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365B1 - Alphanumeric Input Method - Google Patents
Alphanumeric Input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7365B1 KR100657365B1 KR1020050006552A KR20050006552A KR100657365B1 KR 100657365 B1 KR100657365 B1 KR 100657365B1 KR 1020050006552 A KR1020050006552 A KR 1020050006552A KR 20050006552 A KR20050006552 A KR 20050006552A KR 100657365 B1 KR100657365 B1 KR 100657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input
- consonant
- keys
- grou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키를 적어도 10개 이상 구비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한글 자음 중 특정 개수의 자음들을 기본자음으로 명명하고, 기본자음을 제외한 자음들을 파생 자음으로 명명하며, 기본자음들을 2분할하여 제 1 기본자음 그룹과 제 2 기본자음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 1 기본자음 그룹 및 제 2 기본자음 그룹을 각각 2분할하여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 및 제 2 소그룹과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 및 제 2 소그룹으로 분류할 때에, 복수 키 중에서 각각 하나 이상의 키를 할당하여 초성자음의 입력을 위한 제 1, 제 2 초성자음키와 종성자음의 입력을 위한 제 1, 제 2 종성자음키로 배정하고, 제 1 소그룹은 제 1, 제 2 초성자음키 또는 제 1, 제 2 종성자음키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입력하며, 제 2 소그룹은 제 1, 제 2 초성자음키 또는 제 1, 제 2 종성자음키를 적어도 1회 입력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put a character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is purpose,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with at least 10 or more character input key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 certain number of consonants of Hangul consonants Name the main consonants, name the consonants other than the basic consonants, divide the basic consonants into two groups, and divide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into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and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nd the second basic consonant. When each of the groups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subgroup and the second subgroup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nd the first subgroup and the second subgroup of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one or more keys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each other. Assigned as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 keys for input of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 keys for input of the final consonants, and the first subgroup is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 keys. Or the first, second, and input using either only one of two trailing consonant key, a second subgroup is input at least once the first and second leading consonant key or the first and second trailing consonant key.
또한, 영어의 경우 복수의 키에 알파벳을 적어도 하나씩 각각 할당하고, 복수의 키에 할당된 알파벳을 해당 키의 중앙에 위치하는 단독 그룹, 해당 키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좌우 조합 그룹, 해당 키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상하 조합 그룹 및 해당 키의 꼭지점측에 위치하는 대각 조합 그룹으로 분류할 때에, 단독 그룹은 단일의 키를 선택하여 입력하며, 좌우 조합 그룹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키를 복수 선택하여 입력하고, 상하 조합 그룹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키를 복수 선택하여 입력하며, 대각 조합 그룹은 대각 방향으로 인접한 키를 복수 선택하여 입력한다.Also, in the case of English, at least one alphabet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s, and the alphabet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keys is a single group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key, a left and right combination group located at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orresponding key, and the corresponding key. When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combination groups located above or below and diagonal combination groups located at the vertex side of the corresponding key, the single group selects and inputs a single key, and the left and right combination groups select a plurality of adjacent key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electing and inputting, the up and down combination group selects and inputs a plurality of adjacent key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diagonal combination group selects and inputs a plurality of adjacent keys in the diagonal direction.
한편, 숫자의 경우 단자리 숫자를 홀수 그룹과 짝수 그룹으로 분류하되 ' 0 '은 상기 짝수 그룹에 편입하며, 홀수 그룹에 속하는 하나의 숫자와 짝수 그룹에 속하는 하나의 숫자을 쌍으로 복수의 키에 각각 할당하고, 각각의 숫자 쌍들이 키패드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키에 배정되어 해당 키를 선택하여 배정된 숫자 쌍을 입력하되 그 입력 횟수에 의해 어느 하나의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최소 6개의 키를 구비하여 한글, 영어 및 숫자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고, 정보 통신 단말기 크기의 감소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case of numbers, the terminal numbers are classified into odd groups and even groups, but '0' is included in the even groups, and one number belonging to the odd group and one number belonging to the even group are pair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s. At least six number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s are assigned, and each number pair is assigned to a different key constituting the keypad, selects the corresponding key, inputs the assigned number pair, and inputs any numb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s. With the ke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put Korean, English and numbers,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정보 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uitable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데 적합한 키패드의 한글 자모 배치도,2 is a layout diagram of the Hangul alphabet of a keypad suitable for inputting Hangul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영어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키패드의 영어 문자 배치도,3 is a layout diagram of English characters of a keypad suitable for inputting English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키패드의 숫자 배치도,4 is a layout diagram of numbers of a keypad suitable for inputting numbers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 영어 및 숫자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키패드를 예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suitable for inputting Korean, English and numbers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2 : 제어부 104 : 메모리102
106 : 듀플렉서 108 : 수신부106: duplexer 108: receiving unit
110 : 송신부 112 : 오디오부110: transmitting unit 112: audio unit
114 : 키입력부 116 : 표시부114: key input unit 116: display unit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통신기기 등과 같은 정보 통신 단말기에 한글, 영어 및 숫자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method suitable for inputting Korean, English, and numbers in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 수첩, 휴대용 통신기기 등과 같은 정보 통신 단말기의 보급에 따라 문자(예를 들면, 한글, 영어, 숫자 등)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데이터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기능, 예를 들면, SMS(Short Message Service), 전자 메일 등이 제공되고 있다.As is well known,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electronic organizer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like, characters (eg, Korean, English, numbers, etc.) are frequently selected and inputted, and data is transmitted by input. Functions such as SMS (Short Message Service), electronic mail, and the like are provided.
이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다양한 입력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며, 한글 입력 방법 중에 3개의 키를 한글 모음에 할당하고, 한글 자음을 다른 복수 개의 키에 각각 할당하여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는 천지인 한글 입력 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영어 입력 방법에는 각각의 영어 문자에 대응하는 키를 복수 개의 키에 할당하고, 이를 조합하여 영어를 입력하는 영어 입력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숫자 입력 방법에는 1에서 0까지(즉, 1, 2, 3, 4, 5, 6, 7, 8, 9, 0)의 숫자를 각각 하나의 키에 할당하고, 이를 통해 숫자를 입력하는 숫자 입력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input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s have been proposed. Among Korean input methods, three keys are assigned to Hangul vowels and Korean consonants are input to assign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by assigning Hangul consonants to a plurality of other keys. The English input method is used, and the English input method uses an English input method of assigning a key corresponding to each English character to a plurality of keys, and inputs the English by combining them. 1, 2, 3, 4, 5, 6, 7, 8, 9, and 0) are assigned to one key, and a number input method of inputting a number is used.
