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377B1 -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 Google Patents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377B1
KR100657377B1 KR1020050056213A KR20050056213A KR100657377B1 KR 100657377 B1 KR100657377 B1 KR 100657377B1 KR 1020050056213 A KR1020050056213 A KR 1020050056213A KR 20050056213 A KR20050056213 A KR 20050056213A KR 100657377 B1 KR100657377 B1 KR 10065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optical system
image
zoom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용
권용재
노명재
Original Assignee
정수용
권용재
노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용, 권용재, 노명재 filed Critical 정수용
Priority to KR102005005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 G02B15/143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G02B15/14350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며, 물체측 평면이고 상측 오목면을 갖으며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플랜/콘케이브형 제1렌즈 및 제2렌즈, 물체측 볼록면이고 상측 평면을 갖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콘벡스/플랜형 제3렌즈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음[(-)Power]의 배율을 갖는 제 1군과; 물체측 및 상측 볼록면이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비구면 렌즈인 제4렌즈, 물체측 오목면이고 상측 볼록면을 갖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 물체측 오목면이고 상측 볼록면을 갖으며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 물체측 및 상측 볼록면이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렌즈, 물체측 및 상측 오목면이고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8렌즈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양[(+)Power]의 배율을 갖는 제 2군과; 물체측 볼록면이고 상측 오목면을 갖으며 전체적으로 양[(+)Power]의 배율을 갖는 메니스커스형 렌즈인 제 3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군의 선두렌즈인 제4렌즈 앞에 일정간격 유지한 채 고정/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광학전장 25.1mm, 구경비 F/2.5, 시계각 164도의 광학성능을 형성함에 따라 초소형화할 수 있고 초광각이면서 줌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INNER FORCUS TYPE OPTICAL SYSTEM FOR SUPER WIDE ANGLE ZOOM CAMERA OF COMPA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용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비구면 렌즈와 기준구면 렌즈와의 곡률반경을 비교한 단면도.
도 3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용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의 텔레상태 및 와이드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 및 도 9는 도 3 및 도 4 상태일때, 자오상면 만곡과 구결상면 만곡을 여러 광축 상에서 나타낸 그래프.
도 5 및 도 10은 도 3 및 도 4 상태일때, 비점수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6 및 도 11은 도 3 및 도 4 상태일때, 화면의 일그러짐 현상을 백분률로 나타낸 그래프.
도 7 및 도 12는 색수차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 1군 110: 제1렌즈
120: 제2렌즈 130: 제3렌즈
200: 제 2군 210: 제4렌즈
220: 제5렌즈 230: 제6렌즈
240: 제7렌즈 250: 제8렌즈
300: 제 3군 400: 조리개
본 발명은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구동의 구조물을 갖으며 메가 픽셀급 고화소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CCD나 고체촬상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스틸카메라의 보급이 최근 각광을 받으면서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스틸카메라는 렌즈에 의해 결상된 정지화상을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내장 메모리나 메모리카드 등에 기록하는 촬상장치로서, 재생용 모니터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실시간성과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는 달리 일반 카메라에 비해 화질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촬상소자의 발달에 따라 화소수가 증가하고 해상도가 향상됨에 따라 일반 카메라의 화질에 육박하는 해상도를 갖게 되었 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폰이나 PDA 등 소형 통신기기의 성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디지털 스틸카메라를 장착하여 화상데이터를 저장 및 전송하거나 화상 채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통신 통신기기에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그 내장성을 위하여 점차 소형 경량화되고 있으며 저코스트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렌즈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소형이면서 고화질의 줌 렌즈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과, 플라스틱 렌즈를 사용하여 저렴한 줌 렌즈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줌 렌즈의 광학계에 의하면, 초광각이면서 이너 포커싱(inner forcusing) 시스템을 갖는 줌이 없었음은 물론 초점거리의 척도라 할 수 있는 화각이 100도 미만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선명한 상을 얻기 위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광학계를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화각을 보다 광범위하게 넓힘으로써 초점거리를 좁혀 소형화를 추진하려는 연구 및 보다 안정화된 광학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광각이면서 이너 포커싱(inner forcusing) 시스템을 갖는 줌 렌즈로 구성되게 함과 더불어 화각을 160도 이상으로 