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851B1 - 광 스위치를 구비하는 헤드세트 - Google Patents

광 스위치를 구비하는 헤드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851B1
KR100653851B1 KR1020007009559A KR20007009559A KR100653851B1 KR 100653851 B1 KR100653851 B1 KR 100653851B1 KR 1020007009559 A KR1020007009559 A KR 1020007009559A KR 20007009559 A KR20007009559 A KR 20007009559A KR 100653851 B1 KR100653851 B1 KR 100653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set
optical
receiver
delete delete
roto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1424A (ko
Inventor
존 에이치. 매그너스코
에릭 케이. 맥슨
Original Assignee
헬로 디렉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로 디렉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헬로 디렉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4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Abstract

(전화) 헤드세트(headset)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광 스위치가 개시된다. 헤드세트는 헤드세트의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한 마이크로폰 붐(microphone boom)을 포함한다. 회전자 요소가 마이크로폰 붐과 함께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이크로폰 붐에 연결된다. 회전자 요소 표면의 선택된 부분은 나머지 부분보다 더 반사성을 갖도록 조정된다. 대안적으로, 회전자 요소의 부분은 광 불투과성이다. 한 쌍의 광 트랜시버(optical transceiver)가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있다. 마이크로폰 붐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대략 직립되게 위치될 때, 회전자 요소의 반사 부분은 광 트랜시버 쌍의 각각의 시계 내에 존재한다. 이런 위치에서, 헤드세트는 "오프(OFF)" 또는 "스탠바이(standby)" 모드에 있다. 마이크로폰 붐이 대략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될 때, 회전자 요소의 반사 부분은 제 1 광 트랜시버의 시계 내에 존재하지 않는 반면, 반사 부분은 제 2 광 트랜시버의 시계 내에 존재한다. 이런 위치에서, 헤드세트는 "소리차단(mute)" 모드에 있다. 마이크로폰 붐이 아래로 향할 때, 반사 부분은 두 개의 광 트랜시버의 시계 외부에 존재한다. 이런 위치에서, 헤드세트는 "통화(talk)" 모드에 있다. 광 트랜시버는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 장치보다 마모, 오염, 잘못된 정렬의 발생이 적으며, 공간을 덜 차지한다.

Description

광 스위치를 구비하는 헤드세트{HEADSET HAVING OPTICAL SWITCH}
본 발명은 유선 및 무선 전화 헤드세트(headset)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붐(microphone boom)을 구비하는 전화 헤드세트에 관한 것이며, 상기 헤드세트는 마이크로폰 붐의 회전 위치에 따라 온(ON), 오프(OFF), 소리차단(mute)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전화 헤드세트는 대체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어떤 헤드세트는 헤드밴드(headband)를 포함하며, 헤드밴드가 사용자의 머리에 위치될 때 스피커가 사용자의 한쪽 귀 위로 배치되도록 스피커는 헤드밴드에 부착된다. 제 2 스피커가 제공된다면, 제 2 스피커는 사용자의 다른 쪽 귀 위로 배치되도록 헤드밴드에 부착된다. 마이크로폰은 대체로 마이크로폰 붐의 제 1 단부에서 사용자의 입의 근처 또는 앞에 위치되며, 마이크로폰 붐의 제 2 단부는 헤드밴드에 부착된다. 다른 헤드세트는 전형적으로 사용자의 입 근처에 마이크로폰을 위치시키는 마이크로폰 붐을 포함하기는 하지만 헤드밴드 이외의 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된다. 전화 헤드세트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세트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전화 스위치 및 라인 셀렉터(cordless telephone switch and line selecto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84,209 호는 헤드밴드에 대해 선회 가능한 마우스피스 암(mouthpiece arm)을 구비하는 무선 헤드세트를 개시한다. 마우스피스 암을 위쪽으로 회전시키면 마우스피스와 이 마우스피스에 위치된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머리 위로 위치되며 그와 동시에 헤드세트의 라디오 부분(radio portion)으로의 전력을 차단되도록, 마우스피스 암에는 마우스피스의 반대편 단부에 선회 수단이 제공된다. 이는 와이퍼(wiper)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rotary switch)에 선회 수단을 한 벌로 갖춤으로써 달성된다.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입에 일치되도록 마우스피스 암을 낮추게 되면 스위치 와이퍼는 OFF 위치로부터 ON 위치로 회전되며, 그 결과 마이크로폰을 접속시켜 라디오에 전력을 공급한다. 개별 라디오 전송 채널용으로 추가적인 ON 위치가 제공된다.