한편, 상술한 한글 입력 방법을 개선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특허 10-0458280(한글 입력 방법)의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키에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이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 할당되어 해당 키를 통한 자음과 모음의 입력에 의하여 한글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 모음들의 자형에 근거하여 'ㅣ'는 종줄기, 'ㅡ'는 횡줄기로 명명하며, 줄기 자형에서 이어 나오는 형태의 다른 자형들은 그 방향에 근거하여 좌가지, 우가지, 상가지, 하가지로 명명할 때에 복수의 키에 줄기 입력 기능 또는 가지 입력 기능이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 할당되며, 모음 중에서 'ㅣ'와 'ㅡ'는 각각 종줄기 입력 기능과 횡줄기 입력 기능을 통하여 입력하고, 'ㅣ'와 'ㅡ'를 제외한 다른 모음들은 줄기 입력 기능들과 가지 입력 기능들을 적어도 둘 이상 조합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Meanwhile, when the Hangul input method of Patent 10-0458280 (Hangul input method)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above-described Hangul input method, as shown in Table 1, the consonant or In the Hangul input method in which one or more vowels are assigned to each other and the Hangul is input by combin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through the corresponding key, 'ㅣ' is a bell stem and 'ㅡ' is based on the shapes of the Hangul vowels. Named by the horizontal stem, the other shapes of the shape that follows the stem shape have one stem input function or one branch input function on a plurality of keys when naming them as the left branch, right branch, upper branch, or lower branch based on the direction. Or two or more are assigned, 'ㅣ' and 'ㅡ' are inputted through the vertical stem input function and the horizontal stem input function, respectively, and other vowels except 'ㅣ' and 'ㅡ' are inputted by the stem. A method for entering at least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of input and neungdeul function.
여기에서, 모든 복모음을 입력할 경우에 해당 복모음을 단모음들로 분리한 첫 번째 단모음은 줄기 입력 키와 가지 입력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고, 나머지 모음 자형은 복모음 입력 키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입력하게 된다. 표 1에서 (횡)은 횡줄기 입력 키, (종)은 종줄기 입력 키, (상)은 상가지 입력 키, (하)는 하가지 입력 키, (좌)는 좌가지 입력 키, (우)는 우가지 입력 키, (복)은 복모음 입력 키를 나타낸다.In this case, when all the vowels are input, the first vowel divided into the vowels is input by combining the stem input key and the branch input key, and the remaining vowels are additionally input using the vowel input key. In Table 1, (horizontal) is horizontal stem input key, (species) is vertical stem input key, (upper) is upper branch input key, (lower) lower branch input key, (left) is left branch input key, (right) ) Denotes four input keys and (bok) denotes a double vowel input key.
또한, 상술한 한글 입력 방법을 개선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공개 특허 특2003-0011122(초성자음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복수의 키에 한글의 자음 입력 기능 또는 모음 입력 기능이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 할당되어 해당 키를 통한 자음과 모음의 입력에 의하여 한글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키 중에서 동일한 키에 배정된 종성자음과 초성자음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입력하고자 할 때 뒤에 입력하는 초성자음은 초성자음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11122 (Korean input method using an initial consonant key) is previously described by improving the Korean input method, the Korean consonant input function or vowel input is input to a plurality of keys. In the Hangul input method in which one or more functions are assigned to each other and the Hangul is input by combin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through the corresponding keys, the continuous consonants and the initial consonants assigned to the same key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re sequentially When you want to input by using the first consonant to enter the consonant keys to enter.
따라서, 상술한 문자 입력 방법에 따라 문자를 입력할 경우에 최소한 10개의 키가 문자에 각각 할당되어 구비되어야만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기기 등의 정보 통신 단말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키패드의 크기 또한 감소함이 바람직하지만 키패드를 이루는 각각의 키에는 해당 키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며 이를 사용자가 인식하는데 최소한의 크기를 가져야만 하기 때문에 키패드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input method, at least ten keys must be assigned to each character so that the character can be inputted, and a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miniaturized, the size of the keypad is also reduced.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keypad,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of the keypad because each key constituting the keypad displays a lett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and must have a minimum size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더욱이, 종래 대부분의 문자 입력 방법들은 3*4 매트릭스 키패드를 이용하는 원리에 입각하고 있으므로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의 수를 줄일 수가 없어서 키패드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s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using a 3 * 4 matrix keypad, the number of keys constituting the keypad cannot be reduced, thus limiting the overall size of the keypa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의 경우 기본자음을 각각 제 1, 제 2 기본자음 그룹으로, 각각의 기본자음 그룹들을 제 1, 제 2 소그룹으로 분류하며, 제 1, 제 2 기본자음 그룹을 제외한 기본자음들을 파생 자음으로 분류할 때 제 1, 제2 초성자음 입력 키, 모음 입력 키 및 제 1, 제 2 종성자음 입력 키를 조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e case of the Hangul input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sic consonants as the first and second basic consonant groups, respectively, each of the basic consonant groups first and second When the basic consonants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basic consonant groups are classified into small groups,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 input keys, the vowel input keys, and the first and second final consonant input keys are combin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Hangul.
또한,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영어 입력의 경우 알파벳을 단독 그룹, 좌우 조합 그룹, 상하 조합 그룹, 대각 조합 그룹으로 분류하여 복수의 키에 할당하며, 알파벳에 할당된 키 또는 배치된 키 방향에 따라 인접하는 다른 키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nglish input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he alphabet is classified into a single group, a left and right combination group, a top and bottom combination group, and a diagonal combination group and assigned to a plurality of key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input a combination of different keys.
