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578B1 -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578B1
KR100657578B1 KR1020060023379A KR20060023379A KR100657578B1 KR 100657578 B1 KR100657578 B1 KR 100657578B1 KR 1020060023379 A KR1020060023379 A KR 1020060023379A KR 20060023379 A KR20060023379 A KR 20060023379A KR 100657578 B1 KR100657578 B1 KR 100657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indoor unit
fa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문
Original Assignee
박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문 filed Critical 박희문
Priority to KR1020060023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24F1/68Arrangement of multiple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6Several compression cycle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공기를 최적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회수닥트와; 상기 공기 공급,회수닥트가 일 타측에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동수단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나 또는 각각에서 공기를 강제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팬이 각기 구비되고 냉매가 순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 냉난방수단; 및 상기 공기 냉난방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구비함에 있어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의 일 타측에 구비된 공기 공급,회수닥트와 공기가 이동되는 케이스를 철거하지 않으면서 온수 및 냉수를 이용하는 케이스 외부장치가 포함된 기존의 수 열교환기를 철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 열교환기의 철거 위치에 케이스의 외부 구동수단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나 또는 각각에서 공기를 강제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팬이 각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 냉난방수단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치되어 있는 장치와 교체된 공기 냉난방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로 구성된 제조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조화기, 시공, 실내공간

Description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Air condition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수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공급닥트
2 : 공기 회수닥트
3 : 케이스
31 : 공기 냉난방수단
311 : 실내기, 312 : 팬, 313 : 일측 개방부, 314 : 타측 개방부,
315 : 진동 흡수고무, 316 : 베이스, 317 : 둘레 고정대,
318 : 구동수단, 319 : 실외기, 319a : 팬, 319b : 압축기,
319c : 팽창밸브
32 : 공기 이송팬
33 : 공기량 조정수단
331 : 댐퍼, 332 : 수직 차단판, 333 : 개폐문
34 : 보조 공기 이송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최적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라 함은,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수(물)를 통한 수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장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도 4는 종래의 수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서, 먼저 종래의 수 열교환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수 열교환기는, 실내공간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배기하는 공기 공급,배기닥트(100,200)와, 상기 공기 공급,회수닥트(100,200)와 연결되어 구비되며 내부 중간에는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수 열교환기(400)가 장착되어 있고 수 열교환기(400)와 공기 공급닥트(100)의 사이에는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공기 이송팬(500)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00)의 중간 양측의 상부에는 댐퍼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구(301)와 댐퍼에 의해 개폐되는 외기 흡기구(30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 열교환기(400)와 회수닥트(200)의 사이인 케이스(300)의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 공기 이송팬(600)이 더 구비되는 장치도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 열교환기(400)에 냉수 또는 난방수를 순환시키면서 공기 이송팬(500)을 작동시켜 실내공간의 공기가 케이스(300)의 내부에 통과시키면서 이동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그럼에 따라 케이스(30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다시 실내공간으로 유입되어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는 작동을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조 시공비용은 물론 구동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왜냐하면 상기 수 열교환기를 구동시킴에 있어서 보일러를 통해 난방수를 공급해야 함은 물론 별도의 냉방장치를 통해 냉방수를 공급해야 함으로서, 각각의 보일러와 냉방장치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됨은 물론, 설치후 특히 보일러의 가동에 따른 전력 및 연료의 낭비가 많아지게 됨으로서 최근에는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최소 구동전력을 통해 구동시킬 수 있는 초 절전형 공기 조화기와 그 공기 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실내기와 각 실내기에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실외기로 구성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공기 냉방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실내기에서 걸리는 부하 정도에 따라 실외기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공기 냉난방수단를 최소의 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하나 이상의 실내기와 공기 이송팬의 사이에 공기 이동량 조정수단을 구비하여 공기 이송팬의 구동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또 기존의 수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공기 조화기를 철거하지 않고, 일부의 장치 교체를 통해 재사용하는 제조 시공방법을 제공하여 시공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 제조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회수닥트와; 상기 공기 공급,회수닥트가 일 타측에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동수단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나 또는 각각에서 공기를 강제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팬이 각기 구비되고 냉매가 