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448B1 -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448B1
KR100641448B1 KR1020000012878A KR20000012878A KR100641448B1 KR 100641448 B1 KR100641448 B1 KR 100641448B1 KR 1020000012878 A KR1020000012878 A KR 1020000012878A KR 20000012878 A KR20000012878 A KR 20000012878A KR 100641448 B1 KR100641448 B1 KR 10064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input
consonant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91340A (en
Inventor
정환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448B1/en
Publication of KR2001009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3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은, 6개의 한글 단자음(ㄱ,ㄴ,ㄹ,ㅁ,ㅅ,ㅇ)을 자음키 각각에 할당하고, 한글 단모음 입력을 위해 6개의 한글 단모음을 유사 단모음(ㅏㅓ,ㅗㅜ,ㅣㅡ)으로 분류하여 3개의 모음키에 할당하고, 상기 키들에 할당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을 가획키와 상기 자음 및 모음키와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자음 및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x Korean terminal sounds (ㄱ, ㄴ, ㄹ, ㅁ, ㅅ, ㅇ) are assigned to each of the consonant keys, and 6 Korean short vowels are similar for inputting Korean short vowels.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categorized into short vowels (ㅏㅓ, ㅗㅜ, ㅣ ㅡ) and assigned to three vowel keys, and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not assigned to the keys are input in a continuous combination of the capture key and the consonant and vowel keys. It is characterized by.

여기서, 상기 자음 중 복자음 ㅃ,ㅉ,ㄸ은 별도의 숫자키에 할당하여 자키의 반복적인 선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mong the consonants, the consonant consonants ㅃ, ㅉ, ㄸ are assigned to separate numeric keys so as to be inputted by repetitive selection of the jockey.

그리고, 상기 가획키와 6개의 단자음 중 5개의 단자음의 조합으로 ㅋ,ㄷ,ㅈ,ㅂ,ㅎ의 자음이 입력되며, 상기 자음키의 연속 두번 누름과 상기 6개 중 3개의 단자음의 조합으로 ㅌ,ㅍ,ㅊ 자음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한다.Then, the consonants of ㅋ, ㄷ, ㅈ, ㅂ, ㅎ are input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apture key and the five terminal sounds of the six terminal sounds, and the combination of three consecutive terminal presses of the six consonants and the six terminal sounds of the six consonants. It is characterized by the input of consonants.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한글 입력을 위해 6개의 한글 단자음을 6개의 키에, 6개의 유사 단모음을 분류하여 3개의 키에 각각 할당하는 한편, 상기 키에 할당되지 않는 복자음을 별도로 할당하여 줌으로써, 한글 필기순에 따라 가획키와 자음 및 모음키와의 조합으로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x Hangul terminal sounds are assigned to six keys and six similar short vowels are assigned to three keys, respectively, while the Hangul is not assigned to the key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in combination with a catch key, a consonant and a vowel key according to the Korean writing order.

Description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Korean consonant and vowel input method of terminal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도 1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를 보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ngul input device of a typical terminal.

도 2는 종래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제 1실시예를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method of a conventional terminal.

도 3은 종래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제 2실시예를 보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Korean input method of a conventional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을 보이기 위한 키 매트릭스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key matrix for showing the Hangul consonant and vowel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중앙 프로세서 2...키 입력부1 ... central processor 2 ... key input

3...액정 표시부 4...메모리3.Liquid crystal display section 4 ... Memory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은 특히, 단말기의 키에 할당되는 자음 및 모음이 서로 다른 키와의 조합으로 할당되지 않은 자음 및 모음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한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method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keys of the terminal are not assigned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keys. It is about.

한글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근저로 하는 경우, 초성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ㄸ, ㅃ, ㅆ, ㅉ, 중성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ㅚ, ㅟ, ㅓ, ㅘ, ㅝ, ㅙ, ㅞ, 종성 ㄱ, ㄴ, ㄷ,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ㅉ,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으로 구성되어 있다.Hangul is based on the unification of Korean spelling, the initial consonants a, b, c, d, d,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ㅉ, neutral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ㅚ, ㅟ, ㅓ, ㅘ, ㅝ, ㅙ, ㅞ, finality a, b, c, d, ㅁ, ㅂ, ㅅ, ㅇ, ,, ,, ㅋ, ㅌ, ,, ㅎ, ㄲ, ㅉ,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 have.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이론상 만들 수 있는 글자의 수는 11, 172(19×21×28)자가 된다. 그러나 실제 상용되는 글자의 수는 약 2,500자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형 코드의 경우 1800자부터 1900자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코드체계에서는 키보드로 입력할 때는 ㄲ, ㄸ, ㅃ, ㅆ, ㅉ 과ㅑ, ㅕ, ㅛ, ㅠ, ㅒ, ㅖ, ㅔ, ㅐ를 할당하고 있다.The theoretical number of letters that can be formed by combining initial, neutral, and final is 11,172 (19 × 21 × 28) characters.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characters commonly used is about 2,500 characters, and in the case of commonly used completed codes or combined codes, 1800 to 1900 characters can be expressed in Korean. The existing code system assigns ㄲ, ㄸ, ㅃ, ㅆ, ㅉ and ㅑ, ㅕ, ㅛ, ㅠ, ㅒ, ㅖ, ㅔ, ㅐ when inputting from the keyboard.

