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432B1 -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432B1
KR100654432B1 KR20040025415A KR20040025415A KR100654432B1 KR 100654432 B1 KR100654432 B1 KR 100654432B1 KR 20040025415 A KR20040025415 A KR 20040025415A KR 20040025415 A KR20040025415 A KR 20040025415A KR 100654432 B1 KR100654432 B1 KR 10065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wirel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cket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211A (ko
Inventor
안철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2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432B1/ko
Priority to JP2005115160A priority patent/JP2005304042A/ja
Priority to US11/103,501 priority patent/US20050226206A1/en
Priority to EP20050252278 priority patent/EP1596545A2/en
Priority to CNA2005100641872A priority patent/CN1684442A/zh
Publication of KR2005010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자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통신에 관한 발명으로서,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제2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조정자 기반의 네트워크 장치는 데이터 프레임 영역과 정보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무선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IEEE802.15.3, 피코넷

Description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environment}
도 1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애드 혹 모드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조정자 기반 무선 네트워크 간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유무선 브릿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유무선 브리지
605: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615: 제어부
620: 저장부
625: 전송모드 판별부
630: 패킷 변환부
610: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유선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통한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간의 통신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최근의 네트워크 환경은 동축 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과 같은 유선 매체를 이용하는 유선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이동성(mobility)이 가능하며,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이하, '무선 네트워크 장치'라고 한다)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이 효율적으로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크게 2가지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형태로서, '인프라스트럭쳐 모드(infrastructure mode)의 무선 네트워크'라고도 한다.
또다른 형태로서,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형태로서, '애드 혹 모드(ad-hoc mode)의 무선 네트워크'라고도 한다.
인프라스트럭쳐 모드(infrastructure mode)의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를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거나,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간에 통신을 하기 위하여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가 데이터 전달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데이터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거쳐야 한다.
애드 혹 모드(ad-hoc mode)의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같은 중계 장치를 거치지 않고, 단일의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이 직접 서로에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형태는 다시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단일의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 중 임의로 선정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이하, '채널 시간(channel time)'이라 한다)을 할당해 주는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은 정해진 채널 시간(channel time)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형태와, 상기와 같이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존재하지 않고, 모든 네트워크 장치들이 자신이 원할 때면 언제든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형태가 있다.
이 때, 전자의 경우, 즉 조정자 역할을 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존재하는 네트워크 형태(이하, '조정자 기반 무선망'이라고 한다)는 상기 조정자를 중심으로 독립된 단일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고, 일정한 공간 내에 다수의 조정자 기반 무선망이 존재하는 경우에 각각의 조정자 기반 무선망은 다른 조정자 기반 무선망과 구별하기 위하여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게 된다.
따라서, 특정한 조정자 기반 무선망에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은 자신이 속한 조정자 기반 무선망에서는 조정자에 의해 정해진 채널 시간(channel time) 동안에 다른 네트워크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다른 조정자 기반 무선망에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는 통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조정자 기반 무선망(310, 320, 330)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1(310)이 1층 거실에 구축되어 있고, 무선 네트워크-2(320)가 2층 공부방에 구축되어 있고, 무선 네트워크-3(330)이 1층 침실에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만일, 사용자가 2층 공부방에서 휴대용 동영상 플레이어(325)를 이용하여 1층 거실에 있는 미디어 서버(315)에 저장된 영화를 보려고 할 경우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1(310)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2(320)사이에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영화를 감상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화를 보기 위해서는 1층 거실로 내려와야 하는 불편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선 전파의 도달 거리 제한, 다른 조정자 기반 