순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 냉난방수단; 및 상기 공기 냉난방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구비함에 있어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의 일타측에 구비된 공기 공급,회수닥트와 공기가 이동되는 케이스를 철거하지 않으면서 온수 및 냉수를 이용하는 케이스 외부장치가 포함된 기존의 수 열교환기를 철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 열교환기의 철거 위치에 케이스의 외부 구동수단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나 또는 각각에서 공기를 강제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팬이 각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 냉난방수단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치되어 있는 장치와 교체된 공기 냉난방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로 구성된 제조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회수닥트(1,2)와; 상기 공기 공급,회수닥트(1,2)가 일 타측에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수단(318)과,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구동수단(318)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318)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나 또는 각각에서 공기를 강제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팬(312)이 각기 구비되고 냉매가 순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를 포함하는 공기 냉난방수단(31); 및 상기 공기 냉난방수단(31)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도시않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318)은 팬(319a)과 압축기(319b)와 팽창밸브(319c)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와 연결되어 실내기(311)의 구동 부하에 정도에 따라 제어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실외기(319)는 다수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실외기(319)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기(311)와 직렬로 연결되거나 상기 다수의 실외기(319)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다수의 실내기(311)들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실내기(311) 또는 실내기(311)들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가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에서 걸리는 부하의 용량과 상응되게 실외기(319)를 하나 또는 다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에 따라서 실외기(319)들이 포함되는 공기 냉난방수단(31)의 구동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실내기(311)에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일측 개방부(313)와 타측 개방부(314)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 개방부(314)는 병렬로 연결되어 공기를 이송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실내기(311)들에 병렬로 연결되어 구비된 공기 이송관은 신축성을 가지는 자바라 호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송관은 진동으로 흡수를 할 수 있도록 자바라 호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실내기(311)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실내기의 작동시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진동 상쇄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진동 상쇄수단은 진동 흡 수고무(31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내기(311)를 하나 또는 다수로 구비할 경우에는 실내기(311)들을 케이스(3)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진동에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진동 흡수고무(315)를 통해 케이스(3)에 고정되어 실내기(311)의 하부를 받치는 베이스(316)와 베이스(316)의 상부에 적층된 각 실내기(311)를 감싸 고정하는 둘레 고정대(31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 고정대(317)는 여러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통해 구성되는 둘레 고정대(317)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311)의 배출측인 케이스(3)의 내부에는 공기의 강제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공기 이송팬(32)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기(311)와 공기 이송팬(32)의 사이에는 공기의 통과 순간의 이동량을 조정하여 공기 이송팬(32)의 구동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이동 공기량 조정수단(3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이동 공기량 조정수단(33)의 개폐 정도에 따라 실내공간의 압력과 케이스(3)의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기(311)의 인입측에서 차압이 발생되게 함으로서 상기 공기 이송팬(32)의 구동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량 조정수단(33)은,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개방 상태를 조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댐퍼(331)와 댐퍼(331)의 둘레와 케이스(3)의 내부 둘 레를 차단하는 수직 차단판(33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댐퍼(331)는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있는데 날개의 각도를 조정하여 공기의 통과 순간의 이동량을 조정하는 공지된 가이드 베인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직 차단판(332)의 둘레에는 실내기나 공기 이송팬(32)의 이상 작동시 공기를 통과시키는 개폐문(33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상술한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하고, 상기 실내기(311)의 공기 인입부 측인 케이스(3)의 내부에는 실내공간의 공기의 순환 이동력을 증가 시키는 보조 공기 이송팬(34)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제조 시공방법은,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조 시공함에 있어서, 먼저, 건물의 하나 이상의 실내공간에 공기 공급,회수닥트(1,2)를 시공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다음 상기 공급,회수닥트(1,2)에 일 타측이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이 가능한 케이스(3)를 제조하는 단계를 진행하면서, 케이스(3)의 내부 중간에 케이스(3)의 외부 구동수단(318)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318)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나 또는 각각에서 공기를 강제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팬(312)이 각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를 포함하는 공기 냉난방수단(31)를 구비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케이스(3)의 일,타측에 상기 공기 