마지막으로,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숫자 입력의 경우 홀수 그룹과 짝수 그룹으로 분류하되 ' 0 '은 짝수 그룹으로 편입하여 홀수 그룹과 짝수 그룹 각각 하나씩의 숫자를 쌍으로 복수의 키에 할당할 때 숫자에 할당된 키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inally, in the case of numeric input in the telecommunication terminal, the number group is classified into an odd group and an even group, and '0' is assigned to an even group, and assigned to a number when assigning a number to a plurality of keys in pairs of odd and even groups, respective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inputting a combination of key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키패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에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적어도 하나씩 각각 할당하고, 해당 키들의 입력을 통해 한글 자음을 입력하는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한글 자음 중 특정 개수의 자음들을 기본자음으로 명명하고, 상기 기본자음을 제외한 자음들을 파생 자음으로 명명하며, 상기 기본자음들을 2분할하여 제 1 기본자음 그룹과 제 2 기본자음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 1 기본자음 그룹 및 제 2 기본자음 그룹을 각각 2분할하여 상기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 및 제 2 소그룹과 상기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 및 제 2 소그룹으로 분류할 때에, 상기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자음들을 초성자음으로 입력할 때 사용되는 제 1 초성자음키를 상기 복수의 키 중 첫번째 키에 할당하고, 상기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자음들을 초성자음으로 입력할 때 사용되는 제 2 초성자음키를 상기 복수의 키 중 두번째 키에 할당하며, 상기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자음들을 종성자음으로 입력할 때 사용되는 제 1 종성자음키를 상기 복수의 키 중 세번째 키에 할당하고, 상기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자음들을 종성자음으로 입력할 때 사용되는 제 2 종성자음키를 상기 복수의 키 중 네번째 키에 할당하며, 상기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과 상기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은 상기 제 1 초성자음키와 제 2 초성자음키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제 1 종성자음키와 제 2 종성자음키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상기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2 소그룹과 상기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제 2 소그룹은 상기 제 1 초성자음키와 제 2 초성자음키를 적어도 1회씩 이용하거나 상기 제 1 종성자음키와 제 2 종성자음키를 적어도 1회씩 이용하여 입력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allocating at least one Hangul consonant or a vowel to a plurality of keys constituting a keypad, and inputting Hangul consonants through input of corresponding keys. Names a certain number of consonants as the basic consonants, names the consonants except the basic consonants as derivative consonants, divides the basic consonants into two groups, and divides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into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When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nd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are divided into two groups, respectively, and classified into the first small group and the second small group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nd the first small group and the second small group of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The first initial consonant key used when inputting the consonants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s the initial consonant is assigned to the first key of the plurality of keys, Assigns a second consonant key used to input consonants of a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to a second one of the plurality of keys, and is used to input consonants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s final consonants Assign a first final consonant key to a third key of the plurality of keys, and assign a second final consonant key used to input consonants of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as a final consonant to a fourth key of the plurality of keys The first subgroup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nd the first subgroup of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may be input by us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rst consonant keys or the first final consonant. A second subgroup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nd a second small group of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are inputted using the first first consonant key and the second first consonant key. Provided is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at least one second consonant key or at least one time using the first and second final consonant keys.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키패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에 알파벳을 적어도 하나씩 각각 할당하여 해당 키들의 입력을 통해 영문을 입력하는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키에 상기 알파벳을 적어도 하나씩 각각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키에 할당된 알파벳을 해당 키의 중앙에 위치하는 단독 그룹, 해당 키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좌우 조합 그룹, 해당 키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상하 조합 그룹 및 해당 키의 꼭지점측에 위치하는 대각 조합 그룹으로 분류할 때에, 상기 단독 그룹은 단일의 키를 선택하여 입력하며, 상기 좌우 조합 그룹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키를 복수 선택하여 입력하고, 상기 상하 조합 그룹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키를 복수 선택하여 입력하며, 상기 대각 조합 그룹은 대각 방향으로 인접한 키를 복수 선택하여 입력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through input of corresponding keys by assigning at least one alphabet to each of a plurality of keys constituting a keypad. Assign each of the alphabets at least one by one, and assign the alphabets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keys to a single group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key, a left and right combination group located at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orresponding key, and located above or below the corresponding key; When classifying into an upper and lower combination group and a diagonal combination group located at the vertex side of the corresponding key, the single group selects and inputs a single key, and the left and right combination group selects and inputs a plurality of adjacent key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vertical combination group selects and inputs a plurality of adjacent key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agonal combination group is a diagonal room. The key adjacent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the multiple selection.
마지막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키패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에 단자리 숫자를 각각 할당하여 해당 키의 입력을 통해 숫자를 입력하는 숫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단자리 숫자를 홀수 그룹과 짝수 그룹으로 분류하되 ' 0 '은 상기 짝수 그룹에 편입하며, 상기 홀수 그룹에 속하는 하나의 숫자와 상기 짝수 그룹에 속하는 하나의 숫자을 쌍으로 상기 복수의 키에 각각 할당하고, 상기 각각의 숫자 쌍들이 상기 키패드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키에 배정되어 해당 키를 선택하여 상기 배정된 숫자 쌍을 입력하되 1회 또는 2회 입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숫자가 입력되는 숫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Finally, in another aspect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numb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a number through the input of the key by assigning a terminal numb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s constituting the keypad, A number is classified into an odd group and an even group, and '0' is incorporated into the even group, and one number belonging to the odd group and one number belonging to the even group are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keys in pairs, respectively. Each number pair is assigned to a different key constituting the keypad to provide a number input method that selects the corresponding key to input the assigned number pair, but any one number is input by one or two inputs. .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정보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키를 적어도 10개 이상 구비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한글의 경우 제 1, 제 2 초성자음 키와 제 1, 제 2 종성자음 키에 각각 제 1, 제 2 기본자음 그룹을 할당하여 이를 제 1, 제 2 소그룹으로 분류하며, 제 1, 제 2 초성자음 키와 제 1, 제 2 종성 자음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고, 영어의 경우 알파벳을 단독 그룹, 좌우 조합 그룹, 대각 조합 그룹, 상하 조합 그룹으로 분류하여 키패드에 할당하며, 할당된 단일의 키 또는 각 그룹에 따라 인접한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고, 숫자의 경우 숫자를 입력하는 키를 홀수 그룹과 짝수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홀수 그룹의 하나의 숫자와 상기 짝수 그룹의 하나의 숫자를 쌍으로 복수의 키에 할당하고, 할당된 키를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숫자를 입력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The cor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by providing at least ten or more character input keys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the case of Korean,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 keys and the first and second finalities. The first and second basic consonant groups are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s, respectively, and classified into first and second subgroups.