ( 110b). Mainly, this front axle case 110 constitute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upport mechanism 6 of this embodiment from the suspension spring 137 mentioned later.

각 상부 케이스(110a)에는 종축 중심(P) 주위에 회전 가능하면서 종축 중심(P)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하부 케이스(110b)가 끼워 맞춤 장착되어 있고, 미션 케이스(13)에 내장된 도면 외 좌측의 차동 기구로부터 연장 돌출된 차동축(132)과, 상기 하부 케이스(110b)에 장착한 전방 차축(133)이 상부 케이스(110a)에 내장된 종전동축(134) 및 2조 베벨 기어(135a, 135b, 136a, 136b)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전방 차축(133)에 연결한 전방륜(2)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전동축(134)은 하부 케이스(110b)측에 속해 있고, 하부 케이스(110b)의 상하 변위에 수반하는 종전동축(134)의 상하 변위가 베벨 기어(135b)와 종전동축(134)의 스플라인 끼워 맞춤 부위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상기 종축 중심(P)은 약간 뒤쪽이 기울어져, 이른바 캐스터각이 부여되어 있다(도10 참조). Each upper case 110a is fitted with a lower case 110b that is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center P and slides in the longitudinal center P, and is fitted in the mission case 13. A differential shaft 132 extending from the differential mechanism on the left side, and a driven shaft 134 in which the upper axle 133 mounted on the lower case 110b is built into the upper case 110a, and the double bevel gear 135a. , 135b, 136a, and 136b are interlocked so that the front wheels 2 connected to the front axle 133 are driven. In addition, the vertical drive shaft 134 belongs to the lower case 110b side,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vertical drive shaft 134 accompanied by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lower case 110b is such that the bevel gear 135b and the vertical drive shaft 134 Absorbed by a slide at the spline fit site. In addition, the said longitudinal axis center P is inclined a little back, and is called the caster angle (refer FIG. 10).

상부 케이스(110a)와 하부 케이스(110b) 사이에는 상기 종전동축(134)에 끼움 삽입되어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된 서스펜션 스프링(제1 스프링의 일예)(137)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전방륜(1)에 작용하는 기계 본체 하중이 각각의 서스펜션 스프링(137)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A suspension spring (an example of the first spring) 137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case 110a and the lower case 110b and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drive shaft 134 and configured as a compression spring. The machine body load acting on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espective suspension springs 137.

상기 서스펜션 스프링(137)은 스프링 신축 스트로크의 전체 범위에서 항상 압축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서스펜션 스프링(137)의 탄성 압박력을 신축 스트로크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응답성 좋게 작용시킬 수 있다. The suspension spring 137 is configured to be in a compressed state at all times throughout the entire range of spring stretching stroke. By this structure,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suspension spring 137 can be made to respond responsively over the whole range of stretching stroke.

도13은 기계 본체가 통상 사용되는 상태에 있어서 서스펜션 스프링(137)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기준 레벨(L0)(각 전방륜의 기준 레벨에 상당)로부터 이 서스펜션 스프링(137)이 상방으로의 최대 허용 스트로크(S1)만큼 압축되어 스프링 하단부가 최대로 상승하는 상한 레벨(Lt)[하부 케이스(110b)의 상단부가 상부 케이스(110a)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상승이 정지된 상태임]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반대로, 하방으로의 최대 허용 스트로크(S2)는 상기 기준 레벨(L0)과, 서스펜션 스프링(137)이 최대한 하강한 하한 레벨(Lb)[이 상태는 종전동축(134) 상단부측의 고정 부재(134a)가 베벨 기어(135b)에 접촉하여 하강이 정지된 상태임] 사이의 거리이다. 서스펜션 스프링(137)은 그 스프링 신축 스트로크의 전체 범위에서 항상 압축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Fig. 13 shows the maximum allowance of the suspension spring 137 upward from the reference level L0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level of each front wheel)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spring 137 is located in the state where the machine body is normally used. Compressed by stroke S1 to move to the upper limit level Lt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spring rises to the maximu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110b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110a and the ascending is stopped). Indicates. On the contrary, the maximum allowable stroke S2 downward is the lower limit level Lb at which the reference level L0 and the suspension spring 137 ar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this state is the fixing member 134a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driven shaft 134). ) Is in a stopped state in contact with the bevel gear 135b]. The suspension spring 137 is configured to always be in a compressed state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spring stretching stroke.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 레벨(L0)로부터 보면, 상방측보다도 하방측에의 허용 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은(즉, S1 < S2로 설정하고 있는 것은), 전방륜(2)의 올라 탐에 의한 상향 이동보다도 전방륜(2)의 함몰에 의한 하향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기계 본체의 앞으로 기울어짐에 기인한 얕은 심기에 의한 들뜬 모의 발생을 억지하는 데, 허용 스트로크 범위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As described above, from the reference level L0, setting the allowable stroke to the lower side more than the upper side (that is, setting S1 <S2) is to increase the ride of the front wheel 2. The allowable stroke range is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excitation simulation caused by shallow planting caused by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of the machine body by suppressing the downward movement caused by the depression of the front wheel 2 more than the upward movement by the upward movement. This is to make it possible to use it.

또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하부 케이스(110b)에는 너클 아암(140)이 연결되고, 각 너클 아암(140)이 기계 본체 중앙부의 피트맨 아암(141)에 타이 로드(142)를 거쳐서 각각 연동 연결되고, 스티어링 휠(16)의 회전 조작에 의해 그 회전 조작 방향으로 좌우의 전방륜(2)이 조향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 the knuckle arms 140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cases 110b, and the knuckle arms 140 each have a tie rod 142 on the pitman arm 141 at the center of the machine body. Each of the front wheels 2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s steered in the rotation operation direction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16.

〔요동 지지 기구(7)에 의한 후방륜 현가 구조〕[Rear wheel suspension structure by swinging support mechanism 7]

도10 내지 도12 및 도14 내지 도19에 그 요동 지지 기구(7)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후방륜(3)을 저어널한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115)는 미션 케이스(13)로부터 취출된 변속 동력이 제1 전동축(14)을 거쳐서 입력되는 중앙 케이스부(115a)와, 그 좌우 양단부에 연결된 감속 케이스부(115b)로 이루어지고, 중앙 케이스부(115a) 및 좌우의 감속 케이스부(115b)가 둥근 파이프제의 스테이(117)로 서로 연결되어 케이스 전체가 보강되어 있다. 중앙 케이스부(115a)의 좌우 전방면에 연결한 블래킷(150)으로부터 각각 지지 아암(151)이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 고정되는 동시에, 좌우의 감속 케이스부(115b)의 내향측면에는 띠판재를 역U자형으로 절곡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지지 링크(152)가 지지점 핀(153)을 거쳐서 부착되어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10 to 12 and 14 to 19, the swing support mechanism 7 is show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ar axle case 115 journaling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has a center case portion 115a through which shifting power extracted from the mission case 13 is input via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4. ) And a reduction case part 115b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and the center case part 115a and the left and right reduction case part 115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und pipe stay 117 to reinforce the whole case. It is. Support arms 151 extend and protrude forward from the brackets 150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front surfaces of the center case portion 115a, and a band plate is provided on the inward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reduction case portions 115b. A support link 152 formed by bending in an inverted U-shape is attached via a support pin 153 and protrudes upward.

미션 케이스(13)로부터는 후방을 향해 각(角) 파이프제의 차체 프레임(118)이 연결되어 있고, 이 차체 프레임(118)의 전방부에 연속 설치된 종벽형의 연결부(118a)에 지지축(154)이 좌우 수평으로 관통 고정 부착되고, 이 지지축(154)의 양단부에 후방 차축 케이스(115)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연장 돌출된 상기 지지 아암(151)의 전단부 보스부(151a)가 고무 부시(155)를 거쳐서 연결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된 후방 차축 케이스(115)는 후방륜(3)의 외형(측면으로부터 보아 외곽)보다도 전방으로 크게 떨어진 위치에 있는 지지축(154)의 축 중심(a)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변위 가능하면서 고무 부시(155)의 탄성 융통에 의해 후방 차축 케이스(115) 전체가 좌우로도 틸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vehicle body frame 118 made of an angle pipe is connected from the mission case 13 toward the rear, and the support shaft (a)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wall connecting portion 118a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frame 118. 154 is fixed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ly, and the front end boss portion 151a of the support arm 151 which protrudes forward from the rear axle case 115 to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154 is rubber. It is connected and supported via the bush 155. The rear axle case 115 supported in this manner swings up and down with the support of the shaft center a of the support shaft 154 at a position far away from the outer shape of the rear wheel 3 (outer side from the side). The entire rear axle case 115 can be tilted left and right by the elastic fusion of the rubber bush 155 while being displaceable.