무선망에 관한 정보의 부존재, 채널 시간(channel time)의 할당 문제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조정자 기반 무선망에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를 구성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정자 기반 무선망을 유선 백본(backbone)을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상이한 조정자 기반 무선망에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간에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제2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 장치는, 데이터 프레임 영역과 정보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무선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프로 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통신 장치들간의 접근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패킷은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무선 패킷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전송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1 전송 모드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상이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2 전송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중계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영역과 정보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유선 패킷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유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통신 장치들간의 접근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패킷은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무선 패킷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전송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1 전송 모드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이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2 전송 모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모드 정보가 상기 제1 전송 모드인 경우에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무선 패킷을 폐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모드 정보가 상기 제2 전송 모드인 경우에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유선 패킷으로 변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상기 유선 네트워크로부터 유선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유선 패킷을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무선 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상기 무선 패킷을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 방법은 무선 장치가 데이터 프레임 영역과 정보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송신하는데,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상 기 무선 패킷을 송신하는 무선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무선 장치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기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송신하는 (a) 단계와,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중계 장치가 상기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b) 단계와,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유선 패킷으로 변환하는 (c)단계 및 상기 유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무선 장치들간의 접근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패킷은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무선 패킷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전송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1 전송 모드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상이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2 전송 모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는 상기 전송 모드 정보가 상기 제2 전송 모드인 경우에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유선 패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 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도록 기구를 만들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미국 전기 전자 학회)802.15.3은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국제표준협회(ISO)가 발표한 네트워크 모델에 관한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개방 시스템 상호 연결) 7 계층(Layer) 중 물리계층(Physical Layer)에 해당하는 PHY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Data-link Layer)에 해당하는 MAC(Medimum Access Control) 계층에 대한 표준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조정자 기반 무선망에 대한 실시예로서 상기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work, 이하 'WPAN'이라고 칭한다)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MAC계층을 중심으로 다수의 WPAN을 유선 백본(backbone)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서로 다른 WPAN에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WPAN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디바이스'라고 하고, 적어도 1이상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의 네트워크를 '피코넷(piconet')이라고 하므로, 용어의 통일을 위해 이하에서는 WPAN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400)은 다수의 피코넷 (420, 460, 480)과, 상기 피코넷들과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440)와 상기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게이트웨이(410)와, 상기 각각의 피코넷들(420, 460, 480)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440)와 연결하는 중계 장치(422, 462, 482)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코넷(420, 460, 480)들의 명확한 구별을 위해 각각 '제1 피코넷(420)', '제2 피코넷(460)', '제3 피코넷(48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각각의 피코넷에 속하는 디바이스들 중 조정자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 