공급,회수닥트(1,2)를 연결하고 상기 히트펌프식 냉난방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를 진행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조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3)를 제조하면서, 상기 케이스(3)의 공기 공급닥트(1)가 설치된는 케이스(3)의 내부에 공기의 강제 이동을 원활히 하는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된 공기 이송팬(32)을 더 구비함으로서, 공기의 이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케이스(3)를 제조하면서, 상기 실내기(311)와 공기 이송팬(32)의 사이에 공기의 이동량을 조정하여 공기 이송팬(32)의 구동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이동 공기량 조정수단(33)을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량 조정수단(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개방상태를 조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댐퍼(331)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댐퍼(331)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가이드 베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기를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를 제조하면서, 상기 케이스(3)의 공기 회수닥트(2)가 설치되는 케이스(3)의 내부인 실내기(311)의 인입측에 공기의 순환 이동력을 증가 시키는 보조 공기 이송팬(34)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의 제조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조 시공함에 있어서, 먼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의 일타측에 구비된 공기 공급,회수닥트(1,2)와 공기가 이동되는 케이스(3)를 철거하지 않으면서 온수 및 냉수를 이용하는 케이스 외부장치가 포함된 기존의 수 열교환기를 철거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다음 상기 수 열교환기의 철거 위치에 케이스의 외부 구동수단(318)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318)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나 또는 각각에서 공기를 강제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팬(312)이 각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를 포함하는 공기 냉난방수단(31)를 구비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기 설치되어 있는 장치와 교체된 공기 냉난방수단(31)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를 진행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조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318)은 팬(319a)과 압축기(319b)와 팽창밸브(319c)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와 연결되어 실내기(311)의 구동 부하에 따라 제어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외기(319)는 다수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실외기(319)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기(311)와 직렬로 연결되거나 상기 다수의 실외기 (319)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다수의 실내기(311)들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기(311) 또는 실내기(311)들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가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기존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는 케이스(3)의 공기 공급닥트(1)가 설치되는 케이스 내부에 공기 이송팬(32)기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제조 시공방법은, 상기 실내기(311)와 상기 공기 이송팬(32)의 사이인 케이스(3)에 구비되어 공기의 이동량을 조정하여 상기 공기 이송팬(32)의 구동전력을 최소화 하는 이동 공기량 조정수단(33)을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게 설치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량 조정수단(33)은,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개방상태를 조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댐퍼(331)와 댐퍼(331)의 둘레와 케이스(3)의 내부 둘레를 차단하는 수직 차단판(3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댐퍼(331)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가이드 베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존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는 케이스(3)의 공기 회수닥트(2)가 설치되는 케이스(3)의 내부인 실내기(311)의 공기 인입측에 보조 공기 이송팬(34)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보조 공기 이송팬(34)은 실내기(311)의 인입측에 공기의 순환 이동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를 제조 시공함에 있어서 건물에 기 시공된 수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철거하지 않고 일부의 장치 교체를 통해 재사용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시공비용을 최대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제조 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동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팬(312)이 포함되는 냉매가 순환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를 작동시키게 되면, 즉 공기 냉난방수단(31)을 작동시켜 실내기(311)를 작동시키게 되면, 팬(312)의 구동을 통해 케이스(3)의 내부로 실내공간의 공기가 유입되어 통과됨으로서, 냉매로 인하여 실내기(31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실내기(311)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는 다시 실내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동됨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311)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실내기(311)를 통과하는 냉매를 증발시키거나 응축시키는 공기 냉난방수단(31)에 포함된 것으로, 공기 냉난방수단(31)의 냉매의 이동방향의 전환만으로 실내기(311)에서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킴에 따라 충분한 냉,난방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종래 수 보일러 및 수 냉방장치을 사용하는 수 열교환기보다 제조비용 및 구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기(311)를 작동시킴과 더불러 공기 이송팬(32)을 작동시키고 실내기(311)와 공기 이송팬(3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댐퍼(331)의 개방정도를 제어수단으로 제어함으로서, 공기 이송팬(32)의 구동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공기 이송팬(32)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댐퍼(331)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여 공기의 통과 순간의 이동량을 공기 이송팬(32)의 송풍 용량보다 낮게 줄이게 되면, 실내공간의 압력보다 케이스(3)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측의 압력이 적어지게 됨으로서 공기 송풍량을 줄이더라도 충분히 공기의 순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케이스(3)의 공기 인입측에 걸리는 압력이 실내공간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됨으로 실내공기가 자연 대류에 의해 케이스(3)의 인입측으로 계속적으로 유입된다. 