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015B1 -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 - Google Patents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015B1
KR100657015B1 KR1020040097430A KR20040097430A KR100657015B1 KR 100657015 B1 KR100657015 B1 KR 100657015B1 KR 1020040097430 A KR1020040097430 A KR 1020040097430A KR 20040097430 A KR20040097430 A KR 20040097430A KR 100657015 B1 KR100657015 B1 KR 10065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thuringiensis
insects
fungi
insecticidal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767A (ko
Inventor
이동현
고영진
Original Assignee
이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현 filed Critical 이동현
Priority to KR102004009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0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비목 뿐만이 아니라 파리목에도 살충성이 있으며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성장 억제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00-FZ19-22(KCTC10716BP)에 관한 것이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는 동물의 분뇨에서 분리되어졌으므로,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더욱 높은 것이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살충성, 살균성, 미생물제제

Description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New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00-FZ19-22(KCTC10716BP) having simultaneously insecticidal and antifungal activity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insect and fungi by using it}
제 1 도는 영양 아가 플레이트에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의 콜로니 모양이다.
제 2 도는 분료로 부터 분리되어진 후 5일 배양한 후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00-FZ19-22(KCTC10716BP)의 위상차현미경사진이다.
제 3 도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의 살충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제 4 도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가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의 생장을 저해함을 나타내는 실험결과이다. 여기서 Bt는 Bacillus thuringiensis 00-FZ19-22, BC는 Botrytis cinerea, CT는 대조군이다.
제 5 도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다이아포르테 엑티니데아(Diaporthe actinideae)의 생장을 저해함을 나타내는 실험결과이다. 여기서 Bt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DA는 Diaporthe actinideae 이다.
제 6 도는 페니실리움 디지타튬(Penicillium digitatum)(A) 및 페니실리움 이타리쿰(Penicillium italicum)(B)에 저항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스트레인 3종을 나타낸다. A는 대조군, B는 00-FZ46-12, C는 00-FZ52-18(KCTC10715BP), D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이다.
제 7 도는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의해 딸기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크루드컬처의 효과를 나타낸다. A는 00-FZ46-12, B는 00-FZ52-18(KCTC10715BP), C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 D는 대조군이다.
현재까지 인류의 식량증산에 크게 기여해 온 화학합성 농약은 근래에 들어 과도한 사용과 남용으로 인해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매년 농약으로 인한 중독 사망자가 우리나라의 경우 약 1,400명에 이르는 등 그 피해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화학합성 농약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병원균이나 곤충의 출현으로 인해 더 많은 양의 농약사용이 불가피하게 되어 그 피해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무공해 내지 저공해 농약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미생물을 원제로 한 미생물 농약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바실러스 츄린겐시스를 원제로 한 미생물 농약을 총칭하여 BT제라 한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의 곤충 병원균의 1종으로 나비목, 파리목, 딱정벌레목 등에 속하는 일부 해충의 유충에 대해서 병원성이 높고 공업수준의 배양도 용이하다.
BT제 생산을 위해 이용되고 대표적인 BT균주는 나비목 해충에 대한 살충성이 우수하고 살충성 단백질 독소의 생산성이 높은 쿠스타키(Kurstaki) HD-1 주이다. BT 아종 쿠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는 아포를 형성하는 그람양성균으로 아포형성과 함께 나비목 해충에 치사효과가 있는 내독소를 생성한다.
이 독소단백질은 먹이와 함께 섭취된 후 중장내의 알칼리성 환경하에서 활성화되어 특정한 수용체에 결합하여 독성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사람이나 동·식물 및 어류 등에는 무해하며 자연 생태계에도 안전한 미래형 농약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살충성외에 항진균성을 가지고 있는 BT균으로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특허 SU1144377 A 350830에서 개시한 BT IPM-215균주와 대한민국 특허 특0154108에서 개시한 BP865균주가 있다. IPM-215균주는 버티실리움 다히아(Verticillium dahiiae), 헬민소스포리움 사티범 (Helminthosporium sativum) 및 퓨자리움 컬모럼(Fusarium culmorum)에 대해 항진균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고, BP865균주는 라이족토니아 솔라니( Rhizoctonia solani)와 퓨자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에 대한 항진균성을 보유하고 있는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154108에서 제공하고 있는 BT제는 나비목에 대하여 살충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져 있으나, 파리목에 대한 살충성에 대한 보고가 없어 살충제로서 사용한 가능한 범위가 제한되어져 있다.
