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179B1 - 공기여과수단을 구비한 프린트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공기여과수단을 구비한 프린트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179B1
KR100654179B1 KR1020027017202A KR20027017202A KR100654179B1 KR 100654179 B1 KR100654179 B1 KR 100654179B1 KR 1020027017202 A KR1020027017202 A KR 1020027017202A KR 20027017202 A KR20027017202 A KR 20027017202A KR 100654179 B1 KR100654179 B1 KR 10065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housing
print medium
cartridge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694A (ko
Inventor
키아 실버브룩
토빈 알렌 킹
게리 레이몬드 잭슨
Original Assignee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2701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1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Abstract

본 발명의 프린트 카트리지(print cartridge, 10)는 지지장치(support arrangement)를 포함한다. 일정 분량의 프린트 매체(print media)(34)와 일정 분량의 잉크 또는 상기 저장조(60)에 내재된 잉크들은 상기 지지장치 내에 배치된다. 필터(102)는, 장치의 프린트헤드에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해, 공기 출구 개구부(air outlet opening, 114)와 인입 개구부(inlet opening, 112)를 구비한 캐니스터(canister, 104)에 내재되어 있다. 깨끗한 공기를 노즐 가드(nozzle guard)에 불어넣어 상기 노즐 가드나 프린트헤드 위에 오염물이나 퇴적물(detritus)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함께 사용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린트, 카트리지, 잉크, 필터, 여과

Description

공기여과수단을 구비한 프린트 카트리지{Print Cartridge with Air Filtering Means}
본 발명은 프린트 카트리지(print cartridge)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즉석 프린트 디지털 카메라(instantaneous print digital camera)와 함께 사용되는 프린트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화상(image) 기록에 있어 소비자 사이에 인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디지털 카메라는 화상에 대한 경 인쇄물(hard copy)을 얻기 위하여 프린트를 출력하기 위한 컴퓨터에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연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축방향의 잉크 챔버를 구비한 잉크 및 미디어 카트리지(Ink and media cartridge with axial ink chambers)"라는 명칭 하에 1998. 7.10일자로 출원하여 계류 중인 미국 특허출원번호 09/112,783에서, 그러한 디지털 카메라를 대체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안하였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페이지 폭 프린트헤드(page width printhead)를 이용한다. "페이지 폭"라 함은, 프린트 매체(print media)가 프린트헤드를 지나갈 때, 상기 프린트 매체를 가로지르거나, 주사(rastering)하지 않고 프린트 매체 위에서 한번에 한 줄씩 인쇄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고려 중인 프린트헤드는, 잉크 방울들이 프린트 매체 위에 떨어지기 전에 그를 통해 분사되는 노즐 가드(nozzle gaurd)를 이용한다. 상기 노즐 가드와 하부의 프린트헤드에는 퇴적물(detritus)이 없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노즐 가드 또는 프린트헤드 위에 오염물질들이 적층되지 않도록 상기 노즐에 공기를 불어넣는다.
카트리지 내의 프린트 매체와 일정 분량의 잉크가 소모될 때, 상기 카트리지 자체는 교체된다. 상기 노즐 가드와 프린트헤드에 송풍되는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것이 또한 중요하며, 이에 따라 공기를 여과하는 것이 필요하다. 별도의 전용 공기필터를 사용하면, 이러한 공기필터는 충분히 정기적으로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장치(support arrangement);
상기 지지장치 내에 배치된 일정 분량의 프린트 매체(supply of print media)와 일정 분량의 잉크; 및
프린트 카트리지가 설치된 장치의 프린트헤드에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프린트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장치는 일정 분량의 프린트 매체와 일정 분량의 잉크가 수납된 챔버(chamber)로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여과수단을 수납하기 위한 챔버의 옆에 칸막이(compartment) 형태의 수납수단(receiving mean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여과수단을 지탱하는 캐리어(carr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여과수단과 일정 분량의 프린트 매체와 일정 분량의 잉크를 위치시키고 있다.
상기 여과수단은 필터매체(filter medium)가 내재된 캐니스터(canis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니스터는 상기 하우징의 칸막이 내에 수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칸막이는 상기 캐리어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캐니스터는 하나 이상의 공기입구(air inlet)를 갖을 수 있으며, 상기 공기입구 또는 각각의 공기입구에 대하여 공간을 두고 배치된 공기출구(air outlet)와 함께, 공기가 상기 캐니스터의 공기출구를 경유하여 배출되기 전에 상기 필터매체를 통해 흡인되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는, 사용 중에 상기 캐니스터의 공기출구와 일치하는 개구부(opening)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프린트헤드와 그 노즐 가드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슬롯(slot)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시 이를 통해 프린트 매체가 분출된다.