가 선택될 수 있는데, WPAN에서는 조정자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를 '피코넷 코디네이터(Piconet coordinator)'라고 하며, 이하에서는 'PNC'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계 장치를 보다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 상기 제1 피코넷(420)에 속한 중계 장치(422)를 '제1 중계 장치', 상기 제2 피코넷(460)에 속한 중계 장치(462)를 '제2 중계 장치', 상기 제3 피코넷(480)에 속한 중계 장치(482)를 '제3 중계 장치'라고 칭하기로 하는데, 상기 중계 장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에 따라 라우터, 유무선 브릿지, 디바이스 또는 PN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계 장치가 유무선 브릿지인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400)은 '192.168.9.x'와 같은 IP 서브넷(subnet)을 형성하고 있고, 각각의 피코넷(420, 460, 480)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피코넷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선 네트워크(440)는 동축 케이블(coax cable), 광 케이블, 전력선, 전화선 등 통신 가능한 매체에 기반하는 어떠한 방식의 유선 네트워크 프로토콜(protocol)도 따를 수 있다. 어떠한 유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따르느냐 하는 것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리적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르면, 예컨대 디바이스-1_1(430)이 디바이스-1_2(435)과 통신하려는 경우, 즉 같은 피코넷 내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종래의 IEEE802.15.3 규격을 따르면 된다. 그러나, 상기 디바이스-1_1(430)이 제2 피코넷(460)에 속하는 디바이스-2_1(465)과 통신하려고 하면, 우선, 제1 중계 장치(422)가 상기 디바이스-1_1(430)이 송신한 무선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1 중계 장치(422)는 상기 무선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유선 패킷을 생성한다. 이것은 전송 매체 특성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의 구조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패킷 구조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중계 장치(422)에 의해 생성된 유선 패킷은 유선 네트워크(440)를 통하여 제2 중계 장치(462)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유선 패킷이 상기 제1 중계 장치(422)로부터 상기 제2 중계 장치(462)로 전달되는 방법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에 의한 방법도 가능하고, 상기 제2 중계 장치(462)에게로만 직접 전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중계 장치(462)는 상기 제1 중계 장치(422)로부터 수신한 유선 패킷을 다시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무선 패킷의 형태로 변환시킨 후, IEEE802.15.3 규격에 있는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 과정을 거쳐 상기 디바이스-2_1(465)로 상기 무선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디바이스-1_1(430)이 전송한 패킷에 대한 응답 과정은 상기 디바이스-1_1(430)와 상기 제1 중계 장치(422) 사이, 상기 제1 중계 장치(422)와 상기 제2 중계 장치(462) 사이, 상기 제2 중계 장치(462)와 상기 디바이스-2_1(465)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디바이스-1_1(430)와 디바이스-2_1(465) 사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상기와 같은 통신 메커니즘을 수행하기 위해서 종래의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프레임 구조만으로는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종래의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프레임 구조를 변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프레임 구조의 변경은 중계 장치(422, 462, 482)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바, 본 발명에서는 중계 장치(422, 462, 482)로서 유무선 브릿지를 이용하기로 하며, 이에 따른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모든 피코넷과 유선 백본(backbone)은 단일의 IP 서브넷(subnet)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무선 브릿지는 자신이 속해 있는 피코넷에서는 디바이스 또는 PNC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IEEE802.15.3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맥(MAC) 프레임을 변형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특히 프레임 바디(520)의 'PNID_b' 정보 필드(523)와 헤더(header)(510)의 'Frame control' 정보 필드(512) 중 'Reserved' 영역(513)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이하, 각각의 중요한 정보 필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맥(MAC) 프레임(500)은 크게 맥(MAC) 프레임의 여러 가지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header)(510)과 프레임 바디(52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프레임 바디(520)는 상기 IEEE802.15.3의 규격을 따르는 프로토콜 수트(protocol suite) 중 맥 계층(MAC layer)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페이로드(payload)(522)로 하고, 프레임 전송 오류를 판별하는 FCS(Frame Check Sum) 정보 필드(524)를 포함한다. 예컨데,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이 맥 계층(MAC layer)의 상위 계층일 경우에는 상기 페이로드(payload)(522)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실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더(header)(510)에는 피코넷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나타 내는 'PNID(Piconet Identifier)' 정보 필드(514)와, 상기 맥 프레임(MAC frame)을 전송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식별하는 'SrcID' 정보 필드(518)와, 상기 맥 프레임(MAC frame)을 수신하는 타켓이 되는 디바이스(device)를 식별하는 'DestID' 정보 필드(5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무선 통신 방식에 있어서는, 상기 'PNID' 정보 필드(514)에 의해 식별되는 단일의 피코넷에 속하는 디바이스(device)들 간에만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피코넷에 속하는 디바이스들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코넷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PNID' 정보 필드가 2군데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프레임 바디(frame body)(520)에 별도의 'PNID' 정보 필드(523)를 설정하고, 헤더(header)(510)에 속한 'PNID' 정보와의 구별하기 위하여 프레임 바디(frame body)(520)에 속한 'PNID' 정보를 'PNID_b'로 나타내기로 한다.