상술된 장치의 와이퍼와 접점이 잘못 정렬될 수 있고, 더럽혀지거나 마모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1994년 출간된 헬로우 다이렉트사(Hello Direct, Inc.)의 "전화 생산 공구 카탈로그"("Catalog of Telephone Productivity Tool")에 개시된 헬로우세트 코드리스(HelloSet Cordless)라는 상표명의 제품은 하나의 스피커와 회전 가능 마이크로폰 붐을 구비하는 헤드세트를 개시한다. 헤드세트 내의 기계적인 스위치는 마이크로폰 붐의 위치에 대해 반응하며, 이 마이크로 붐은 축전(storage)(off)을 위해서는 위로 위치되며, 사용(ON)을 위해서는 아래로 위치되며, 소리차단(mute)을 위해서는 중간에 위치된다.
상술된 제품의 기계적 스위치도 잘못 정렬되거나 또는 마모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기계적인 스위치는 상술된 제품에 구비된 전기 구성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경향이 있다. 그래서, 상술된 결점을 겪지 않으면서 헤드세트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기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헤드세트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자 요소와 광 트랜시버를 구비하는 광 스위치를 가지는 헤드세트를 포함한다. 헤드세트는 상기 헤드세트의 하우징(housing)에 대해 회전 가능한 마이크로폰 붐을 포함한다. 하우징 내에 위치된 회전자 요소는 마이크로폰 붐과 함께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이크로폰 붐에 연결된다. 회전자 요소는 원형 부분과 원형 부분으로부터 뻗어있는 탭(tab)을 포함하는 대체로 평면인 표면을 갖는다. 회전자 요소는 그 표면에 거의 수직하며 대체로 원형 부분의 중앙에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자 요소 표면의 선택된 부분은 나머지 부분보다 더 반사성을 갖도록 조절된다. 특히, 탭과 이 탭을 대략 2 등분하는 직경에 의해 분할되는, 원형 부분의 대략 절반인 반원부는 회전자 요소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반사성을 갖도록 조절된다.
탭이 회전자 요소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제 1 광 트랜시버(transceiver)의 시계(field of view)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제 1 광 트랜시버가 표시하고 반원부가 회전자 요소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제 2 광 트랜스미터(transmitter)의 시계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제 2 광 트랜시버가 표시하도록, 한 쌍의 광 트랜시버가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회전자 요소의 회전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위치된다.
측면에서 봤을 때, 마이크로폰 붐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대체로 직립되게 위치될 때(예를 들면, 대략 정오 12시 방향에 위치될 때), 제 1 광 트랜시버는 탭에 의해 거의 덮여지며 제 2 광 트랜시버는 반원부에 의해 거의 덮여진다. 이런 위치에서, 헤드세트는 "오프(off)" 또는 "스탠바이(standby)" 모드에 있다. 측면에서 봤을 때, 마이크로폰 붐이 지면에 대체로 수평으로 위치될 때(예를 들면, 대략 1시와 3시 사이 또는 9시와 11시 사이의 방향에 위치될 때), 제 1 광 트랜시버는 실질적으로 탭 또는 반원부에 의해 덮여지지 않지만, 제 2 광 트랜시버는 실질적으로 반원부에 의해 덮여진다. 이런 위치에서, 헤드세트는 "소리차단(mute)" 모드에 있다. 측면에서 봤을 때, 마이크로폰 붐이 아래로 향할 때(예를 들면, 대략 4시와 5시 사이 또는 7시와 8시 사이의 방향에 위치될 때), 두 개의 광 트랜시버 어느 것도 탭 또는 반원부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다. 이런 위치에서, 헤드세트는 "통화(talk)" 모드에 있다.
본 광 트랜시버는 기존의 스위치 장치에 비해 마모, 오염, 및 잘못된 정렬의 발생이 적으며, 공간을 덜 차지한다.