이러한, 한글을 단말기의 키를 이용하여 완성형 한글로 표시하기 위해서, 단말기에 마련된 12개 정도의 숫자키(1,2,3,4,5,6,7,8,9,0,*,#)로 각각의 모음 및 자음에 대응하는 입력을 하게 된다.In order to display the Hangul as a complete Hangul using the keys of the terminal, about 12 numeric keys (1,2,3,4,5,6,7,8,9,0, *, # provided in the terminal) ) To input corresponding to each vowel and consonant.

최근 단말기의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본체에 많은 크기로 설치되고, 인터넷,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나 메일(mail)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짐에 따라, 한글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한글 입력도 한층 더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Recently,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of the terminal is installed in many sizes in the main body, and data services such as the Internet, short message service (mail), and mail are available. It becomes important.

이러한 일반적인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프로세서(1)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연결되고, 화면전환키와 숫자키와 입력완료키 등 다수개의 키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키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2)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상기 키 입력부(2)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프로세서(1)에서 처리된 결과를 표시해주고, 상기 키 입력부(2)에서 입력된 키 값을 표시해주는 액정 표시부(3)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연결되어 한글 폰트를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4)로 구성되었다.The Hangul input device of such a general terminal, as shown in Figure 1, the central processor (1) for controlling the system of th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key input unit (2)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 and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keys such as a screen change key, a numeric key, and an input completion key to allow a user to input a key value; A liquid crystal display 3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 and the key input unit 2 to display a result processed by the central processor 1 and to display a key value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 Wow; The memory 4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 and contains a Korean font.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개인휴대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입력부(2)를 통해 숫자 또는 한글을 입력하면, 입력된 키값을 중앙프로세서(1)가 처리하여, 입력된 숫자는 화면(3)에 그대로 표시해주고, 입력된 한글은 한글폰트메모리(4)에 내장된 한글폰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키값을 검색하여 한글입력 키에 의한 한글입력 내부 오토마타에 따라 한글조합형코드에서 한글완성형코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액정 표시부(3)에 표시해준다. In the general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inputs a number or Korean through the key input unit 2, the central processor 1 processes the input key value, and displays the input number on the screen 3 as it is. The inputted Hangul is searched for the key value input using the Hangul font embedded in the Hangul font memory (4), and converted from the Hangul combination code to the Hangul complete cod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internal automata by the Hangul input key. Mark 3).

도 2는 종래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을 보이기 위한 제 1실시예로서, 키 매트릭스를 보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 matrix as a first embodiment for showing a Korean input method of a conventional terminal.

먼저, 숫자키 각각에 할당된 자소를 보면, 1번키에는 'ㄱ, ㄴ', 2번키에는 'ㄷ, ㄹ, ㅋ', 3번키에는 'ㅁ, ㅂ, ㅌ', 4번키에는 'ㅅ, ㅇ, ㅈ', 5번키에는 'ㅈ, ㅊ, ㅎ', 6번키에는'ㅏ,ㅐ, ㅑ', 7번키에는 'ㅓ, ㅔ, ㅕ', 8번키에는 'ㅡ,ㅗ,ㅛ', 9번키에는 'ㅜ,ㅠ,ㅒ' 0번키에는 'ㅣ,ㅖ'등이 배치된 구조이고, *키에는 한영전환 및 영자의 대소문자를 지원하고, #키는 글자열 사이에 입력된다.First, look at the phonemes assigned to each of the numeric keys: 'ㄱ, ㄴ' for the 1st key, 'ㄷ, ㄹ, ㅋ' for the 2nd key, 'ㅁ, ㅂ, ㅌ' for the 3rd key, and 'ㅅ, ㅇ for the 4th key. ',', 'Key', 'key', 'key', 'key', 'key' and 'key', key '7,' 'key', 'key', key '8', key '9,'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ㅣ, ㅖ', etc. are arranged in 'TT, ㅠ, 0' 0 key, and * key supports Korean and English case, and # key is input between character strings.

그리고, 상기 키들(1,2,3,4,5,6,7,8,9,0)에는 자음, 모음을 3개 정도씩 한 키에 할당하여 특정 키의 누르는 횟수에 따라 해당하는 자소가 변경되어 입력됨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자소(字素)를 찾아 입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keys 1, 2, 3, 4, 5, 6, 7, 8, 9, and 0 have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one key each, and corresponding phoneme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 specific key. As the input is changed, the user finds and inputs the required phonemes.

이러한 키를 이용하여 "예를들면"이라는 한글을 연달아치기로 완성시킬 경우 다음과 같은 키 입력이 필요하다.If you use these keys to complete the Hangul "for example" in a row, you need the following keystrokes:

"예"는 숫자키 4번과 4번과 0번과 0번과 #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Yes" is completed by continuous input of number keys 4, 4, 0, 0 and #.

"를"은 숫자키 2번과 2번과 8번과 2번과 2번과 #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Is completed by continuous input of number keys 2, 2, 8, 2, 2 and #.

"들"은 숫자키 2번과 8번과 2번과 2번과 #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S" is completed by successive input of numeric keys 2 and 8 and 2, 2 and #.