다시말해 댐퍼(331)를 통해 공기의 통과 순간의 이동량을 줄여 공기 이송팬(32)의 송풍 압력을 줄이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3)의 공기 인입측에서는 실내공간의 압력보다 낮은압력(음압)이 발생됨에 따라 자연대류에 의한 흐름이 상승됨으로서, 오히려 댐퍼(33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송속도는 빨라지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서 공기 이송팬(32)의 송풍량을 줄이더라도 충분히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에 구비된 팬(312)이 작동됨으로서 상기 공기 순환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공기 이송팬(32)의 구동을 통해 작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를 구성하는 팬(312)들도 구동됨에 따라 케이스(3)의 공기 인입측의 압력(음압)을 더욱 낮추어 공기의 순환 능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 이송팬(32)의 송풍 용량을 좀더 줄이더라도 충분히 실내공간의 공기순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으로서 공기 이송팬(32)의 구동 전력을 최대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이송팬(32)의 송풍 용량을 줄이더라도 실내공간에서 공기 순환이 가능함으로서 케이스의 인입측에 보조 공기 이송팬(34)의 설치는 필요없으나, 상기 보조 공기 이송팬(34)은 보조적으로 구동되어 신속한 공기 순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냉방 또는 난방 능력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댐퍼(331)의 공기의 통과 순간의 이동량의 조정을 통해 공기 이송팬(32)의 송풍 용량을 줄임에 따라서 구동 전력을 최소로 사용할 수 있는 초절전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을 수행함에 있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와 구동수단(318)으로 구성된 공기 냉난방수단(31)의 구동을 통해 케이스(3)를 이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즉 상기 구동수단(318)은 팬(319a)과 압축기(319b)와 팽창밸브(319c)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와 연결되어 실내기(311)의 구동 부하에 따라 제어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실외기(319)는 다수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실외기(319)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기(311)와 직렬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실외기(319)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다수의 실내기(311)들에 병렬로 연결됨으로서, 상기 하나의 실내기(311) 또는 실내기(311)들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가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의 부하를 제어수단에서 분석하여 상기 실외기(319)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예를 들어, 실내기가 하나로 구비되어 100이라는 용량을 가진다고 가정하고, 이와 병렬로 연결되는 실외기(319)가 각 20씩의 용량으로 다섯 대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에서 부하가 30만 걸리게 되면 5대의 실외기중 2대만을 가동시켜도 실내기에서 냉매의 증발 또는 응축이 가능함으로서 공기에 대하여 충분한 냉각 또는 난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내기 작동부하와 상응되게 실외기의 작동 갯수를 최소화 함으로서, 실외기(319)의 과다한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실내기(311)가 각 20씩의 용량으로 5대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이 실내기(311)들에서 병렬로 인출되어 병렬로 연결되는 실외기(319)가 각 20씩의 용량으로 5대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에서 40의 부하만 걸리게 되면 5대의 실외기중 2대만을 가동시켜도 2대의 실내기에서 냉매의 증발 또는 응축이 가능함으로서 공기에 대하여 충분한 냉각 또는 난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내기 작동부하와 상응되게 실외기의 작동 갯수를 최소화 함으로서, 실외기(319)의 과다한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최소 구동전력을 통해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장치의 시공후 전력의 소모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초 절전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내기에서 걸리는 부하 정도에 따라 실외기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공기 냉난방수단를 최소의 전력으로 구동시킴으로서 전력의 낭비를 좀더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하나 이상의 실내기와 공기 이송팬의 사이에 공기 이동량 조정수단을 구비하여 공기 이송팬의 구동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력의 낭비를 좀더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기존의 공기조화기를 사용하면서 일부의 장치 교체를 통해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좀더 싼 가격으로 시공할 수 있는 저비용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1)

  1.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회수닥트(1,2)와;
    상기 공기 공급,회수닥트(1,2)가 일 타측에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수단(318)과,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구동수단(318)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318)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나 또는 각각에서 공기를 강제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팬(312)이 각기 구비되고 냉매가 순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를 포함하는 공기 냉난방수단(31); 및