한편, 각각의 유무선 브릿지들은 자신이 속한 피코넷에서 수신한 패킷의 최종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피코넷에 있는 디바이스인지, 다른 피코넷에 있는 디바이스인지 구별할 필요가 있다. 물론 상기 'PNID' 정보(514)를 소스 피코넷 식별 정보로, 상기 'PNID_b' 정보(523)를 목적 피코넷 식별 정보로 미리 정의하던지, 아니면 그 역으로 정의할 수도 있지만, 소스 피코넷 식별 정보와 목적 피코넷 식별 정보를 간접적으로 알려 주는 별도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별도의 정보를 '전송 모드 정보'라고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단일의 피코넷에 속하는 디바이스들 간에 송수신 되는 패킷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피코넷에 속하는 디바이스들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인지를 나타내 주는 정보로서, 상기 도 5에서 도시한 헤더(header)(510)의 'frame control' 정보 필드(512) 중 'Reserved' 영역(513)을 이용할 수 있다. IEEE802.15.3 규격에서는 상기 'frame control' 필드를 정의하고 있고, 상기 'Reserved' 영역을 5비트로 할당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Reserved' 영역의 2비트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2비트가 '01'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PNID'정보(514)는 목적 피코넷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PNID_b'정보(523)는 소스 피코넷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DestID'정보는 상기 'PNID'정보(514)에 의해 식별되는 피코넷에 속하는 목적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SrcID'정보는 상기 'PNID_b'정보(523)에 의해 식별되는 피코넷에 속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2비트가 '10'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PNID'정보(514)는 소스 피코넷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PNID_b'정보(523)는 목적 피코넷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DestID'정보는 상기 'PNID_b'정보(523)에 의해 식별되는 피코넷에 속하는 목적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SrcID'정보는 상기 'PNID'정보(514)에 의해 식별되는 피코넷에 속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2비트가 '11'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PNID'정보(514)와, 상 기 'PNID_b'정보(523)는 동일하며, 이러한 경우는 동일한 피코넷에 속하는 디바이스들간에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유무선 브릿지들은 상기 전송 모드 정보만으로도 자신이 수신한 무선 패킷을 다른 피코넷으로 전송해야 할지, 아니면 그냥 폐기해도 되는지를 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유무선 브릿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유무선 브릿지(600)는 피코넷을 통하여 무선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0)와, 유선 네트워크(650)와 연결되어 유선 패킷을 송수신하는 유선 네트워크 인테페이스부(610)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5)가 수신한 무선 패킷을 전달받아, 상기 무선 패킷에 포함된 전송 모드 정보로부터 전송 모드를 판별하는 전송 모드 판별부(625)와, 상기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650)를 통하여 다른 피코넷으로 전송하기 위해 유선 패킷으로 변환하는 패킷 변환부(630)와, 상기 유선 네트워크(650)로 연결된 다른 피코넷의 식별 정보와 다른 유무선 브릿지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저장부(620)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5), 상기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0), 상기 전송 모드 판별부(625), 상기 패킷 변환부(630) 그리고 상기 저장부(620)들 간의 발생하는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제어부(615)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전송 모드 판별부(625)와, 상기 패킷 변환부(630)와, 상기 제어부(615)는 단일의 집적 회로 칩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디바이스(670)는 데이터 프레임 영역과 정보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생성하는 디바이스 제어부(672)와, 상기 생성된 무선 패킷을 송신하는 송수신부(67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기 유무선 브릿지(600)와 상기 디바이스(67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유무선 브릿지가 피코넷으로부터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선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하고,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예를 든 내용으로 한다. 또한,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 과정은 IEEE802.15.3 규격에 따르고, 상기 유무선 브릿지가 피코넷으로부터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 이미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전체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1.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1) 동일 피코넷에 속하는 디바이스간에 통신을 하는 경우
예컨대, 상기 디바이스-1_1(430)가 디바이스-1_2(435)와 통신을 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1_1(430)을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디바이스(670)로, 상기 제1 중계 장치(422)를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유무선 브릿지(600)로 가정한다. 우선, 상기 디바이스(670)의 디바이스 제어부(672)는 상기 도 5에서 도시한 맥 프레임(500)에 있는 헤더(header)(510)의 'frame control' 정보 필드(512) 중 'Reserved' 영역(513)에 '11'를 설정하고, 'PNID_b' 정보 필드(523)와 'PNID' 정보 필드(514)에는 상기 디바이스(670)와 상기 디바이스-1_2(435)가 속하는 피코넷 식별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DestID' 정보 필드(516)에는 상기 디바이스-1_2(435)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SrcID' 정보 필드(518)에는 상기 디바이스(670)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디바이스(670)의 송수신부(674)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맥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때, 유무선 브릿지(600)에 있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5)는 상기 무선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전송 모드 판별부(625)가 상기 수신된 무선 패킷으로부터 상기 전송 모드 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상기 전송 모드 정보가 '11'이므로 상기 전송 모드 판별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 패킷을 폐기한다. 상기 유무선 브릿지(600)는 다른 피코넷과의 통신을 하기 위한 것이므로, 동일한 피코넷에서 통신을 하는 방법은 종래의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다른 피코넷에 속하는 디바이스간에 통신을 하는 경우
예컨대, 상기 디바이스-1_1(430)가 상기 도 4에서 도시한 제2 피코넷(460)에 속한 디바이스-2_1(465)와 통신을 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1_1(430)을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디바이스(670)로, 상기 제1 중계 장치(422)를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유무선 브릿지(600)로 가정한다.