또한, 후방 차축 케이스(115)에 있어서의 중앙 케이스부(115a)의 우측으로 치우친 부위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지지축(156)이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차체 프레임(118)의 좌측 하면에 설치한 블래킷(157)에 지지점 핀(158)이 전방을 향하도록 돌출 설치되고, 횡방향에 배치된 측면 로드(lateral rod)(159)의 양단부 보스부(159a, 159b)가 이들 지지축(156)과 지지점 핀(158)에 걸쳐서 고무 부시(160)를 거쳐서 연결되어 후방 차축 케이스(115)의 횡진동을 규제받고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118)의 후방부 좌우에는 고무제의 스토퍼(161)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블래킷(150)의 상면과 스토퍼(161)의 접촉에 의해 후방 차축 케이스(115)의 틸팅 범위를 규제받고 있다. Moreover, the support shaft 156 protrudes from the site | part which shifted to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case part 115a in the rear axle case 115 to face forward, and was install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18. The support pin 158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kit 157, and boss portions 159a and 159b of the lateral rods 159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156. The lateral vibration of the rear axle case 115 is regulated by being connected via the rubber bush 160 over the support pin 158. In addition, a rubber stopper 161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frame 118, and the tilting range of the rear axle case 11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50 and the stopper 161. Are regulated.

또한, 차체 프레임(118)의 후방부에는 4연 링크 기구로 이루어지는 승강 링크(41)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종프레임(119)이 세워 설치되고, 이 종프레임(119)에 좌우 수평으로 관통 고정 부착된 지지축(162)의 양단부와, 후방 차축 케이스(115)의 좌우로부터 상향으로 연장 돌출된 상기 지지 링크(152)의 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긴 구멍(163)을 거쳐서 연결되는 동시에, 각 지지 링크(152)에는 압축 스프링에 구성된 서스펜션 스프링(제2 스프링의 일예)(164)이 외부에서 끼워 장착되고, 그리고 좌우의 후방륜(3)에 작용하는 기계 본체 하중이 좌우의 서스펜션 스프링(164)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at the rear of the body frame 118, a left and right pair of longitudinal frames 119 are installed to connect the front ends of the elevating links 41 formed of the four link mechanisms, and the horizontal frames 119 are arranged horizontally.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162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link 152 protruding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axle case 1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ong hole 163 in the vertical direction. Suspension springs (an example of the second spring) 164 configured to the compression springs are fitted to each support link 152 from the outside, and the machine body load acting on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is left and right suspension springs. 164 is elastically supported.

이 경우, 후방 차축 케이스(115)에 저어널된 후방륜(3)이 상하로 요동 변위할 때의 지지점(a)은 후방륜(3)의 외형보다도 전방으로 크게 떨어지고, 또한 후방륜 축 중심 높이에 가까운 높이 위치에 있으므로, 후방륜 축 중심의 상하 이동 궤적은 수직선에 가까운 큰 곡률의 원호 궤적이 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륜(3)이 크 게 상방 변위해도 전후 방향, 특히 후방으로의 변위 성분은 미소하고, 상승 이동한 후방륜(3)이 모 이식 장치(4)측에 근접하여 모 탑재대(45)의 전방측에 배치된 각종 기구나 부품에 접근하여 접촉하는 일이 미연에 회피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support point a when the rear wheel 3 journaled to the rear axle case 115 oscillates up and down falls farther forward than the outer shape of the rear wheel 3, and the rear wheel shaft center height is increased. Since it is at a height position close to, the vertical movement trajectory of the center of the rear wheel shaft is a circular arc trajectory with a large curvature near the vertical line. Therefore, even if the rear wheel 3 displaces large upwards, the displacement component of the front-back direction, especially the rear side is minute, and the rear wheel 3 which moved up was close to the mother implant apparatus 4 side, and the mother mount 45 The approach and contact of various mechanisms and parts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crest is avoided in advance.

도14에 도시하는 상태는 기계 본체가 통상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서스펜션 스프링(164)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표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방측으로의 최대 허용 스트로크(S3)는 도면 중 서스펜션 스프링(164)의 하단부에 도시하는 기준 레벨(L0)(후방륜의 기준 위치에 상당)과, 그 하단부의 위치가 최대로 상승하는 상한 레벨(Lt)[이 상태는 상기 블래킷(150)의 상면과 스토퍼(161)의 접촉에 의해 후방 차축 케이스(115)의 틸팅(롤링)을 규제받은 상태임] 사이의 거리이다. 하방으로의 최대 허용 스트로크(S4)는 상기 기준 레벨(L0)과 서스펜션 스프링(164)이 최대한 하강한 하한 레벨(Lb)[이 상태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긴 구멍(163)의 상단부측이 지지축(162)에 접촉하여 하강이 정지된 상태임] 사이의 거리이다. The state shown in FIG. 14 has shown the standard position in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suspension spring 164 in the state in which a machine main body is normally used. The maximum allowable stroke S3 from this state to the upper side is that the reference level L0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rear wheel) shown at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spring 164 in the figure,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thereof rise to the maximum.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limit level Lt (this state is a state where the tilting (rolling) of the rear axle case 115 is restricted by the contac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50 and the stopper 161). The maximum allowable stroke S4 downward is the lower limit level Lb at which the reference level L0 and the suspension spring 164 ar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in this state, the upper end side of the long hole 163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162 is in contact with the descending stop state].

이와 같이, 기준 레벨(L0)로부터 보면, 하방측보다도 상방측으로의 허용 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하고 있는 것은(즉, S3 > S4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은), 후방륜(3)의 오목부로의 함몰에 의한 하향 이동보다도 후방륜(3)의 볼록부로의 올라 탐에 의한 상향 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기계 본체의 뒤쪽이 들리는데 기인한 얕은 심기에 의한 들뜬 모의 발생을 억지하는 데 허용 스트로크 범위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As described above, from the reference level L0, setting the allowable stroke to the upper side larger than the lower side (that is, setting S3> S4) is caused by the depression of the rear wheel 3 to the recessed portion. The allowable stroke range is suppressed to suppress the excitation of the planting caused by shallow planting caused by lifting of the rear side of the machine body by more actively suppressing upward movement due to the tom of the rear wheel 3 than the downward movement. This is to make effective use.

또한, 압박력이나 스프링 정수가 다른 서스펜션 스프링(164)을 바꾸어 부착 하면, 후방 차축 케이스(115)의 요동 작동 범위나 요동 성능을 다르게 한 설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스프링(164)의 스프링 정수는 상기 신축 지지 기구(6)의 서스펜션 스프링(137)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In addition, when the suspension spring 164 with different pressing force or spring constant is changed and attached, the swinging operation range and the swinging performance of the rear axle case 115 can be set differentl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ing constant of the suspension spring 164 is set smaller than the spring constant of the suspension spring 137 of the elastic support mechanism 6.

도18 및 도19에는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115)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후방 차축 케이스(115)의 중앙 케이스부(115a)에는 미션 케이스(13)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축(170)이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동시에, 입력축(170)에 베벨 기어 연동된 횡방향 전동축(171)이 가로로 걸쳐지고, 이 횡방향 전동축(171)으로 전달된 동력이 좌우로 분기되어 사이드 클러치(172), 기어 감속 기구(173) 및 후방 차축(174)을 거쳐서 좌우의 후방륜(3)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즉, 횡방향 전동축(171)의 축 중심이 좌우 후방륜(3)에 대한 동력 분기선(b)이 되어 있고, 이 동력 분기선(b)은 기계 본체 측면으로부터 보아 후방륜 외형의 내부에 위치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도11도 참조). 18 and 19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ar axle case 115. In the center case portion 115a of the rear axle case 115, an input shaft 170 to which power from the mission case 13 is transmitted is mounted to the front, and a transverse direction bevel gear-linked to the input shaft 170. The transmission shaft 171 spans horizontally, and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lateral transmission shaft 171 branches left and right through the side clutch 172, the gear reduction mechanism 173, and the rear axle 174. It is supposed to be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3. That is, the axis center of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171 becomes the power split line b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and this power split line b is located inside the rear wheel outline from the side of the machine body. It extends and protrudes (see FIG. 11).