"면"은 숫자키 3번과 7번과 7번과 7번과 1번과 1번과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예를들면"이라는 글자열는 총 23번의 키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Side" is completed by successive input of numeric keys 3, 7, and 7, and 7, and 1, 1 and #. The completed string "for example" would require a total of 23 keystrokes.

그러나, 도 2의 도면에서 처럼, 거의 모든 키에 3개 정도의 자소(字素)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판을 기억하기 어렵고, 또 자소를 입력할 때 키를 눌러야 하는 횟 수가 자연히 많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입력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as shown in the diagram of FIG. 2, since almost three keys are assigned to almost every letter,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remember the keyboard,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a user must press a key when typing the phoneme naturally increases. As a result, the input time is long.

도 3는 종래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제 2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단말기의 키 매트릭스를 보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Korean input method of a conventional terminal, and shows a key matrix of the terminal.

먼저, 키 매트릭스의 숫자키에 할당된 자소를 보면, 1번키에는 'ㅣ', 2번키에는 '

Figure 112000004913292-pat00001
', 3번키에는 'ㅡ', 4번키에는 'ㄱ,ㅋ', 5번키에는 'ㄴ,ㄹ', 6번키에는 'ㄷ,ㅌ', 7번키에는 'ㅂ,ㅍ', 8번키에는 'ㅅ,ㅎ', 9번키에는 'ㅈ,ㅊ' 0번키에는 'ㅇ,ㅁ'등이 배치된 구조이고, *키에는 한영전환 및 영자의 대소문자를 지원하고, #키는 글자사이에 입력된다.First, look at the phonemes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in the key matrix.
Figure 112000004913292-pat00001
', The 3rd key is'ㅡ', the 4th key is' ㄱ, ㅋ ', the 5th key is' b, ㄹ', the 6th key is' ㄷ, ㅌ ', the 7th key is' ㅂ, ㄷ', and the 8th key is' ㅅ ''ㅎ','9' key on the '0' key '0, ㅁ' and so on, * key supports Korean and English alphabets, and # key is entered between the letters.

여기서, 모음의 구성을 1, 2, 3번키에 배치된 'ㅣ','ㆍ','ㅡ'을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게 된다. 즉, 상기 'ㅣ'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ㅏ'로 조합하고, 상기 'ㅣ'와 'ㆍ'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ㅑ'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ㅣ'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ㅓ'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ㆍ'와 'ㅣ'의 입력적인 입력으로 'ㅕ'으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ㅗ'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ㆍ'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ㅛ'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ㅜ'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ㆍ'와 'ㆍ'의 연속적으로 입력으로 'ㅠ'로 조합된다.Here, the vowels are combined using 'ㅣ', '·', 'ㅡ' arranged on the 1, 2, and 3 keys. That is, the combination of 'ㅏ' and '·' into a continuous input of 'ㅏ' and the combination of 'ㅣ' and '·' and '·' into a 'ㅑ' and the '·' And 'ㅣ' as a continuous input of 'ㅓ', the input input of '·', '·' and 'ㅣ' as a combination of 'ㅕ', the '·' and '-' Combination into 'ㅗ' as the normal input, Combination into 'ㅛ' as the continuous input of '·', '·' and 'ㅡ', 'TT' as the continuous input of 'ㅡ' and '·' Are combined, and '?' And '·' and '·' are continuously combined as 'ㅠ'.

이러한, 도 2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예를들면" 이라는 글자열 완성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키 입력이 필요하다.When the string "for example" is completed using the numeric keys of FIG. 2, the following key input is required.

"예" 는 숫자키 0번과 2번과 2번과 1번과 1번으로 완성되며,"Yes" is completed with the numeric keys 0 and 2 and 2 and 1 and 1.

"를"은 숫자키 5번과 5번과 3번과 5번과 5번으로 완성되고,"B" is completed with the numeric keys 5 and 5 and 3 and 5 and 5,

"들"은 숫자키 6번과 3번과 5번과 5번으로 완성되며,"S" is completed with numeric keys 6 and 3 and 5 and 5,

"면"은 숫자키 0번과 0번과 2번과 2번과 1번과 5번으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예를들면"이라는 글자열는 총 20번의 키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The "side" is completed with the numeric keys 0, 0, 2, 2, 1, and 5. The completed string "for example" would require a total of 20 keystrokes.

그러나, 도 2의 예를 들어 설명한 한글 입력방법은, 모음 입력방법이 단순하여 기억하기는 좋은 면은 있으나, 모음을 여러 번의 키를 반복, 선택한 후 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눌러야 하는 키가 많아진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이더라도 입력시간의 단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Korean input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of FIG. 2 has a simple vowel input method, which is good to be remembered. However, since the vowel must be repeated several times, selected, and combined, the user has to press more keys. . In addition, even a user who uses frequently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horten the input time.

