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376B1 -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376B1
KR100655376B1 KR1020050065609A KR20050065609A KR100655376B1 KR 100655376 B1 KR100655376 B1 KR 100655376B1 KR 1020050065609 A KR1020050065609 A KR 1020050065609A KR 20050065609 A KR20050065609 A KR 20050065609A KR 100655376 B1 KR100655376 B1 KR 100655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information
user
li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규
이은서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6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사용자가 단순히 컨텐츠를 소비 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생산하고 재분배 할 수 있는 거래 모델을 제시해 줌으로써, 개인 사용자들로 하여금 디지털 아이템을 능동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 사용자들에게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국가적으로는 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디지털 컨버젼스, 분산 거래 모델, 컨텐츠 관리 서버, 라이센스 관리 서버, MPEG-21, REL,

Description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 방법{DISTRIBUTED TRANSACTION MODELS EMBODIMENT DEVICE AND METHOD IN DIGITAL CONVERGENC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MPEG-21 DID에서 정의하고 있는 디지털 아이템의 구조를 나타낸 참조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MPEG-21 REL 스키마를 보여주는 참조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에서 제 1 단말의 사용자인 컨텐츠 제작자가 REL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나타낸 참조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 110 : 컨텐츠 관리 서버
120 : 라이센스 관리 서버 200 : 제 1 단말
300 : 제 1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 400 : 제 2 단말
500 : 제 2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
본 발명은 디지털 컨버젼스(Digital Convergence)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사용자가 단순히 컨텐츠를 소비 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생산하고 재분배 할 수 있는 거래 모델을 제시해 줌으로써, 개인 사용자들로 하여금 디지털 아이템을 능동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는 전자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메모리(Memory)의 대용량화, 프로세서(Processor) 기술의 발달, 네트워크(Network)의 광대역화가 가속화 되고, 플랫폼(Platform)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정보산업 분야에서는 플랫폼 고유의 기능 외에 새로운 서비스 및 이종 영역의 기술 및 기능의 통합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 디지털 컨버젼스란 방송, 통신, 컴퓨팅(Computing), 네트워킹(Networking) 등 이종 영역의 플랫폼, 기능, 매체 들이 상호 융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복수의 독립적인 영역별로 요구되던 중복 자원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디지털 컨버젼스에 의하면 특정한 매체를 접근하고자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간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영역별 기능들의 통합을 통한 신개념의 서비스를 창출해낼 수 있어 정보산업에 대한 사회의 다양한 환경적인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멀티미디어(Multimedia) 관련 국제적인 표준화 기술들은 압축이나 검색과 같이 멀티미디어 리소스 자체에 국한되는 기능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현대에는 인터넷의 확산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보편화가 이루어지면서 디지털 미디어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가운데 양산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제작, 유통 등의 전과정에 걸친 효과적인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체계화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다루는데 관련된 사항들을 새로이 정의해야만 한다.