도18 내지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클러치(172)는 횡방향 전동축(171)에 헐겁게 끼워진 클러치 기어(175)와, 횡방향 전동축(171)에 스플라인 외부 끼움 장착된 클러치 슬리브(176)와, 클러치 슬리브(176)를 케이스 중심측을 향해 슬라이드 압박하도록 횡방향 전동축(171)에 끼움 삽입된 클러치 온 압박용 스프링(177)으로 구성되어 있고, 클러치 기어(175)의 연장 보스부(175a)에 설치한 갈고리부(175b)와 클러치 슬리브(176)로 설치한 갈고리부(176a)를 교합시킴으로써 횡방향 전동축(171)의 동력을 클러치 기어(175)로 전달하는 클러치 온 상태가 초래되 고, 클러치 슬리브(176)를 스프링(177)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시프트시켜 갈고리부(175b, 176a)의 교합을 해제함으로써 횡방향 전동축(171)으로부터 클러치 기어(175)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 상태가 초래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8 to 20, the side clutch 172 has a clutch gear 175 loosely fitted to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171, and a clutch sleeve fitted outside the spline to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171. 176 and a clutch on pressing spring 177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171 so as to slide the clutch sleeve 176 toward the case center side, and the clutch gear 175 is extended. Clutch-on which transfers the power of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171 to the clutch gear 175 by engaging the hook portion 175b provided on the boss portion 175a and the hook portion 176a provided by the clutch sleeve 176. A condition is brought about, and the clutch sleeve 176 is shifted outward against the spring 177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hook portions 175b and 176a, thereby driving the power from the lateral transmission shaft 171 to the clutch gear 175. Clutch off state to block delivery in seconds It is possible.

또한, 이 사이드 클러치(172)의 전동 하측에는 클러치 오프 작동으로 계속해서 당겨지는 클러치 조작에 의해 감속 상태에서의 전동이 가능해져 있다. 즉, 상기 횡방향 전동축(171)에는 클러치 기어(175)보다 소경의 감속 전동 기어(178)가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기어(178)의 연장 보스부(178a)에 상기 클러치 기어(175)가 헐겁게 끼워지고, 연장 보스부(178a)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갈고리부(178b)와 클러치 슬리브(176)의 외측 단부면에 형성된 갈고리부(176b)가 대향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슬리브(176)를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더욱 스프링(177)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시프트시키면, 갈고리부(176b, 178b)가 교합하여 횡방향 전동축(171)의 동력이 감속 전동 기어(178)로 전달되는 상태가 초래되고, 후방륜(3)은 통상의 클러치 온 상태보다도 감속되어 구동된다. Moreover, the transmission in the deceleration state is enab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mission of this side clutch 172 by the clutch operation continuously pulled by a clutch off operation. That is, the reduction gear drive 178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clutch gear 17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ateral transmission shaft 171, and the clutch gear (178) is extended to the extension boss portion 178 a of the gear 178. 175 is loosely fitted, and the hook part 178b formed in the inner end part of the extension boss part 178a, and the hook part 176b formed in the outer end surface of the clutch sleeve 176 oppose. Therefore, when the clutch sleeve 176 is further shifted outward from the clutch off position against the spring 177, the hook portions 176b and 178b engage with the power of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171 to reduce the power transmission gear 178. ), And the rear wheel 3 is decelerated than the normal clutch on state and driven.

상기 클러치 슬리브(176)의 내측 단부는 중앙 케이스부(115a)에 장착된 조작축(179)의 회전에 의해 시프트 조작되는 중계 슬리브(180)에 맞대어 배치되어 있고, 조작축(179)의 케이스 외측 단부에 구비한 클러치 조작 레버(181)를 전방을 향해 회전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슬리브(176)가 스프링(177)에 대항하여 시프트되고, 도20의 (a)에 도시하는「클러치 온 상태」, 도20의 (b)에 도시하는「클러치 오프 상태」및 도20의 (c)에 도시하는「감속 전동 상태」가 차례로 현출되도록 되어 있다. The inner end of the clutch sleeve 176 is disposed against the relay sleeve 180 shifted by rotation of the operation shaft 179 mounted to the central case portion 115a, and is disposed outside the case of the operation shaft 179. The clutch sleeve 176 is shifted against the spring 177 by rotating the clutch operation lever 181 provided at the end toward the front, and the &quot; clutch on state &quot; shown in FIG. The "clutch off state" shown in (b) of FIG. 2 and the "deceleration transmission state" shown in (c) of FIG. 20 are shown in order.

또한, 상기 클러치 조작 레버(181)는 전방륜 조향 작동에 연동하여 자동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트맨 아암(141)의 좌우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조작 로드(182)의 후단부 금구(182a)가 긴 구멍(183) 및 연결 핀(184)을 거쳐서 좌우의 클러치 조작 레버(181)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피트맨 아암(141)이 직진 위치로부터 설정 각도 이상으로 요동 조작되어 전방륜(2)이 설정 각도(예를 들어 30 °) 이상으로 좌측, 혹은 우측으로 조향되면, 선회 내측이 되는 후방륜(3)에 대한 클러치 조작 레버(181)가 전방으로 당김 작동하는 조작 로드(182)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 조작되고,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172)가 상기「클러치 오프 상태」로 절환되어 주행 기계 본체(1)는 조향된 좌우의 전방륜(2)과 선회 외측의 후방륜(3)의 삼륜 구동 상태로 재빨리 선회하여 전방륜(2)이 더 크게 조향되어 한계 근방에 도달하면, 클러치 조작 레버(181)가 더 크게 전방으로 회전 조작되어 상기「감속 전동 상태」가 초래되어 주행 기계 본체(1)는 조향된 좌우의 전방륜(2), 선회 외측의 후방륜(3) 및 감속 구동되는 선회 내측의 후방륜(3)의 사륜 구동 상태로 재빨리 선회한다. In addition, the clutch control lever 181 is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ront wheel steering operation. That is, as shown in Fig. 18, the rear end bracket 182a of the training rod 182 that protrudes backward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pitman arm 141 passes through the long hole 183 and the connecting pin 184. It is linked to the clutch operation lever 181 on either side. Therefore, when the pitman arm 141 is rocked from the straight position to the set angle or more and the front wheel 2 is steered to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ver the set angle (for example, 30 °), the rear wheel becomes the turning inside. The clutch operation lever 181 to (3) rotates forward by the operation rod 182 which pulls forward, and the side clutch 172 of the turning inner side is switched to said "clutch off state", and the traveling machine The main body 1 quickly turns to the three-wheel drive state of the steered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 and the turning rear wheels 3, and when the front wheels 2 are steered larger to reach the limit, the clutch operating lever 181 is rotated further forward to cause the above "deceleration transmission state" so that the traveling machine main body 1 is steered by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 the rear wheels 3 of the turning outside, and the deceleration-driven turning. In the four-wheel drive state of the rear wheel (3) inside Lee wheels.

〔제2 실시 형태의 개변예〕[Modification Example of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This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with the following forms.

(1)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측면 로드(159)를 지지 아암(151)의 뒤로 치우친 부위와 차체 프레임(118)에 걸쳐서 가설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1) Although not shown, the side rod 159 may be hypothesized over the portion of the back of the support arm 151 and the vehicle body frame 118.

(2)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후방륜(3)을 저어널한 후방 차축 케이스(115)로부터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151)을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하고, 전 방의 지지점(a)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 변위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강성이 큰 1개의 지지 아암(151)을 후방 차축 케이스(115)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하고, 그 전단부 보스부(151a)를 지지축(154)에 고무 부시(155)를 거쳐서 연결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2) In 2nd Embodiment, a pair of right and left support arms 151 protrude forward from the rear axle case 115 which journaled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and the front support point a Although the case where the support was able to swing up and down and til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as illustrated as an example, one support arm 151 having a large rigidity protrudes forward from the rear axle case 115, and the front end boss portion thereof. 151a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154 via a rubber bush 155.

(3) 후방 차축 케이스(115)를 탄성 지지하는 서스펜션 스프링(164)을 대경으로 하여 케이스 중앙부에 작용시키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3) The suspension spring 164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axle case 115 can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as to act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case with a large diameter.

(4) 후방 차축 케이스(115) 및 지지 아암(151)의 불필요한 횡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측면 로드(159)를 이용하는 것 외에 서스펜션 스프링 장착부 등의 적소에 접촉식 횡이동 규제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4) As a means for limiting unnecessary lateral movement of the rear axle case 115 and the support arm 151, in addition to using the side rod 159, a contact-type lateral movement restricting guide member is placed in place such as a suspension spring mounting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to arrange.