따라서, 종래에는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의 과학적인 체계를 영문 체계에 맞춤으로 초성, 중성, 종성의 특징을 크게 살리지 못하고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키들을 반복, 선택하여 눌러야만 원하는 한 글자를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이 불편하고, 이를 쉽게 익힐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scientific system of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haracters of Hangul is adapted to the English system to express the desired letter only by repeatedly pressing and selecting keys that the user does not recognize, and which do not greatly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haracters. Could. In addition, the user is inconvenient to us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easily learn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글 표기순에 따라 6개의 한글 단자음을 자음키에 각각 할당하고, 6개로 분류된 유사단모음을 3개의 모음키에 할당하는 한편, 상기 키들에 할당되지 않는 복자음을 별도의 키에 마련하여 줌으로써, 자음키 또는 모음키와의 조합으로 한글 필기순에 따라 한글 자음 및 모음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ssigns six Hangul terminal sounds to the consonant keys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alphabetical order, and assigns six vowels classified into six to three vowel keys. By providing a consonant that is not assigned to the keys on a separate key, it provides a Korean consonant and vowel input method of a terminal so that the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displayed in the Korean handwriting order in combination with a consonant key or a vowel key. Its purpose is.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은,Hangul consonant and vowel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6개의 한글 단자음(ㄱ,ㄴ,ㄹ,ㅁ,ㅅ,ㅇ)을 자음키 각각에 할당하고,Assign 6 Hangul phonetic sounds (ㄱ, ㄴ, ㄹ, ㅁ, ㅅ, ㅇ) to each of the consonant keys,

한글 단모음 입력을 위해 6개의 한글 단모음을 유사 단모음(ㅏㅓ,ㅗㅜ,ㅣㅡ)으로 분류하여 3개의 모음키에 할당하고, To input Korean short vowels, 6 Korean short vowels are classified into pseudo short vowels (ㅏㅓ, ㅗㅜ, ㅣ ㅡ) and assigned to three vowel keys.

상기 키들에 할당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을 가획키와 상기 자음 및 모음키와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자음 및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onants and vowels not assigned to the keys may be input in a contiguous combination of a catch key and the consonants and vowel keys.

여기서, 상기 자음 중 복자음 ㅃ,ㅉ,ㄸ은 별도의 숫자키에 마련항 자키의 반복적인 선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in, the consonant consonants ㅃ, ㅉ, ㄸ of the consonants 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by repetitive selection of the provided key on a separate numeric key.

그리고, 상기 가획키와 6개의 단자음 중 5개의 단자음의 조합으로 ㅋ,ㄷ,ㅈ,ㅂ,ㅎ의 자음이 입력되며, 상기 자음키의 연속 두번 누름과 상기 6개 중 3개의 단자음의 조합으로 ㅌ,ㅍ,ㅊ 자음이 입력된다.Then, the consonants of ㅋ, ㄷ, ㅈ, ㅂ, ㅎ are input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apture key and the five terminal sounds of the six terminal sounds, and the combination of three consecutive terminal presses of the six consonants and the six terminal sounds of the six consonants. The consonants are entered.

그리고, 상기 가획과 모음키(ㅏ,ㅗ,ㅣ,ㅓ,ㅜ)의 연속적인 조합에 의해 ㅏ,ㅗ,ㅣ,ㅓ,ㅠ 모음이 입력되며, 상기 가획키와 모음키의 2번 누름으로 ㅕ,ㅠ 등의 모음이 입력된다.The vowels ㅗ, ㅗ, ㅣ, ㅓ, ㅠ vowels are inputted by successive combinations of the catch and vowel keys (ㅏ, ㅗ, ㅣ, ㅓ, TT), and 2 , Vowels are enter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Korean consonant and vowel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을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서, 단말기의 3×4 숫자키 매트릭스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3 × 4 numeric key matrix of the terminal.

먼저, 숫자키 매트릭스에 할당된 자소들의 구성을 보면, 숫자키 1에는 'ㄱ', 숫자키 2에는 'ㄴ', 숫자키 3에는 자소키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 개의 모음이 선택되는 모음 'ㅏ,ㅓ', 숫자키 4에는 'ㄹ', 숫자키 5에는 'ㅁ', 숫자키 6에는 자소키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 개의 모음이 선택되는 모음 'ㅗ,ㅜ', 숫자키 7에는 'ㅅ', 숫자키 8에는 'ㅇ', 숫자키 9에는 자소키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 개의 모음이 선택되는 모음 'ㅣ,ㅡ'이 할당되는 구성이다.Firs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honeme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matrix, the vowel 'ㅏ'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a' on the numeric key 1, 'b' on the numeric key 2, and on the number of pressing the self-key on the numeric key 3. , ㅓ ',' ㄹ 'for numeric key 4,' ㅁ 'for numeric key 5, vowel' ', TT' which selects one vowel depending on the number of presses of Jasokey on digit key 6, 'ㅅ' ',' Is assigned to '8', and '9,' is assigned to digit key 9 by selecting one vow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self-key.