도 1은 회전 가능 마이크로폰 붐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붐의 다양한 회전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세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성 회전자 요소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몇개의 다른 회전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반사성 회전 요소를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반사 부분이 필요없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회전 가능 마이크로폰 붐을 구비하며, 헤드밴드가 필요 없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은 회전 가능 마이크로폰 붐(102)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세트(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마이크로폰 붐(102)은 마이크로폰(104)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세트(100)는 아치형의 헤드밴드(106), 헤드밴드(106)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조정 장치(108), 헤드세트(100)에 연결된 회로 소자와 마이크로폰 붐(102)의 회전식 부착을 위한 기계 장치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에 포함된 회로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2), 및 스피커(11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헤드세트(100)는 무선 전화 헤드세트이다. 이러한 경우, 헤드세트(100)와 베이스 유닛(base unit)(미도시됨) 사이에는 무선 통신 링크(wireless communication link)가 성립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폰(104)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베이스 유닛으로 전송하는 라디오 트랜스미터와,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114)에 제공하는 라디오 리시버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 붐(102)은 헤드세트(1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과 헤드밴드(106)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마이크로폰 붐(102)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대략 직립 되게 위치될 때(예를 들면, 대략 11시와 1시 사이의 방향에 위치될 때), 헤드세트(100)는 바람직하게는 "오프" 또는 "스탠바이" 모드에 있다. 이런 모드에서, 마이크로폰(104)과 스피커(114)는 음성 신호의 통신 불능 상태에 있지만, 베이스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미리 선택된 전화 벨 신호(ring signal)를 헤드세트(100)에 전송함으로써 착신 전화(incoming call)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마이크로폰 붐(102)이 헤드밴드(106)에 대해 더 큰 각도로 위치될 때(예를 들면, 대략 1시와 3시 사이의 방향에 위치될 때), 헤드세트는 바람직하게는 "소리차단(mute)" 모드에 있다. 소리차단 모드에서는, 헤드세트 트랜스미터 및/또는 마이크로폰(104)이 통신 불능 상태가 됨에서 불구하고, 사용자는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 및 청취할 수 있다.
측면에서 봤을 때, 마이크로폰 붐이 아래로 향할 때(예를 들면, 대략 4시와 5시 사이의 방향에 위치될 때), 헤드세트는 바람직하게는 통화모드에 있다. 이런 모드에서는, 마이크로폰(104)과 스피커(114) 모두가 쌍방향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작동 상태에 있다. 게다가, "스탠바이" 위치로부터 "통화" 위치로 변경되면, 헤드세트(100)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유닛에 오프-후크(off-hook)할 것을 명령하는 미리 선택된 신호를 베이스 유닛에 제공한다. 이런 방법으로, 사용자는 원격으로 착신 전화에 응답할 수 있다. 반대로, "스탠바이" 모드로 변경되면 착신 또는 발신 전화를 원격으로 종료하는 온-후크(on-hook) 상태로 복귀하도록 베이스 유닛에 신호를 보낸다. 이런 자동 원격 온-후크/오프-후크 시스템은 1997년 2월 10일자로 출원된 자동 전화 픽업 장치(AUTOMATIC TELEPHONE PICKUP APPARATUS)라는 명칭을 갖는 일반 소유의 미국 특허 출원 제 08/798,37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회전축이 지점(A)에서 지면(紙面)에 수직인 마이크로폰 붐(102)의 다양한 회전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위치의 범위는 각각의 작동 모드("스탠바이", "소리차단", 또는 "통화")에 대응된다. 