또한, 각기 다른 표준 방식으로 표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은 가변적인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적응적 처리가 가능해야 하며, 이기종 단말 간에서도 자유로운 상호 호환성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런데,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미디어 생산 능력의 증가에 따라 컨텐츠 사용자와 제공자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 사용자 간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자유롭고 안전하게 유통시킬 수 있는 거래환경 모델의 개발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하지만, 기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거래 환경은 PC기반의 인터넷 단말을 통한 검색 및 획득이 주가 되어 왔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무료 아이템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IT 기반 사업구조가 지식정보 기반이 아닌 단말 및 네트워크 등의 물리적인 계층의 개발 위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는 점차 유료 디지털 아이템 서비스가 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계층 또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디지털 방송도 현재까지는 고화질/고음질의 방송 품질이 향상된 수준에서의 단 방향성 미디어 제공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주문에 바탕을 둔 향후의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응용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기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거래 환경에서는 개인 사용자가 단순히 컨텐츠를 소비 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생산하고 재분배 할 수 있는 거래 모델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디지털 아이템을 능동적으로 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사용자가 단순히 컨텐츠를 소비 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생산하고 재분배 할 수 있는 거래 모델을 제시해 줌으로써, 개인 사용자들로 하여금 디지털 아이템을 능동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 개인의 수익 창출과 함께 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디지털 컨버젼스 환 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는, 개인 사용자들이 등록한 디지털 컨텐츠들을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 및 각 컨텐츠에 해당하는 라이센스를 관리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 중 임의의 단말로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거래에 관련된 가격 및 재분배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통해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함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의 라이센스 관리를 통해 다른 단말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단말;
상기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1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 중 임의의 단말로서, 상기 제 1 단말이 제작한 컨텐츠를 자기 지역내에서 서비스 하기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를 통해 계약을 맺고, 이후 상기 제 1 단말 사용자의 최종 승인이 허락되면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 라이센스를 등록함으로 해당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제 2 단말; 및
상기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2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방법은, 컨텐츠 관리 서버 및 라이센스 관리 서버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 중 임의의 단말인 제 1 단말; 상기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1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 중 임의의 단말인 제 2 단말; 및 상기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2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로 구성된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거래에 관련된 가격 및 재분배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 1 단말이 그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가 상기 제 1 단말 사용자의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제 1 단말이 제작한 컨텐츠를 자기 지역 내에서 서비스하기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를 통해 재분배의 정책을 확인한 후 계약을 요청하면, 상기 제 2 단말이 이에 상응한 계약 요청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1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제 2 단말 사용자의 계약 요청을 최종 승인 하면, 상기 제 1 단말이 이에 대한 승인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2 단말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재분배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와 해당 라이센스 등록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로 재분배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와 해당 라이센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는 컨텐츠 관리 서버(110) 및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 중 임의의 단말인 제 1 단말(200); 상기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1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300);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 중 임의의 단말인 제 2 단말(400); 및 상기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2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50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산 거래 모델을 설계하는데 있어 차세대 멀티미디어 표준인 MPEG-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였다. 특히, MPEG-21 DID에서 정의하고 있는 디지털 아이템은 기존의 오디오, 비디오 파일과 같은 단일 멀티미디어 리소스만을 일컫는 개념이 아니라, 리소스와 관련된 부가정보나, 또는 다른 새로운 리소스 들을 함께 포함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컨텐츠로서, XML 스키마로 표현되는 메타데이터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디지털 아이템의 개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MPEG-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표준에서는 지적 재산권 보호 및 관리를 위해 권리 표준 표현 언어인 REL(Rights Expression Language)을 정의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 내에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를 구현하였다.
이 때, 상술한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는 저작권자로부터 등록받은 저작권자 정보, 저작물 정보, 계약 정보의 관리와 유통업자와의 계약에 관련된 모든 절차를 수행하고, 컨텐츠 유통에 관련된 정보와 정산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으로서, 라이센스의 주요 기술인 MPEG-21 REL은 대부분의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XML파일의 형태로 표현함으로서 영상, 음악, 문서등의 컨텐츠의 저작권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도 3은 REL을 통해 표현된 라이센스에 대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예제에서 사용하고 있는 권한은 사용횟수와 지불금액 사용가능 날짜, 그리고 라이센스가 발급된 후 몇 일간 사용할 수 있는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나, 도 3의 예에서는 플레이(Play)에 관련된 권한만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것은 복사(Copy), 프린트(Print) 등의 다양한 권한을 포함하여 REL문서를 추가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의 컨텐츠 관리 서버(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사용자들이 등록한 디지털 컨텐츠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의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는 각 컨텐츠에 해당하는 라이센스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되, 저작권자인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로부터 등록받은 저작권자 정보, 저작물 정보 및 계약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과 유통업자인 상기 제 2 단말(400)의 사용자와의 계약에 관련된 정보와 정산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컨텐츠 제작자 및 제공자인 상기 제 1 단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 중 임의의 단말로서,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거래에 관련된 가격 및 재분배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통해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110)에 등록함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의 라이센스 관리를 통해 다른 단말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도 4는 제 1 단말(200)의 사용자인 컨텐츠 제작자가 REL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 화면을 나타낸 참조 도면이다.