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 keys and the first and second final consonant keys are combined and inputted. In the case of alphabets, the alphabet is divided into single group, left and right combination group, diagonal combination group and top and bottom combination group and assigned to the keypad.The combination of adjacent single keys according to the assigned single key or each group is entered. Classify the key into an odd group and an even group, assign one number of the odd group and one number of the even group to the plurality of keys in pairs, and combine the assigned keys with one or two or more By inputting, it is possible to easily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uch technical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정보 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로서, 제어부(102), 메모리(104), 듀플렉서(106), 수신부(108), 송신부(110), 오디오부(112), 키입력부(114) 및 표시부(116)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uitable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2)는 정보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메모리(104)는 정보 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114)를 통한 문자 입력 프로그램 및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제어부(102)에 의해 정보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문자 서비스 시스템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1, the
그리고, 듀플렉서(Duplexer, 106)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수신부(108)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듀플렉서(106)에 의해 분리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송신부(110)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부(112)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서(106)를 거쳐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The
또한, 오디오부(112)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4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키입력부(114)는 문자(예를 들면, 한글, 영어, 숫자 등)에 대응하는 다수의 입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특정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2)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문자를 입력 가능하도록 한다. 표시부(116)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포함하고,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키입력부(114)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102)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데 적합한 키패드 구성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a keypad configuration suitabl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 는데 적합한 키패드의 한글 자모 배치도이다.2 is a layout diagram of a Hangul alphabet of a keypad suitable for inputting Hangul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초성자음 키(202, 204), 모음 키(206, 208) 및 종성자음 키(210, 212)로 배치한다. 여기에서, 초성자음 키는 기본자음 중에 제 1 기본자음 그룹으로 (ㄴ, ㄱ, ㄷ, ㄹ, ㅁ)를 도면 부호 202에, 제 2 기본자음 그룹으로 (ㅅ, ㅎ, ㅇ, ㅂ, ㅈ)를 도면 부호 204에 배치하고, 모음 키는 (ㅣ)을 도면 부호 206에, (ㅡ)를 도면 부호 208에 배치하며, 종성자음 키는 초성자음 키와 동일하게 제 1 기본자음 그룹으로 (ㄴ, ㄱ, ㄷ, ㄹ, ㅁ)를 도면 부호 210에, 제 2 기본자음 그룹으로 (ㅅ, ㅎ, ㅇ, ㅂ, ㅈ)를 도면 부호 212에 배치한다.Referring to FIG. 2,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re entered into the
여기에서, 도면 부호 202와 도면 부호 210의 (ㄴ, ㄱ, ㄷ), 도면 부호 204와 도면 부호 212의 (ㅇ, ㅂ, ㅈ)는 제 1 소그룹으로, 도면 부호 202와 도면 부호 210의 (ㄹ, ㅁ), 도면 부호 204와 도면 부호 212의 (ㅅ, ㅎ)는 제 2 소그룹으로 각각 분류한다.Here,
다음에,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키를 구비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with the keys arranged as described above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먼저, 초성자음을 입력할 경우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2의 (ㄴ, ㄱ, ㄷ)과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4의 (ㅇ, ㅂ, ㅈ)는 배치된 키를 1회, 2회, 3회를 각각 눌러 입력하고,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2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2의 (ㄹ, ㅁ)와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제 2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4의 (ㅅ, ㅎ)는 배치된 키를 누른 후에 다른 키를 1회 또는 2 회 눌러 입력한다.First, when inputting a consonant consonant (b, a, c) which is the first subgroup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nd (b, a, c) of 204 which is the first subgroup of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 Is inputted by pressing the arranged key once, twice, and three times,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mall group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d, ㅁ) and the second small group of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Reference numeral 204 (s, ㅎ) is input by pressing another key once or twice after pressing the arranged key.
예를 들면,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2의 (ㄴ)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202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2의 (ㄷ)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202의 키를 3회 눌러 입력한다. 또한,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제 1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2의 (ㅂ)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204의 키를 2회 눌러 입력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2, when the reference numeral 202 (b), which is the first subgroup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is input, the key of the
한편,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2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2의 (ㄹ)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202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도면 부호 204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제 1 기본자음 그룹의 제 2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2의 (ㅁ)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202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도면 부호 204의 키를 2회 눌러 입력한다. 또한,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제 2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4의 (ㅅ)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204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도면 부호 202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제 2 기본자음 그룹의 제 2 소그룹인 도면 부호 204에 배치된 (ㅎ)을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204의 키를 1회 누른 후 연속해서 도면 부호 202의 키를 2회 눌러 입력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able 2, when the reference numeral 202 (d), which is the second small group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is input, the key of the numeral 202 is pressed once, and the key of the numeral 204 is successively pressed once.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reference sign 202 (W) which is the second subgroup of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the key 202 is pressed once and then the key 204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putting 204 (s) of the second small group of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the key 204 is pressed once, and the key 202 is continuously pressed once to input the second basic group. In the case of inputting (H) arranged at 204 which is the second small group of the consonant group, the key 204 is pressed once and the key 202 is successively pressed twice.
그리고, 제 1 기본자음 그룹과 제 2 기본자음 그룹을 제외한 기본자음들을 파생자음으로 명명할 때 초성자음으로서 파생자음을 입력할 경우 제 1 소그룹으로 분류된 기본자음에 각각 1:1로 대응시켜 해당하는 대응 기본자음을 입력한 후에 최종 입력된 키와 다른 키를 조합하여 파생자음을 입력한다. 여기에서, 파생자음은 (ㅋ, ㅌ, ㅍ, ㅊ)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naming the basic consonants except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nd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as the derived consonants, when the derivative consonants are input as consonant consonants, they correspond to the basic consonants classified as the first subgroups in a 1: 1 ratio. After inputting a corresponding basic consonant, a derivative consonant is input by combining another key with the last input key. Here, the derivative consonants mean (ㅋ, ㅌ, ,, ㅅ).
