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319B1 -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319B1
KR100657319B1 KR1020050058594A KR20050058594A KR100657319B1 KR 100657319 B1 KR100657319 B1 KR 100657319B1 KR 1020050058594 A KR1020050058594 A KR 1020050058594A KR 20050058594 A KR20050058594 A KR 20050058594A KR 100657319 B1 KR100657319 B1 KR 10065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image
peripheral device
file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319B1/ko
Priority to US11/477,464 priority patent/US200700023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7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conversion to printer ready form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2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 G06F3/1213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at an intermediate node or at the final n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04N1/0023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using an image reproducing device as a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04N1/0024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using an image reading device as a local input to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Sharing resources, e.g. processing power or memory, with a connected apparatus 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5Converting image data to a format usable by the connected apparatus or vice versa
    • H04N2201/0067Converting to still pictu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78Type or format of data, e.g. colour or B/W, halftone or binary, computer image file or facsimil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그 방법은, (a) 독출된 이미지파일이 주어지는 인쇄환경이 미리 설정된 인쇄환경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이미지파일이 주어지는 인쇄환경이 상기 설정된 인쇄환경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파일을 업로드하는 단계; (c) 상기 업로드된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d) 상기 다운로드된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b) 및 (d) 단계는 주변기기에서 수행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된 호스트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미지파일을 독출한 주변기기가 그 이미지파일을 자신에 마련된 디코더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하지 않고, 자신에 연결된 호스트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함으로써 대용량의 이미지파일일지라도 신속하게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결과적으로 이미지파일을 고속으로 인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주변기기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소프트웨어 디코더만이 마련되어 있어, 이미지데이터와 같은 대용량의 이미지파일을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주변기기에 마련된 소프트웨어 디코더의 이미지 프로세싱 수행능력보다 월등히 우수한 호스트의 이미지 프로세싱 수행능력을 이용하게 되어, 그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경우보다 그 이미지파일을 고속으로 인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read data using hos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주변기기 220 : 호스트 디바이스
232 : 검사부 234 : 업로딩부
236 : 수신부 238 : 제1 렌더링부
240 : 다운로딩부 242 : 화상 형성부
본 발명은 프린터와 같은 주변기기를 갖는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기기가 독출한 이미지파일의 속성 및 마련된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그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그 이미지파일을 주변기기에 연 결된 호스트가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그 이미지 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인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그 주변기기가 형성하는 화상형성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또는 인쇄기능을 갖는 복합기(이하 "인쇄장치"라 함)는 자신과 연결된 호스트 디바이스(host device)로부터 전송된 이미지파일을 인쇄할 수도 있고, 자신과 연결된 메모리 카드(memory card)로부터 독출한 이미지파일을 인쇄할 수도 있다.
특히, 포토 프린터(photo printer)는 자신과 연결된 메모리 카드로부터 독출한 이미지파일을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가 디지털 카메라에 마련되고, 그 디지털 카메라가 포토 프린터에 연결된다면, 포토 프린터는 자신과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파일을 인쇄할 수 있다.
결국, 포토 프린터는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파일 뿐만 아니라 독출한 이미지파일도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를 위해서는 이미지파일을 포토 프린터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작업 즉, 이미지 프로세싱이 필요하다. 이 때, 이미지 프로세싱은 렌더링(rendering)이라 명명될 수도 있다. 즉, 포토 프린터의 경우, 그 독출한 이미지파일을 인쇄한다 함은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그 이미지 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인 이미지파일을 인쇄함을 의미한다.
그러한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되는 장소가 디코더(decoder)이며, 이러한 디코더는 포토 프린터상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디코더에 의해 렌더링되는 속도는 하드웨어 로 구현된 디코더에 의해 렌더링되는 속도보다 현저히 느리다.