그리고, 숫자키 0은 글자열 구분을 위한 '스페이스(space)', 가획키(*)와 상기 자음키(1,2,4,5,7,8) 또는 모음키(3,6,9)와 조합되어 상기에서 할당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이 할당될 수 있도록 자음 또는 모음키의 전(前)에 눌려지며, 복자음키(#)에는 ㅃ,ㅉ,ㄸ 이 할당된다.In addition, the numeric key 0 is a 'space' for capturing a string, a capture key (*) and the consonant keys (1, 2, 4, 5, 7, 8) or a vowel key (3, 6, 9). In combination wit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key that are not assigned above, the consonant or the vowel key is pressed in advance, and the consonant consonant key # is assigned ㅃ, ㅉ, 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를 참조하면, 숫자키 1,2,4,5,7,8은 자음키로 하여 6개의 한글 단자음(ㄱ,ㄴ,ㄹ,ㅁ,ㅅ,ㅇ)을 각각 할당하며, 숫자키 3,6,9는 한글 단모음 입력을 위해 6개의 단모음을 유사 단모음(ㅏㅓ,ㅗㅜ,ㅣㅡ)으로 분류하여 3개의 모음키에 할당해 주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numeric keys 1,2,4,5,7,8 are assigned to the six Hangul terminal sounds ㄱ, b, ㄹ, ㅁ, ㅅ, ㅇ respectively as consonant keys, and the numeric keys 3,6. , 9 is divided into 6 short vowels (ㅏㅓ, ㅗㅜ, ㅣ ㅡ) and assigned to 3 vowel keys for inputting Korean short vowels.

이렇게 할당된 자음키들을 보면, 숫자키 1에는 'ㄱ'이, 숫자키 2에는 'ㄴ'이, 숫자키 4에는 'ㄹ'이, 숫자키 5에는 'ㅁ'이, 숫자키 7에는 'ㅅ'이, 숫자키 8에는 'ㅇ'이 각각 일대일 대응하여 할당되어 해당 키 누름으로 해당 단자음이 액정 표시부에 표시된다.When you see the consonant keys assigned like this, 'ㄱ' is used for the numeric key 1, 'b' is used for the numeric key 2, 'ㄹ' is used for the numeric key 4, 'ㅁ' is used for the numeric key 5, and 'ㅅ' for the numeric key 7. '0'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8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and the corresponding terminal sound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

또한, 모음키들을 보면, 숫자키 3에는 'ㅏㅓ'이, 숫자키 6에는 'ㅗㅜ', 숫자키 9에는 'ㅣㅡ'이 각각 할당되어 상기 모음키의 누름 횟수(홀수회, 짝수회)로 특정 단모음이 선택되므로 액정 표시부에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vowel keys, '숫자'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3, 'ㅗ TT'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6, and 'ㅣ ㅡ' i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9, respectively. Since a specific short vowel is selected, it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그리고, 별표키(*. 가획키)에는 상기 자음키 및 모음키에 할당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이 할당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자음키에 할당된 자음과 모음키에 할당된 모음들에 가로획이 추가되는 자음 및 모음을 상기 키들과 조합하여 입력하게 된다.The star key (*. Capture key) can be assigned consonants and vowels not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s and vowel keys. That is, a consonant and a vowel in which a horizontal stroke is added to the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and the vowels assigned to the vowel key are combined with the keys.

그리고, 우물정자키(#, 복자음)에는 상기 자음키에 할당되지 않는 자음의 복자음을 지원해 주며, 숫자키 0은 글자열 구분을 위한 '스페이스키(Space)이다.In addition, the well sperm key (#, consonant consonants) supports the consonants of consonants not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s, and the numeric key 0 is a 'space key (Space) for character string classification.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글 단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가획키와 자음 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은 표 1과 같다.In detail, the input by the combination of the capture key and the consonant key to input the Hangul terminal sound is shown in Table 1 below.

자음Consonant 숫자키 입력Enter numeric keys A 1번키1 key N 2번키2nd key C *키와 2번키* Key and number 2 D 4번키4 key M 5번키5 key *키와 5번키* Key and # 5 key S 7번키7 key 8번키8 key *키와 7번키* Key and number 7 H *키와 *키와 7번키* Key and * key and # 7 key Lol *키와 1번키* Key and number 1 key *키와 *키와 2번키* Key and * key and number two *키와 *키와 5번키* Key and * key and # 5 key *키와 8번키* Key and key 8

상기의 표 1에서와 같은 단자음의 경우에는 한글의 기본 자음 글자(ㄱ,ㄴ,ㅁ,ㅅ,ㅇ)에 가획키(*)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글자에 획을 더하거나 변형을 하여 다른 자음 글자들이 만들어 지도록 한다. 즉, ㄱ →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ㅎ 으로 만들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erminal sound as shown in Table 1, other consonant letters are added or modified by adding a stroke to the basic letter by using a stroke key (*) to the basic Korean consonant letters (a, b, ㅁ, ㅅ, ㅇ). To be made. That is, you can make a → →, → → ㅌ → ㅌ, ㅁ → ㅂ → ㅍ, → → → eh, → → ㅎ.

이렇게, 6개의 단자음을 제외한 자음들은 한글 필기 순에 따라 가획키와 자음키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눌러 줌으로써, 자음키에 할당되지 않은 자음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In this way, consonants except six terminal sounds are pressed in successive combinations of capture keys and consonant keys according to the Korean handwriting order, thereby enabling consonant input not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s.