또한, 각 모드에 대한 마이크로폰 붐(102)의 회전 위치 범위는 0°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대칭 구조는 헤드세트(100)를 개조할 필요 없이 스피커(114)가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를 덮도록 헤드세트(1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의 헤드밴드와 정렬된 채로 예시되는 마이크로폰 붐(102)의 직립 위치는 도 2의 0°에 해당된다. "스탠바이" 모드는 0°위치를 포함하며, 대략 -35°로부터 대략 +35°까지 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리차단" 모드는 대략 +35°로부터 대략 +100°까지 걸쳐 있다. "소리차단" 모드는 또한 대략 -35°로부터 -100°까지 걸쳐 있다. "통화" 모드는 대략 +100°로부터 +135°까지 걸쳐 있다. 통화 모드는 또한 -100°로부터 -135°까지 걸쳐 있다.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붐은 대략 +135°와 -135°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마이크로폰 붐(102)의 회전식 부착을 위한 기계 장치(200)를 포함하는 헤드세트 하우징(110)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헤드세트(100)는 헤드세트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자 요소(210)와 광 트랜시버(228, 230)를 구비하는 광 스위치를 포함한다. 절단면은 하우징(110)을 회전축(A)을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2등분한다. 마이크로폰 붐(102)은 샤프트 부재(202)에 연결된다. 하우징(110)은 샤프트 부재(202)를 수용하도록 립(lip)(204)과 접하는 원형 개구를 포함한다. 샤프트 부재(202)는 탄성 원형 플랜지(resilient circular flange)와 탄성 원형 림(resilient circular rim) 사이에 립(204)을 유지시키도록 탄성 원형 플랜지(206)와 탄성 원형 림(208)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 요소(210)(도 3 참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회전자 요소(210)는 실질적인 원형 부분(210A)과 이 원형 부분(210A)으로부터 돌출한 섹터 형상 탭(sector-shaped tab)(210B)을 포함한다. 탭(210B)과, 이 탭(210B)을 대략 2 등분하는 직경에 의해 분할되는 원형 부분(210A)의 대략적인 절반 부분을 포함하는 원형 부분(210A)의 반원형 섹터는, 회전자 요소(210)의 나머지 부분보다 광학적으로 더 반사성을 갖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조절은 바람직하게는 광 반사 코팅부(optically reflective coating)(212)를 회전자 요소(210)의 선택된 부분에 도포함으로써 달성된다. 광 반사 코팅부(21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땜납(solder)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 요소(210)는 인쇄 회로 기판과 유사하게 유리섬유와 수지(resin)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자 요소(210)를 샤프트 부재(202)(도 3 참조)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세 개의 구멍이 회전자 요소(210)에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자 요소(210)의 바닥면(bottom surface)이 샤프트 부재(202)와 마주하고, 회전자 요소(210)가 마이크로폰 붐(102) 및 샤프트 부재(202)와 동시에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자 요소(210)는 샤프트 부재(202)에 연결된다. 마이크로폰(104)(도 1 참조)으로부터의 한 쌍의 마이크로폰 전선(218)이 통과할 수 있게 제 4 구멍(216)(도 4 참조)이 회전자 요소(210)에 제공된다.
탄성 가압 부재(220)가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회전자 요소(210), 샤프트 부재(202) 및 마이크로폰 붐(102)의 회전에 대항하는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회전자 요소(210)의 원형 부분(210A)을 누른다. 이러한 마찰 저항은 헤드세트(100)의 사용 중에 마이크로폰 붐(102)을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시킨다. 게다가, 가압 부재(220)는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10B)과 접촉함으로써 마이크로폰 붐(102)이 +135°를 초과하여 또는 -135°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자 요소(210)에 대한 가압 부재(220)의 인장력(tension)은, 나사(222)를 통해 가압 부재(220)를 하우징(110)에 부착하는 것과, 샤프트 부재(202) 내의 원형 그루브(circular groove)(224) 내에 가압 부재(220)를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게 유지된다.
인쇄 회로 기판(PCB)(226)은 헤드세트(100)에 회로 소자를 제공한다. 이 회로 소자는 위에서 언급된 라디오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를 포함하며, 그 외에, 마이크로폰(104)(도 1 참조)을 라디오 트랜스미터에 접속시키며, 리시버를 스피커(114)(도 1 참조)에 접속시키는 회로를 또한 포함한다. 게다가, 각각 광 트랜스미터와 광 리시버 및 결부된 회로 소자를 갖는 한 쌍의 광 트랜시버(228, 230)가 헤드세트(100)의 작동 상태("스탠바이", "소리차단", "통화")를 제어할 수 있도록 회전자 요소(210) 근처에서 PCB(226)에 장착된다.