    상기 공기 냉난방수단(31)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318)은 팬(319a)과 압축기(319b)와 팽창밸브(319c)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와 연결되어 실내기(311)의 구동 부하에 따라 제어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되되, 상기 다수의 실외기(319)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기(311)와 직렬로 연결되거나 상기 다수의 실외기(319)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다수의 실내기(311)들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실내기(311) 또는 실내기(311)들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319)가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의 배출측인 케이스(3)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공기를 이동시키는 공기 이송팬(3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와 공기 이송팬(32)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통과 순간의 이동량을 조정하여 공기 이송팬(32)의 구동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댐퍼(331)와 수직 차단판(332)으로 구성된 이동 공기량 조정수단(3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차단판(332)의 둘레에는 실내기(311)나 공기 이송팬(32)의 이상 작동시 공기를 통과시키는 개폐문(33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기(311)의 공기 인입부 측에 구비되어 실내공간의 공기의 순환 이동력을 증가시키는 보조 공기 이송팬(34)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실내공간을 공기의 흐름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구비함에 있어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의 일타측에 구비된 공기 공급,회수닥트와 공기가 이동되는 케이스를 철거하지 않으면서 온수 및 냉수를 이용하는 케이스 외부장치가 포함된 기존의 수 열교환기를 철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 열교환기의 철거 위치에 케이스의 외부 구동수단과 연결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하나 또는 각각에서 공기를 강제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팬이 각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 냉난방수단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치되어 있는 장치와 교체된 공기 냉난방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기존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급닥트가 설치되는 케이스 내부에 공기 이송팬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기와 상기 공기 이송팬의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량을 조정하여 상기 공기 이송팬의 구동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동부를 포함하는 댐퍼와 수직 차단판으로 구성된 이동 공기량 조정수단을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게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팬과 압축기와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실내기와 연결되어 실내기의 구동 부하에 따라 제어수단을 통해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함을 특징으로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에서, 상기 실외기는 다수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실외기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기와 직렬로 연결되거나 상기 다수의 실외기는 병렬로 인출되어 상기 다수의 실내기들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실내기 또는 실내기들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가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KR1020060023379A 2006-03-14 2006-03-14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KR10065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79A KR100657578B1 (ko) 2006-03-14 2006-03-14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379A KR100657578B1 (ko) 2006-03-14 2006-03-14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578B1 true KR100657578B1 (ko) 2006-12-14

Family

ID=3773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379A KR100657578B1 (ko) 2006-03-14 2006-03-14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9214A (zh) * 2017-02-27 2017-06-13 深圳沃海森科技有限公司 壁挂式超导室内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68A (ja) * 1992-07-10 1994-02-04 Kimura Kohki Co Ltd 外気処理兼用形ターミナル型空気調和機
JPH06159705A (ja) * 1992-11-27 1994-06-07 Aisin Seiki Co Ltd 空調機
JPH06347058A (ja) * 1993-06-10 1994-12-20 Kimura Kohki Co Ltd 空調用床置形換気ユニット
KR20000012499A (ko) * 1999-12-08 2000-03-06 이재환 냉난방겸용 공기조화기
KR20000013685A (ko) * 1998-08-12 2000-03-06 전병수 열전소자를 사용한 냉방기
KR200375780Y1 (ko) 2004-11-09 2005-03-11 주식회사 코벡엔지니어링 분리형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68A (ja) * 1992-07-10 1994-02-04 Kimura Kohki Co Ltd 外気処理兼用形ターミナル型空気調和機
JPH06159705A (ja) * 1992-11-27 1994-06-07 Aisin Seiki Co Ltd 空調機
JPH06347058A (ja) * 1993-06-10 1994-12-20 Kimura Kohki Co Ltd 空調用床置形換気ユニット
KR20000013685A (ko) * 1998-08-12 2000-03-06 전병수 열전소자를 사용한 냉방기
KR20000012499A (ko) * 1999-12-08 2000-03-06 이재환 냉난방겸용 공기조화기
KR200375780Y1 (ko) 2004-11-09 2005-03-11 주식회사 코벡엔지니어링 분리형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9214A (zh) * 2017-02-27 2017-06-13 深圳沃海森科技有限公司 壁挂式超导室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546B1 (ko) 일체형 환기 및 냉난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냉난방방법
KR101223199B1 (ko) 환기 및 냉난방 일체형 시스템
KR102447755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벽체형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제어방법
KR100657578B1 (ko) 공기조화기와 그 공기조화기의 제조 시공방법
JP6590983B2 (ja) 熱源一体型システム空気調和装置
KR100567416B1 (ko) 분리형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KR100696716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KR20130027789A (ko) 일체형 환기 및 냉·난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냉·난방방법
KR100625263B1 (ko) 소형공조룸 및 전열교환기를 구비한 냉난방장치
KR101031337B1 (ko) 혼합형 공기조화기
JP2017101875A (ja) 複数給気ファン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運転方法
KR100816908B1 (ko) 공기 조화기
JP2016133013A (ja) 空冷式パッケージ形圧縮機
CN116963467B (zh) 节能调温装置、调温系统及其调温方法、机房
CN104048361A (zh) 一种模块化顶置空调
CN216205115U (zh) 烘干机
KR102413709B1 (ko) 전열교환 기능을 구비하는 고효율 히트펌프 시스템
KR102308682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벽체형 crah 기반 냉각 시스템
CN217383559U (zh) 一种干燥机组
CN214009730U (zh) 一种吸风式开闭一体热泵烘干机组
KR101344461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20020392A (ko) 고층 아파트의 수냉식 공기조화기
CN210425264U (zh) 一种换热装置及使用该换热装置的空调机组
KR100903487B1 (ko) 수냉식 공조 시스템 및 수냉식 공조 시스템의 실내기
JP3709862B2 (ja) ヒートポンプ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