또한, 6개의 자음키와 가획키(*)를 이용하여 자음키에 할당된 복자음을 만들 수 있으며, 복자음 키에 마련된 복자음(ㅃ,ㅉ,ㄸ)이 그 누른 횟수에 따라 입력된다. In addition, the six consonant keys and the capture key (*) can be used to make a consonant key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and the consonant consonants (ㅃ, ㅉ, ㄸ) provided in the consonant key ar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pressing.

즉, 'ㄲ' 은 1번키와 1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고, 'ㄳ'은 1번키와 7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된다. That is, 'ㄲ'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s of No.1 and 1 key, and 'ㄲ'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s of No.1 and 7 key.

'ㄵ'은 2번키와 *와 8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며, 'ㄶ'은 2번키와 가획키(*)와 8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고, 'ㄸ'은 복자음키의 연속 3번 입력으로 조합된다. 'ㄵ'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s of No.2, * and 8 keys, 'ㄶ'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s of No.2, capture key (*) and 8th key, and 'ㄸ' is a sequence of fugitive keys Combined into input 3.

'ㄺ'은 4번키와 1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고, 'ㄼ'은 4번키와 가획키(*)와 5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며, 'ㄽ'은 4번키와 7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된다. 'ㄺ'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s of No. 4 and 1 key, 'ㄼ'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s of No. 4 and capture key (*) and No. 5 key, and 'ㄽ' is the combination of No. 4 and No. 7 key. Combined into consecutive inputs.

'ㄾ'은 4번키와 가획키(*)와 가획키(*)와 2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며, 'ㄿ'은 4번키와 가획키(*)와 가획키(*)와 8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된다. 'ㄾ'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s of No.4 key, stroke key (*), stroke key (*) and No.2 key, and 'ㄿ' is key of No.4 key, stroke key (*), stroke key (*) and key 8 Are combined into successive inputs.

'ㅀ'은 4번키와 가획키(*)와 8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고, 'ㅃ'은 복자음키(#)의 입력으로 조합되며, 'ㅄ'은 가획키(*)와 8번키와 7번키의 연속적인 누름으로 조합되고, 'ㅆ'은 7번키와 7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며, 'ㅉ' 은 복자음키와 복자음키의 연속적인 누름으로 조합되며, 가획키(*)와 7번키와 7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된다.'ㅀ' is combined with successive inputs of No. 4 key, capture key (*) and 8 key, 'ㅃ' is combined with input of fuzzy sound key (#), and 'ㅄ' is combination of stroke key (*) and key 8 And '7' are combined into successive presses of '7', 'ㅆ' is combined into successive inputs of keys 7 and 7, and 'ㅉ' is combined into successive presses of the futon and fuxian keys. And a combination of the seventh and seventh keys.

이러한, 자음키 1,2,4,5,7,8번키와 가획키(*)와 복자음키(#)의 조합으로 자음키에 지정되지 않는 변형 및 획 추가가 되는 자음을 입력할 수 있음을 상기에서 설명한 바대로 만들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consonant keys 1, 2, 4, 5, 7, 8 and the combination of the capture key (*) and the consonant key (#) can input consonants that are not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and added to the consonant key.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made as described above.

또한, 한글 단모음, 복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가획키(*)와 모음키의 조으로 입력되며, 이는 표 2와 같다.In addition, in order to input a Korean short vowel, a vowel vowel is input as a combination of the capture key (*) and vowel key, as shown in Table 2.

모음collection 숫자키입력Numeric Keystrokes 3번키3rd key *키와 3번키* Key and number 3 3번키와 3번키Key 3 and key 3 *키와 3번키와 3번키* Key and key 3 and key 6번키Key 6 *키와 6번키* Key and number 6 TT 6번키와 6번키Key 6 and key 6 *키와 6번키와 6번키* Key 6 and key 6 9번키9 key 9번키와 9번키9 and 9 keys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단모음을 제외한 모음을 가획키(*)와 단모임이 할당된 모음키와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모음인 ㅐ,ㅒ,ㅔ,ㅖ,ㅘ,ㅙ, ㅚ, ㅝ, ㅞ, ㅟ, ㅢ 의 모음도 상기 표 2에 도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the vowels excluding similar short vowels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a capture key (*) and a vowel key assigned to the short vowel. In addition, a collection of vowels 모,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can be input using the method shown in Table 2 above.

즉, 'ㅐ' 는 3번키와 9번키를 연속하여 누르고, 'ㅒ'는 가획키(*)와 3번키와 9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며, 'ㅔ'는 3번키와 3번키와 9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고, 'ㅖ'는 가획키(*)와 3번키와 3번키와 9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며, 'ㅘ' 는 6번키와 3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고, 'ㅙ' 는 6번키와 3번키와 9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며, 'ㅚ' 는 6번키와 9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고, 'ㅟ' 는 6번키와 6번키와 9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며, 'ㅞ' 는 6번키와 6번키와 3번키와 9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고, 'ㅢ'는 가획키(*)와 9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이 된다.In other words, 'ㅐ' presses 3 and 9 keys in succession, 'ㅒ' combines consecutive keys (*), 3 and 9 keys, and 'ㅔ' combines 3, 3 and 9 keys. Combination with consecutive input of number key, 'ㅖ'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 of capture key (*) and number 3, 3 and 9 key, and 'ㅘ'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 of 6 and 3 key. 'ㅙ' combines consecutive inputs of 6, 3 and 9 keys, 'ㅚ' combines consecutive inputs of 6 and 9 keys, and 'ㅟ' combines 6, 6 and 9 keys. Combination with consecutive input of number key, 'ㅞ'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 of 6, 6, 3 and 9 keys, and 'ㅢ'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 of capture key (*) and 9 key. Becomes