(5) 제1 및 제2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전방륜 현가 구조에 대해서는 신축 지지 기구(6)의 직선적인 신축에 의해 각 전방륜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었다. 이 대신, 양 실시 형태의 요동 지지 기구(7)와 같은 기구를 채용하여 비직선적인 신축에 의해 각 전방륜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5) In any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ront wheel suspension structure was configured such that the front wheels were movable up and down by linear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upport mechanism 6. Instead of this, mechanisms such as the swing support mechanisms 7 of the two embodiments may be employed, and the front wheels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non-linear expansion and contraction.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앞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이드 클러치가 후방 차축 케이스 중 횡방향 케이스부가 아닌, 종방향의 감속 케이스부에 배치되어 있다. Hereinafter, although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bout the same member as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not repeat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ide clutch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eceleration case part instead of a lateral case part among the rear axle cases.

후방륜 구동용 후방 차축 케이스(210)는 도22 내지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차체 프레임(10)에 전후 축 중심(R) 주위에 일정 범위 내에서 롤링 가능하게 지지된 횡방향 후방 차축 케이스부(210A)와, 그 좌우 양단부 각각에 연결된 감속 케이스부(210B)로 구성되어 있다. 그 횡방향 후방 차축 케이스부(210A) 내에 미션 케이스(13)로부터 뒤쪽을 향하도록 연장 돌출된 제1 전동축(14)으로부터의 동력을 좌우로 양분하는 횡방향 전동축(241)이 내장되고 제1 전동축(14)에 베벨 기어 연동되어 있다. 또한, 각 감속 케이스부(210B)에는 후방륜(3)을 저어널하는 후방 차축(242)과, 상기 횡방향 전동축(241)과 후방 차축(242)을 감속 연동하는 감속 기어 기구(243)가 장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2 to 24, the rear axle case 210 for driving the rear wheels is a transverse rear axle supported by the body frame 10 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the front and rear axis center R in a rollable manner. It is comprised by 210 A of case parts, and the deceleration case part 210B connect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In the transverse rear axle case portion 210A, a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241 for dividing the power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4 protruding to the rear from the mission case 13 to the left and right is built in the transverse rear axle case portion 210A. 1 Bevel gear interlocked with the transmission shaft (14). In addition, each reduction case portion 210B has a rear axle 242 journaling the rear wheels 3, and a reduction gear mechanism 243 that slows and interlocks the lateral transmission shaft 241 and the rear axle 242. Is equipped.

그리고, 횡방향 전동축(241)의 양단부와 각 감속 기어 기구(243) 사이에는 각 후방륜(3)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마찰식 사이드 클러치(245)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들 사이드 클러치(245)는 횡방향 전동축(241)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어 일체 회전하는 동시에 축 중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스 부재(246)와, 감속 기어 기구(243)에 연동하는 종동측 드럼(247)을 구비하여 보스 부재(246)의 기계 본체 횡외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서로 압접되어 마찰 연동(클러치 온)하는 동시에, 보스 부재의 기계 본체 횡내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마찰 연동을 해제(클러치 오프)하는 복수의 마찰판(248)이 보스 부재(246)와 종동측 드럼(247)에 교대로 결합 장착되어 보스 부재(246)를 클러치 온측으로 이동 압박하는 클러치 스프링(249)이 횡방향 전동축(241)에 외부에서 끼워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A frictional side clutch 245 for intermittent transmission of power to the rear wheels 3 is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lateral transmission shaft 241 and each reduction gear mechanism 243. These side clutches 245 are splined to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241 and are integrally rotated, and the boss member 246 which is movable in the axial center direction and the driven drum 247 which interlocks with the reduction gear mechanism 243. And the frictional interlocking operation (clutch-on) by the movement of the boss member 246 to the machine body transversely out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frictional interlocking release is released by the boss member movement to the machine main body transversely inner side (clutch-off). A plurality of friction plates 248 are alternately coupled to the boss member 246 and the driven drum 247 so that the clutch spring 249 for pressing and moving the boss member 246 to the clutch on side is transversely driven. 241 is externally fitted to the structure.

또한, 도23 내지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감속 케이스부(210B)와 우측 사이드 클러치(245)의 보스 부재(246) 사이에는 기계 본체 정지용 브레이크(2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250)는 상기 보스 부재(246)의 외주에 스플라인 외부 끼움 장착된 마찰판(251)과 감속 케이스부(210B)의 내주에 결합하여 회전 정지된 마찰판(252)을 압접함으로써, 보스 부재(246)와 이것과 일체 회전하는 횡방향 전동축(241)을 제동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보스 부재(246)에 헐겁게 끼운 컵형의 조작 부재(253)가 기계 본체 횡외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마찰판(251, 252)끼리가 압접되도록 되어 있다. 23 to 24, a brake 250 for stopping the machine main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deceleration case portion 210B on the right side and the boss member 246 on the right side clutch 245. As shown in FIG. The brake 250 is press-bond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ss member 246 by a friction plate 251 fitted with a spline outer fitting and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deceleration case portion 210B to press the rotationally stopped friction plate 252. 246 and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241 integrally rotating therewith, and the friction plate 251, 252 is moved by moving the cup-shaped operation member 253 loosely fitted to the boss member 246 laterally outside the machine body. They are to be pressed together.

기계 본체 정지용 상기 브레이크(250)는 감속 케이스(210B)의 상면에 종축 중심(P1)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장착한 브레이크 조작축(254)에 의해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 조작축(254)의 케이스 내 돌입 부분에는 시프트 포크(255)가 장착되는 동시에, 이 시프트 포크(255)가 상기 조작 부재(253)의 단부면에 대향 배치되어 있고, 브레이크 조작축(254)을 회전함으로써 시프트 포크(255)를 거쳐서 조작 부재(253)를 시프트시켜 보스 부재(246)를 제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The brake 250 for stopping the main body of the machine is operated by a brake operating shaft 254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duction case 210B around the longitudinal center P1. That is, the shift fork 255 is attached to the inrush portion of the case of the brake operation shaft 254, and the shift fork 255 is disposed opposite to the end surface of the operation member 253, and the brake operation shaft ( By rotating the 254, the operation member 253 can be shifted via the shift fork 255 to brake the boss member 246.

그리고,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254)의 케이스 외부 돌출부에 구비한 조작 레버(254a)가 운전부에 있어서의 탑승부의 발밑 우측 전방에 배치된 페달(56)에 연계 로드(257)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있고, 페달(56)의 답입 조작에 수반하여 연계 로드(257)가 전방으로 인장 변위되어 브레이크(250)가 제동 조작되고, 답입을 해제함으로써 브레이크(250) 제동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답입 조작된 페달(56)을 로크 레버(58)(도2)로 계지 유지함으로써, 주차 상태를 초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구조는 생략하지만, 페달(56)을 연결한 지지축(56a)의 좌단부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무단 변속 장치의 일예)(12)의 조작계에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페달(56)을 답입하면 전진 영역 혹은 후진 영역으로 조작되어 있는 메인 변속 레버(232)(도21)가 강제적으로 중립 정지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And, as shown in FIG. 24, the operation lever 254a provided in the case outer protrusion part of the said brake operation shaft 254 is linked with the pedal 56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front of the foot of the boarding part in a drive part. 257 is interlocked and connected, the linkage rod 257 is tension-displaced forward with the depression operation of the pedal 56, and the brake 250 is braked, and the brake 250 is braked by releasing the depression. It is supposed to be released. Further, by holding the pedal 56 operated by the depression operation with the lock lever 58 (Fig. 2), the parking state can be caused. In addition, although the detailed structure is abbreviate | omitted, the left end part of the support shaft 56a which connected the pedal 56 is mechanically linked to the operation system of the hydrostatic stepless speed changer (an exampl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12, and the pedal 56 ), The main shift lever 232 (Fig. 21), which is operated in the forward area or the reverse area, is forcibly returned to the neutral stop position.