크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메가 픽셀급 고 화소 구현 및 광학계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불어, 보다 안정되고 향상된 광학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용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며, 물체측 평면이고 상측 오목면을 갖으며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플랜/콘케이브형 제1렌즈 및 제2렌즈, 물체측 볼록면이고 상측 평면을 갖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콘벡스/플랜형 제3렌즈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음[(-)Power]의 배율을 갖는 제 1군과; 물체측 및 상측 볼록면이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비구면 렌즈인 제4렌즈, 물체측 오목면이고 상측 볼록면을 갖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 물체측 오목면이고 상측 볼록면을 갖으며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 물체측 및 상측 볼록면이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렌즈, 물체측 및 상측 오목면이고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8렌즈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양[(+)Power]의 배율을 갖는 제 2군과; 물체측 볼록면이고 상측 오목면을 갖으며 전체적으로 양[(+)Power]의 배율을 갖는 메니스커스형 렌즈인 제 3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군의 선두렌즈인 제4렌즈 앞에 일정간격 유지한 채 고정/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군과 제 3군은 고정형으로 설치하며, 상기 제 1군과 제 3 군 사이를 제 2군이 탑/다운 이동하도록 한 내부 구동형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점거리를 f라 하고, 후면 초점거리를 B라하면, 0.72 ≤ B/f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 1군의 제1렌즈에서 제 3군의 마지막 렌즈까지의 거리를 광학전장 T라 하고, 초점거리를 f라 하면, T/f ≤ 2.10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 2군의 선두렌즈인 제4렌즈에 비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비구면에 의한 새그를 Xa라 하고, 기준구면에 의한 새그를 Xo라 하면, Xa - Xo > 0 [비구면 제4렌즈의 제1면(R7)], Xa - Xo < 0 [비구면 제4렌즈의 제2면(R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제1렌즈는 1.65 ≤n ≤1.75, 50 ≤v ≤60의 굴절률과 분산률, 상기 제4렌즈는 1.45 ≤n ≤1.55, 50 ≤v ≤60의 굴절률과 분산률, 상기 제7렌즈는 1.45 ≤n ≤1.55, 75 ≤v ≤85의 굴절률과 분산률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도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용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줌 카메라용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며, 물체측 평면(R1,R3)이고 상측 오목면(R2,R4)을 갖으며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플랜(plane)/콘케 이브(concave)형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 물체측 볼록면(R5)이고 상측 평면(R6)을 갖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콘벡스(convex)/플랜(plane)형 제3렌즈(130)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음[(-)Power]의 배율을 갖는 제 1군(100)과; 물체측 및 상측 볼록면(R7,R8)이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비구면 렌즈인 제4렌즈(210), 물체측 오목면(R9)이고 상측 볼록면(R10)을 갖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220), 물체측 오목면(R11)이고 상측 볼록면(R12)을 갖으며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230), 물체측 및 상측 볼록면(R13,R14)이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렌즈(240), 물체측 및 상측 오목면(R15,R16)이고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8렌즈(250)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양[(+)Power]의 배율을 갖는 제 2군(200)과; 물체측 볼록면(R17)이고 상측 오목면(R18)을 갖으며 전체적으로 양[(+)Power]의 배율을 갖는 메니스커스형 렌즈인 제 3군(3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군(200)의 선두렌즈인 제4렌즈(210) 앞에 일정간격 유지한 채 고정/배치되는 조리개(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3군(300)의 상측 앞에는 촬상소자의 보호 및 이들로의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글라스(500)와 촬상소자(미 도시됨) 등이 순차 배치된다.
상기 비구면 렌즈인 제4렌즈(210)는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모두 유리광학렌즈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군(100)에서의 제2렌즈(120) 및 제3렌즈(130)와, 상기 2군(200)에서의 제5렌즈(220) 및 제6렌즈(230)와 제7렌즈(240) 및 제8렌즈(250)은 광학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상호간 접합 처리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군(100)과 제 3군(300)은 고정형으로 설치하며, 상기 제1군(100)과 제3군(300) 사이를 제2군(200)이 탑/다운(top/down) 이동하도록 한 내부 구동방식의 시스템구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군(300)은 커버글라스(500)와 항상 일정한 유지간격을 갖도록 설치하여 후면 초점거리가 항상 일정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군(100) 및 제 2군(200)에 있어 각 군 내의 렌즈간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110) 내지 제3렌즈(130)를 포함하는 제 1군(100)은 광각을 특징짓는 화각을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선두렌즈로 비구면렌즈인 제4렌즈(210)를 구비하고 제5렌즈(220) 내지 제8렌즈(250)를 포함하는 제 2군(200)은 전체적으로 배율을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데, 제4렌즈(210)는 구면수차를 보정하고, 제5렌즈(220)와 제6렌즈(230) 및 제7렌즈(240)와 제8렌즈(250)는 상호간 접합을 통해 색수차를 보정하게 된다.