이러한 한글 모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획키(*)와 모음키(ㅏㅓ, ㅗㅜ, ㅣㅡ)의 조합으로 상기 모음키에 할당되지 않는 변형 및 획 추가가 되는 단모음 및 복모음이 입력된다. As for the Korean vowel, the short vowel and the double vowel which are not assigned to the vowel key by the combination of the catch key (*) and the vowel key (ㅏㅓ, ㅗㅜ, ㅣ ㅡ) are added.

한편, 상기의 자음키(1,2,4,5,7,8)은 좌측에 2열로, 모음키(3,6,9)는 우측에 1열로 배열하고, 가획키(*)는 선(先) 선택을 위해 좌측 하단에, 복자음키(#)는 필요시 선택할 수 있도록 우측 하단에 할당함으로써, 전체적인 키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한글 입력시 편의성과 직관성을 좋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onant keys (1, 2, 4, 5, 7, and 8) are arranged in two rows on the left side, the vowel keys (3, 6, and 9) are arranged in one row on the right side, and the capture key (*) is a line ( Foremost, by selecting the lower-left key for the selection and the lower-order key (#) to the lower-right side for selection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venience and intui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Hangul using the overall key matrix.

이러한,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에 의해 "예를들면"이라는 글자열을 연달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If you want to enter the string "for example" in successive by the Korean consonant and vowel input,

"예"는 8번키와 가획키(*)와 3번키와 3번키와 9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며,"Yes" is combined with consecutive inputs of keys 8, capture key (*), keys 3, 3 and 9,

"를"은 4번키와 9번키와 9번키와 4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고,"," Is combined into successive inputs of keys 4, 9 and 9 and 4,

"들"은 가획키(*)와 2번키와 9번키와 9번키와 4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되며,"S" are combined into successive inputs of capture key (*), keys 2, 9 and 9 and 4,

"면"은 5번키와 가획키(*)와 3번키와 3번키와 2번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이 된다. 이렇게 조합되는 "예를들면"이라는 글자열은 총 19번의 키 입력이 됨을 알 수 있다."Sides" are a combination of the 5th and 4th keys (*), and the 3rd, 3rd and 2nd keys. This combination of "for example" string can be seen that a total of 19 keystrokes.

그리고, " 꼽추 " 는 116*5**766으로 10번 키 입력으로 가능하며, "매니큐어" 는 53929*1*66833으로 13번의 키 입력으로 가능하게 된다.And, "Humpback" is possible with 116 * 5 ** 766 by 10 key inputs, and "Manicure" is 53929 * 1 * 66833 with 13 key inputs.

이러한, 연속한 자소에 의한 글자열은 스페이스(space)를 통해 한글입력 내부 오토마타에 따라 한글조합형코드에서 한글완성형코드로 전환되도록 글자열로 액정 표시부에 표시된다. The continuous character string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as a character string so as to be converted from the Hangul combination code to the Hangul complete cod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internal automata through a space.

그리고, 곁받침 중에 ㄺ,ㅄ,ㄳ,ㅆ,ㄲ 를 쓰는 경우, 특히 'ㄺ','ㄲ',을 친 후에 'ㄱ'을 치는 경우 'ㄽ','ㅄ','ㄳ','ㅆ' 을 친 후에 'ㅅ'을 치는 경우에 스페 이스키 또는 화살표키를 눌러 줌으로써, 가능해 진다. And, if you write ㄺ, ㄳ, ㄳ, ㅆ, 중에 in the side stand, especially after hitting 'ㄱ', 'ㄲ', 'ㄱ', 'ㄽ', 'ㅄ', 'ㄳ', 'ㅆ If you hit 's' after hitting', you can do so by pressing the space key or the arrow keys.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3개의 모음키 구성인 ㅏㅓ,ㅗㅜ,ㅡㅣ 배열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가령 모음키들을 ㅓㅏ,ㅜㅗ,ㅣㅡ 또는 ㅏㅓ,ㅗㅜ,ㅣㅡ로 배치할 수 도 있다. 이렇게 배치할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입력 방법에 의해 입력이 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ree vowel key configurations mentioned above, 배열, ㅗ TT, ㅡ array is not fixed, for example, the vowel keys can be arranged as ㅓㅏ, ㅗ ㅗ, ㅣ ㅡ or ㅏㅓ, ㅗ TT, ㅣ ㅡ. In this arrangement, input may be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input metho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을 쓰는 순서에 의해 필수 단자음과, 유사 단모음을 각 모음키에 할당하는 한편, 상기 자음 및 모음으로 부터 획이 추가되는 자음 및 모음은 가획키와 조합하여 직관적으로 한글 필기 순서에 입각하여 변형되는 자음 및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essential terminal sounds and similar short vowels to each vowel key in the order of writing Hangul, while consonants and vowels to which a stroke is added from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intuitively combined with the catch key. This allows you to select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transformed based on the Hangul writing order.