상기 사이드 클러치(245)의 조작 구조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보스 부재(246)의 단부면에 스러스트 컬러(260)를 거쳐서 맞대어 배치된 클러치 조작 슬리브(261)가 횡방향 전동축(2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는 동시에, 감속 케이스부(210B)의 상면에 종축 중심(P2)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클러치 조작축(262)이 관통 장착되고, 이 클러치 조작축(262)의 케이스 내 돌입단부에 형성한 편심 캠(263)이 상기 클러치 조작 슬리브(261)의 단부면에 대향 배치되어 클러치 조작축(262)의 회전 조작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245)가 온 오프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2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245)의 클러치 조작축(262)은 평면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 오프 작동하고, 시계 방향의 회전에서는 클러치 온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도22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245)의 클러치 조작축(262)은 평면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 오프 작동하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서는 클러치 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편심 캠(263)의 위상이 설정되어 있다.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side clutch 245 is configured as follows. That is, the clutch operation sleeve 261 which is disposed against the end face of the boss member 246 via the thrust collar 26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transmission shaft 241 and at the same time, the deceleration case portion 210B is provided. The clutch operating shaft 262 is rotatably mounted around the longitudinal center P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eccentric cam 263 formed at the indentation end of the case of the clutch operating shaft 262 is the clutch operation sleeve. It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end surface of 261, and the side clutch 245 is made to be on-off operation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lutch operation shaft 26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the clutch operation shaft 262 of the side clutch 245 on the left side is clutched off by counterclockwise rotation, and the clutch on state is maintained during clockwise rotation. Further, as shown in Fig. 22, the clutch operation shaft 262 of the side clutch 245 on the right side is clutched off by clockwise rotation in plan view, and the clutch on state is maintained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he phase of the eccentric cam 263 is set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전방륜(2)이 직진 위치로부터 설정 각도 이상으로 조향 작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245)만을 자동적으로 오프 조작하여, 좌우 후방륜(3)의 추진 능력의 차에 따른 기계 본체 선회력을 초래하는 자동 조향 기구(A)가 구비되어 있고, 이하 자동 조향 기구(A)의 구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Then, only the side clutch 245 inside the swing is automatically turned off in conjunction with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front wheels 2 at a set angle or more from the straight position, so that the machin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propulsion ability of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is obtained.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which brings about a main body turning force is provided, and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is demonstrated below.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6)의 회전 조작에 의해 종축 중심(Z) 주위에 좌우로 요동되는 피트맨 아암(265)과, 전방륜(2) 각각의 너클 아암(266)이 타이 로드(267)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스티어링 기구(268)가 구성되는 동시에, 이 피트맨 아암(265)에 연속 설치한 조작 금구(265a)와, 기계 본체의 전후 중간 부근의 하부에, 종축 중심(S)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한 중계 아암(269)이 압인 로드(270)로 연동 연결되고, 이 중계 아암(269)과 일체로 종축 중심(S) 주위에 천평 요동하는 중간 아암(271)이 구비되어 있다. 이 중간 아암(271)의 좌우 양단부와 상기 클러치 조작축(262)의 케이스 외부 돌출부에 연속 설치한 조작 레버(262a)가 연동 부재로서의 로드(272)를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4, the pitman arm 265 oscillated from side to side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Z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16, and the knuckle arm 266 of each of the front wheels 2 are provided. The steering mechanism 268 is interlocked through the tie rods 267 to form the steering mechanism 268, and the vertical axis center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near the front and rear middle parts of the machine body and the operation bracket 265a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pitman arm 265. The intermediate arm 269 which is pivotally arranged around (S) is interlocked and connected by a push rod 270, and the intermediate arm 271 which swings flatly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center S integrally with the relay arm 269. It is provide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termediate arm 271 and the operation lever 262a continuously provided on the case outer protrusion of the clutch operation shaft 262 are linked to each other via a rod 272 as an interlocking member.

또한, 로드(272)와 조작 레버(262a)는 로드(272)의 후방부 금구(272a)에 형성한 긴 구멍(273)과 조작 레버(262a)의 연결 핀(274)을 거쳐서 융통성을 갖고 연결되어 있고, 로드(272)가 전방으로 크게 당김 조작되면, 긴 구멍(273)의 후단부에서 연결 핀(274)이 압박됨으로써 조작 레버(262a)가 클러치 오프 방향으로 회전되고, 로드(272)가 후방으로 압박 조작되어도 긴 구멍(273)이 연결 핀(274)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기만 하게 되어 조작 레버(262a)가 회전 조작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rod 272 and the operation lever 262a are flexibly connected through the elongated hole 273 formed in the rear bracket 272a of the rod 272 and the connecting pin 274 of the operation lever 262a. When the rod 272 is pulled forward greatly, the connecting pin 274 is pressed at the rear end of the long hole 273 so that the operation lever 262a is rotated in the clutch off direction, and the rod 272 is rotated. The long hole 273 only moves back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in 274, even if it pushes back an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operation lever 262a may not be rotated.

상기 구성에 따르면, 통상의 이식 작업 중에 있어서의 전방륜(2)의 조향 각도는 설정 각도 미만의 작은 것이고, 중간 아암(271)이 요동하여 한 쪽 로드(272)가 전방으로 당김 조작되어도 긴 구멍(273)과 연결 핀(274)이 상대 이동하는 것만 으로 조작 레버(262a)는 회전 조작되는 일은 없고,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245)는 모두 온 상태로 유지되고, 좌우 후방륜(3)은 등속으로 구동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s 2 in the normal transplantation operation is smaller than the set angle, and the hole is long even when the intermediate arm 271 swings and one rod 272 is pulled forward. Only the movement of the 273 and the connecting pin 274 relative to the operation lever 262a does not rotate the operation, the left and right side clutches 245 are kept in the on state, and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are at the same speed. Driven by.

논두렁 부근에서의 기계 본체 방향 전환을 위해 전방륜(2)을 좌측, 혹은 우측에 설정 각도 이상으로 크게 조향하면, 한 쪽 로드(272)가 긴 구멍(273)의 융통 이상으로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선회 내측에 상당하는 사이드 클러치(245)의 조작 레버(262a)가 클러치 오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게 된다. 그 결과, 좌우의 전방륜(2)과 선회 외측이 되는 우측의 후방륜(3)의 삼륜 구동에 의해 기계 본체가 선회하여 사이드 클러치(245)가 오프되어 있는 선회 내측의 후방륜(3)은 기계 본체의 선회 이동에 수반하여 접지 추종하여 유전 가능하고, 선회 내측의 후방륜(3)에서 부당하게 밭 현장을 황폐하게 하는 일 없이 기계 본체 선회를 행할 수 있다. If the front wheels 2 are steered largely above the set angle on the left or right sid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achine body in the vicinity of the paddy field, one rod 272 will be pulled forward beyond the ridge of the long hole 273. The operation lever 262a of the side clutch 245 corresponding to the turning inside is rotated in the clutch off direction. As a result, the main body rotates by the three-wheel drive of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 and the right rear wheels 3 which are turning outwards, and the rear wheels 3 in the turning inner side in which the side clutch 245 is turned off It can be grounded and passed along with the turning movement of the machine main body, and the machine main body can be rotated without unduly desolating the field site by the rear wheel 3 inside the turning.

이상의 구성 및 기능은 종래의 자동 조향 기구와 마찬가지지만(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2002-264835호 공보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이 부가되어 있다. Although the above structure and function ar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for example, refer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2-264835), the following structures are added to this invention.

도24 및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아암(271)의 양단부와 사이드 클러치(245)의 조작 레버(262a)를 연동 연결하는 각 로드(272)의 전단부에는 사이드 클러치 온 오프용 작동기로서 단일 이동형 유압 실린더(281)가 전방부 금구(272b)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4 and 25, the front end of each rod 272 which interlocks the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arm 271 and the operation lever 262a of the side clutch 245 is provided as an actuator for side clutch on-off. The single movable hydraulic cylinder 281 is connected via the front bracket 272b.

이 유압 실린더(281)는 압유가 공급되면 단축 작동하고, 배유되면 내장 스프링(283)에 의해 신장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26의 유압 회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식 제어 밸브(284)를 거쳐서 작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6 중 부호 285는 파워 스티어링용 토오크 제너레이터이고, 부호 286은 승강용 상기 유압 실린더(5)의 작동을 담당하는 전자 제어 밸브 및 어셈블리이다.The hydraulic cylinder 281 is configured to be short-actuated when the hydraulic oil is supplied, and to be extended by the built-in spring 283 when the hydraulic oil is supplied, and as shown in the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FIG. 26 via an electronic control valve 284. It is intended to be controlled operation. In Fig. 26, reference numeral 285 denotes a torque generator for power steering, and reference numeral 286 denotes an electronic control valve and assembly that is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5 for lifting.

