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831B1 - 디스플레이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831B1
KR100654831B1 KR1020040110331A KR20040110331A KR100654831B1 KR 100654831 B1 KR100654831 B1 KR 100654831B1 KR 1020040110331 A KR1020040110331 A KR 1020040110331A KR 20040110331 A KR20040110331 A KR 20040110331A KR 100654831 B1 KR100654831 B1 KR 100654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stand
display
swi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658A (ko
Inventor
황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8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기립설치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본체 및 상기 스탠드 사이에 마련된 본체지지부와; 상기 스탠드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지지부를 승강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승강구동부를 갖는 승강유닛과; 상기 스탠드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스위블구동부를 갖는 스위블유닛과; 상기 승강유닛 및 상기 스위블유닛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본체를 용이하게 승강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지지장치{DISPLAY SUPPOR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지지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지지장치의 승강유닛 및 스위블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지지장치의 작동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지지장치 5 : 디스플레이본체
10 : 본체지지부 11 : 본체지지브래킷
15 : 연결브래킷 20 : 베이스
30 : 스탠드 31 : 스탠드케이싱
35 : 상부지지대 40 : 승강유닛
41 : 승강가이드 43 : 승강슬라이더
51 : 승강구동부 53 : 승강스크루
60 : 스위블유닛 61 : 회동부
62 : 제1회동부 63 : 제2회동부
65 : 연결부재 71 : 스위블구동부
80 : 컨트롤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본체의 승강 및 좌우방향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지지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본체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본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디스플레이본체는 주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이 평면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되며, 최근에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도록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디스플레이지지장치는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본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의 일예로 한국특허출원 제10-2002-66642호에 디스플레이의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지지장치는 베이스와, 베이스 위에 설치되는 지지케이스와, 지지케이스를 관통하고 하단부가 베이스에 안착되어 디스플레이의 하중을 지지하는 축 형상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는 상단브래킷을 포함한다.
지지부재는 대형 디스플레이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실린더와 같은 구성 으로 마련된다.
상부브래킷은 디스플레이가 지지부재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은 디스플레이에 결합되고 타측은 지지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종래의 디스플레이지지장치는 대형 디스플레이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하로도 승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지지장치는 대형 디스플레이를 승강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승강 및 좌우방향의 회전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면 더욱 사용이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본체를 용이하게 승강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기립설치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본체 및 상기 스탠드 사이에 마련된 본체지지부와; 상기 스탠드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지지부를 승강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승강구동부를 갖는 승강유닛과; 상기 스탠드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스위블구동부를 갖는 스위블유닛과; 상기 승강유닛 및 상기 스위블유닛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스탠드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가이드와;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기 승강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스탠드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승강슬라이더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슬라이더와 나사결합된 승강스크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블유닛은, 상기 본체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승강슬라이더와 함께 승강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스위블구동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스위블구동부 및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마련된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동하도록 기어로 마련된 제1회동부와, 상기 스위블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회동부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기어형상으로 마련된 제2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본체지지브래킷과; 상기 본체지지브래킷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마련된 연결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승강구동부 및 상기 스위블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베이스 및 스탠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조작패널 및 리모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지지장치(1)는 베이스(20)와, 베이스(20)에 기립설치된 스탠드(30)와, 스탠드(30)에 대해 디스플레이본체(5)를 지지하도록 디스플레이본체(5) 및 스탠드(30) 사이에 마련된 본체지지부(10)와, 스탠드(30)에 마련되어 본체지지부(10)를 승강하도록 본체지지부(10)에 대해 결합된 승강구동부(51)를 갖는 승강유닛(40)과, 스탠드(30)에 마련되어 본체지지부(1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본체지지부(10)에 대해 결합된 스위블구동부(71)를 갖는 스위블유닛(60)과, 승강유닛(40) 및 스위블유닛(60)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본체(5)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이 평면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본 발명의 일예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없는 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본체(5)에는 후술할 본체지지브래킷(11)에 마련된 본체결합홀(13)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복수의 걸림돌기부(미도시)가 마련된다.