종래의 화상형성시스템은 인쇄장치가 독출한 이미지파일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항상 그 인쇄장치 스스로 수행하므로, 인쇄장치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쇄속도의 향상을 꾀함에 있어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미지파일의 크기가 대용량인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변기기가 독출한 이미지파일의 속성 및 마련된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그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그 이미지파일을 주변기기에 연결된 호스트가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그 이미지 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인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그 주변기기가 형성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변기기가 독출한 이미지파일의 속성 및 마련된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그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그 이미지파일을 주변기기에 연결된 호스트가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그 이미지 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인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그 주변기기가 형성하는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변기기가 독출한 이미지파일의 속성 및 마련된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그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그 이미지파일을 주변기기에 연결된 호스트가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그 이 미지 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인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그 주변기기가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은, 독출된 이미지파일의 속성 및 마련된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을 전송하고, 전달받은 인쇄데이터의 화상을 형성하는 주변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을 상기 인쇄데이터로서 상기 주변기기에 전달하는 호스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은, 전송받은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인 이미지파일을 전달하는 호스트를 갖는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이미지파일의 속성 및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입력된 상기 이미지파일을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고, 상기 전달받은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주변기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속성 및 상기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업로딩부; 및 상기 전달받은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인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인쇄환경은, 상기 주변기기에 마련된 하드웨어 상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이 가능한지 여부 및 상기 주변기기에 상기 호스트가 연결되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속성은,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파일형태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는,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자신이 수행할지의 여부를 선택받는 피시(PC)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주변기기는, 자신에게 연결된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이미지파일을 보여주는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은, (a)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속성 또는 인쇄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의 업로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업로딩된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a) 및 (c) 단계는 주변기기에서 수행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된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속성은,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파일형태 및 크기 중 적 어도 하나를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는,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가를 판단하거나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형태가 미리 설정된 유형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인쇄환경은, 상기 주변기기에 상기 호스트가 연결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주변기기에 마련된 하드웨어 상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d) 상기 이미지파일이 입력되는 인쇄환경이 상기 설정된 인쇄환경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e)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자신이 수행할지의 여부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f)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수행하지 않음을 선택받았다면, 상기 주변기기가 상기 입력된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g) 상기 주변기기에 연결된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이미지파일을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g)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에서 수행됨이 바 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a)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속성 또는 인쇄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의 업로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업로딩된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당해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은, 호스트 디바이스(host device : 이하 '호스트'라 명명함) 및 그 호스트와 연결 가능한 주변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호스트는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일 수 있고, 주변기기는 프린터(printer) 또는 인쇄기능을 갖는 복합기(MFP : Multi Function Peripheral)일 수 있다.
이 때, 주변기기는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파일을 자신과 연결된 호스트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고, 소정의 저장매체를 독출하여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전송을 통해 주변기기에는 이미지파일이 주어진다.
여기서, 소정의 저장매체는 메모리 카드(memory card)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그 저장매체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와 같은 촬상장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주변기기에 촬상장치가 연결되면, 주변기기는 그 촬상장치에 마련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독출한다. 이 때, 이미지파일은 이미지 데이터임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호스트로부터 전송되어 주어진 이미지파일 뿐만 아니라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어 주어진 이미지파일도 인쇄할 수 있는 주변기기(120)의 일 례로는 포토 프린터(photo printer)가 있다.
한편, 주변기기가 그 주어진 이미지파일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주변기기가 그 주어진 이미지파일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주변기기가 인식할 수 없는 상태의 이미지파일은 주변기기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의 이미지파일로 변환되어야 하며, 이러한 변환 작업을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이라 명명할 수도 있고, 렌더링(rendering)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만일, 주어진 이미지파일이 호스트로부터 주어진 이미지파일이라면, 그 주어진 이미지파일은 이미 호스트상에서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이다. 그에 반해, 주어진 이미지파일이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어 주어진 이미지파일라면, 그 주어진 이미지파일은 아직 렌더링을 거치지 않은 상태의 이미지파일이다.