상기 프린트 매체는 상기 하우징의 챔버 내에서 회전하도록 수납되는 포머(former) 위에서 운반되는 롤 형상의 프린트 매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롤로부터 프린트 매체가 공급될 때 프린트 매체를 평평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슬롯을 통해 프린트 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디컬링 구동수단(de-curling and drive means)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컬링 구동수단은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프린트 매체의 롤과 상기 슬롯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디컬링 구동수단은, 프린트 매체의 이동과 그로인해 상기 프린트헤드에 의한 인쇄가 동시에 일어나도록 상기 프린트헤드를 제어하는 메카니즘(mechanism)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롤러와,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idler roller)를 갖는 롤러 어셈블리(rolle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프린트 매체가 분출될 때, 상기 프린트 매체의 미끄럼(slippage)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린트 매체에 대하여 지탱하고 있는 미끄럼방지 베어링 수단(non-slip bearing means)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용기(container)에 내재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주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롤 형상의 프린트 매체의 포머를 구비한 진원의 원기둥 용기(right circular cylindrical container)일 수 있다.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장치의 프린트헤드는 다색 프린트헤드(multi-colour printhead)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는 저장조(reservoir)들로 나뉘어, 각각 다른 형태 또는 다른 색의 잉크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한쪽 단부는 단부캡(end cap)으로 밀폐되고, 반대쪽 단부는, 천공이 가능한 씰링장치(pierceable sealing arrangement)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씰링장치는 상기 캐리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씰링장치는 사용하기 전에 상기 씰링장치를 보호하는 외곽 필름 부재(outer seal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장치와 카트리지가 서로 조화하고 호환성이 있다는 것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수단(authentication means)을 장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카트리지에 대한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2는,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에 대한 3차원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3은,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의 3차원 분해도이다.
도4는,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대한 3차원 분해도이다.
도5는,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의 공기필터에 대한 3차원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일반적으로 프린트 카트리지(10)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10)는 잉크 카트리지(12)를 포함한다.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10)는 하우징(14)을 포함한다. 도2에 보다 명확히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은 상부 몰딩(upper molding, 16)과 하부 몰딩(lower molding, 18)으로 형성된다. 상기 몰딩(16, 18)은 크립(clip, 2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4)은, 상기 카트리지(10)에 보기좋은 외관을 제공하는 라벨(label, 22)에 의해 덮혀 있다. 또한, 상기 라벨(22)은 사용자가 상기 카트리지(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담고 있다.
상기 하우징(14)은 잉크 카트리지(12)를 수납하는 챔버(24)를 형성한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12)는 상기 하우징(14)의 챔버(24) 내에서 고정되어 지지된다.
포머(28) 주위에 감긴 롤 필름/매체(roll of film/media, 34)를 포함한 일정 분량의 프린트 매체(26)는 상기 하우징(14)의 챔버(24) 내에 수납된다. 상기 포머(28)는 잉크 카트리지(12) 위에 슬라이딩되도록 수납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몰딩(16)과 하부 몰딩(18)이 함께 크립으로 고정될 때, 출구 슬롯(exit slot, 32)이 이를 통해 페이퍼(34) 끝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10)는 상기 롤(30)로부터 공급되는 페이퍼(34)가 평평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슬롯(32)을 통해 상기 페이퍼(34)를 이동시키는 롤러 어셈블리(roller assembly, 36)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36)는 하나의 구동 롤러(38)와 종동(從動)되는 2개의 롤러(40)를 포함한다. 상기 종동롤러(40)들은 상기 하우징(14)의 하부 몰딩(18)의 바닥(floor, 44)에 돌출된 리브(rib, 4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롤러(38)과 함께, 상기 종동롤러(40)들은 상기 하우징(14)으로부터 상기 페이퍼(34)가 분출될 때 상기 페이퍼(34)에 확실한 견인력(positive traction)을 제공하여 그 속도와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종동롤러(40)들은 폴리스틸렌과 같은 적당한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된 사출 몰딩재(injection moldings)이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상부 몰딩(16)과 하부 몰딩(18)은 폴리스틸렌과 같은 적당한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된 사출 몰딩재이다.