BT제가 전체 농약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상당히 낮은 편이다. 1990년 현재 세계 농약시장은 약 20조원에 달하며 이중 제초제가 38%, 살충제가 33%, 살균제가 21%, 성장조절제 및 기타 8%정도를 점유하고 있는데, BT제는 살충제 시장의 1∼2%만을 점유하고 있다. 따라서 BT제의 수요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살충 및 항진균범위가 넓고, 살충 및 항진균 효과가 높은 더 우수한 살충 및 항진균성을 가진 균주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알려진 BT제 보다 넓은 살충 및 항진균성 및 더 높은 살충 및 항진균성을 함께 지닌 새로운 BT 균주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넓은 살충성과 높은 항진균성은 가지는 BT제는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환경친화적으로 곤충 및 식물병을 치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중에 인체에 해롭지 않은 균주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의 순수배양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또는 이의 순수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생물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또는 이의 순수배양물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효과량을 곰팡이균의 방제를 위하여 식물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또는 이의 순수배양물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효과량을 곤충의 방제를 위하여 식물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또는 이의 순수배양물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효과량을 곰팡이균과 곤충의 방제를 위하여 식물에 동시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와 곤충의 동시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T) 00-FZ19-22(KCTC10716BP)균주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나비목 뿐만이 아니라 파리목에도 살충 효과가 있으며 그 살충 효과가 높고, 넓은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하여 항진균효과가 있으며, 그 항진균 효과가 높은, 살충 및 항진균효과를 동시에 갖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CTC10716BP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CTC10716BP의 순수배양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CTC10716BP 또는 이의 순수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생물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CTC10716BP 또는 이의 순수배양물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효과량을 곰팡이균의 방제를 위하여 식물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CTC10716BP 또는 이의 순수배양물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효과량을 곤충의 방제를 위하여 식물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신규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CTC10716BP 또는 이의 순수 배양물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효과량을 곰팡이균과 곤충의 방제를 위하여 식물에 동시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와 곤충의 동시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어지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용어 “진균”은 클로로필이 없는 광범위한 진핵포자-형성 생물체를 포함한다. 진균의 예는 효모, 사상균, 곰팡이, 녹병균 및 버섯을 포함한다.
“살충성”은 식물해충의 사망률을 증가시키거나 성장률을 저해하는 물질의 능력을 의미한다.
“항진균성”은 진균을 죽이거나 저해할수 있는 물질의 능력을 의미한다.