상기 제 1 단말(200)의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은 사용자가 거래에 관련된 가격, 재분배 정보, 각종 라이센스 정보 등과 같은 REL 관련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되, 라이센스 관리를 위해 컨텐츠 암호화/복호화를 수행 한다.
또한, 상기 제 1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3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2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 중 임의의 단말로서, 상기 제 1 단말(200)이 제작한 컨텐츠를 자기 지역내에서 서비스 하기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를 통해 계약을 맺고, 이후 상기 제 1 단말(200) 사용자의 최종 승인이 허락되면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로 라이센스를 등록함으로 해당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2 단말(400)의 사용자가 획득한 수익은 계약했던 분배 정책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와 분배한다.
또한, 상기 제 2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5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도 1과 같이 로컬 내에서 단말 상호간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에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는 상기 제 1 단말(200)에 구현된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도 4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에서 키보드를 통해 거래에 관련된 가격 및 재분배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이 때, 상기 제 1 단말(200)의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은 사용자가 거래에 관련된 가격, 재분배 정보, 각종 라이센스 정보 등과 같은 REL 관련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되, 라이센스 관리를 위해 컨텐츠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단말(200)은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110)에 등록하고(S1),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는 상기 제 1 단말(200) 사용자의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게 된다(S2). 이 때,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는 컨텐츠와 그에 해당하는 라이센스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다른 도메인과의 컨텐츠 목록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한편, 상기 제 1 단말(200)이 제작한 컨텐츠를 자기 지역 내에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상기 제 2 단말(200)의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를 통해 해당 컨텐츠의 재분배의 정책을 확인한 후 계약을 요청하면, 상기 제 2 단말(200)은 이에 상응한 계약 요청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200)로 전송한다(S3).
그러면,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는 상기 제 2 단말(400) 사용자의 계약 요청을 최종 승인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이후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가 계약 요청을 최종 승인하면, 상기 제 1 단말(200)은 이에 대한 승인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400)로 전송한다(S4).
이어서, 상기 제 2 단말(400)의 사용자는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로부터 최종 승인이 허락되면,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재분배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와 해당 라이센스 등록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 2 단말(400)은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로 재분배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와 해당 라이센스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5).
이후, 도메인 B의 제 2 단말(400)의 사용자가 획득한 수익은 계약했던 분배 정책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와 분배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개인 사용자가 단순히 컨텐츠를 소비 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생산하고 재분배 할 수 있는 거래 모델을 제시해 줌으로써, 개인 사용자들로 하여금 디지털 아이템을 능동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 개인의 수익 창출과 함께 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개인 사용자들이 등록한 디지털 컨텐츠들을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110) 및 각 컨텐츠에 해당하는 라이센스를 관리하는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 중 임의의 단말로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거래에 관련된 가격 및 재분배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통해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110)에 등록함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의 라이센스 관리를 통해 다른 단말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단말(200);
    상기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1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300);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 중 임의의 단말로서, 상기 제 1 단말(200)이 제작한 컨텐츠를 자기 지역내에서 서비스 하기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를 통해 계약을 맺고, 이후 상기 제 1 단말(200) 사용자의 최종 승인이 허락되면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로 라이센스를 등록함으로 해당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제 2 단말(400); 및
    상기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2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의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는, 저작권자인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로부터 등록받은 저작권자 정보, 저작물 정보 및 계약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과 유통업자인 상기 제 2 단말(400)의 사용자와의 계약에 관련된 정보와 정산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200)의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은, 사용자가 거래에 관련된 가격, 재분배 정보, 각종 라이센스 정보 등과 같은 REL 관련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되, 라이센스 관리를 위해 컨텐츠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400)의 사용자가 획득한 수익은 계약했던 분배 정책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와 분배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 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5. 컨텐츠 관리 서버(110) 및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 중 임의의 단말인 제 1 단말(200); 상기 도메인 A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1∼N)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1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300);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 중 임의의 단말인 제 2 단말(400); 및 상기 도메인 B에 속한 다수개의 단말(a∼k)의 컨텐츠 목록을 관리하는 제 2 컨텐츠 목록 관리 서버(500)로 구성된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거래에 관련된 가격 및 재분배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 1 단말(200)이 그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한 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110)에 등록하는 제 1 단계(S1);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가 상기 제 1 단말(200) 사용자의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제 2 단계(S2);