종래의 경우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의 렌더링은 주변기기에서만 수행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의 렌더링은 호스트 및 주변기 기 중에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호스트에서 수행되는 렌더링은 호스트에 마련된 디코더(decoder)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디코더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소프트웨어 디코더(Software decoder)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변기기에서 수행되는 렌더링은 주변기기에 마련된 디코더에서 수행된다. 이 때, 주변기기에 마련 가능한 디코더로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하드웨어 디코더(Hardware decoder)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소프트웨어 디코더가 있다.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디코더의 렌더링 속도는 소프트웨어 디코더의 렌더링 속도보다 월등히 앞선다. 만일, 주어진 이미지파일이 텍스트(text) 데이터라면, 그 렌더링 속도의 차이가 잘 드러나지 않을 수 있으나, 주어진 이미지파일이 이미지(image) 데이터와 같이 대용량의 데이터라면, 그 렌더링 속도의 차이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한편, 호스트에 마련된 소프트웨어 디코더가 렌더링하는 속도는 주변기기에 마련된 소프트웨어 디코더가 렌더링하는 속도보다 빠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디코더로서 소프트웨어 디코더만이 마련되어 있는 주변기기가 그 독출한 이미지파일을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그 독출한 이미지파일의 렌더링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제안하며, 이하 블록도와 플로우챠트를 설명하며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주변기기(210) 및 그 주변기기(210)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 디바이스(220)를 포함한다. 이 때, 주변기기(210)는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204), 독출부(206), 검사부(232), 업로딩부(234), 다운로딩부(240), 제어부(241), 메모리부(243), 화상 형성부(242) 및 제2 렌더링부(244)를 포함하며, 호스트 디바이스(220)는 PC 인터페이스부(226), 수신부(236) 및 제1 렌더링부(238)를 포함한다. 여기서, 참조번호 210 및 220은 참조번호 120 및 110을 각각 의미한다.
이 때, IN 1은 주변기기(210)가 독출한 이미지파일을 의미한다. 즉, IN 1은 주변기기(210)에 의해 저장매체(130)로부터 독출되어 주변기기(210)에 주어진 이미지파일을 의미한다.
주변기기(210)는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의 속성 및 마련된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그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이미지파일 IN 1을 호스트 디바이스(220)에 전송하고, 전달받은 인쇄데이터의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인쇄데이터란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을 의미한다.
즉, 이미지파일 IN 1이 주변기기(210)가 아닌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있다고 검사된 경우, 주변기기(210)는 그 독출한 이미지파일 IN 1을 자신이 렌더링하지 않고, 호스트 디바이스(220)에게 전송하며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렌더링해 줄 것을 요구한다. 그에 따라,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된 경우 주변기기(210)는 그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인 인쇄데이터를 호스트 디바이스(220)로부터 전달받는다.
여기서,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있다고 검사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는, 검사부(232)에 대한 동작을 설명할 때 제시하기로 한다.
결국, 호스트 디바이스(220)는 그 주변기기(210)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그 주변기기(210)와 연결되어 있다면, 호스트 디바이스(220)는 주변기기(21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파일 IN 1을 렌더링하고 그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을 전술한 인쇄데이터로서 주변기기(210)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변기기(210) 및 호스트 디바이스(2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변기기(210)에는 이미지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카드가 연결된다. 메모리카드부(202)는 그러한 메모리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기기(210)에 마련된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204)는 그 메모리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독출부(206)는 그 메모리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들을 독출한다. IN 1은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을 의미한다.
검사부(232)는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이 주변기기(210)에서 렌더링됨이 적합한지 아니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됨이 적합한지를 검사한다. 즉, 검사부(232)는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을 검사하여, 그 IN 1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주변기기(210)에 마련된 디코더로 그 이미지파일 IN 1을 렌더링하는 데에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를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이미지파일 IN 1에 텍스트 데이터보다 이미지 데이터가 많이 포함되어 있을 수록 그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가 커지며, 그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가 클수록 그 예측되는 시간은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주변기기(210)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주변기기(210)의 소프트웨어 디코더가 그 이미지파일 IN 1을 렌더링할 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검사부(232)는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의 속성 및 마련된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한다. 여기서, 이미지파일 IN 1의 속성이란 이미지파일 IN 1의 형태일 수도 있고,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일 수도 있다.
이미지파일의 형태는 이미지파일 IN 1이 담긴 파일의 확장자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예컨대, 검사부(232)가 이미지파일 IN 1의 형태를 검사한다 함은 그 이미지파일 IN 1이 이미지 데이터인지 아니면, 텍스트 데이터인지를 검사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검사부(232)는 그 이미지파일 IN 1의 형태가 미리 설정된 유형에 포함되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유형이란 그 예측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미지파일의 형태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미지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유형에 포함될 수 있고, 텍스트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유형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미지파일의 크기는 전술한 이미지파일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 데이터의 크기가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보다 작음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미지파일이 텍스트 데이터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미지 데이터만으로 이루어 지지 않고,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데이터일 수 있으므로, 검사부(232)는 그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즉, 검사부(232)는 그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가를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임계치란 그 예측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미지파일의 크기 중 최소값을 의미한다.