상기 구동롤러(38)는 상기 하우징(14)의 상부 몰딩(16)과 하부 몰딩(18) 각 각의 측벽에 형성된 결합홈(mating recess) 48과 50 사이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되는 구동축(46)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롤러(38)의 반대쪽 단부(52)는 상기 하우징(14)의 상부 몰딩(16)과 하부 몰딩(18)에 적절한 형태로(미도시됨)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상기 구동롤러(38)는, 고충격 폴리스틸렌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중합체나 고무롤러부(54) 형태의 베어링 수단으로 사출된 축(46)을 포함하는 2중 투사방식의 사출 몰딩재(two shot injection molding)이다. 이들 롤러부(54)들은 상기 페이퍼(34)와 확실히 맞물려 상기 페이퍼(34)가 카트리지(10)로부터 공급될 때 상기 페이퍼(34)의 미끄럼을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14)으로부터 돌출된 구동롤러(38)의 단부는, 프린트 카트리지(10)가 설치된 카메라와 같은 장치의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의 기어구동 인터페이스(geared drive interface, 미도시)와 결합되는 십자형 장치(cruciform arrangement, 56, 도1 참조)의 맞물림(engaging formation)를 구비한다. 이 장치는, 상기 페이퍼(34)가 프린트헤드에 공급되는 속도를 프린트헤드에 의한 인쇄와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페이퍼(34)위에 잉크의 정확한 기록을 보장한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12)는 진원의 원기둥 사출품(right circular cylindrical extrusion) 형태의 용기(58)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58)는 폴리스틸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플라스틱재료로부터 사출 성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10)가 사용되는 프린트헤드는, 다색 프린트헤드이다. 따라서, 상기 용기(58)는, 다수개, 특히 4개의 칸 막이 또는 저장조(60)로 나누어진다. 각 저장조(60)는 다른 색 또는 다른 형태의 잉크를 저장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조(60)에 저장된 잉크는, 남색(cyan), 빨강(magenta), 노랑 그리고 검은 잉크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남색, 빨강과 노랑 잉크로 이루어진 3가지 다른 색 잉크들이 상기 3개의 저장조(60)에 저장되는 한편, 4번째 저장조(60)에는 적외선 스펙트럼(infra-red light spectrum)으로만 볼 수 있는 잉크가 저장된다.
도3과 도4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58)의 한쪽 단부는 단부캡(end cap, 62)으로 밀폐된다. 상기 단부캡(62)은 그 안에 형성된 다수개의 개구부(64)를 구비한다. 개구부(64)는, 상기 단부갭(64)을 구비한 용기(58)의 한쪽 단부에서 상기 저장조(60)에 대기압이 유지되도록 상기 각 저장조(60)와 결합되어 있다.
씰링장치(seal arrangement, 66)는, 상기 단부캡(62)를 구비한 단부에서 상기 용기(58) 내에 수납된다. 상기 씰링장치(66)는 상기 각 저장조(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된 젤라틴 재료(gelatinous material)로 된 4분면 형상의 펠릿(quadrant shaped pellet, 68)을 포함한다. 상기 펠릿(68)의 젤라틴 재료는 열가소성 고무와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상기 탄화수소는 백광유(white mineral oil)이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상기 펠릿(68)이 정상 작동온도에서 그 형태를 유지하는 한편 그와 연결된 저장조(60) 내에서 상기 펠릿(68)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백광유에 충분한 강성을 부여한 공중합체(copolymer)이다. 적절한 열가소성 고무는 쉘화학사(Shell Chemical Company)에 의해 "Kraton"이라는 등록된 상표로 판매된 것이다. 상기 공중합체(copolymer)는 상기 각 펠릿(68)에 젤(gel)과 같은 견고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의 화합물로 존재한다. 전형적으로는, 사용되는 형태에 따라 다르나, 상기 공중합체는 질량으로, 약 3 퍼센트 내지 20 퍼센트 정도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사용 중에, 유체가 되도록 가열된다. 일단 상기 각 저장조(60)가 특정 형태의 잉크로 채워지면, 상기 화합물은 상기 펠릿(68)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각 저장조(60)에 용융상태로 주입된다.