베이스(20)는 바닥면과 같은 설치면에 안착되도록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베이스(20)는 후술할 스탠드케이싱(31)의 단부를 수용하여 스크루 등으로 결합하는 케이싱장착부(21)와, 후술할 승강가이드(41)의 단부와 체결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가이드체결부(25)를 포함한다. 베이스(2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승강유닛(40) 및 스위블유닛(60)을 제어하도록 조작가능하게 컨트롤러(80)가 마련된다.
스탠드(30)는 베이스(20)의 판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스탠드(30)는 거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스탠드케이싱(31)과, 후술할 본체지지부(10)의 연결브래킷(15)이 관통하도록 스탠드케이싱(31)의 일측에 형성된 브래킷관통부(33)를 포함한다. 스탠드케이싱(31)의 상측에는 후술할 승강가이드() 및 승강스크루(53)를 지지하도록 스탠드케이싱(31)과 스크루 등에 의해 결합된 상부지지대(35)를 더 포함한다.
브래킷관통부(33)는 디스플레이본체(5)가 스탠드(30)에 대해 승강 및 좌우방향 회전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지지부(10)는 디스플레이본체(5)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본체지지브래킷(11)과, 본체지지브래킷(11)과 후술할 연결부재(65) 사이에 마련된 연결브래킷(15)을 포함한다.
본체지지브래킷(11)은 디스플레이본체(5)에 대응하여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디스플레이본체(5)의 걸림돌기부(미도시)를 수용하여 결합하도록 복수의 본체결합홀(13)이 마련된다. 본체결합홀(13)은 4개로 마련되나, 3개 이하 혹은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브래킷(15)의 일측은 본체지지브래킷(11)의 배면에 스크루(17)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브래킷(15)의 타측은 후술할 연결부재(65)에 스크루(17)에 의해 결합된다. 연결브래킷(15)은 스탠드케이싱(31)의 브래킷관통부(33)를 통과해 연결부재(65)에 결합된다.
승강유닛(40)은 스탠드(3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가이드(41)와, 본체지지부(10)에 대해 결합되며 승강구동부(51)에 의해 승강가이드(4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슬라이더(43)를 포함한다. 승강유닛(40)은 승강구동부(51)에 의해 회전되도록 스탠드(3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승강슬라이더(43)를 승강시키도록 승강슬라이더(43)와 나사결합된 승강스크루(53)를 더 포함한다. 승강유닛(40)은 디스플레이본체(5)를 대략 500mm 정도 승강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승강유닛(40)은 디스플레이본체(5)를 500mm 미만 혹은 500mm 보다 더 길게 승강시킬 수도 있다.
승강가이드(41)의 하측은 베이스(20)의 가이드체결부(25)에 결합되고, 상측은 상부지지대(35)에 결합된다. 승강가이드(41)는 원형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스탠드케이싱(31)의 내측에 상호 이격되게 4개로 마련된다. 그러나, 승강가이드(41)는 3개 이하 혹은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각 승강가이드(41)는 승강슬라이더(4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승강슬라이더(43)를 관통하여 결합한다.
승강슬라이더(43)는 승강가이드(41)와 결합가능하게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승강슬라이더(43)는 스탠드케이싱(31)의 내측에 마련되며, 승강가이드(4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승강슬라이더(43)에는 승강가이드(41)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가이드결합공(45)과, 승강스크루(53)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스크루결합공(46)이 형성된다.
스크루결합공(46)에는 승강스크루(53)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다.
승강구동부(51)는 승강스크루(53)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51)는 스탠드케이싱(31)의 하부영역에 마련된 하부지지대(55)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지지대(55)는 승강가이드(41)를 따라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승강가이드(41) 및 스탠드케이싱(31)에 결합된다. 하부지지대(55)는 승강가이드(4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하측에 마련된 하부지지대(55)는 승강구동부(51)와 스크루 등에 의해 결합되며, 상측에 마련된 하부지지대(55)는 승강스크루(5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승강스크루(53)는 상측이 상부지지대(3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이 승강구동부(51)에 결합된다. 승강스크루(53)는 원형단면을 갖도록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중앙영역에는 승강슬라이더(43)의 스크루결합공(46)에 결합되어 승강슬라이더(43)를 승강가이드(41)를 따라 승강시키도록 나사부(54)가 마련되다.