여기서 도24 내지 도26을 참조하면, 통상 상기 제어 밸브(284)는 비여자 상태에 있고, 양 유압 실린더(281)는 압유 공급을 받아 단축 작동 상태에 있고, 이 때 유압 실린더(281)를 포함한 로드(272)의 연계 길이가 표준 상태에 있다. 그리고, 이 표준 상태에서 전방륜(2)이 직진 위치로부터 설정 각도(θ0)(예를 들어 30°) 이상으로 조향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선회 내측의 후방륜(3)의 사이드 클러치(245)가 자동적으로 오프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24 to 26, the control valve 284 is normally in the non-excited state, and both hydraulic cylinders 281 are in a single-axis operation state under pressure oil supply, including the hydraulic cylinders 281 at this time. The linkage length of the rod 272 is in the standard state. Then, in this standard state, when the front wheel 2 is steered from the straight position to the set angle θ 0 (eg, 30 °) or more, the side clutch 245 of the rear wheel 3 of the turning inner side as described above. ) Is automatically turned off.

그리고, 상기 제어 밸브(284)가 제어 장치(287)를 거쳐서 이하와 같이 작동 제어된다. 즉, 전방륜(2)의 직진 위치로부터의 조향 각도(θ)가 포텐션 미터 혹은 로터리 엔코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티어링 센서(288)에서 검출되어 제어 장치(287)에 입력되어 있고, 전방륜(2)이 직진 위치로부터 설정 각도(θ0) 이상으로 조향된 것이 검출되면, 제어 밸브(284)가 도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기(T)를 갖고 소정 시간(t)씩 간헐적으로 통전 제어되고, 제어 밸브(284)가 통전 여자되어 절환되고 있는 동안에는 양 유압 실린더(281)가 배유 작동하여 내장 스프링(283)으로 신장 작동하여 양 로드(272)의 연계 길이가 길어진다. Then, the control valve 284 is operated and controlled as follows via the control device 287. That is, steering angle (theta) from the straight position of the front wheel 2 is detected by the steering sensor 288 which consists of a potentiometer, a rotary encoder, etc., is input to the control apparatus 287, and the front wheel 2 When it is detected from the straight position that the steering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angle θ 0 , the control valve 284 intermittently has a period T for a predetermined time t as shown in FIG. 25 (b). While the energization is controlled and the control valve 284 is energized and switched, both hydraulic cylinders 281 are drained and extended to the built-in spring 283 to lengthen the linkage length of both rods 272.

이 경우, 전방륜(2)의 설정 각도 이상의 조향에 연동하여 한 쪽 로드가 전방으로 당김 조작되어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245)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제어 밸브(284)가 통전 여자되어 로드(272)의 연계 길이가 길어져 있는 동안만큼 로드(272)가 후방으로 변위하므로, 오프되어 있던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245)가 온 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제어 밸브(284)의 통전 여자가 정지하여 유압 실린더(281)가 단축 작동하고, 로드(272)의 연계 길이가 표준 상태까지 단축되면,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츠(245)가 다시 오프되게 되어 제어 밸브(284)의 간헐 여자 작동에 수반하여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245)가 소정 주기(T)로 소정 시간(a)(= T - t)씩 간헐적으로 오프 조작되게 된다.In this case, one of the rods is pulled forward in response to the steering of the front wheel 2 at a set angle or more and the side clutch 245 of the turning inner side is turned off. Since the rod 272 is displaced rearward as long as it is energized and the linkage length of the rod 272 becomes long, the side clutch 245 of the turning inner side which was turned off returns to an on state. When the energizing excitation of the control valve 284 is stopped and the hydraulic cylinder 281 is shortened, and the linking length of the rod 272 is shortened to a standard state, the side clutches 245 inside the turning are turned off again. With the intermittent excitation of the control valve 284, the side clutch 245 inside the swing is intermittently turned off by a predetermined time a (= T − t) at a predetermined period T.

또한, 제어 밸브(284)의 간헐 작동에 의해 선회 외측의 후방륜(3)에 있어서의 사이드 클러치(245)를 조작하는 로드(272)도 마찬가지로 연계 길이가 변화하게 되지만, 이 변화는 긴 구멍(273)의 융통으로 흡수되어 조작 레버(262a)로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선회 외측의 사이드 클러치(245)는 온 상태로 유지된다. Moreover, although the rod 272 which operates the side clutch 245 in the rear wheel 3 of the turning outer side by the intermittent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284 will change a linkage length similarly, this change will be made with a long hole ( Since it is absorbed by the fusion of 273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lever 262a, the side clutch 245 outside the swing is kept in the on state.

제어 밸브(284)를 간헐적으로 통전 여자하여 선회 내측의 후방륜(3)의 사이드 클러치(245)를 간헐적으로 온 오프시키는 패턴은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고, 그 중 몇 가지를 이하에 나타낸다. The pattern which intermittently energizes the control valve 284 and intermittently turns on and off the side clutch 245 of the rear wheel 3 of a turning inside is considered various, and some of them are shown below.

〔제1 예〕: 도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륜(2)의 조향 각도(θ)가 자동 조향 기구(A)를 기동시키는 상기 설정 각도(θ0)로부터 최대 조향 각도(θm)까지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제어 밸브(284)를 일정한 주기(T)로 소정의 클러치 오프 시간(a1)을 부여한다. [First Example]: As shown in Fig. 27A, the steering angle θ of the front wheel 2 is the maximum steering angle from the set angle θ 0 at which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is activated. In the entire area up to (theta) m, the control valve 284 is given a predetermined clutch off time a 1 at a constant period T.

〔제2 예〕: 도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륜(2)의 조향 각도(θ)가 자동 조향 기구(A)를 기동시키는 상기 설정 각도(θ0)로부터 최대 조향 각도(θm)까 지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일정한 주기(T)마다 소정의 클러치 오프 시간(a1)을 부여하는 동시에, 전방륜(2)을 직진으로 복귀시키는 행정에 있어서는, 상기 설정 각도(θ0)보다도 큰 설정 각도(θ1)로 여자를 정지하여 빠르게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245)를 온하도록 한다. [Second example]: As shown in Fig. 27B, the steering angle θ of the front wheel 2 is the maximum steering angle from the set angle θ 0 at which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is activated. in the entire region fingers (θm) how, at regular cycles (T) at the same time to impart a predetermined clutch-off period (a 1), in the stroke to return the front wheel 2 in the straight, and the predetermined angle (θ 0 The excitation is stopped at a set angle θ 1 greater than) to quickly turn on the side clutch 245 inside the swing.

〔제3 예〕: 도2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륜(2)의 조향 각도(θ)가 자동 조향 기구(A)를 기동시키는 상기 설정 각도(θ0)로부터 그보다 큰 제1 설정 각도(θ1)까지의 조작 영역에서는 일정한 주기(T)마다 소정의 클러치 오프 시간(a1)을 부여하고, 제1 설정 각도(θ1)로부터 그보다 큰 제2 설정 각도(θ2)까지의 조작 영역에서는 상기 주기(T)마다 상기 클러치 오프 시간(a1)보다 큰 소정의 클러치 오프 시간(a2)을 부여하고, 또한 제2 설정 각도(θ1)로부터 최대 조향 각도(θm)까지의 조작 영역에서는 상기 주기(T)마다 상기 클러치 오프 시간(a2)보다 큰 소정의 클러치 오프 시간(a3)을 부여한다. [Third example]: As shown in Fig. 27C, the steering angle θ of the front wheel 2 is larger than the set angle θ 0 at which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is activated. In the operation region up to the first setting angle θ 1 , a predetermined clutch off time a 1 is given for every constant period T, and the second setting angle θ 2 larger than the first setting angle θ 1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region up to, the predetermined clutch off time a 2 is greater than the clutch off time a 1 for each cycle T, and the maximum steering angle θ m is obtained from the second set angle θ 1 . In the operation region up to, a predetermined clutch off time a 3 is given for each of the cycles T greater than the clutch off time a 2 .

즉, 전방륜 조향 각도가 커질수록 평균적인 클러치 오프 시간이 단계적으로 길어져 작게 도는 선회 기능이 높아져 간다. That is, as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increases, the average clutch off time increases in stages, thereby increasing the turning function.

〔제4 예〕: 도2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륜(2)의 조향 각도(θ)가 자동 조향 기구(A)를 기동시키는 상기 설정 각도(θ0)로부터 최대 조향 각도(θm)까지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일정한 주기(T)마다 부여하는 클러치 오프 시간(a)을 연 속적이면서 선형으로 증대 변경한다. 이에 의해서도, 전방륜 조향 각도가 커질수록 평균적인 클러치 오프 시간이 길어져 작게 도는 선회 기능이 점차 높아져 간다. [Fourth Example]: As shown in Fig. 27D, the steering angle θ of the front wheel 2 is the maximum steering angle from the set angle θ 0 at which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is activated. In the entire area up to (theta) m, the clutch off time a given for each constant period T is continuously increased and changed linearly. As a result, the larger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the longer the average clutch off time, and the smaller the turning function becomes.