상기 펠릿(68)의 뒤편, 즉 상기 단부캡(62)을 향한 상기 펠릿(68)의 단부에서의 대기압으로 인해, 잉크가 상기 저장조(60)로부터 흡인될 때, 상기 펠릿(68)은 자체 윤활이 있어 상기 용기(58)의 반대쪽 단부를 향해 슬라이드한다. 상기 펠릿(68)이 거꾸로 될때, 상기 펠릿(68)은 상기 용기로부터 잉크가 비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저장조(60)에 있는 잉크의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저장조(60)에 있는 잉크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펠릿(68)은 소수성(hydrophobic)이어서 상기 저장조(60)로부터 잉크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용기(58)의 반대쪽 단부는 잉크 칼라 몰딩(ink collar molding, 70)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칼라 몰딩(70)에 안치된 배플(baffle, 72)은, 탄성중합체 씰 몰딩(elastomeric seal moulding, 74)을 수납한다. 탄성중합체 씰 몰딩(74)은 소수성이며, 그 내부에 형성되는 씰링 커튼(sealing curtain, 76)을 구비한다. 각 씰링 커튼(76)은 슬릿(78)을 구비하며, 이 슬릿(78)을 통해 상기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로부터 결합핀(mating pin, 미도시)이 삽입되어 상기 용기(58)의 저장조(60)와 유체 가 통하도록 구성된다. 중공의 보스(hollow boss, 80)가 상기 잉크 칼라 몰딩(70)의 반대쪽으로부터 돌출된다. 각 보스(80)는 상기 용기(58)의 단부 위에 상기 잉크 칼라 몰딩을 위치시키기 위해 해당 저장조(60) 내에 꼭 맞도록 형성된다.
도3으로 다시 돌아가서, 상기 잉크 칼라 몰딩(70)은 캐리어 또는 패시어 몰딩(fascia molding, 82)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상기 패시어 몰딩(82)은 그 내부에 4잎 클로버 형상의 창(window, 84)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탄성중합체 씰 몰딩(74)이 접근할 수 있다. 상기 패시어 몰딩(82)은 상기 하우징(14)의 상부 몰딩(16)과 하부 몰딩(18) 사이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상기 패시어 몰딩(82)과, 상기 하우징(14)의 상부 몰딩(16)과 하부 몰딩(18)의 각각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웨브(web, 86, 88)는 칸막이(90)를 형성한다. 공기필터(92)는 상기 칸막이(90)에 수납되며, 상기 단부 몰딩(end molding, 84)에 의해 적재적소에 유지된다. 상기 공기필터(92)는 상기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와 함께 작동한다. 상기 노즐 가드를 깨끗이 하기 위해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의 노즐 가드를 가로질러 공기가 송풍된다. 이 공기는 상기 패시어 몰딩(82) 내에 있는 인입 개구부(inlet opening, 94)에 핀(미도시)에 의해 수납된 공기필터(92)를 통해 흡인됨으로써 여과된다.
상기 공기필터(92)는 도5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필터(92)는필터매체(filter media, 102)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매체(102)는 합성섬유를 기본으로 하며, 여과 목적으로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름진 형태로 설치된다. 페이퍼를 기본으로 한 필터매체(102) 대신에 다른 섬유솜(fibrous batts)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매체(102)는 캐니스터(canister, 104)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캐니스터(104)는 베이스 몰딩(106)과 뚜껑(108)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4)의 칸막이(90)에 설치되기 위해, 상기 캐니스터(104)는 부분적 고리모양(part-annular) 또는 말굽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캐니스터(104)는 대향하는 한 쌍의 단부(11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각 단부(110)에는 공기 인입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108)에는 공기 출구 개구부(outlet opening, 114)가 형성되어 있다. 처음에, 상기 공기 출구 개구부는 필름이나 멤브레인(membrane, 116)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상기 필터(92)가 칸막이(90)에 설치될 때, 공기 출구 개구부(114)는 상기 패시어 몰딩(82)에 있는 개구부(94)와 일치된다. 상기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로부터 핀이 상기 필름(116)을 뚫어, 상기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의 노즐 가드와 프린트헤드에 공기를 불어 넣기 전에, 상기 공기필터(92)를 통해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인한다.
상기 베이스 몰딩(106)은, 상기 필터매체(102)를 상기 캐니스터(104)에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형성부(locating formation, 118, 12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형성부 118은 다수개의 핀(122) 형태인 반면, 위치형성부 120은 상기 필터매체(102)의 단부(124)를 맞무는 리브(rib) 형태이다.