이에, 승강유닛(40)은 승강구동부(51)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 한 쌍의 승강슬라이더(43)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스위블유닛(60)은 본체지지부(10)와 결합되며 승강슬라이더(43)와 함께 승강하는 연결부재(65)와, 스위블구동부(71)에 의해 연결부재(65)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스위블구동부(71) 및 연결부재(65) 사이에 마련된 회동부(61)를 포함한다. 스위블유닛(60)은 디스플레이본체(5)를 좌우방향으로 각각 대략 20도 정도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스위블유닛(60)은 디스플레이본체(5)를 좌우방향 으로 각각 대략 20도 미만 혹은 20도 보다 더 큰 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연결부재(65)는 한 쌍의 승강슬라이더(43) 사이에 마련되어 승강슬라이더(43)와 함께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며, 회동부(61)와 결합되어 스위블구동부(7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연결부재(65)는 연결브래킷(15)과 스크루(17)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브래킷체결부(68)와, 승강스크루(53)가 간섭없이 관통하도록 승강스크루(53)의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승강스크루관통부(67)가 마련된다. 연결부재(65)의 하측에는 후술할 제1회동부(62)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부(61)는 연결부재(65)와 함께 회동하도록 기어로 마련된 제1회동부(62)와, 스위블구동부(71)에 의해 회전하며 제1회동부(62)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기어형상으로 마련된 제2회동부(63)를 포함한다.
제1회동부(62)는 연결부재(65)의 하측에는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나, 제1회동부(62)는 연결부재(65)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회동부(62)에는 연결부재(65)와 같이 승강스크루(53)가 간섭없이 관통하도록 승강스크루(53)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승강스크루관통부(67)가 마련된다.
제2회동부(63)는 회전가능하게 스위블구동부(71)와 연결되며, 제1회동부(62)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제1회동부(62)의 일측에 마련된다.
스위블구동부(71)는 제2회동부(63)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스위블구동부(71)는 승강슬라이더(43)에 스크루 등으로 결합되어 승강슬라이더(43)와 일체로 승강하게 된다.
컨트롤러(80)는 승강구동부(51) 및 스위블구동부(71)를 제어하도록 베이스(20) 및 스탠드(3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그러나, 컨트롤러(80)는 승강구동부(51) 및 스위블구동부(71)를 제어하도록 리모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조작패널 없이 리모콘만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지지장치(1)의 작동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본체(5)를 승강시키기 위해 컨트롤러(80)를 조작한다. 이때, 승강구동부(51)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게 되며, 그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스크루(53)와 결합된 승강슬라이더(43)가 승강하게 되어 연결부재(65) 및 본체지지부(10)가 승강함으로써 디스플레이본체(5)를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본체(5)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컨트롤러(80)를 조작한다. 이때, 스위블구동부(71)가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게 되며, 그 회전방향에 따라 제2회동부(63) 및 제1회동부(62)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1회동부(62)와 결합된 연결부재(65) 및 본체지지부(10)가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본체(5)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본체와 결합된 본체지지부를 승강하도록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승강구동부를 갖는 승강유닛과, 본체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스위블구동부를 갖는 스위블유닛과, 승강유닛 및 스위블유닛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본체를 용이하게 승강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본체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게 승강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본체를 용이하게 승강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기립설치되며, 스탠드케이싱을 갖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본체 및 상기 스탠드 사이에 마련된 본체지지부와;
    상기 스탠드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지지부를 승강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승강구동부를 갖는 승강유닛과;
    상기 스탠드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스위블구동부를 갖는 스위블유닛과;
    상기 승강유닛 및 상기 스위블유닛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 및 상기 스위블유닛은 상기 스탠드케이싱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스탠드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가이드와;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기 승강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스탠드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승강슬라이더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슬라이더와 나사결합된 승강스크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유닛은,
    상기 본체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승강슬라이더와 함께 승강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스위블구동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스위블구동부 및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마련된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동하도록 기어로 마련된 제1회동부와,
    상기 스위블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회동부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기어형상으로 마련된 제2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본체지지브래킷과;
    상기 본체지지브래킷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마련된 연결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승강구동부 및 상기 스위블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베이스 및 스탠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조작패널 및 리모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
  8.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는 본체지지브래킷을 갖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기립설치되며, 개구된 브래킷관통부가 형성된 스탠드케이싱을 갖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대해 상기 본체지지브래킷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브래킷 및 상기 스탠드 사이에 마련된 본체지지부와;
    상기 스탠드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지지부가 상기 스탠드케이싱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승강구동부를 갖는 승강유닛과;
    상기 스탠드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지지부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지지부에 대해 결합된 스위블구동부를 갖는 스위블유닛과;
    상기 승강유닛 및 상기 스위블유닛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지지브래킷은 상기 브래킷관통부 사이를 승강 및 스위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 및 상기 스위블유닛은 상기 스탠드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지지장치.