“유효량”은 유익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일으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유효량은 1회 이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조성물”은 비활성(예를 들어, 검출가능 약품 또는 표지 또는 액체 담체)또는 활성(예를 들어, 보조제)인, 담체 또는 조성물과 같이 활성제 및 또 다른 화합물의 조합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곤충은 콜레오프테라(Coleoptera), 디프테라(Diptera), 하이메노프테라(Hymenoptera), 레피도프테라 (Lepidoptera), 말로파가(Mallophaga), 호모프테라(Homoptera), 헤미프테라(Hemiptera), 오르트로프테라(Orthroptera), 타이사노프테라 (Thysanoptera), 데르마프테라(Dermaptera), 이소프테라(Isoptera), 아노플루라 (Anoplura), 시포나프테라(Siphonaptera), 트리 코프테라(Trichoptera) 및 아카리(Acari)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곤충은 콜레오프테라 또는 레피도프테라이다. 다른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곤충은 블랙 컷웜[black cutworm, 아그로티스 입실론(Agrotis ipsilon)], 폴 아미웜fall armyworm,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페르다(Spodoptera frugiperda)], 비트 아미웜[beet armyworm, 사카로마이세스 엑시구아(S. exigua)], 옐로우 스트라이프트 아미웜[yellow striped armyworm, 사카로마이세스 오르니토갈리(S. ornithogalti)], 사우쓰웨스턴 콘 보러[Southwestern corn borer, 디아트라에아 그란디오셀라(Diatraea grandiosella)], 슈가칸 보러[Sugarcane borer, 디. 사카랄리스(D. saccharalis)], 콘 이어웜[corn earworm, 헬리코베르파 제아(Helicoverpa zea)], 메디테라네안 콘 보러[mediterranean corn borer, 세사미아 노나그로이데스(Sesamia nonagroides)], 양배추거세미나방[cabbage looper, 트리코플루시아 니(Trichoplusia ni)], 벨벳빈 카테르필라[velvetbean caterpillar, 안티카르시아 겜마탈리스(Anticarsia gemmatalis)], 배추좀나방[diamondback moth, 플루텔라 크실로스텔라(Plutella xylostella)] 및 담배나방[tobacco budworm, 헬리오티스 비레센스(Heliothis virescens)]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방제될 수 있는 작물의 병원성 진균은 하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난균(oomycetes) 그룹:
- 페로노스포라쎄과, 구체적으로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덩굴 노균병), 플라스모파라 할스테데이(해바라기 노균병), 쉐도페로노스포라 종류(구체적으로 박과 노균병(쉐도페로노스포라 쿠벤시스) 및 홉의 노균병(쉐도페로노스포라 휴물리)), 브레미아 락투세(상추의 노균병), 페로노스포라 타바씨네(담배의 노균병), 페로노스포라 데스트럭터(양파의 노균병), 페로노스포라 파라시티카(양배추의 곰팡이병), 페로노스포라 파리노사(치커리 노균병 및 사탕무뿌리의 노균병);
- 피톱토라(Phytophthora)속 예컨대 피톱토라 파세올리 (Phytophthora phaseoli), 피톱토라 씨트롭토라 (Phytophthora citrophthora), 피톱토라 캡시씨(Phytophthora capsici), 피톱토라 캑토룸(Phytophthora cactorum), 피톱토라 팔미보라(Phytophthora palmivora), 피톱토라 씨나모니 (Phytophthora cinnamoni), 피톱토라 메가스퍼마(Phytophthora megasperma), 피톱토라 파라시티카, 피톱토라 프래가리에 (Phytophthora fragariae), 피톱토라 크립토게아(Phytophthora cryptogea), 피톱토라 포리(Phytophthora porri), 피톱토라 니코티아네 (Phytophthora nicotianae), 피톱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가지과의 노균병, 구체적으로는 감자 또는 토마토의 역병(late blight));
아델로마이쎄테스(Adelomycetes)(아스코마이쎄테스, Ascomycetes) 그룹:
- 알테르나리아(Alternaria) 속, 예를 들면 알테르나리아 솔라니( Alternaria solani)(가지류, 구체적으로는 토마토 또는 감자의 겹둥근무늬병),