또한, 자음키를 왼쪽, 모음키를 오른쪽에 배치하여 둠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두 손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쉽게 익히며 빠른 속도로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consonant keys on the left side and the vowel keys on the right side, the user can intuitively use them and use them with both hands.

또한, 사용자가 한글 자음 및 모음을 간편하게 기입한 후 쉽게 저장하고, 이를 쉽게 찾을 수 있어 전화번호부 등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수행할 때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store the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nd then easily store them and easily find them. 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m when performing an application program in the phone book.

Claims (3)

6개의 한글 단자음(ㄱ,ㄴ,ㄹ,ㅁ,ㅅ,ㅇ)을 자음키 각각에 할당하고,Assign 6 Hangul phonetic sounds (ㄱ, ㄴ, ㄹ, ㅁ, ㅅ, ㅇ) to each of the consonant keys, 한글 단모음 입력을 위해 6개의 한글 단모음을 유사 단모음(ㅏㅓ,ㅗㅜ,ㅣㅡ)으로 분류하여 3개의 모음키에 할당하고, To input Korean short vowels, 6 Korean short vowels are classified into pseudo short vowels (ㅏㅓ, ㅗㅜ, ㅣ ㅡ) and assigned to three vowel keys. 상기 키들에 할당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을 가획키와 상기 자음 및 모음키와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자음 및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A consonant and a vowel input method of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onants and vowels which are not assigned to the keys are input in a continuous combination of a catch key and the consonant and a vowel ke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 중 복자음 ㅃ,ㅉ,ㄸ은 별도의 숫자키에 할당하여 자키의 반복적인 선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The Korean consonant and vowel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wherein the consonant consonants ㅃ, ㅉ, 할당 are assigned to separate numeric keys to be input by repetitive selection of the jocke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키 및 상기 모음키에 할당되지 않은 자음 및 모음이나 복수개 할당된 모음의 입력은 {가획키} {자음키} {모음키} 의 순서로 ( 여기서 {}은 생략 또는 1회이상 일수도 있음)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Input of consonants and vowels or vowels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 which are not assigned to the vowel key are in the order of {capture key} {consonant key} {vowel key} (where {}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times) Hangul consonant and vowel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KR1020000012878A 2000-03-14 2000-03-14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641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878A KR100641448B1 (en) 2000-03-14 2000-03-14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878A KR100641448B1 (en) 2000-03-14 2000-03-14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340A KR20010091340A (en) 2001-10-23
KR100641448B1 true KR100641448B1 (en) 2006-10-31

Family

ID=1965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878A KR100641448B1 (en) 2000-03-14 2000-03-14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4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338B1 (en) * 2000-03-16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20020007111A (en) * 2000-07-15 2002-01-26 황재엽 Hangul input code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phone
KR100470698B1 (en) * 2001-12-24 2005-02-21 주식회사 텔컴전자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keypad of terminal
KR20020062611A (en) * 2002-06-28 2002-07-26 박병진 The way to input the korean alphabet of a cellular phone
KR100484224B1 (en) * 2002-09-23 2005-04-20 박찬용 Hand held keypad with Hangul layout
KR20030004230A (en) * 2002-12-04 2003-01-14 류동기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herein Consonant and Vowel Keys are separately Assigned
KR20050091843A (en) * 2004-03-11 2005-09-15 우양수 Method for inputting korean word of mobile phone and character boar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989A (en) * 1997-10-10 1999-05-25 모토로라, 인크 Communication device and keypad for optimization of character input
KR19990052447A (en) * 1997-12-22 1999-07-05 윤종용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number keys
KR20000007129A (en) * 1999-11-29 2000-02-07 호은숙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KR20010036028A (en)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The hangul mixing method
KR20010076132A (en) * 2000-01-22 2001-08-11 서평원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989A (en) * 1997-10-10 1999-05-25 모토로라, 인크 Communication device and keypad for optimization of character input
KR19990052447A (en) * 1997-12-22 1999-07-05 윤종용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number keys
KR20010036028A (en)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The hangul mixing method
KR20000007129A (en) * 1999-11-29 2000-02-07 호은숙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KR20010076132A (en) * 2000-01-22 2001-08-11 서평원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340A (en)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448B1 (en)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579814B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30049443A (en) Apparatus for inputting Hangeul i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322914B1 (en)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KR100683338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370421B1 (en)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KR100350781B1 (en) Method for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using jogdial
KR100750634B1 (en) Device for input and output Chinese characters
KR100451206B1 (en) Hangul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73332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77675B1 (en) Hangul Hanson PlusKey Pad
KR1009712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using transformation keys
KR100609287B1 (en) Plus Keypad
KR100627964B1 (en) CrossDial Keypad for inputting letter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36553B1 (en) Hangul Hanson PlusKey Pad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61622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100450586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data by using pronunciation
KR200318329Y1 (en) The way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 through Numeric Keypad
KR20060062265A (e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in mobile phone
KR20030004230A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herein Consonant and Vowel Keys are separately Assigned
KR100412571B1 (en)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to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0741639B1 (en) A display methode of text for basic form chara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