우선, 상기 디바이스(670)의 디바이스 제어부(672)는 상기 도 5에서 도시한 맥 프레임(500)에 있는 헤더(header)(510)의 'frame control' 정보 필드(512) 중 'Reserved' 영역(513)에 '01'를 설정하고, 'PNID_b' 정보 필드(523)에는 상기 디바이스(670)가 속하는 제1 피코넷(420)의 식별 정보를, 'PNID' 정보 필드(514)에는 상기 디바이스-2_1(465)가 속하는 제2 피코넷(460)의 식별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DestID' 정보 필드(516) 에는 상기 디바이스-2_1(465)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SrcID' 정보 필드(518)에는 상기 디바이스(670)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디바이스(670)의 송수신부(674)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맥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때, 유무선 브릿지(600)에 있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5)는 상기 무선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전송 모드 판별부(625)가 상기 수신된 무선 패킷으로부터 상기 전송 모드 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상기 전송 모드 정보가 '01'이므로 상기 전송 모드 판별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 패킷을 패킷 변환부(630)로 전달한다. 상기 패킷 변환부(630)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650)가 동작하는 프로토콜에 맞도록 패킷을 변환하는데, 이 때, 변환된 유선 패킷은 상기 맥 프레임의 헤더(header) 정보(510)와 페이로드(payload) 정보(522)를 포함한다. 상기 패킷 변환부(630)에 의해 생성된 유선 패킷은 상기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0)로 전달하고, 상기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0)는 상기 전달된 유선 패킷을 유선 네트워크(650)로 전송한다. 이 때, 전송하는 방법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에 의한 방법도 가능하고, 상기 제2 피코넷(460)에 있는 유무선 브릿지로 직접 전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2. 유선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예컨대, 상기 디바이스-1_1(430)을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디바이스(670)로, 상기 제1 중계 장치(422)를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유무선 브릿지(600)로 가정한다.
유무선 브릿지(600)에 있는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0)가 상기 유선 네트워크(65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 변환부(630)가 상기 수신된 유선 패킷을 전달받는다. 이 때, 상기 패킷 변환부(630)는 상기 유선 패킷으로부터 전송 모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송 모드 정보가 '01'인 경우에는 상기 유선 패킷으로부터 'PNID'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유무선 브릿지(600)가 속한 피코넷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동일하지 않다면, 상기 패킷 변환부(630)는 상기 수신된 유선 패킷을 폐기한다. 그러나, 만일 동일하다면, 상기 유무선 브릿지(600)가 속한 피코넷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로 상기 유선 패킷에 포함된 맥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패킷 변환부(630)는 상기 수신된 유선 패킷을 무선 패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5)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5)는 상기 전달된 무선 패킷을 목적이 되는 디바이스(67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채널 시간(channel time)이 할당되어야 한다.