상기 제 3군(300)은 디스토션(distortion)을 보정함을 주요 기능으로 하며, 더불어 촬상소자(CMOS센서나 CCD)측 입사광을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조건 1]
0.72 ≤ B/f ≤1
여기서, 제 1군(100)과 제 2군(200) 및 제 3군(300)의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라 하고, 제 3군(300)의 매니스커스형 렌즈의 제18면(R18)에서 초점까지의 후면 초점거리(back focal length)를 B라 한다.
[조건 2]
T/f ≤ 2.10
여기서, 광학계의 첫 번째 제1렌즈(110)에서 마지막 렌즈(300)까지의 거리를 광학전장 T라 하고, 초점거리를 f라 한다.
[조건 3]
Xa - Xo > 0 [비구면 제4렌즈의 제1면(R7)]
Xa - Xo < 0 [비구면 제4렌즈의 제2면(R8)]
여기서, 기준구면의 광축상의 곡률이 C(=1/R)인 면에서 광축에서의 높이가 Y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며, 구면에서의 새그(Sag)를 Xo라 하고, 비구면에서의 새그(Sag)를 Xa라 한다.
[조건 4]
1.65 ≤n ≤1.75, 50 ≤v ≤60 [제1렌즈(110)]
1.45 ≤n ≤1.55, 50 ≤v ≤60 [제4렌즈(210)]
1.45 ≤n ≤1.55, 75 ≤v ≤85 [제7렌즈(240)]
여기서, n은 렌즈의 굴절률이고, v는 렌즈의 분산률이다.
다음에는 상기 조건(조건식 1 내지 조건식 4)을 만족하도록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기준구면의 광축상의 곡률이 C(=1/R)인 면에서 광학에서의 높이가 Y인 경우 비구면에서 새그(Sag) Xa와 구면에서의 새그(Sag) Xo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구면렌즈에서 새그 Xo와, 비구면렌즈에서 새그 Xa는 다음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34558116-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05034558116-pat00002
여기서, C는 곡률(C=1/R ; R은 렌즈의 반경), Y는 높이,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이고, AD, AE, AF, AG는 비구면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수학식을 통해 상기의 조건 1 및 2를 만족시키도록 광학계를 구성하면, 광학전장(TTL)은 25.1mm, 구경비(f/dl)는 F/2.5, 화각(시계각)은 164도로 형성된다.
또한,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데이터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렌즈의 곡률반경, 중심간격, 굴절률 및 분산률 등을 나타낸 것이다.