PCB(226)의 회로 소자는 회전자 요소(210)의 바닥에 있는 반사 코팅부(212)가 실질적으로 광 트랜시버(228, 230) 각각의 시계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 지를 이진 표시(binary indication)로 제공한다. 그래서, 광 트랜시버(228, 230)에 의해 수집되는 광(light)의 양이 신호로 변환되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비교된다.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장치를 미세 조정하고 제조 상의 편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광 트랜시버(228, 230)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의 광이 광 트랜시버(228, 230)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회전자 요소(210)와 광 트랜시버(228, 230)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e는 광 트랜시버(228, 230)에 대한 몇개의 서로 다른 회전 위치 각각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 요소(21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참조로, 가압 부재(220)와 회전축(A)이 또한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다. 광 트랜시버(228)가 광 트랜시버(230) 보다 회전자 요소(210)의 회전축(A)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자 요소(210)의 원형 부분(210A) 바닥면 상에 있는 반사 코팅부(212)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자 요소(210)의 모든 가능한 회전 위치에 대해 광 트랜시버(228)의 시계 내에 있지 않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광 트랜시버(228, 230)는 회전축(A)에 대해 대략 90°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러한 각 간격(angular spacing)이 선호되지만, 본 발명의 가르침을 따름으로써 본 발명의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른 각 간격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5a는 직립 위치에 있는 회전자 요소(210)를 도시한다. 이 위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스탠바이" 상태로 지칭된 각의 범위에 상응한다. 이 위치에서, 회전자 요소(210)의 탭(210B)의 바닥면 상의 반사 코팅부(212)는 실질적으로 광 트랜시버(228)의 시계 내에 위치되며, 회전자 요소(210)의 원형 부분(210A)의 바닥면 상에 있는 반사 코팅부(212)는 실질적으로 광 트랜시버(230)의 시계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헤드세트는 "스탠바이" 모드에 있다. 헤드세트(100)를 "스탠바이" 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반사 코팅부(212)를 광 트랜시버(228, 230)의 시계 내에 충분한 정도로 유지시키면서, 회전자 요소(210)는 미리 정해진 양 만큼 양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바이" 모드는 -35°로부터 +35°까지 걸쳐 있는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세트(100)의 제작 공차 또는 노화(aging)로 인한 변형이 헤드세트의 작동에 악영향을 주지는 않으므로 이러한 범위를 정확하게 짓는 것은 중요한 사항은 아니다.
탭(210B)의 바닥부 상에 있는 반사 코팅부(212)가 실질적으로 광 트랜시버(228)의 시계 외부에 존재하도록 마이크로폰 붐(102)이 회전될 때, 회전자 요소(210)의 원형 부분(210A)의 바닥부 상에 있는 반사 코팅부(212)는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광 트랜시버(230)의 시계 내에 머무른다. 이때, 헤드세트는 "소리차단" 모드가 된다. 이런 상태가 도 5b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스탠바이" 모드와 유사하게, "소리차단" 모드도 마이크로폰 붐(102)의 회전 위치 범위에 상응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게다가, 도 5b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차단" 모드에 상응하는 회전자 요소(210)의 위치가 두 개 존재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차단" 모드에 상응하는 마이크로폰 붐(102)의 위치 범위도 두 개가 존재한다. 다시, 이러한 범위를 정확하게 한계짓는 것은 헤드세트(100)의 작동에서 중요한 사항은 아니다.
회전자 요소(210)의 바닥부 상에 있는 반사 코팅부(212)가 실질적으로 광 트랜시버(228)의 시계 외부 및 광 트랜시버(230)의 시계 외부에 존재하도록, 마이크로폰 붐(102)이 어느 한 회전 방향으로 더 회전될 때, 헤드세트(100)는 "통화" 모드가 된다. 이런 상태가 도 5d와 도 5e에 도시되어 있다. "스탠바이" 모드 및 "소리차단" 모드와 유사하게, "통화" 모드도 마이크로폰 붐(102)의 회전 위치 범위에 상응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소리차단" 모드와 유사하게, 도 5d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모드에 상응하는 회전자 요소(210)의 위치가 두 개 존재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모드에 상응하는 마이크로폰 붐(102)의 위치 범위도 두 개가 존재한다. 그러나, 도 5d와 도 5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탭(210B)이 가압 부재(220)와 접촉할 때 회전자 요소(210)의 회전을 제한하는 가압 부재(220)에 의해 "통화" 모드의 범위가 기계적으로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반사 부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대신에, 회전자 요소(300)는 그 회전축(B)에 대해 상이한 반경 치수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광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되는 섹터(sector)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회전자 요소(300)는 이미터(emitter)/리시버(receiver)의 쌍(302A-B, 304A-B)과 함께 사용된다. 각각의 이미터/리시버 쌍(302A-B, 304A-B)의 요소들이 회전자 요소(300)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회전자 요소(300)가 상이한 반경 치수를 갖는 광 불투과성 섹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회전자 요소(300)는 이미터/리시버 쌍(302A-B, 304A-B)에 대한 회전 위치에 따라, 이미터/리시버 쌍(302A-B, 304A-B)의 두 쌍 사이에서 혹은 한 쌍 사이에서 광 경로(light path)를 차단하거나, 또는 광 경로를 전혀 차단하지 않는다.