한편, 인쇄환경이란 이미지파일 IN 1이 주어지는 환경을 의미한다. 예컨대, 인쇄환경은 주변기기(210)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는지의 여부, 주변기기(210)에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 주변기기(210)에 독출되어 주어지는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지의 여부, 주변기기(210)에 독출되어 주어지는 이미지파일 IN 1의 형태가 미리 설정된 유형에 포함되는지의 여부 등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특히, 마련된 인쇄환경이란 이미지파일 IN 1이 주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을 이루는 주변기기(210)와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어떠한 상태에 놓여있는가를 의미한다. 즉, 전술한 예시에서, 주변기기(210)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는지의 여부, 주변기기(210)에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마련된 인쇄환경을 결정한다.
검사부(232)에서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의 속성을 검사한 결과, 그 이미지파일 IN 1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있다고 검사된 경우라 할지라도, 마련된 인쇄환경을 검사한 결과, 주변기기(210)에 호스트 디바이스(220) 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이 수행되도록 호스트 디바이스(220)에 이미지파일을 업로드(upload)할 수 없다.
또한, 검사부(232)에서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의 속성을 검사한 결과, 그 이미지파일 IN 1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있다고 검사된 경우라 할지라도, 마련된 인쇄환경을 검사한 결과, 주변기기(210)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다면, 주변기기(210)에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연결되어 있을 지라도, 그 하드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렌더링함이 바람직하다.
결국, 검사부(232)는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이미지파일 IN 1이 주어지는 인쇄환경을 검사함이 바람직하다. 즉, 검사부(232)는 이미지파일 IN 1의 속성뿐만 아니라 마련된 인쇄환경까지 검사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며, 주변기기(210)에는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그 주변기기(210)와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연결되어 있다고 검사부(232)에서 검사된 경우에 한해 이미지파일 IN 1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수 있다.
또는, 주변기기(210)에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연결되어 있다고 검사되면,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 및 형태와 관계없이, 이미지파일 IN 1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수도 있다.
업로딩부(234)는 검사부(232)에서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그 이미지파일 IN 1을 호스트 디바이스(220)에 업로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사부(232)에서 그 이미지파일 IN 1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있다고 검사된 경우, 검사부(232)는 업로딩부(234)의 동작을 지시하며, 그 지시를 받은 업로딩부(234)는 그 이미지파일 IN 1을 호스트 디바이스(220)에 업로드한다.
수신부(236)는 주변기기(210)의 업로딩부(234)로부터 업로드된 이미지파일 IN 1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이미지파일 IN 1을 제1 렌더링부(238)에 전달한다. 이러한 수신부(236)는 일종의 버퍼(buff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PC 인터페이스부(226)는 업로딩부(234)로부터 업로드되는 이미지파일의 렌더링을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수행할지 아니면 주변기기(210)에서 수행할지의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만일, PC 인터페이스부(226)가 그 업로드되는 이미지파일의 렌더링을 호스트디바이스(220)에서 수행할 것을 선택받았다면, PC 인터페이스부(226)는 그 업로드된 이미지파일을 수신부(236)에 입력한다.
그에 반해, PC 인터페이스부(226)가 그 업로드되는 이미지파일의 렌더링을 주변기기(210)에서 수행할 것을 선택받았다면, PC 인터페이스부(226)는 그 업로드된 이미지파일을 업로딩부(234)에 전달하고, 업로딩부(234)는 후술하는 제어부(240)에게 제어부(240)가 제2 렌더링부(244)의 동작을 지시할 것을 요청한다.
제1 렌더링부(238)는 그 전달받은 이미지파일 IN 1을 주변기기(210)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즉, 제1 렌더링부(238)는 그 전달받은 이미지파일 IN 1을 렌더링한다.
이러한 제1 렌더링부(238)는 호스트 디바이스(220)상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렌더링부(238)는 호스트 디바이스(220)상에서 소프트웨어 디코더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개인용 컴퓨터(PC)라면, 제1 렌더링부(238)에서 렌더링되는 속도는 그 개인용 컴퓨터에 마련된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의 정보 처리능력에 비례하게 된다. 제1 렌더링부(238)는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인 인쇄데이터를 출력한다.
제1 렌더링부(238)는 스캔 드라이버(222) 또는 프린터 드라이버(224)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캔 드라이버(222)는 스캐닝 기능을 수행하는 주변기기(210)를 구동하기 위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 마련되는 드라이버이며, 프린터 드라이버(224)는 인쇄 기능을 수행하는 주변기기(210)를 구동하기 위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 마련되는 드라이버이다.