광량(FNO) 1:2.5/5.0(stop 크기고정) 초점거리(f) 3.0/10.3 화각(W) 164/32.2
렌즈면 곡률반경(r) 두께,간격(d) 굴절률(Nd) 분산률(Vd) 비고
조리개 V:0.400-8.790 1.0000
제1면(R1) 0.600 1.7230 53.936
제2면(R2) 4.600 2.388 1.0000
제3면(R3) 0.600 1.4875 70.437
제4면(R4) 11.85 1.0000 접합면
제5면(R5) 11.85 1.200 1.6727 32.169 접합면
제6면(R6) 8.790 1.0000
제7면(R7) 7.093 1.600 1.5322 55.480 비구면
제8면(R8) -4.944 0.400 1.0000 비구면
제9면(R9) -54.42 1.400 1.4875 70.437
제10면(R10) -3.400 0.680 1.8061 33.268 접합면
제11면(R11) -3.400 0.680 1.8061 33.268 접합면
제12면(R12) -4.816 0.400 1.0000
제13면(R13) 20.86 1.410 1.4970 81.604
제14면(R14) -5.210 0.600 1.8061 33.268 접합면
제15면(R15) -5.210 0.600 1.8061 33.268 접합면
제16면(R16) 5.210 V:0.800-9.190 1.0000
제17면(R17) 5.210 1.460 1.6584 50.852
제18면(R18) 8.630 1.770 1.0000
여기서, 제7면(R7)의 K = 0.0, AD = -1.59266e-03, AE = -9.40473e-04, AF = 0.00000e-00, AG = 0.00000e-00이며;
제8면(R8)의 K = 0.0, AD = -1.96609e-03, AE = -8.52782e-04, AF = 0.00000e-00, AG = 0.00000e-00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투영측정기(RROFELE PROJECTOR)를 통해 측정한 해상력측정치와, 유효경(dl:mm)과, 화각측정치와, 구면계(SPHEROMETER)로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 f, 후면 초점거리 B, 광학계의 첫 번째 제 1렌즈(10)에서 마지막 제 9렌즈(90)까지의 거리 T, 구면에 의한 새그 Xo, 비구면에 의한 새그 Xa를 분석하여 보면, 광학계의 렌즈 형상과 렌즈 배열 등이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 1, 2, 3, 4를 만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조건 1] 0.72 ≤ B/f ≤1과; [조건 2] T/f ≤ 2.10과; [조건 3] Xa - Xo > 0 R7, Xa - Xo < 0 R8 및; [조건 4] 1.65 ≤n ≤1.75/ 50 ≤v ≤60 제1렌즈, 1.45 ≤n ≤1.55/ 50 ≤v ≤60 제4렌즈, 1.45 ≤n ≤1.55/ 75 ≤v ≤85 제7렌즈를 만족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는 광학전장 25.1mm, 구경비 F/2.5, 시계각 164도의 광학성능을 발휘하게 되며, 이너 포커싱 기능과 더불어 초광각이면서 줌의 특성을 지니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용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의 2군 이동에 의한 텔레(tele)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이때의 광학 특성을 나타낸 분석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용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의 2군 이동에 의한 와이드(wide)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이때의 광학 특성을 나타낸 분석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4 및 도 9는 수차특성을 도시한 것으로 자오상면 만곡과 구결상면 만곡을 0.50, 0.71, 1.00인 광축상에서 나타낸 것이고, 도 5 및 도 10은 비점수차에 관한 수차해석이며, 도 6 및 도 11은 화면이 곡선으로 휘어 보이는 정도(왜곡수차)에 대한 것이며, 도 7 및 도 12는 색수차(실선)와 백분왜곡(점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3 내지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는 거의 모든 필드에서 상들의 값이 축에 인접하게 나타나고 있어 구면수차나 자오상면 수차 및 색수차의 보정 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중심뿐만 아니라 주변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설계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에 의하면, 광학전장 25.1mm, 구경비 F/2.5, 시계각 164도의 광학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 3군으로 구성하되 제 2군을 제 1군과 제 3군 사이에서 탑다운(Top-Down) 이동하도록 한 내부 구동형(inner forcusing) 시스템을 적용시킨 것으로 초소형 TTL(Through-The-Lens)을 가능하게 하며, 광각이면서 줌의 특성을 발휘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각을 160도 이상으로 크게 형성시키므로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으며 메가 픽셀급 고화소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안정되고 향상된 광학성능을 발휘되게 한다.