    상기 제 2 단말(200)의 사용자가 상기 제 1 단말(200)이 제작한 컨텐츠를 자기 지역 내에서 서비스하기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를 통해 재분배의 정책을 확인한 후 계약을 요청하면, 상기 제 2 단말(200)이 이에 상응한 계약 요청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 (20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S3);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가 상기 제 2 단말(400) 사용자의 계약 요청을 최종 승인하면, 상기 제 1 단말(200)이 이에 대한 승인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 센터(100)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400)로 전송하는 제 4 단계(S4); 및
    상기 제 2 단말(400)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을 이용하여 재분배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와 해당 라이센스 등록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 2 단말(400)이 상기 라이센스 관리 서버(120)로 재분배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와 해당 라이센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제 5 단계(S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S1)에서 상기 제 1 단말(200)의 멀티미디어 패키징 툴은, 사용자가 거래에 관련된 가격, 재분배 정보, 각종 라이센스 정보 등과 같은 REL 관련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되, 라이센스 관리를 위해 컨텐츠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S5) 이후, 상기 제 2 단말(400)의 사용자가 획득한 수익은 계약했던 분배 정책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200)의 사용자와 분배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방법.
KR1020050065609A 2005-07-20 2005-07-20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방법 KR100655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09A KR100655376B1 (ko) 2005-07-20 2005-07-20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09A KR100655376B1 (ko) 2005-07-20 2005-07-20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376B1 true KR100655376B1 (ko) 2006-12-08

Family

ID=3773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609A KR100655376B1 (ko) 2005-07-20 2005-07-20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3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248A (ko) * 2000-04-14 2000-07-05 주진용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상호작용에 의한 웹캐스팅방법
KR20020011670A (ko) * 2000-08-03 2002-02-09 고종현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축하여 판매하는 방법
KR20040088621A (ko) * 2003-04-10 2004-10-20 황병욱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그 이용허락권의 재판매를 위한라이센스 중계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248A (ko) * 2000-04-14 2000-07-05 주진용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상호작용에 의한 웹캐스팅방법
KR20020011670A (ko) * 2000-08-03 2002-02-09 고종현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축하여 판매하는 방법
KR20040088621A (ko) * 2003-04-10 2004-10-20 황병욱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그 이용허락권의 재판매를 위한라이센스 중계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5281B1 (en) Managing digital rights for multiple assets in an envelope
JP4755059B2 (ja) Drmライセンス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US11645369B2 (en) Blockchain digital rights management streaming library
US9083726B2 (en) Automatic content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US20130030956A1 (en) Content open licensing system for application store and method thereof
Delgado et al. Standardisation of the mana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multimedia content
US11157633B1 (en) Digital content delivery system
US9122844B2 (en) Proxy device for managing digital rights
KR100655376B1 (ko)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의 분산 거래 모델 구현 장치 및방법
Llorente et al. Standards-based architectures for content management
Torres et al. Open DRM and the Future of Media
Barlas Digital rights expression languages (DRELs)
Delgado et al. Rights management in architectures for distributed multimedia content applications
Guo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using XrML
Serrão et al. From OPIMA to MPEG IPMP-X: A standard's history across R&D projects
Matheus Authorization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the geospatial domain
Delgado Mercè et al. A mobile Scenario for Electronic Publishing based on the MIPAMS Architecture
WO2023272729A1 (zh) 著作物流通资源生成与分享方法、装置、设备和平台
WO2023272731A1 (zh) 著作物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Hidalgo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challenges for an E2E DRM content business integration platform
KR100648399B1 (ko) 양방향 분산거래 지적재산권 관리보호 시스템 및 운용방법
Götze et al. License4grid: Adopting drm for licensed content in grid environments
Delgado et al. Digital rights and privacy policies management as a service
Bosi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Pitkänen Managing Rights in Information Products on the Mobile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