요소(302A)는 이미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요소(302B)는 리시버가 되며, 또는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요소(304A)는 이미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요소(304B)는 리시버가 되며, 또는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회전자 요소(300)가 실질적으로 요소(302A, 302B) 사이에서 광 경로를 차단하며 또한 실질적으로 요소(304A, 304B) 사이에서 광 경로를 차단하도록 위치될 때, 이런 위치는 "스탠바이" 모드에 상응한다. 회전자 요소(300)가 실질적으로 요소(304A, 304B) 사이에서 광 경로를 차단하지만 요소(302A, 302B) 사이에서는 광 경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위치될 때, 이런 위치는 "소리차단" 모드에 상응한다. 또, 회전자 요소(300)가 요소(302A, 302B) 사이에서 및 요소(304A, 304B) 사이에서 광 경로의 차단을 피하도록 위치될 때, 이런 위치는 "통화" 모드에 상응한다.
도 7은 회전 가능 마이크로폰 붐(404)에 연결된 하우징(402)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세트(4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헤드세트(400)는 우선 헤드밴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헤드세트(100)와 다르다. 대신에, 헤드세트(400)는 이어폰 부재(406)를 사용자의 바깥쪽 귀(outer ear)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서 유지된다. 헤드세트(400)를 사용자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다른 수단 또는 추가적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예를 들면, "길이 조절 가능한 귀벽 후크를 구비한 외이(外耳) 내부 스태빌라이저"(Intra-Choncha Stabilizer With Length Adjustable Chonchal Wall Hook)" 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 08/857,35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절 가능한 확장 가능 부재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귀의 바깥 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게 클램핑(clamping)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헤드세트(400)는 이 헤드세트(400)를 전화 베이스 유닛(미도시됨)에 연결시키는 코드(cord)(408)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헤드세트(100)와 다르다. 헤드세트(400)(도 7 참조)는 무선 헤드세트처럼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헤드세트(도 1 참조)는 유선 헤드세트처럼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하우징(402)은 하우징(402)에 대한 마이크로폰 붐(404)의 회전 위치에 따라 헤드세트(4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적절한 회로 및 기계 요소를 갖는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전자 요소(210)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전자 요소(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헤드세트(400)는 하우징(402)에 대한 마이크로폰 붐(404)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탠바이" 모드, "소리차단" 모드, 및 "통화" 모드가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회전 위치가 헤드세트(400)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황에 따라 하우징(402)에 대한 마이크로폰 붐(404)의 다른 회전 위치 또는 위치 범위, 또는 하우징(110)에 대한 마이크로폰 붐(102)의 다른 회전 위치 또는 위치 범위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구조 및 작동 원리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세 사항들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기술되어졌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상세 사항에 대한 이러한 참조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를 위해 선택된 실시예 내에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여러가지 다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또한 위에 개시된 장치는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뿐 결코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면, 회전자 요소의 회전축이 회전자 요소의 영역과 교차할 필요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선 및 무선 전화 헤드세트 분야, 특히, 마이크로폰 붐의 회전 위치에 따라 온(ON), 오프(OFF), 소리차단(mute)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폰 붐을 구비한 전화 헤드세트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6)

  1. 헤드세트를 사용자에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106, 406)과;