KR1020040110331A 2004-12-22 2004-12-22 디스플레이지지장치 KR100654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331A KR100654831B1 (ko) 2004-12-22 2004-12-22 디스플레이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331A KR100654831B1 (ko) 2004-12-22 2004-12-22 디스플레이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658A KR20060071658A (ko) 2006-06-27
KR100654831B1 true KR100654831B1 (ko) 2006-12-08

Family

ID=3716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331A KR100654831B1 (ko) 2004-12-22 2004-12-22 디스플레이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14A1 (ko) * 2022-08-31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12B1 (ko) * 2015-07-14 2016-11-04 주식회사 하우앳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706A (ja) * 1989-09-05 1991-04-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構造物の姿勢制御方法
US6189842B1 (en) 1999-06-21 2001-02-20 Palo Alto Design Group Tilt and swivel adjustment of flat panel display having detents for landscape and portrait positions and kickout for preventing contact between flat panel display and base
KR200250276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와이드 자동 승하강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장치
KR200310878Y1 (ko) * 2003-01-13 2003-04-21 신 주 싱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표시 모니터용 자동 조절 지지대
KR100435232B1 (ko) 2002-08-09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모니터의 받침대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706A (ja) * 1989-09-05 1991-04-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構造物の姿勢制御方法
US6189842B1 (en) 1999-06-21 2001-02-20 Palo Alto Design Group Tilt and swivel adjustment of flat panel display having detents for landscape and portrait positions and kickout for preventing contact between flat panel display and base
KR200250276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와이드 자동 승하강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장치
KR100435232B1 (ko) 2002-08-09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모니터의 받침대 구조
KR200310878Y1 (ko) * 2003-01-13 2003-04-21 신 주 싱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표시 모니터용 자동 조절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14A1 (ko) * 2022-08-31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658A (ko)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981B1 (ko) 디스플레이의 스탠드
KR100630969B1 (ko) 디스플레이장치
CN1937090B (zh) 显示装置
CN107613809A (zh) 可伸缩的显示器
US7490804B2 (en) Mount system for a monitor having a motorized tilt
US20090101780A1 (en) Flat screen tv bracket for a vehicle
KR20090117163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598619B1 (ko) 차량용 모니터의 팝업장치
CN201127074Y (zh) 一种平板电视的电动支架
KR100654831B1 (ko) 디스플레이지지장치
KR100811779B1 (ko)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KR20190017623A (ko)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KR100872350B1 (ko)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JPH07270163A (ja) 測量用三脚における昇降機構
JP2005184506A (ja) テレビスタンド
KR100526959B1 (ko) 이동식 디스플레이 고정 장치
KR100928443B1 (ko) 디스플레이패널의 시야각 조절용 마운팅 장치
KR200367764Y1 (ko)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JPS6028250Y2 (ja) 器機用テ−ブル
KR100808453B1 (ko) Tv 모니터용 스탠드장치
KR100845597B1 (ko) 평판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 시스템
JP3355162B2 (ja) 壁パネル固定具
CN219867284U (zh) 底座、支撑架及显示装置
KR200358014Y1 (ko) Tv의 위치조절장치, 및 위치조절장치가 장착된 tv
KR102642048B1 (ko) 디스플레이 업/다운 및 틸팅 가능한 이동식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