〔제5 예〕: 도2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륜(2)의 조향 각도(θ)가 자동 조향 기구(A)를 기동시키는 상기 설정 각도(θ0)로부터 최대 조향 각도(θm)보다 조금 작은 각도(θ2)까지의 영역에서는 일정한 주기(T)마다 부여하는 클러치 오프 시간(a)을 연속적이면서 선형으로 증대 변경하고, 이 각도(θ2)로부터 최대 조향 각도(θm)까지의 조작 영역에서는, 일정한 주기(T)마다 소정의 클러치 오프 시간(a1)을 부여하여 전방륜(2)을 최대 조향 각도(θm)로부터 직진으로 복귀시키는 행정에 있어서는 전방 최대 조향 각도(θm)로부터 즉시 일정한 주기(T)마다 부여하는 클러치 오프 시간(a)을 연속적이면서 선형으로 감소 변경하고, 상기 설정 각도(θ0)보다도 큰 설정 각도(θ1)로 여자를 정지하여 빠르게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245)를 넣도록 한다. [Fifth example]: As shown in Fig. 27E, the steering angle θ of the front wheel 2 is the maximum steering angle from the set angle θ 0 at which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is activated. In the region up to an angle θ 2 which is slightly smaller than θ m, the clutch off time a given every fixed period T is continuously and linearly increased and changed from this angle θ 2 to the maximum steering angle θ m. In the operation region up to), a predetermined clutch off time a 1 is given at a predetermined period T, and the front maximum steering angle (in the stroke for returning the front wheel 2 straight from the maximum steering angle θ m) is The clutch off time (a) given immediately at a constant period (T) is changed continuously and linearly from θm immediately, and the excitation is stopped at a set angle (θ 1 ) larger than the set angle (θ 0 ) to quickly turn inside. Side clutch 245 to be inserted.

〔제6예〕: 도27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륜(2)의 조향 각도(θ)가 자동 조향 기구(A)를 기동시키는 상기 설정 각도(θ0)로부터 최대 조향 각도(θm)까지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일정한 주기(T)마다 부여하는 클러치 오프 시간(a)을 연속적이면서 비선형으로 증대 변경하여 최대 조향 각도(θm)에서는 클러치 오프 시간(a1)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도, 전방륜 조향 각도(θm)가 클수록 평균적인 클러치 오프 시간(a)이 길어져 작게 도는 선회 기능이 급속히 높아져 간다. [Sixth Example]: As shown in Fig. 27F, the steering angle θ of the front wheel 2 is the maximum steering angle from the set angle θ 0 at which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is activated. In the entire area up to (theta) m, the clutch-off time (a) given every fixed period (T) is continuously and nonlinearly increased and changed to be the clutch-off time (a 1 ) at the maximum steering angle (theta) m. As a result, the larger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θm, the longer the average clutch off time a becomes, and the smaller turning function rapidly increases.

또한, 전기 제어계의 고장 등에 의해 유압 실린더(281)가 신장된 상태에서 신축 작동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로드(272)의 전방부 금구(272b)와 유압 실린더의 연결 위치를 조절하여 유압 실린더를 포함한 로드(272)의 연계 길이를 표준 길이로 함으로써 자동 조향 기구(A)를 작동 가능하게 하고, 전방륜 조향 각도가 설정 각도(θ0) 이상이 되면 선회 내측의 후방륜(3)의 사이드 클러치(245)를 연속적으로 오프 조작할 수 있다(도24 참조).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281 becomes impossible due to the failure of the electric control system or the like, the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front bracket 272b and the hydraulic cylinder of the rod 272 is adjusted to include the hydraulic cylinder. By making the linkage length of the rod 272 a standard length,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can be operated, and when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angle θ 0 , the side clutch of the rear wheel 3 of the turning inner side ( 245 can be turned off continuously (see FIG. 24).

〔제3 실시 형태의 개변예〕[Modification Example of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This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with the following forms.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아암(271)의 양단부와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245)를 연동 연결하는 로드(272)에 조립한 한 쌍의 유압 실린더(281)를 단일 제어 밸브(284)에 접속하여 양 유압 실린더(281)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3위치 절환식 제어 밸브를 중립 위치와 한 쪽 절환 위치 사이에서 간헐 작동시킴으로써 사이드 클러치(245)가 오프된 측의 유압 실린더(281)만을 간헐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1) In the above embodiment, a pair of hydraulic cylinders 281 assembled to a rod 272 which interlocks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arm 271 and the left and right side clutches 245 are connected to a single control valve 284. Although both hydraulic cylinders 281 are operated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hydraulic cylinder on the side where the side clutch 245 is turned off by intermittently operating the three-position switching control valve between the neutral position and one of the switching positions. Only 281 may be operated intermittently.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아암(271)과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245)를 연동 연결하는 한 쌍의 로드 연동계에 사이드 클러치 간헐 온 오프용 작동기로서의 유압 실린더(281)를 각각 조립하고 있지만, 피트맨 아암(265)과 중계 아암(269)을 연동 연결하는 로드 연동계에 중립, 단축 및 신장의 3위치로 절환 가능한 유압 실린더 등의 작동기를 조립하고, 압인 로드(270)를 후방으로 압박 조작하는 좌측 선 회시에는 작동기에 중립과 단축을 반복 작동시킴으로써 좌측 사이드 클러치(245)를 간헐적으로 온 오프 제어하고, 압인 로드(270)를 전방으로 당김 조작하는 우측 선회시에는 작동기에 중립과 신장을 반복 작동시킴으로써 우측 사이드 클러치(245)를 간헐적으로 온 오프 제어할 수 있다. (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hydraulic cylinders 281 serving as the side clutch intermittent on / off actuators are respectively assembled in a pair of rod interlocking systems for interlocking the intermediate arm 271 and the left and right side clutches 245. An actuator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that can be switched to three positions of neutral, short axis, and elongation is assembled in a rod linkage system linking the pitman arm 265 and the relay arm 269, and the pressure rod 270 is pushed backwards. During the left turn, the neutral side and the short axis are operated repeatedly by the actuator, and the left side clutch 245 is intermittently turned on and off, and during the right turn to operate the pull rod 270 forward, the neutral and the elongation are repeated. By operating, the right side clutch 245 can be intermittently turned on and off.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일정한 주기(T) 클러치 오프 시간(a)을 단계적, 혹은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전방륜 조향 각도(θ)가 커질수록 평균적인 클러치 오프 시간을 길게 하여 작게 돌아 선회 기능이 점차 높아지도록 하고 있지만, 1회의 클러치 오프 시간(a)을 일정하게 하는 동시에, 전방륜 조향 각도(θ)가 커질수록 주기(T)를 단계적, 혹은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변경하여 소정 시간 내에서의 평균적인 클러치 오프 시간을 길게 할 수도 있다. (3) In the above embodiment, by changing the constant period T clutch off time a stepwise or continuously as described above, as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θ becomes larger, the average clutch off time becomes longer and turns smaller. Although the turning function is gradually increased, one clutch off time (a) is made constant, and as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θ) is increased, the period (T) is changed so as to be smaller stepwise or continuously an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also possible to lengthen the average clutch off time at.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후방륜(3)에 속도차를 부여하여 선회 기능을 발휘시키는 데 선회 내측이 되는 한 쪽 사이드 클러치(245)를 간헐적으로 오프 조작하는 형태의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사이드 클러치의 오프 조작에 계속해서 당겨 사이드 브레이크를 제동 조작하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4)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exemplifies a mode in which one side clutch 245 intermittently is turned off while giving a speed difference to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3 to exhibit a turning function, the side is intermittently turned off.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in the form of braking operation of the side brake following the off operation of the clutch.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륜(2)을 설정 각도(θ0) 이상으로 조향하면, 선회 내측의 후방륜(3)에 대한 사이드 클러치(245)를 자동적으로 오프 조작하는 자동 조향 기구(A)를 기계식으로 구성하고, 이 자동 조향 기구(A)에 의해 오프 조작된 한 쪽 사이드 클러치(245)를 간헐적으로 온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245)를 각각 독립하여 작동기에 의해서만 온 오프 조작 가능하게 구 성하고, 설정 각도(θ0) 이상의 전방륜 조향에 연동하여 한 쪽 작동기만을 작동시켜 선회 내측의 후방륜(3)에 대한 사이드 클러치(245)를 원하는 특성으로 간헐 온 오프 제어할 수도 있다. (5)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front wheel 2 is steered at a set angle θ 0 or more,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which automatically turns off the side clutch 245 with respect to the rear wheel 3 inside the swing. ) Is mechanically configured and one side clutch 245 intermittently turned on by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is turned on intermittently, but the left and right side clutches 245 are each independently operated only by an actuator. It is configured so as to be on-off operation and intermittently on the side clutch 245 with the desired characteristic by operating only one actuator in association with the front wheel steering of a set angle (θ 0 ) or more. It can also be controlled off.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아암(271)과 사이드 클러치(245)의 조작 레버(262a)를 연동 연결하는 연동 부재로서 로드(272)를 이용하고 있지만, 와이어를 연동 부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6) Although the rod 272 is used as an interlocking member for interlockingly connecting the operation lever 262a of the intermediate arm 271 and the side clutch 245 in the above embodiment, a wire may be used as the interlocking member.