예를 들면, 파생자음 (ㅋ)을 입력할 경우 대응되는 기본자음인 (ㄱ)을 입력, 즉, 도면 부호 202의 키를 2회 누른 후에 최종 선택된 도면 부호 202의 키와 다른 도면 부호 204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한다. 또한, 파생자음 (ㅊ)을 입력할 경우 대응되는 기본자음인 (ㅈ)을 입력, 즉 도면 부호 204의 키를 3회 누른 후에 최종 선택된 도면 부호 204의 키와 다른 도면 부호 202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inputting a consonant consonant (ㅋ), a corresponding basic consonant (a) is input, that is, a key of 202 is pressed twice, and a key of 204 which is different from the key of the last selected 202 is selected. Press once to enter. In addition, in case of inputting the consonant consonant (), the corresponding basic consonant () is inputted, i.e., pressing the key of 204 three times and then pressing the key of 202 different from the one of the last selected
한편, 초성자음 중에 쌍자음, 예를 들어 (ㄲ, ㄸ, ㅃ, ㅆ, ㅉ)를 입력할 경우 해당 쌍자음을 구성하는 단자음을 입력한 후에 최종 선택된 키와 다른 키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즉, (ㄲ)을 입력할 경우 (ㄱ)를 입력한 후에, (ㄸ)를 입력할 경우 (ㄷ)를 입력한 후에, (ㅃ)를 입력할 경우 (ㅂ)를 입력한 후에, (ㅆ)를 입력할 경우 (ㅅ)를 입력한 후에, (ㅉ)를 입력할 경우 (ㅈ)를 입력한 후에 최종 선택된 키와 다른 키를 선택하여 입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a consonant among the consonants, for example, (ㄲ, ㄸ, ㅃ, 중에, ㅉ), after inputting the terminal sound constituting the twin consonants, and selects and enters a key different from the last selected key. In other words, if you enter (ㄲ), enter (a), enter (ㄸ), enter (c), enter (ㅃ), enter (ㅂ), enter (ㅆ) If you enter, enter (ㅅ), and if you enter (ㅉ), enter (ㅈ), and then select a different key from the last selected key.
예를 들면, 쌍자음 (ㄲ)을 입력할 경우 단자음인 (ㄱ)을 입력하기 위해 도면 부호 202의 키를 2회 누른 후에 최종 선택된 키인 도면 부호 202의 키와 다른 도면 부호 204의 키를 2회 눌러 입력하고, 쌍자음 (ㅆ)을 입력할 경우 단자음인 (ㅅ)을 입력하기 위해 도면 부호 204의 키와 도면 부호 202의 키를 연속해서 누른 후에 최종 선택된 도면 부호 202의 키와 다른 도면 부호 204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inputting a double consonant (ㄲ), the user presses the key 202 twice to input the terminal sound (a), and then presses the key 202 different from the key 202, which is the last selected key, twice. In the case of inputting a double consonant (ㅆ), in order to input the terminal sound (S), the key of 204 and the key of 202 are pressed in succession, and then the key of 202 different from the key of the last selected 202 is used. Press once to enter.
또한, 모음 입력의 경우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특허 10-0458280(한글 입력 방법)의 한글 입력 방법에 따라 (ㅣ)는 종줄기, (ㅡ)는 횡줄기로 명명하고, 줄기 자형으로부터 이어지는 형태의 다른 자형들은 그 방향에 근거하여 좌가지, 우가지, 상가지, 하가지로 명명한다. 또한, 이러한 모음 입력 방법은 종줄기 입력 키, 횡줄기 입력 키, 좌가지 입력 키, 우가지 입력 키, 상가지 입력 키, 하가지 입력 키를 갖게 되며, 이러한 입력 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키를 조합하되 줄기 입력 키를 먼저 입력한 후에 가지 입력 키를 입력하여 모음을 입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vowel input, according to the Korean input method of patent 10-0458280 (Korean input method)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ㅣ) is named as a stem stem, and (ㅡ) is called a horizontal stem, and the form is continued from the stem shape. The other shapes of are named left branch, right branch, upper branch, and lower branch based on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vowel input method includes a vertical stem input key, a horizontal stem input key, a left input key, a right input key, an upper input key, and a lower input key. Combination, but first enter the stem input key, then the branch input key to enter the vowel.
여기에서, 도면 부호 206의 키에 종줄기 입력 키, 좌가지 입력 키 및 상가지 입력 키의 기능을 할당하고, 도면 부호 208의 키에 횡줄기 입력 키, 우가지 입력 키 및 하가지 입력 키의 기능을 할당하고, 이를 조합한 해당 횟수를 눌러 모음을 입력한다.Herein, the functions of the vertical stem input key, the left branch input key, and the upper branch input key are assigned to the key 206, and the horizontal stem input key, the right branch input key, and the lower branch input key are assigned to the key 208. Assign a function and enter the vowel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number of combinations.
예를 들면, 표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키를 이용하는 단모음 입력의 경우 도면 부호 206의 키를 1회, 2회, 3회, 4회 누르면 (ㅣ, ㅓ, ㅕ, ㅣ)가 순차적으로 입력되고, 도면 부호 208의 키를 1회, 2회, 3회, 4회 누르면 (ㅡ, ㅗ, ㅛ, ㅡ )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3, in the case of short vowel input using one key, when the key 206 is pressed once, twice, three times or four times, (ㅣ, ㅓ, ㅕ, ㅣ) is sequentially When the key 208 is pressed once, twice, three times, or four times, (-, ㅗ, ㅛ,-) are sequentially input.
또한, 두 개의 키를 이용하는 단모음 입력의 경우 도면 부호 306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도면 부호 208의 키를 1회, 2회 누르면 (ㅏ, ㅑ)가 순차적으로 입력되고, 도면 부호 208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도면 부호 206의 키를 1회, 2회 누르면 (ㅜ, ㅠ)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hort vowel input using two keys, when the key of 306 is pressed once and the key of 208 is pressed once and twice, (ㅏ, ㅑ) is sequentially inputted, and the
한편, 복모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표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복모음을 단모음들로 분리한 후에 첫 번째 단모음은 상술한 단모음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고, 나머지 모음 자형은 복모음 입력 기능에 따라 도면 부호 206의 키와 도면 부호 208의 키를 선택적으로 눌러 입력한다. 여기에서, 복모음 입력 기능을 갖는 키는 복모음을 구성하는 첫 번째 단모음의 입력 시에 최종 선택된 키와 다른 키에 복모음 입력 기능을 부여하여 이를 수행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vowel vowels, as shown in Table 4, after separating the vowels into short vowels, the first short vowel is input by the above-mentioned short vowel input method, and the remaining vowels are indicated by
예를 들면, 표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모음 (ㅖ)을 입력할 경우 단모음 (ㅕ)와 단모음 (ㅣ)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먼저 단모음 (ㅕ)을 입력한 후에 단모음 (ㅣ)를 입력한다. 즉, 단모음 (ㅕ)의 입력을 위해 도면 부호 206의 키를 3회 누른 후에 단모음 (ㅣ)를 입력하기 위해 최종 선택된 도면 부호 206의 키와 다른 도면 부호 208의 키를 눌러 복모음 (ㅖ)을 입력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3, when a double vowel (ㅖ) is input, it is composed of a short vowel (ㅕ) and a short vowel (ㅣ). That is, after pressing the key 206 three times to input the short vowel, the user inputs the double vowel by pressing the key 208 different from the key of the last selected 206 to input the short vowel. do.