- 귀그나르디아(Guignardia)속, 구체적으로 귀그나르디아 비드웰리( Guignardia bidwelli)(포도의 덩굴마름병),
- 벤투리아( Venturia)속, 예를 들면 벤투리아 이나에쿠알리스(Venturia inaequalis), 벤투리아 피리나(Venturia pirina)(사과 또는 배의 검은별무늬병(scab)),
-오이디움 (Oidium)속, 예를 들면 포도덩굴의 흰가루병 (운씨눌라 네카토르)(Uncinula necator); 콩류 작물의 오이디움, 예를 들면 에리시페 폴리고니(Erysiphe polygoni)(십자화과의 흰가루병); 레베일룰라 타우리카(Leveillula taurica), 에리시페 씨코라쎄아룸(Erysiphe cichoracearum), 스파에로테카 풀리게나(Sphaerotheca fuligena)(박과의,국화류 및 토마토의 흰가루병); 에리시페 콤뮤 니스(Erysiphe communis)(양배추 및 사탕무뿌리의 흰가루병); 에리시페 피시(Erysiphe pisi)(완두 및 자주개자리의 흰가루병); 에리시페 폴리파가(Erysiphe polyphaga)(강낭콩 및 오이의 흰가루병); 에리시페 움벨리페라룸(Erysiphe umbelliferarum)(산형과 식물, 구체적으로는 당근의 흰가루병);
스파에로테카 휴물리(Sphaerotheca humuli)(홉의 곰팡이병); 보리 및 밀의 노균병(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포르마 스페씨에 트리티씨( Erysiphe graminis forma specie tritici)및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포르마 스페씨에 호르데이(Erysiphe graminis forma specie hordei)),
- 타프리나속, 예를 들면 타프리나 데포르만스(Taphrina deformans)(복숭아 잎 말림병),
- 셉토리아속, 예를 들면 셉토리아 노도룸(Septoria nodorum)또는 셉토리아 트리티씨(Septoria tritici)(곡류의 셉토리아병),
- 스클레로티니아속, 예를 들면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니움 (Sclerotinia sclerotinium),
- 쉐도쎄르코스포렐라속, 예를 들면 쉐도쎄르코스포렐라 헤르포트리코이데스 (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곡류의 안점(eyespot)병),
- 보트리티스 씨네레아 (Botrytis cinerea)(포도덩굴, 채소 및 마켓 정원 작물, 완두 및 이와 유사한 것 등) 속,
- 포모프시스 비티콜라(Phomopsis viticola)(포도덩굴의 덩굴쪼김병),
- 피레노스포라 (Pyrenospora)속 ,
-헬민토스포리움속, 예를 들면 헬민토스포리움 트리티씨 리펜티스(Helminthosporium tritici repentis)(밀의 황색 점무늬잎병) 또는 헬민토스포리움 테레스 (Helminthosporium teres)(보리의 황색점무늬잎병),
- 드레크슬레라(Drechslera)또는 피레노포라(Pyrenophora)속,
바시디오마이쎄테스(basidiomycetes) 그룹의:
- 푸씨니아속, 예를 들면 푸씨니아 레콘디타 (Puccinia recondita)또는 스트리포르미스(striiformis)(밀의 녹병), 푸씨니아 트리티씨나(Puccinia triticina), 푸씨니아 호르데이(Puccinia hordei),
- 리족토니아전종 과, 예를 들면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보다 상세하게는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다이아포르테 엑티니데아(Diaporthe actinideae), 보트리오스페리아 도치데아(Botryosphaeria dothidea), 페니실리움 디지타튬(Penicillium digitatum) 및 페니실리움 이타리쿰(Penicillium italicu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어진다.
신균주의 분리 및 동정
BT는 1986년 일본의 오바(Ohba) 와 아이자와(Aizawa)가 행한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분뇨1g을 9㎖의 무균의 인산 완충 식염수에 현탁시켰다. 열감수성 세균을 죽이기 위하여,그 현탄액을 65℃에서 30분간 가열한후, 영양아가배지 플레이트에 놓았다. 영양아가배지는 pH7.8로서, 25g의 아가와 1000㎖영양 브로스(육즙10g,폴리펩톤10g,염화나트륨2.5g,증류수1000㎖)로 이루어져있다. 플레이트를 28℃에서 3~4일동안 배양하였더니 BT 콜로니가 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B.cereus/B.thringiensis 복합체 성질을 가진것 중에서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를 형성하는 것을 BT라 하였다.
이와같이 하여 분리된 균주들은 살충성, 용혈성, 렉틴활성, 면역확산(Immunodiffusion), 면역 블랏팅(Immunoblotting)등을 통하여 분류 동정되었다.