다운로딩부(240)는 그 출력된 인쇄데이터를 제1 렌더링부(238)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는다. 화상 형성부(242)는 그 다운로드된 인쇄데이터의 화상을 형성한다. 이 때, 화상 형성부(242)는 인쇄데이터를 인쇄하여 그 화상을 형성한다.
한편, PC 인터페이스부(226)는 인쇄데이터의 주변기기(210)에의 다운로드 여부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검사부(232)에서 그 이미지파일 IN 1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없다고 검사된 경우에는, 그 이미지파일 IN 1의 렌더링을 주변기기(210)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주변기기(210)에는 제2 렌더링부(244)가 마 련된다.
제2 렌더링부(244)는 검사부(232)에서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그 이미지파일 IN 1을 주변기기(210)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즉, 제2 렌더링부(244)는 그 이미지파일 IN 1을 렌더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사부(232)에서 그 이미지파일 IN 1이 호스트 디바이스(220)에서 렌더링될 필요가 없다고 검사된 경우, 검사부(232)는 제2 렌더링부(244)의 동작을 지시하며, 그 지시를 받은 제2 렌더링부(244)는 그 이미지파일 IN 1을 렌더링한다.
제2 렌더링부(244)는 그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인 인쇄데이터를 화상 형성부(242)에 전달하고, 인쇄데이터를 전달받은 화상 형성부(242)는 그 인쇄데이터의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부(242)는 그 인쇄데이터를 인쇄하여 그 화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결국, OUT 1은 인쇄데이터의 화상을 의미할 수도 있고, 그 화상이 인쇄된 인쇄출력물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 때, 인쇄데이터는 제1 렌더링부(238)에서 생성된 데이터일 수도 있고, 제2 렌더링부(244)에서 생성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41)는 업로딩부(234), 다운로딩부(240) 및 제2 렌더링부(24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41)는 메모리부(243)의 동작으르 지시할 수 있다. 그 지시에 의해 메모리부(243)는 주변기기(210)에 인스톨되는 각 종 응용 프로그램, 제2 렌더링부(244)에서 생성된 인쇄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챠 트로서,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이 주어지는 인쇄환경이 미리 설정된 인쇄환경인지 판단하는 단계(제310 ~ 318 단계들),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된 렌더링 장소에서 이미지파일을 렌더링하는 단계(제320 ~ 328 단계들) 및 그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을 인쇄하는 단계(제330 단계)로 이루어진다.
검사부(232)에는 주변기기(210)에 연결된 저장매체(130)로부터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이 입력된다(제310 단계). 검사부(232)는 주변기기(210)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제312 단계).
주변기기(210)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제312 단계), 검사부(232)는 주변기기(210)에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제314 단계).
주변기기(210)에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제314 단계), 검사부(232)는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를 분석한다(제316 단계). 제316 단계 후에, 검사부(232)는 그 분석된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가를 판단한다(제318 단계).
그 분석된 크기가 그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제318 단계), 주변기기(210)는 이미지파일을 업로딩할 경우 호스트 디바이스(220) 자신에 마련된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구동해줄 것을 호스트 디바이스(220)에 요청한다(제320 단계).
업로딩부(234)는 그 독출된 이미지파일 IN 1을 호스트 디바이스(220)의 수신부(236)에 업로드하고(제322 단계), 수신부(236)는 그 수신된 이미지파일 IN 1을 제1 렌더링부(238)에 전달한다.
호스트 디바이스(220)의 제1 렌더링부(238)는 그 전달된 이미지파일 IN 1을 렌더링한다(제324 단계). 다운로딩부(240)는 그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인 인쇄데이터를 제1 렌더링부(238)로부터 다운로드 받는다(제326 단계).