한편, 복모음 (ㅢ)을 입력할 경우에는 횡줄기 입력 키에 의해 (ㅡ)가 입력된 상태에서 (ㅣ)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면 부호 206의 키를 누르면 (ㅜ)가 입력되는 오류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경우에 도면 부호 206의 키를 1회 누르면 (ㅜ)가, 2회 누르면 (ㅠ)가, 3회 누르면 (ㅢ)가 입력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putting a double vowel (하므로), when the key 206 is pressed in order to input (ㅣ) while (ㅡ) is input by the horizontal stem input key, the error (TT) is input. In this case, if the key 206 is pressed once, (TT) is pressed twice, (ㅠ) is pressed twice, and (ㅢ) is pressed three times.
또한, 종성자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초성자음 키와 동일하게 제 1 기본자음 그룹으로 (ㄴ, ㄱ, ㄷ, ㄹ, ㅁ)를 도면 부호 210에, 제 2 기본자음 그룹으로 (ㅅ, ㅎ, ㅇ, ㅂ, ㅈ)를 도면 부호 212에 배치하여 초성자음을 입력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종성자음을 입력한다. 일 예로서,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성자음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종성자음을 입력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ntering the consonant consonants (b, a, c, d, ㅁ) as the first basic consonant group and the second basic consonant group (ㅅ, ㅎ, ㅇ) And the final consonant are input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inputting the first consonant by placing the
한편, 한글 입력에서 종성자음과 초성자음의 연결에 의해 세 개의 자음을 연속하여 입력할 경우(예를 들면, 많은 등의 경우)에 종성자음인 (ㄴ)은 제 1 종성자음 키(즉, 도면부호 210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종성자음인 (ㅎ)의 경우 제 2 초성자음 키(즉, 도면부호 204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며, 초성자음인 (ㅇ)은 제 2 종성자음 키(즉, 도면 부호 212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putting three consonants consecutively (for example, in many cases) by connecting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in the Hangul input, the final consonant (b) is the first consonant key (i.e., the drawing).
예를 들면, (많은)의 경우 초성자음인 (ㅁ)은 제 1, 제 2 초성자음 키를 이용하여 도면 부호 202, 204, 204의 키를 눌러 입력하고, 모음인 (ㅏ)는 종줄기, 횡줄기 입력 키를 이용하여 도면 부호 206, 208의 키를 눌러 입력하며, 종성자음인 (ㄴ)은 제 1 종성자음 키를 이용하여 도면 부호 210의 키를 눌러 입력하고, 종성 자 음인 (ㅎ)은 제 1, 제 2 초성자음 키를 이용하여 도면 부호 204, 202, 202의 키를 눌러 입력하며, 초성자음인 (ㅇ)은 제 2 종성자음 키를 이용하여 도면 부호 210의 키를 눌러 입력하고, 모음인 (ㅡ)는 횡줄기 입력 키를 이용하여 도면 부호 208의 키를 눌러 입력하며, 종성자음인 (ㄴ)은 제 1 종성자음 키를 이용하여 도면 부호 210의 키를 눌러 입력한다.For example, in many cases, the first consonant (ㅁ) is inputted by pressing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영어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키패드의 영어 문자 배치도이다.3 is a layout diagram of English characters of a keypad suitable for inputting English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에서 영어를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을 도면 부호 302, 304, 306, 308, 310, 312의 키에 각각 배치한다. 여기에서, 도면 부호 302의 키에 (E, S, V, M)를, 도면 부호 304의 키에 (R, T, P, Q)를, 도면 부호 306의 키에 (A, H, K, F, J, Y)를, 도면 부호 308의 키에 (D, O, C, Z, B)를, 도면 부호 310의 키에 (I, L, X, G)를, 도면 부호 312의 키에 (U, N, W)의 키를 배치한다.Referring to FIG. 3, alphabets for inputting English are arranged on
또한, 굵게 표시된 도면 부호 302의 (E), 도면 부호 304의 (T), 도면 부호 306의 (A), 도면 부호 308의 (O), 도면 부호 310의 (I), 도면 부호 312의 (N)를 단독 그룹, 도면 부호 302의 (S), 도면 부호 304의 (R), 도면 부호 306의 (H), 도면 부호 308의 (D), 도면 부호 310의 (L), 도면 부호 312의 (U)를 좌우 조합 그룹, 도면 부호 302의 (M), 도면 부호 304의 (P), 도면 부호 306의 (F, Y), 도면 부호 308의 (C, B), 도면 부호 310의 (G), 도면 부호 312의 (W)를 대각 조합 그룹, 도면 부호 302의 (V), 도면 부호 304의 (Q), 도면 부호 306의 (K, J), 도면 부호 308의 (Z), 도면 부호 310의 (X)를 상하 조합 그룹으로 분류한다.In addition, bold reference numeral 302 (E), reference numeral 304 (T), reference numeral 306 (A), reference numeral 308 (O), reference numeral 310 (I), and reference numeral 312 (N ), A single group, 302 (S), 304 (R), 306 (H), 308 (D), 310 (L), and 312 ( U) left and right combination group, 302 (M), 304 (P), 306 (F, Y), 308 (C, B), 310 (G) , 312 (W), diagonal combination group, 302 (V), 304 (Q), 306 (K, J), 308 (Z), 310 (X)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combination groups.
다음에,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알파벳이 배치된 키패드를 통해 영문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through a keypad in which alphabets ar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도 3과 표 5를 참조하면, 단독 그룹의 알파벳 즉, 굵게 표시된 도면 부호 302의 (E), 도면 부호 304의 (T), 도면 부호 306의 (A), 도면 부호 308의 (O), 도면 부호 310의 (I), 도면 부호 312의 (N)의 입력은 배치된 키를 특정 횟수(예를 들면, 2회) 눌러 입력하고, 좌우 조합 그룹의 알파벳 즉, 도면 부호 302의 (S), 도면 부호 304의 (R), 도면 부호 306의 (H), 도면 부호 308의 (D), 도면 부호 310의 (L), 도면 부호 312의 (U)의 입력은 배치된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배치된 키 방향에 따라 좌, 우 방향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5, the alphabet of a single group, that is, bold reference numeral 302 (E), 304 (T), 306 (A), 308 (O), and drawing Input of (I) at 310 and (N) at 312 is inputted by pressing the arranged keys a specific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wice), and the alphabet of the left and right combination group, that is, (S) at 302, Input of reference numeral 304 (R), reference numeral 306 (H), reference numeral 308 (D), reference numeral 310 (L), and reference numeral 312 (U) is performed after pressing the arranged key once. According to the continuously arranged key direction, pres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once to input.