IEEE802.15.3 규격에 따르면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을 요청할 수 있는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송신 디바이스이어야 하므로,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는 다른 피코넷에 속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을 위한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을 수행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수행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IEEE802.15.3 규격에 따라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을 요청할 때 호출되는 'MLME-CREATE-STREAM.request' 메시지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종래의 'MLME-CREATE-STREAM.request'에는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을 위한 정보 외에 수신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TrgtID' 파라미터(parameter)만 존재하기 때문에 메시지 구조상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은 송신 디바이스 측에서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MLME-CREATE-STREAM.request' 메시지에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을 요청하는 디바이스가 송신 디바이스인지 수신 디바이스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parameter)를 추가함으로써, 수신 디바이스도 채널 시간 할당 (channel time allcoation)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coation)을 요청하는 수신 디바이스는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을 위한 여러 정보들을 맥 계층(MAC layer)의 상위 계층에서 동작하는 미들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미리 전달받게 된다.
한편, 상기 'MLME-CREATE-STREAM.request' 메시지의 구조가 변경됨에 따라 수신 디바이스가 PNC에게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을 요청하는 명령 프레임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즉,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채널 시간 요청 명령(channel time request command)에는 다수의 채널 시간 요청 블록(channel time request block)이 존재하고, 상기 채널 시간 요청 블록(channel time request block)의 'CTRq control' 정보 필드에는 1비트의 'Rervered' 영역이 존재한다. 이 영역에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을 요청하는 디바이스가 송신 디바이스인지 수신 디바이스인지를 나타내는 비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경된 메시지 및 명령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수신 디바이스도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선 네트워크(650)와 연결된 각각의 피코넷은 독립적으로 자신의 PNID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유무선 브릿지(600)들은 자신이 속한 피코넷의 식별 정보와 디바이스 정보들을 포함하는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620)에 상기 피코넷의 식별 정보와 디바이스 정보들을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만일 중복된 PNID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방법에 따라 상기 중복된 PNID의 값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피코넷(420)과 상기 제2 피코넷(460)의 PNID값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중계 장치(422)에 해당하는 제1 유무선 브릿지와 상기 제2 중계 장치(462)에 해당하는 제2 유무선 브릿지는 자신의 피코넷에 속하는 PNC에게 알려 상기 PNC가 PNID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유무선 브릿지(600)들은 자신의 저장부(620)에 있는 정보들을 자신이 속한 피코넷에 주기적으로 알려줌으로써 디바이스들이 다른 피코넷의 식별 정보 또는 디바이스 정보들을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유무선 브릿지(600)들은 자신이 속한 피코넷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할 수도 있는데, PNID가 변경된 경우에는 상기 패킷에 변경된 PNID정보가 실리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유무선 브릿지(600)들은 상기 변경된 PNID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620)에 저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중계 장치(422, 462, 482)는 유선 패킷 또는 무선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일정한 주기 마다 계속 탐색한다(S700). 이러한 작업은 상기 중계 장치(422, 462, 482)가 기동하기 시작할 때부터 동작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유선 또는 무선 패킷을 수신하였다는 이벤트(event) 또는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자-프로세서(child-processor)를 생성하고, 상기 자-프로세서(child-processor)는 상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한 패킷을 처리하게 된다(S750). 그리고 나서, 상기 자-프로세서(child-processor)는 자신을 생성시켰던 상위 프로세서로 수신한 패킷의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고 자신은 소멸하게 된다. 즉,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패킷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모듈과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는 모듈을 별도로 동작하게 하여 각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제어부(615)는 일정한 주기마다 상기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0)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부(605)에 패킷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805, S830). 상기 도 8에서는 유선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검사한 후에 무선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검사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므로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만일 유선 패킷을 수신하였음이 확인되면, 상기 패킷 변환부(630) 또는 제어부(615)에서는 패킷의 종류를 검사한다(S810). 이 때, 수신한 패킷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패킷, 즉 각각의 중계 장치가 자신의 PNID 정보를 포함시켜서 브로드캐스트한 주기적인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15)는 상기 PN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620)에 저장된 각각의 피코넷에 대한 PNID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S815).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615)는 무선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830).