일단 상기 필터매체(102)가 상기 베이스 몰딩(106)에 위치되면, 상기 뚜껑(108)은 초음파 용접이나 유사한 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몰딩(108)에 고정되 어 상기 뚜껑(108)이 베이스 몰딩(106)에 밀폐된다.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10)가 조립될 때, 상기 패시어 몰딩(82)의 외곽 단부에 멤브레인 또는 필름(96)을 적용하여 상기 창(84)을 밀폐하도록 한다. 이 멤브레인이나 필름(96)은, 사용될 때 핀에 의해 구멍이 뚫리거나 파열된다. 상기 필름(96)은 잉크 저장조(60)의 퇴적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상기 패시어 몰딩(82)에 있는 개구부(100)에는 인증칩(authentication chip, 98) 형태로 인증수단(authentication means)이 수납된다. 상기 인증칩(98)은, 프린트 카트리지(10)가 상기 장치의 프린트헤드와 조화하고 호환성이 있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상기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광범위하게 설명된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상기 특정한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은 수많은 변형 및/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고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지지장치(support arrangement);
    상기 지지장치 내에 배치된 일정 분량의 프린트 매체와 일정 분량의 잉크; 및
    프린트 카트리지가 설치된 장치의 프린트헤드에 여과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여과수단(filtering means);을 포함하는 프린트 카트리지(print cartridg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일정 분량의 프린트 매체와 일정 분량의 잉크가 수납된 챔버(chamber)로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여과수단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챔버의 측면에 수납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을 지지하는 캐리어(carrier)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여과수단과 일정 분량의 프린트 매체와 일정 분량의 잉크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슬롯(slot)을 형성하여 사용 중 이를 통해 프린트 매체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매체는, 상기 하우징의 챔버 내에서 회전하도록 수납되는 포머 (former)위에서 장착되는 롤(roll) 형상의 프린트 매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로부터 프린트 매체가 공급될 때 상기 프린트 매체를 평평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슬롯을 통해 프린트 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디컬링 구동수단(de-curling and drive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디컬링 구동수단은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프린트 매체의 롤과 상기 슬롯의 중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컬링 구동수단은, 프린트 매체의 이동과 그로인해 상기 프린트헤드에 의한 인쇄가 동시에 일어나도록 상기 프린트헤드를 제어하는 메카니즘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롤러(drive roll)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idle roller)를 갖는 롤러 어셈블리(roller assembl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프린트 매체가 분출될 때, 상기 프린트 매체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린트 매체에 대하여 지탱하고 있는 미끄럼방지 베어링 수단(non-slip bearing means)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용기(container)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롤 형상의 프린트 매체의 포머(former)를 구비한 진원의 원기둥 용기(right circular cylindrical container)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저장조(reservoir)들로 나뉘어, 각각 다른 형태의 잉크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한쪽 단부는, 단부캡으로 밀폐되고 반대쪽 단부는 천공 가능한 씰링장치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장치는 외곽 필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카트리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수단(authentication means)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KR1020027017202A 2002-12-17 2000-06-30 공기여과수단을 구비한 프린트 카트리지 KR100654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7202A KR100654179B1 (ko) 2002-12-17 2000-06-30 공기여과수단을 구비한 프린트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7202A KR100654179B1 (ko) 2002-12-17 2000-06-30 공기여과수단을 구비한 프린트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694A KR20030024694A (ko) 2003-03-26
KR100654179B1 true KR100654179B1 (ko) 2006-12-05

Family

ID=4175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202A KR100654179B1 (ko) 2002-12-17 2000-06-30 공기여과수단을 구비한 프린트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1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694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8044B1 (en) Print cartridge
US6425661B1 (en) Ink cartridge
JPH1010045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920018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520707B1 (en) Ink cartridge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KR100901952B1 (ko) 잉크젯 인쇄 시스템용 교환 가능 잉크 컨테이너 및 인쇄 부품, 및 교환 가능 잉크 컨테이너와 밀봉 구조체 사이의 밀봉 형성 방법
JP3967287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0654179B1 (ko) 공기여과수단을 구비한 프린트 카트리지
JP366897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プリンタヘッドクリーニング装置
AU2000253731B2 (en) Print cartridge with air filtering means
AU2005200480B2 (en) Device having printhead for engagement with removable print cartridge
JP4380984B2 (ja) インクリザーバおよびペレットを有する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3543699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KR20030024699A (ko) 잉크저장조와 펠릿을 구비한 잉크 카트리지
AU2005200486B2 (en) Ink cartridge having slidable seal member
JPH0923999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用キャッピング装置
JPH07241998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3783585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481518B1 (ko) 잉크 카트리지
JPH07148936A (ja) インクタンク
JPH092001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011925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この装置用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に対して交換可能に装着される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JPH1134262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273715B2 (ja) カラー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1044457A (ja) インキ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インキタンク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