예를 들면, 도면 부호 302의 (S)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302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우 방향의 도면 부호 304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도면 부 호 304의 (R)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304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좌 방향의 도면 부호 302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reference numeral 302 (S), after pressing the key of the
또한, 대각 조합 그룹의 알파벳 즉, 도면 부호 302의 (M), 도면 부호 304의 (P), 도면 부호 306의 (F, Y), 도면 부호 308의 (C, B), 도면 부호 310의 (G), 도면 부호 312의 (M)의 입력은 각각의 영어 문자가 배치된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배치된 키 방향에 따라 대각선에 위치하는 키를 1회 눌러 입력한다.Further, the alphabet of the diagonal combination group, that is, reference numeral 302 (M), reference numeral 304 (P), reference numeral 306 (F, Y), reference numeral 308 (C, B), and reference numeral 310 ( G), 3M (M) is inputted by pressing the key located diagonally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keys arranged successively after pressing the key on which each English letter is arranged once.
예를 들면, 도면 부호 302의 (M)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302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도면 부호 308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도면 부호 312의 (M)의 입력은 도면 부호 312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도면 부호 306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reference numeral 302 (M), after pressing the key of the
한편, 상하 조합 그룹의 알파벳 즉, 도면 부호 302의 (V), 도면 부호 304의 (Q), 도면 부호 306의 (K, J), 도면 부호 308의 (Z), 도면 부호 310의 (X)의 입력은 각각의 영어 문자가 배치된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배치된 키 방향에 따 라 상, 하 방향에 위치하는 키를 1회 눌러 입력한다.Meanwhile, the alphabet of the upper and lower combination groups, that is, reference numeral 302 (V), reference numeral 304 (Q), reference numeral 306 (K, J), reference numeral 308 (Z), and reference numeral 310 (X) The input of is inputted by pressing once the key on which each English letter is placed once and then pressing the key loc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nce according to the consecutively arranged key direction.
예를 들면, 도면 부호 302의 (V)의 입력은 도면 부호 302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하 방향에 위치하는 도면 부호 306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도면 부호 308의 (Z)의 입력은 도면 부호 308의 키를 1회 누른 후에 연속해서 상 방향에 위치하는 도면 부호 304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한다.For example, the input of (V) of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키패드의 숫자 배치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numbers of a keypad suitable for inputting numbers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에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도면 부호 402, 404, 406, 408, 410, 412의 키에 각각 2개의 숫자를 배치한다. 여기에서, 도면 부호 402의 키에 (1, 2)를, 도면 부호 404의 키에 (3, 4)를, 도면 부호 406의 키에 (5, 6)를, 도면 부호 408의 키에 (7, 8)를, 도면 부호 410의 키에 (9, 0)를 배치하고, 도면 부호 412의 키에 기능키로서 예를 들면, (#)을 배치한다.Referring to FIG. 4, two numbers are arranged in
여기에서, 도면 부호 402의 (1), 도면 부호 404의 (3), 도면 부호 406의 (5), 도면 부호 408의 (7), 도면 부호 410의 (9)를 홀수 그룹, 도면 부호 410의 (0)이 편입된 도면 부호 402의 (2), 도면 부호 404의 (4), 도면 부호 406의 (6), 도면 부호 408의 (8)를 짝수 그룹으로 분류하고, 홀수 그룹과 짝수 그룹을 쌍으로 편제하여 구성된 키패드를 통해 홀수 그룹은 해당 키를 소정 횟수를 눌러 입력하고, 짝수 그룹은 다른 횟수를 눌러 입력한다.Here, reference numeral 402 (1), reference numeral 404 (3), reference numeral 406 (5), reference numeral 408 (7), and reference numeral 410 (9) denote odd numbers and
다음에,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숫자가 배치된 키패드를 통 해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inputting a number through the keypad on which the number is arranged as described above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도 4와 표 6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402의 (1), 도면 부호 404의 (3), 도면 부호 406의 (5), 도면 부호 408의 (7), 도면 부호 410의 (9)와 같은 홀수 그룹과 각 숫자가 배치된 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도면 부호 402의 (2), 도면 부호 404의 (4), 도면 부호 406의 (6), 도면 부호 408의 (8), 도면 부호 410의 (0)와 같은 짝수 그룹은 각 숫자가 배치된 키를 2회 눌러 입력한다.4 and 6, reference numerals 402 (1), 404 (3), 406 (5), 408 (7), and 410 (9) Enter the odd numbered group and the key on which each number is placed once, and enter it by reference numeral 402 (2), 404 (4), 406 (6), 408 (8), and Even groups such as (0) in 410 are entered by pressing the key with each number twice.
예를 들면, 도면 부호 402의 (1)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402의 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도면 부호 404의 (4)를 입력할 경우 도면 부호 404의 키를 2회 눌러 입력한다.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numeral 402 (1) is input, the key 402 is pressed once to input, and when the reference numeral 404 (4) is input, the key 404 is pressed twice.
한편, 한 키의 숫자를 연속하여 입력해야 하는 경우(예를 들면, 12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도면 부호 402의 키를 1회 눌러 (1)를 입력하고, 연속해서 제 1 기능키를 이용하여 숫자에 대한 신호 구분을 수행한 후에 도면 부호 402의 키를 2회 눌러 (2)를 입력하거나 혹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공개 특허 특2003-0011122(초성자음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따라 도면 부호 412의 (#)를 제 2 기능키로서, 입력키의 기능을 부여하여 도면 부호 402의 키를 1회 눌러 (1)를 입력하고, 연속해서 도면 부호 412의 키를 2회 눌러 (2)를 입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number of one key consecutively (for example, when 12 is to be input), press the key of 402 once to input (1), and continuously use the 1st function key After performing signal division for numbers,
여기에서, 제 1 기능키는 선행 숫자의 입력을 완료한 후 후행 숫자의 입력을 위해 선행 숫자와 구분하는 키를 의미하고, 제 2 기능키는 선행 숫자의 입력을 완료한 후에 후행 숫자의 입력을 수행하는 특정 키를 의미한다.Here, the first function key refers to a key distinguishing from the preceding number for the input of the trailing digit after completing the input of the preceding digit, and the second function key indicates the input of the trailing digit after completing the input of the preceding digit. Means a specific key to perform.