Claims (6)

  1. 물체측으로부터 순차 배열되며;
    물체측 평면이고 상측 오목면을 갖으며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플랜/콘케이브형 제1렌즈 및 제2렌즈, 물체측 볼록면이고 상측 평면을 갖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콘벡스/플랜형 제3렌즈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음[(-)Power]의 배율을 갖는 제 1군과;
    물체측 및 상측 볼록면이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비구면 렌즈인 제4렌즈, 물체측 오목면이고 상측 볼록면을 갖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 물체측 오목면이고 상측 볼록면을 갖으며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 물체측 및 상측 볼록면이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렌즈, 물체측 및 상측 오목면이고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8렌즈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양[(+)Power]의 배율을 갖는 제 2군과;
    물체측 볼록면이고 상측 오목면을 갖으며 전체적으로 양[(+)Power]의 배율을 갖는 메니스커스형 렌즈인 제 3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군의 선두렌즈인 제4렌즈 앞에 일정간격 유지한 채 고정/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군과 제 3군은 고정형으로 설치하며, 상기 제 1군과 제 3군 사이를 제 2군이 탑/다운 이동하도록 한 내부 구동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3. 제 1항에 있어서,
    초점거리를 f라 하고, 후면 초점거리를 B라하면,
    0.72 ≤ B/f ≤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군의 제1렌즈에서 제 3군의 마지막 렌즈까지의 거리를 광학전장 T라 하고, 초점거리를 f라 하면,
    T/f ≤ 2.1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군의 선두렌즈인 제4렌즈에 비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비구면에 의한 새그를 Xa라 하고, 기준구면에 의한 새그를 Xo라 하면,
    Xa - Xo > 0 [비구면 제4렌즈의 제1면(R7)]
    Xa - Xo < 0 [비구면 제4렌즈의 제2면(R8)]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제4렌즈 및 제7렌즈는 다음에 해당하는 굴절률과 분산률,
    제1렌즈 1.65 ≤n ≤1.75, 50 ≤v ≤60
    제4렌즈 1.45 ≤n ≤1.55, 50 ≤v ≤60
    제7렌즈 1.45 ≤n ≤1.55, 75 ≤v ≤85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KR1020050056213A 2005-06-28 2005-06-28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KR10065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213A KR100657377B1 (ko) 2005-06-28 2005-06-28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213A KR100657377B1 (ko) 2005-06-28 2005-06-28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377B1 true KR100657377B1 (ko) 2006-12-14

Family

ID=3773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213A KR100657377B1 (ko) 2005-06-28 2005-06-28 소형 초광각 줌 카메라를 위한 내부 구동방식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55A1 (ko) * 2016-09-21 2018-03-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안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장치
CN117075313A (zh) * 2023-10-18 2023-11-17 江西联益光学有限公司 光学镜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203B1 (ko) 1995-12-20 2000-05-15 유무성 초광각 변배 파인더
JP2002372667A (ja) 2001-06-14 2002-12-26 Konica Corp ズームレンズ
JP2003121743A (ja) 2001-10-18 2003-04-23 Olympus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JP2003149556A (ja) 2001-11-16 2003-05-21 Olympus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KR20050038124A (ko) * 2003-10-21 2005-04-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KR20050047324A (ko) * 2003-11-17 2005-05-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203B1 (ko) 1995-12-20 2000-05-15 유무성 초광각 변배 파인더
JP2002372667A (ja) 2001-06-14 2002-12-26 Konica Corp ズームレンズ
JP2003121743A (ja) 2001-10-18 2003-04-23 Olympus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JP2003149556A (ja) 2001-11-16 2003-05-21 Olympus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KR20050038124A (ko) * 2003-10-21 2005-04-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KR20050047324A (ko) * 2003-11-17 2005-05-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55A1 (ko) * 2016-09-21 2018-03-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안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장치
US11029499B2 (en) 2016-09-21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sheye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17075313A (zh) * 2023-10-18 2023-11-17 江西联益光学有限公司 光学镜头
CN117075313B (zh) * 2023-10-18 2024-02-20 江西联益光学有限公司 光学镜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94477B (zh) 摄像镜头
JP3656089B2 (ja) 撮像レンズ装置
JP6011921B2 (ja) 結像レンズ、撮像装置および情報装置
KR101617794B1 (ko) 초소형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KR100845060B1 (ko) 광각렌즈시스템과 촬상장치
US7215483B2 (en)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052956B2 (ja) 撮影レンズおよび撮影装置
JP5052144B2 (ja) 撮像レンズ
KR101720770B1 (ko)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KR101670054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CN112444944A (zh) 摄像镜头
KR100973290B1 (ko) 카메라용 결상 광학계
EP1591820A1 (en) Imaging lens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imaging devices
KR100966990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20060004994A (ko) 소형 촬상 렌즈 및 촬상 장치
JP2005284153A (ja) 撮像レンズ
US20030112529A1 (en) Lens system and camera having the same
KR20040049794A (ko) 촬상렌즈
KR101724264B1 (ko) 촬영 렌즈계
JP6270177B2 (ja) 結像レンズ、撮像装置および情報装置
KR101679289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결상 광학 장치
JP2004177628A (ja) 広角撮影レンズ
KR101724265B1 (ko) 촬영 렌즈계
KR20090079635A (ko) 카메라용 결상 광학계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통신용 카메라
JP2005352317A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