이와 같은 BT균주를 상기와 같이 분리하여,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T) 00-FZ19-22(KCTC10716BP)라고 명명하였으며, 국제기탁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원센타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 10716BP 를 부여받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례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본 발명이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례1] 살충성 검정
살출성 테스트의 대상균주로는 나비목으로 누에나방(Bombyx mori),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을 사용하였고, 파리목에서 모기(Aedes aegypti)를 사용하였 다.
박테리아는 27℃에서 5일동안 pH7.8로서, 25g의 아가와 1000㎖영양브로스(육즙10g,폴리펩톤10g,염화나트륨2.5g,증류수1000㎖)로 이루어진 영양아가배지에서 자라게 하였더니, 내독소 단백질과 포자를 형성하였고(도 1 참조), 이를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도 2 참조), 혈청타입을 동정한 다음 내독소를 분리하였다.
활성검정은 누에나방,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모기에 대하여 하였으며 테스트방법은 이시와 오바(Ishii, T and Ohba M. (1993) Diversity of Bacillus thuringiensis environmental isolates showing larvicidal activity specific for mosquitoes. J. Gen. Microbiol. 139, 2849-2854),그리고 히구치(Higuchi, K., Saitoh, H., Mizuki, E., Ichimatsu, T. and Ohba, M. (2000) Larval susceptibility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to Bacillus thuringiensis H serovars isolated in Japan, Microbial. Res. 155, 23-29) 일-투여량 검정방법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간략하게 소개하면, 1개의 3령 유충에 포자/인클루젼 현탁액(107~108 포자/ml) 0.2ml으로 감염되어진 인공식을 3일내지 5일동안 25℃에서 공급하였다. 3일 후 치사율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반치사 농도를 산정하였다. 살충성 검정은 3번을 반복하여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1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1] 분뇨로 부터 분리되어진 Bacillus thuringiensis의 살충효과
Figure 112004055301158-pat00001
[표 2] 반치사 농도
Figure 112004055301158-pat00002
[실시례2] 항진균성 검정
(1)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대한 항진균작용 검사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T) 00-FZ19-22(KCTC10716BP)을 27℃에서 5일동안 pH7.8로서, 25g의 아가와 1000㎖ 영양브로스(육즙10g,폴리펩톤10g,염화나트륨2.5g,증류수1000㎖)로 이루어진 영양아가배지에서 자라게 한 다음, 지름 1cm의 원형 아가 블록을 떼어내어,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접종되어진 플레이트로 옮겨주어 계속 배양한 후 5일 후에 배양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2) 다이아포르테 엑티니데아(Diaporthe actinideae)에 대한 항진균작용 검사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T) 00-FZ19-22(KCTC10715BP)을 27℃에서 5일동안 pH7.8로서, 25g의 아가와 1000㎖ 영양브로스(육즙10g,폴리펩톤10g,염화나트륨2.5g,증류수1000㎖)로 이루어진 영양아가배지에서 자라게 한 다음, 지름 1cm의 원형 아가 블록을 떼어내어, 다이아포르테 엑티니데아(Diaporthe actinideae) 접종되어진 플레이트로 옮겨주어 계속 배양한 후 5일 후에 배양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3) 페니실리움 디지타튬(Penicillium digitatum) 및 페니실리움 이타리쿰(Penicillium italicum)에 대한 항진균작용 검사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T) 00-FZ52-18(KCTC10715BP), 00-FZ19-22(KCTC10716BP), 00-FZ46-12(KCTC10717BP)을 27℃에서 5일동안 pH7.8로서, 25g의 아가와 1000㎖ 영양브로스(육즙10g,폴리펩톤10g,염화나트륨2.5g,증류수1000㎖)로 이루어진 영양아가배지에서 자라게 한 다음, 지름 1cm의 원형 아가 블록을 떼어내어,페니실리움 디기타튬(Penicillium digitatum) 및 페니실리움 이타리쿰(Penicillium italicum))이 각각 접종되어진 플레이트에 옮겨주어 계속 배양한 후 5일 후에 배양결과를 도 6(A) 및 (B)에 각각 나타내었다. A는 대조군, B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00-FZ46-12(KCTC10717BP), C는 00-FZ52-18(KCTC10715BP), D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이다.