이러한 방법으로 홀수 그룹과 짝수 그룹을 쌍으로 할당하여 할당된 키를 소 정 횟수 또는 다른 횟수를 눌러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표 6에 도시한 바와 같다.In this way, the odd and even groups are allocated in pairs, and then a number is inputted by pressing a predetermined number or another number of times, as shown in Table 6.
일 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한글, 영어 및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a keypad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Korean, English and numbers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따라서,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의 키에 한글, 영어 및 숫자를 각각 배치하고, 배치된 한글, 영어 및 숫자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ngul, English, and numbers can be arranged on each key, and the arranged Hangul, English, and numbers can be input using one or more keys.
한편, 상술한 제 1 실시 예, 제 2 실시 예, 제 3 실시 예에서는 한글, 영어 및 숫자를 각각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절환키를 이용하여 한글, 영어 및 숫자를 절환하여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second embodiment, and thir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inputting the Hangul, English and numbers, respectively, but selectively inputting the Hangul, English and numbers by using a separate switching key Of course you ca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보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키를 적어도 10개 이상 구비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한글의 경우 제 1, 제 2 초성자음 키와 제 1, 제 2 종성자음 키에 각각 제 1, 제 2 기본자음 그룹을 할당하여 이를 제 1, 제 2 소그룹으로 분류하며, 제 1, 제 2 초성자음 키와 제 1, 제 2 종성 자음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고, 영어의 경우 알파벳을 단독 그룹, 좌우 조합 그룹, 대각 조합 그룹, 상하 조합 그룹으로 분류하여 키패드에 할당하며, 할 당된 단일의 키 또는 각 그룹에 따라 인접한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고, 숫자의 경우 숫자를 입력하는 키를 홀수 그룹과 짝수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홀수 그룹의 하나의 숫자와 상기 짝수 그룹의 하나의 숫자를 쌍으로 복수의 키에 할당하고, 할당된 키를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최소의 키를 구비하여 한글, 영어 및 숫자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by providing at least ten or more character input keys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the case of Hangul, first and second consonant keys and first and second species The first and second basic consonant groups are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s, respectively, and classified into first and second subgroups.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 keys and the first and second final consonant keys are combined and inputted. In the case of alphabets, the alphabet is divided into single group, left and right combination group, diagonal combination group and top and bottom combination group and assigned to the keypad.The combination of adjacent single keys according to the assigned single key or each group is entered, and numbers are entered. Classify the key into an odd group and an even group, assign one number of the odd group and one number of the even group to the plurality of keys in pairs, and combine one or more assigned keys By inputting characters, and with a minimum of key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put the Hangul, English and number.
따라서, 정보 통신 단말기의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보 통신 단말기의 크기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keypad for inputting character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6552A KR100657365B1 (en) | 2005-01-25 | 2005-01-25 | Alphanumeric Input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6552A KR100657365B1 (en) | 2005-01-25 | 2005-01-25 | Alphanumeric Input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8879A KR20050018879A (en) | 2005-02-28 |
KR100657365B1 true KR100657365B1 (en) | 2006-12-14 |
Family
ID=3722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6552A KR100657365B1 (en) | 2005-01-25 | 2005-01-25 | Alphanumeric Input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736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7292B1 (en) * | 2006-08-07 | 2008-06-12 | 이재관 | Hangul input method on pho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6989A (en) * | 1997-10-10 | 1999-05-25 | 모토로라, 인크 | Communication device and keypad for optimization of character input |
KR20040083873A (en) * | 2003-03-25 | 2004-10-06 | 강윤기 | Method for inputting a hangeul |
KR20040091353A (en) * | 2003-04-21 | 2004-10-28 | 강윤기 | Method for inputting a hangeul |
KR100462195B1 (en) | 2002-11-26 | 2004-12-23 | 김민호 | Hand phone inputted with two vowel button |
-
2005
- 2005-01-25 KR KR1020050006552A patent/KR10065736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6989A (en) * | 1997-10-10 | 1999-05-25 | 모토로라, 인크 | Communication device and keypad for optimization of character input |
KR100462195B1 (en) | 2002-11-26 | 2004-12-23 | 김민호 | Hand phone inputted with two vowel button |
KR20040083873A (en) * | 2003-03-25 | 2004-10-06 | 강윤기 | Method for inputting a hangeul |
KR20040091353A (en) * | 2003-04-21 | 2004-10-28 | 강윤기 | Method for inputting a hangeu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8879A (en) | 2005-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0653B1 (en) | Mobile terminal with Korean input | |
KR100657365B1 (en) | Alphanumeric Input Method | |
CN101098357B (en) | Communication terminal for supporting braille inpu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aille using the terminal | |
KR100336493B1 (en) |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 |
KR100322914B1 (en) |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 |
KR100641448B1 (en) | How to input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 |
KR100370421B1 (en) |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 |
KR100683338B1 (en) | Hangul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20084905A (en) |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 |
KR100458280B1 (en) | Method for inputting the hangul alphabet | |
KR100662549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US8054205B2 (en) | Method of composing and operating data input key array a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
KR100504602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character input method for supporting user&apos;s tractable input using shift key | |
KR100265582B1 (en) | The letter input method in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16225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 |
KR19980067191A (en) | Korean input method using a telephone | |
KR100948606B1 (en) |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 |
KR100536553B1 (en) | Hangul Hanson PlusKey Pad | |
KR20030004230A (en) |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herein Consonant and Vowel Keys are separately Assigned | |
KR20030011122A (en) | Method for inputting the hangul alphabet by using prevocalic consonants key | |
KR20040091353A (en) | Method for inputting a hangeul | |
KR100422379B1 (en) | Hangul input device for info-communications apparatus | |
KR100484224B1 (en) | Hand held keypad with Hangul layout | |
KR100901719B1 (en) | Hangul Character Arrangement in Portable Terminals | |
KR20030054449A (en) | Korean Letter Input System and Array Method Using 3 Contact Point Keybutt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