(7) 자동 조향 기구(A)의 작동에 의해 오프 조작된 사이드 클러치(245)를 간헐적으로 온 오프하는 작동기로서는, 상기와 같이 제어 밸브(284)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유압 실린더(281)를 이용하는 것 외에, 제어 장치(287)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전동 실린더나 전자 솔레노이드 등의 전기식 작동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7) As an actuator for intermittently turning on and off the side clutch 245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steering mechanism A, a hydraulic cylinder 281 operat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284 as described above is used. In addition, an electric actuator such as an electric cylinder or an electromagnetic solenoid controlled directly by the control device 287 can be used.

〔기타 관련〕 [Other related]

이상, 각 실시 형태 모두 승용형 전식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파종기(sowing machine), 이식기(transplanting machine) 등, 다른 승용형 무논 작업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ach embodiment demonstrated the riding type electric machine as an example,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other riding type munon working machines, such as a sowing machine and a transplanting machin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전방륜 및 후방륜에 서스펜션 기능을 발휘시켜 원활하게 밭 현장 내를 고속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승용형 무논 작업기를 제공한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ding type munon working machine that can exhibit high-speed running smoothly in a field by exerting a suspension function o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Claims (12)

전방 차축 케이스(110)에 지지된 전방륜(2) 및 후방 차축 케이스(115)에 지지된 후방륜(3)을 구비한 승용형 무논 작업기이며, It is a passenger-type non-non-working machine having a front wheel (2) supported on the front axle case (110) and a rear wheel (3) supported on the rear axle case (115), 상기 전방륜(2)을 각각 독립 현가하는 동시에 상하 이동 가능한 신축 지지 기구(6)와,An elastic support mechanism (6) capable of independently suspending the front wheels (2) and moving them vertically; 상기 후방륜(3)을 기계 본체 좌우 방향에 따르는 횡축 중심(a) 주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요동 지지 기구(7)를 구비하고,It is provided with the oscillation support mechanism 7 which can rock the said rear wheel 3 to an up-down direction about the horizontal axis center a along a machine body left-right direction,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115)가 단일의 케이스 부재로서 설치되고, 이 단일의 케이스 부재에 각 후방륜(3)이 장착 지지되어 있고,The rear axle case 115 is provided as a single case member, and each rear wheel 3 is mounted and supported by this single case member, 상기 요동 지지 기구(7)의 상기 횡축 중심(a)이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115)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지지 아암(151)의 전단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The horizontal axis center a of the swing support mechanism 7 extends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arm 151 which protrudes forward from the rear axle case 115, 이 횡축 중심(a)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115)가 주행 기계 본체(1)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무논 작업기. The rear axle case (115) is supported by the traveling machine main body (1) so as to be able to swing up and down with the horizontal axis center (a) as a supporting poi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지지 기구(6)에 각 전방륜(2)을 각각 독립하여 상하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137)이 설치되고,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137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ront wheels 2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elastic support mechanism 6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vertically displac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요동 지지 기구(7)에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115)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16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무논 작업기. And a second spring (164)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axle case (115) in the swing support mechanism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115)의 횡이동을 제한하는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무논 작업기. The riding type non-non-work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restriction means for limiting lateral movement of the rear axle case (115) is provid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 기구(7)에 상기 지지 아암(151)이 좌우 한 쌍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115)를 탄성 지지하는 서스펜션 스프링(164)이 설치되고,The support arm 151 is provided on the swing support mechanism 7 in a pair of right and left, and a suspension spring 164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axle case 115 is provided. 상기 규제 수단이 상기 후방 차축 케이스(115) 또는 지지 아암(151)과 차체 프레임(118) 사이에 가설된 측면 로드(15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무논 작업기. And said regulating means comprises a side rod (159) arranged between said rear axle case (115) or support arm (151) and a body frame (11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 기구(7)에 상기 지지 아암(151)이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횡축 중심(a)이 이들 지지 아암(151)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지지축(154)의 축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무논 작업기.The support shaft (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ir of right and left support arms (151) are provided on the swing support mechanism (7), and the horizontal axis (a) connects the front ends of these support arms (151) ( And 154).
KR1020030091036A 2002-12-16 2003-12-15 Riding-type Paddy Field Working Machine KR1006580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3439A JP4083001B2 (en) 2002-12-16 2002-12-16 Paddy field machine
JPJP-P-2002-00363439 2002-12-16
JPJP-P-2003-00085927 2003-03-26
JP2003085927A JP4118179B2 (en) 2003-03-26 2003-03-26 Passenger rice transplanter
JP2003130680A JP4167119B2 (en) 2003-05-08 2003-05-08 Passenger rice transplanter
JPJP-P-2003-00130680 2003-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595A KR20040055595A (en) 2004-06-26
KR100658009B1 true KR100658009B1 (en) 2006-12-15

Family

ID=3427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036A KR100658009B1 (en) 2002-12-16 2003-12-15 Riding-type Paddy Field Work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8009B1 (en)
CN (1) CN1272995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161B1 (en) * 2004-09-24 2007-11-2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addy field work vehicle
KR100739892B1 (en) * 2005-09-12 2007-07-1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Riding-type paddy field work machine
KR101030446B1 (en) * 2009-04-03 2011-04-25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Front suspension for working vehicle
JP2013203359A (en) * 2012-03-29 2013-10-07 Kubota Corp Rice field working machine
CN106068838B (en) * 2016-08-25 2019-08-13 江苏常发农业装备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addle type rice transplanter
CN108617199A (en) * 2018-05-14 2018-10-09 长江大学 A kind of rotating frame type hill-drop drill
CN109367636B (en) * 2018-11-21 2023-10-03 湖北工业大学 Agricultural robot for paddy field sowing
JP2022516546A (en) * 2018-12-26 2022-02-28 豊疆智能科技股▲ふん▼有限公司 A smart high-speed rice transplanter that automatically returns to neutral when braking and its appl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8264A (en) * 1990-07-28 1996-07-23 Jcb Landpower Limited Agricultural plowing vehicle with self-leveling suspen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8264A (en) * 1990-07-28 1996-07-23 Jcb Landpower Limited Agricultural plowing vehicle with self-leveling susp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2995C (en) 2006-09-06
CN1507768A (en) 2004-06-30
KR20040055595A (en) 200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009B1 (en) Riding-type Paddy Field Working Machine
CN104135844A (en) Agricultural tractor
JP3756843B2 (en) Ride type multi-row transplanter
JP3995621B2 (en) Paddy field machine
JP4167119B2 (en) Passenger rice transplanter
JP4118179B2 (en) Passenger rice transplanter
JP2014036591A (en) Working vehicle
JP2008253231A (en) Traveling vehicle body
CN103988623A (en) Seedling transplanter
KR101654094B1 (en) Seedling transplanter
JP4570285B2 (en) Tractor
JP3577825B2 (en) Farm work machine
JP4118122B2 (en) Swivel operation structure of riding type work machine
JPH0487891A (en) Machine body control device in crawler traveling vehicle
JP4052974B2 (en) Paddy field machine
JP3084835B2 (en) Rice transplanter
JP3452962B2 (en) Planting part of riding rice transplanter
JP2517912Y2 (en) Transplant machine
JP4644917B2 (en) Ride type seedling planting machine
JPH0446523B2 (en)
JPH0739379Y2 (en) Rice transplanter
JP2022041403A (en) Seedling transplanter
JP3084747B2 (en) Walking type seedling transplanter
JP3726305B2 (en) Rice transplanter
JP2022082081A (en) Riding type travel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