(3)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T) 00-FZ19-22(KCTC10715BP) 딸기의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의 방제효과
딸기의 성장중에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T) 00-FZ52-18(KCTC10715BP), 00-FZ19-22(KCTC10716BP), 00-FZ46-12(KCTC10717BP)의 크루드 컬쳐 균체를 뿌리고 나서, 성숙되어진 딸기를 각각 수집하여서 잿빛곰팡이의 감염 여부를 조사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A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00-FZ46-12(KCTC10717BP), B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00-FZ52-18(KCTC10715BP), C는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D는 대조군이다.
(4)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T) 00-FZ19-22(KCTC10716BP)의 항진균작용을 테스트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T)의 곰팡이균에 대한 활성정도
활성정도
B.cinerea D.actinideae B.dothidea P.digitatum P.italicum
00-FZ52-18 (KCTC10715BP) +++ + ++ +++ +
00-FZ19-22 (KCTC10716BP) +++ +++ ++ +++ +
00-FZ46-12 (KCTC10171BP) +++ +++ + +++ ++
+++, 매우 강함; ++, 강함; +,약간있음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00-FZ19-22 균주는 곤충에 대한 내독소 단백질과 포자를 형성하여, 인체에는 무해하나, 뛰어난 살충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작용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00-FZ19-22는 동물의 변에서 분리되어서 인체에 무해하여 안정성이 뛰어나다. 특히 기존에 알려진 BT제는 나비목에 살충효과가 있 는 것이 알려져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BT제는 파리목에까지 살충효과를 보이고 있어서 살충효과의 범위가 광범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는 넓은 살충성 및 항진균력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BT제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제제는 넓은 살충 및 항진균 효과를 동시에 발휘하며, 인체에는 무독하여 환경친화적인 미생물제제이다.

Claims (9)

  1. 신균주 바실러스 츄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00-FZ19-11(KCTC10716BP).
  2. 제1항 균주의 순수배양물.
  3. 제1항의 균주 또는 제2항의 순수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4. 제3항의 미생물제제의 유효량을 곰팡이균의 방제를 위하여 식물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의 방제 방법.
  5. 제3항의 미생물제제의 유효량을 곤충의 방제를 위하여 식물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의 방제 방법.
  6. 제3항의 미생물제제의 유효량을 곰팡이균과 곤충의 방제를 위하여 식물에 동시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와 곤충의 동시 방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균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다이아포르테 엑티니데아(Diaporthe actinideae), 보트리오스페리아 도치데아(Botryosphaeria dothidea), 페니실리움 디지타튬(Penicillium digitatum) 및 페니실리움 이타리쿰(Penicillium italicu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의 방제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은 콜레오프테라(coleoptera), 디프테라(Diptera), 하이메노프테라(Hymenoptera), 레피도프테라 (Lepidoptera), 말로파가(Mallophaga), 호모프테라(Homoptera), 헤미프테라(Hemiptera), 오르트로프테라(Orthroptera), 타이사노프테라 (Thysanoptera), 데르마프테라(Dermaptera), 이소프테라(Isoptera), 아노플루라 (Anoplura), 시포나프테라(Siphonaptera), 트리코프테라(Trichoptera) 및 아카리(Acari)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의 방제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균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다이아포르테 엑티니데아(Diaporthe actinideae), 보트리오스페리아 도치데아(Botryosphaeria dothidea), 페니실리움 디지타튬(Penicillium digitatum) 및 페니실리움 이타리쿰(Penicillium italicu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어지고, 상기 곤충은 콜레오프테라(coleoptera), 디프테라(Diptera), 하이메노프테라(Hymenoptera), 레피도프 테라 (Lepidoptera), 말로파가(Mallophaga), 호모프테라(Homoptera), 헤미프테라(Hemiptera), 오르트로프테라(Orthroptera), 타이사노프테라 (Thysanoptera), 데르마프테라(Dermaptera), 이소프테라(Isoptera), 아노플루라 (Anoplura), 시포나프테라(Siphonaptera), 트리코프테라(Trichoptera) 및 아카리(Acari)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팡이와 곤충의 동시 방제 방법.