    상기 고정 수단(106, 406)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수단에 대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마이크로폰 붐(microphone boom)(102, 404)과;
    상기 마이크로폰 붐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위치에 따라 동작할 수 있고, 상기 헤드세트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헤드세트(100, 40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마이크로폰 붐의 회전 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마이크로폰 붐의 주어진 회전 위치에서 스위칭 가능한 광 경로를 그 사이에 제공하는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28)을 포함하는 광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스위치는 상기 마이크로폰 붐(102, 404)의 회전 위치에 응답하는 추가의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30)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30)은 그 사이에 상기 주어진 회전 위치와는 다른 상기 마이크로폰 붐(102, 404)의 회전 위치에서 스위칭 가능한 광 경로를 제공하는, 헤드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스위치는 상기 주어진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폰 붐(102, 404)과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 회전자 요소(210)를 포함하는, 헤드세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스위치는 상기 주어진 회전 위치 및 이러한 위치와는 다른 상기 회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마이크로폰 붐(102, 404)과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 회전자 요소(210)를 포함하는, 헤드세트.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28, 230) 내의 각 리시버는 서로 다른 시계(fields of view)를 갖는, 헤드세트.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요소(210)는 상기 마이크로폰 붐(102, 404)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각 광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28, 230) 각각 내의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사이에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가하는, 헤드세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광학적 특성은 불투과성(opaque) 및 광 투과성인, 헤드세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광학적 특성은 반사성 및 비반사성인, 헤드세트.
  9.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하나의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28)은, 다른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30)이 장착된 회전축으로부터의 방사상 거리와는 다른 방사상 거리에 장착되는, 헤드세트.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요소는 상기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 중 하나(230)와 상호동작하는, 방사 방향에서의 내부 부분(210A)과, 상기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 중 다른 하나(228)와 상호동작하는, 방사 방향에서의 외부 탭 부분(210B)을 포함하는, 헤드세트.
  11.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30)은 상기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28)에 대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일정한 각으로 변위되어 있는, 헤드세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트랜스미터와 리시버 쌍(228, 230) 사이의 상기 일정한 각으로의 변위는 대략 90°인, 헤드세트.
  13.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리시버는 회로(226)에 연결되어 광 트랜시버와 리시버 쌍 사이의 각각의 광 경로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헤드세트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며, 상기 동작 모드는 "스탠바이", "통화" 및 "소리차단"인, 헤드세트.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 리시버는 회로(226)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세트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며, 상기 회전자 요소는 하나의 광 경로는 차단하고, 다른 하나의 광 경로는 차단하지 않으며, 두 광 경로의 차단 및 두 광 경로에서의 광 투과는 상기 마이크로폰 붐의 회전위치 각도의 서로 다른 세 범위에서 각각 이루어지는, 헤드세트.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리시버는 상기 회로에서 이진 신호를 생성하는, 헤드세트.
  1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헤드밴드(106)를 포함하는, 헤드세트.
  1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이어피스(earpiece)(406)를 포함하는, 헤드세트.