한편, 제312 단계에서 주변기기(210)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나, 제314 단계에서 주변기기(210)와 호스트 디바이스(22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나, 제318 단계에서 이미지파일 IN 1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주변기기(210)가 호스트 디바이스(220)의 도움을 받지 않고, 주변기기(210) 스스로 이미지파일 IN 1을 렌더링한다(제328 단계). 화상 형성부(242)는 인쇄데이터를 인쇄한다(제330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 및 방법은, 이미지파일을 독출한 주변기기가 그 이미지파일을 자신에 마련된 디코더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하지 않고, 자신에 연결된 호스트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세싱함으로써 대용량의 이미지파일일지라도 신속하게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결과적으로 이미지파일을 고속으로 인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주변기기에 하드웨어 디코더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소프트웨어 디코더만이 마련되어 있어, 이미지데이터와 같은 대용량의 이미지파일을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주변기기에 마련된 소프트웨어 디코더의 이미지 프로세싱 수행능력보다 월등히 우수한 호스트의 이미지 프로세싱 수행능력을 이용하게 되어, 그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경우보다 그 이미지파일을 고속으로 인쇄할 수 있다.

Claims (18)

  1.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속성 및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을 전송하고, 전달받은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주변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상기 이미지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을 상기 이미지파일로서 상기 주변기기에 전달하는 호스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2. 전송받은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상기 렌더링된 이미지파일인 이미지파일을 전달하는 호스트를 갖는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이미지파일의 속성 및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입력된 상기 이미지파일을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고, 상기 전달받은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주변기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속성 및 상기 인쇄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업로딩부; 및
    상기 전달받은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함을 특징 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 업로딩이 불필요하면 상기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된 이미지파일인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환경은, 상기 주변기기에 마련된 하드웨어 상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이 가능한지 여부 및 상기 주변기기에 상기 호스트가 연결되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파일형태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는,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자신이 수행할지의 여부를 선택받는 피시(PC)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는,
    자신에게 연결된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이미지파일을 보여주는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9. (a)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속성 또는 인쇄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의 업로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업로딩된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c) 단계는 주변기기에서 수행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와 연결된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파일형태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가를 판단하거나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형태가 미리 설정된 유형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환경은, 상기 주변기기에 상기 호스트가 연결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주변기기에 마련된 하드웨어 상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이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d) 상기 이미지파일이 입력되는 인쇄환경이 상기 설정된 인쇄환경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e)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자신이 수행할지의 여부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f)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수행하지 않음을 선택받았다면, 상기 주변기기가 상기 입력된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파 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g) 상기 주변기기에 연결된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이미지파일을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g)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18. (a) 입력된 이미지파일의 속성 또는 인쇄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의 업로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업로딩된 이미지파일을 이미지 프로세싱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58594A 2005-06-30 2005-06-30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KR10065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94A KR100657319B1 (ko) 2005-06-30 2005-06-30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US11/477,464 US20070002374A1 (en) 2005-06-30 2006-06-30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94A KR100657319B1 (ko) 2005-06-30 2005-06-30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319B1 true KR100657319B1 (ko) 2006-12-14

Family

ID=3758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594A KR100657319B1 (ko) 2005-06-30 2005-06-30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02374A1 (ko)
KR (1) KR1006573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9602A (en) * 1996-09-30 1999-06-0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pecimen image judging section and an image information suitability judging section
WO1999048289A1 (fr) * 1998-03-16 1999-09-23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e d'impression d'images photographiques, imprimante d'images photographiques, support d'information lisible par ordinateur contenant un programme d'impression d'images photograph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02374A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28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41694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interpreting content obtained from a web browser and displaying a screen based on the interpreted content
US20060136488A1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control program
US9916117B2 (en) Remote data access for image output apparatus via a control device
JP2008186458A (ja) 異なるフォーマットで符号化された電子ドキュメントの出力を開始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164230A (ja) 印刷処理装置、印刷処理システム及び印刷処理方法
JP2006146878A (ja) 電子文書管理プログラム、電子文書管理装置
JP2008066988A (ja) 画像入出力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97570A (ko) 컨텍스트를 보존하면서 출력 경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US8368925B2 (en) Image transmission system, image storag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7246868B2 (ja) 外部装置から受信したeメールアドレス等の設定データを送信設定画面に設定することが可能なデータ送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085406A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71852B1 (ko) 고속 인쇄 방법 및 장치
US107617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5921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657319B1 (ko)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US8045205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JP2008046739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013517A (ja) 印刷サーバ、印刷システム、印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01965A (ja) プリンタ、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956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7200632B2 (ja) 印刷システム、プリンタ、およびサポートプログラム
US10257370B2 (en) Cloud-based document quality assurance
US100551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260936B1 (ko) 복합기디버그장치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