KR1020040097430A 2004-11-25 2004-11-25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 KR10065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430A KR100657015B1 (ko) 2004-11-25 2004-11-25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430A KR100657015B1 (ko) 2004-11-25 2004-11-25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767A KR20050018767A (ko) 2005-02-28
KR100657015B1 true KR100657015B1 (ko) 2006-12-12

Family

ID=3722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430A KR100657015B1 (ko) 2004-11-25 2004-11-25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L2011002542A1 (es) * 2011-10-13 2012-03-02 Bio Insumos Nativa Spa Composicion insecticida biologica que comprende cepas de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formulacion agricola; metodo de aplicacion; y uso para elaborar un agente insecticida para el control de plagas por insectos en plantas tales como tuta absoluta, proeulia spp, agrotis spp y spodoptera frugisperda.
KR101644338B1 (ko) * 2014-11-04 2016-08-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살충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cab565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767A (ko) 200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ntz et al. Tandem use of selective insecticides and natural enemies for effective, reduced-risk pest management
JP6371288B2 (ja) 生物防除組成物
Abd El-Salam et al. Potency of Bacillus thuringiensis and Bacillus subtilis against the cotton leafworm, Spodoptera littoralis (Bosid.) larvae
KR101570776B1 (ko) 신규미생물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ft83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Hu et al. Decreased incidence of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improved plant vigor of oilseed rape with Bacillus subtilis Tu-100
Chanthini et al. Bacterial compounds, as biocontrol agent against early blight (Alternaria solani) and tobacco cut worm (Spodoptera litura Fab.)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Sivamani et al. Influence of some plant phenolics on the activity of δ‐endotoxin of Bacillus thuringiensis var. galleriae on Heliothis armigera
Hurst et al. Assessment of Yersinia entomophaga as a control agent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KR20160000537A (ko) 신규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274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JP5448135B2 (ja) 有害生物防除組成物
KR100657014B1 (ko)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아이자와이 00-fz52-18(kctc10715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
KR100657015B1 (ko)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00-fz19-22(kctc10716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
KR100657013B1 (ko) 살충성과 항진균성을 동시에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츄린겐시스 아종 소또 00-fz46-12(kctc10717bp) 및 이를 이용한 살충 및 살진균 방법
KR101644338B1 (ko) 살충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cab565 균주 및 이의 용도
Barker Effect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toxin on the mortality and development of the larval stages of the banded sunflower moth (Lepidoptera: Cochylidae)
KR101249283B1 (ko) 살충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kb100 균주 및 이의 용도
JP4644478B2 (ja) バーティシリウム・レカニyk−920菌株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および植物病害の防除剤
KR101649139B1 (ko) 살충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아이자와이 cab566 균주 및 이의 용도
Santos et al. Interactions of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for Plutella xylostella (L.)(Lepidoptera: Plutellidae) susceptibility
Mohan et al. Relative toxicity of subspecies of Bacillus thuringiensis against lepidopterous insect pests of agricultural importance.
KR20160000540A (ko) 신규미생물 이사리아 푸모소로세 fg340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1386329B1 (ko) 벤질리덴아세톤 유도체를 이용한 식물 병해충 방제 조성물 및 방제 방법
Miller Management of Spoladea recurvalis (Lepidoptera: Crambidae) on amaranths using biopesticides
KR101362211B1 (ko) 포토랍두스 템페라타 템프라타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살충 조성물
KR20100103190A (ko) 살충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kb099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