만일 상기 S810 단계에서 수신한 패킷이 비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패킷, 즉 다른 피코넷에 속하는 디바이스가 전송한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패킷 변환부(630)에서 무선 패킷으로 변환하고(S820),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5)는 상기 변환된 무선 패킷을 이미 할당된 채널 시간(channel time)에 목적이 되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825).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615)는 무선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830).
한편, 무선 패킷을 수신하였음이 확인되면, 상기 전송 모드 판별부(625) 또는 제어부(615)에서는 패킷의 종류를 검사한다(S835). 이 때, 수신한 패킷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패킷, 예컨대 PNC가 PNID 정보를 포함시켜서 브로드캐스트한 주기 적인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15)는 상기 PN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620)에 PNID 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S840).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615)는 유선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805).
만일 상기 S835 단계에서 수신한 패킷이 비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패킷을 송신한 디바이스가 자신의 피코넷에 속한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845). 이것은 상기 전송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피코넷에 속한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패킷을 폐기한다(S860). 동일한 피코넷에서 통신을 하는 방법은 종래의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S845 단계에서 다른 피코넷에 속한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인 경우에는, 상기 패킷 변환부(630)에서 유선 패킷으로 변환하고(S850), 상기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0)에서 상기 변환된 유선 패킷을 목적이 되는 피코넷의 중계 장치로 전송한다(S855).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615)는 유선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80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서로 다른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장치 간에도 유선 네트워크를 백본으로 하여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하여,
    데이터 프레임 영역과 정보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중계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통신 장치들간의 접근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패킷은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무선 패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전송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1 전송 모드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상이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2 전송 모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8.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네트 워크와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영역과 정보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유선 패킷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유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통신 장치들간의 접근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패킷은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무선 패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전송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1 전송 모드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상 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이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2 전송 모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모드 정보가 상기 제1 전송 모드인 경우에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무선 패킷을 폐기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모드 정보가 상기 제2 전송 모드인 경우에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유선 패킷으로 변환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상기 유선 네트워크로부터 유선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유선 패킷을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무선 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상기 무선 패킷을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중계 장치.
  18. 무선 장치가 데이터 프레임 영역과 정보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 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송신하는데,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상기 무선 패킷을 송신하는 무선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무선 장치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기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속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송신하는 (a) 단계;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중계 장치가 상기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b) 단계;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유선 패킷으로 변환하는 (c)단계; 및
    상기 유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무선 장치들간의 접근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1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 기 데이터 프레임 영역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패킷은 IEEE802.15.3 규격을 따르는 무선 패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전송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정보 프레임 영역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통신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1 전송 모드와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 장치가 상이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갖는 제2 전송 모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전송 모드 정보가 상기 제2 전송 모드인 경우에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무선 패킷을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유선 패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방법.
KR20040025415A 2004-04-13 2004-04-13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KR10065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5415A KR100654432B1 (ko) 2004-04-13 2004-04-13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JP2005115160A JP2005304042A (ja) 2004-04-13 2005-04-12 調整子基盤の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方法
US11/103,501 US20050226206A1 (en) 2004-04-13 2005-04-12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environment
EP20050252278 EP1596545A2 (en) 2004-04-13 2005-04-12 Interconnecting WPAN piconets
CNA2005100641872A CN1684442A (zh) 2004-04-13 2005-04-13 在基于协调器的无线环境中用于无线网络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5415A KR100654432B1 (ko) 2004-04-13 2004-04-13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211A KR20050100211A (ko) 2005-10-18
KR100654432B1 true KR100654432B1 (ko) 2006-12-06

Family

ID=3494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5415A KR100654432B1 (ko) 2004-04-13 2004-04-13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26206A1 (ko)
EP (1) EP1596545A2 (ko)
JP (1) JP2005304042A (ko)
KR (1) KR100654432B1 (ko)
CN (1) CN16844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79B1 (ko) * 2014-05-22 2014-11-04 (주) 위즈네트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 및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2459B1 (en) 2000-04-19 2005-01-11 Serconet Ltd. Network combining wired and non-wired segments
IL159838A0 (en) 2004-01-13 2004-06-20 Yehuda Binder Information device
IL161869A (en) 2004-05-06 2014-05-28 Serconet Ltd A system and method for carrying a signal originating is wired using wires
SE0402794D0 (sv) * 2004-11-15 2004-11-15 Karl-Axel Aahl W wc
US8160036B2 (en) * 2005-03-09 2012-04-17 Xirrus, Inc. Access point in a wireless LAN
US20070058671A1 (en) * 2005-09-13 2007-03-15 Hart Thomas B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ization of data frames
US7813451B2 (en) 2006-01-11 2010-10-12 Mobileaccess Network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shifting of a wireless signal and systems using frequency shifting
KR100881462B1 (ko) * 2006-06-07 2009-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본네트워크의 서브네트워크 간 릴레이 전송이 가능한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축방법
JP2009033490A (ja) * 2007-07-27 2009-02-12 Rohm Co Ltd 情報通信端末、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
WO2009053910A2 (en) 2007-10-22 2009-04-30 Mobileaccess Networks Ltd. Communication system using low bandwidth wires
US8175649B2 (en) 2008-06-20 2012-05-08 Corning Mobileaccess Ltd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control of an active antenna ove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WO2010089719A1 (en) 2009-02-08 2010-08-12 Mobileaccess Networks Ltd.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bles carrying ethernet signals
US9301329B2 (en) * 2011-03-21 2016-03-29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interconnecting multiple computer networks
EP2829152A2 (en) 2012-03-23 2015-01-2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chip(s) for provi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 functionalities,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CN105450613B (zh) * 2014-09-01 2019-03-1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数据识别系统及方法
US9184960B1 (en) 2014-09-25 2015-11-1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Frequency shifting a communications signal(s) in a multi-frequency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to avoid or reduce frequency interference
EP3288219A1 (en) * 2016-08-22 2018-02-28 NTT DoCoMo, Inc. Radio access network node arrangement,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of processing a plurality of data units
DE102016218758B4 (de) * 2016-09-28 2020-02-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urchgängigen und medienübergreifenden übertragung von kommunikationsprotokollen ohne protokollumsetz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9869A2 (en) * 2000-03-17 2001-09-2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routing packet data in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3103222A2 (en) * 2002-05-31 2003-12-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ssage routing in a radio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581B2 (ja) * 1996-12-27 2000-10-10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ドホック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構成方法、通信方法及び端末
JP3141820B2 (ja) * 1997-07-18 2001-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ドホック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9869A2 (en) * 2000-03-17 2001-09-2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routing packet data in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3103222A2 (en) * 2002-05-31 2003-12-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ssage routing in a radio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79B1 (ko) * 2014-05-22 2014-11-04 (주) 위즈네트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 및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84442A (zh) 2005-10-19
EP1596545A2 (en) 2005-11-16
JP2005304042A (ja) 2005-10-27
US20050226206A1 (en) 2005-10-13
KR20050100211A (ko)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432B1 (ko)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US73761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s
US7417998B2 (en) Wireless network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ireless network device
EP1601144B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s
US7349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s connected through a backbone network
KR100678932B1 (ko) 백본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정자 기반 무선망간의 통신방법및 장치
WO2006031016A1 (en) Wireless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reassociation bwteen wireless networks using the wireless network device
JP4130664B2 (ja) 調整子基盤無線網において、データを中継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データ中継方法
KR100781533B1 (ko) 조정자 기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채널 시간 할당을요청하는 장치 및 할당된 채널 시간 동안 데이터를수신하는 방법
JP4195456B2 (ja) 調整子基盤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チャンネル時間割り当てを要請する装置及び割り当てられたチャンネル時間の間にデータを受信する方法
KR100541645B1 (ko) 조정자 기반 무선망에 있어서,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시스템 및 데이터 중계 방법
KR20050100770A (ko) 조정자 기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채널 시간 할당을요청하는 장치 및 방법
Herrer Vazquez Feasibility analysis on combining short range radios with wireless LAN mesh networking for ubiquitous patient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