  18. 무선 형태이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트랜스미터/리시버를 포함하는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헤드세트.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007009559A 1998-03-04 1999-02-24 광 스위치를 구비하는 헤드세트 KR100653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34,629 1998-03-04
US09/034,629 US6016347A (en) 1998-03-04 1998-03-04 Optical switch for head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424A KR20010041424A (ko) 2001-05-15
KR100653851B1 true KR100653851B1 (ko) 2006-12-05

Family

ID=2187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559A KR100653851B1 (ko) 1998-03-04 1999-02-24 광 스위치를 구비하는 헤드세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16347A (ko)
EP (2) EP1530348B1 (ko)
JP (1) JP2002506326A (ko)
KR (1) KR100653851B1 (ko)
CN (1) CN1150737C (ko)
AT (2) ATE289465T1 (ko)
CA (1) CA2322283C (ko)
DE (2) DE69939228D1 (ko)
ES (1) ES2235466T3 (ko)
WO (1) WO1999045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3846A2 (en) 1999-04-05 2000-10-11 Phonic Ear, Inc. Wireless transmission communication system
AU2505301A (en) * 1999-11-12 2001-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configurable headset switch
DK174402B1 (da) * 2000-05-09 2003-02-10 Gn Netcom As Kommunikationsenhed
US7187670B2 (en) 2000-09-01 2007-03-06 Nextlink.To A/S Communications terminal, a system and a method for internet/network telephony
FR2817434A1 (fr) * 2000-11-24 2002-05-31 Churchill Trading Perfectionnement aux combines, notamment telephoniques
US20020111197A1 (en) * 2001-01-04 2002-08-15 Fitzgerald Robert M. Cordless telephone headset system
KR100368757B1 (ko) * 2001-02-13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링크 연결 무선 헤드셋 및 방법
US6768899B2 (en) * 2001-04-04 2004-07-27 Motorola, Inc.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496589B1 (en) 2001-06-20 2002-12-17 Telex Communications, Inc. Headset with overmold
US7349547B1 (en) * 2001-11-20 2008-03-25 Plantronics, Inc. Noise masking communications apparatus
US7433654B2 (en) * 2001-12-21 2008-10-07 Motorola, Inc. Rotatable function selectors in communication handsets and methods therefor
US7190797B1 (en) * 2002-06-18 2007-03-13 Plantronics, Inc. Headset with foldable noise canceling and omnidirectional dual-mode boom
US6910911B2 (en) 2002-06-27 2005-06-28 Vocollect, Inc.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EP1385319B1 (en) * 2002-07-22 2011-09-28 Motorola Mobility, Inc.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6856792B2 (en) * 2002-12-30 2005-02-15 Motorola, Inc.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7142667B2 (en) * 2002-12-30 2006-11-28 Motorola, Inc.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7620433B2 (en) * 2003-01-15 2009-11-17 Gn Netcom, Inc. Display headset
US20050146487A1 (en) * 2004-01-07 2005-07-07 Interactive Imaging Systems, Inc. Binocular virtual display imaging device
US7190330B2 (en) * 2004-01-07 2007-03-13 Icuiti Corporation Virtual display headset
US7089042B2 (en) * 2004-01-08 2006-08-08 Fellowes, Inc. Headset with variable gain based on position of microphone boom
US8095081B2 (en) * 2004-04-29 2012-01-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and method for hands-free push-to-talk functionality
TW200541299A (en) * 2004-06-09 2005-12-16 Partner Tech Corp Wireless earphone with actuable ring sound by incoming sig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ing sound by incoming signals
US20060140435A1 (en) * 2004-12-28 2006-06-29 Rosemary Sheehy Headset including boom-actuated microphone switch
EP1886533A1 (en) 2005-06-03 2008-02-13 Nokia Corporation Headset with adjustable boom
US8331603B2 (en) 2005-06-03 2012-12-11 Nokia Corporation Headset
US8417185B2 (en) 2005-12-16 2013-04-09 Vocollect, Inc. Wireless headset and method for robust voice data communication
US7885419B2 (en) * 2006-02-06 2011-02-08 Vocollect, Inc. Headset terminal with speech functionality
US7773767B2 (en) 2006-02-06 2010-08-10 Vocollect, Inc. Headset terminal with rear stability strap
US8602892B1 (en) 2006-08-23 2013-12-10 Ag Acquisition Corporation Game system mixing player voice signals with game sound signal
US8571695B2 (en) * 2007-03-12 2013-10-29 Ag Acquisition Corporation Daisy-chained game audio exchange
JP5542690B2 (ja) 2007-12-17 2014-07-09 エージー アクイジシ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 ノイズプレートを有するヘッドセット
USD626949S1 (en) 2008-02-20 2010-11-09 Vocollect Healthcare Systems, Inc. Body-worn mobile device
US20090216534A1 (en) * 2008-02-22 2009-08-27 Prakash Somasundaram Voice-activated emergency medical services communication and documentation system
US9036849B2 (en) * 2008-08-12 2015-05-19 Plantronics, Inc. Headset with stowable boom
USD605629S1 (en) 2008-09-29 2009-12-08 Vocollect, Inc. Headset
EP2178275B1 (en) * 2008-10-17 2018-01-24 GN Audio A/S A headset with a 360 degrees rotatable microphone boom
US8386261B2 (en) 2008-11-14 2013-02-26 Vocollect Healthcare Systems, Inc. Training/coaching system for a voice-enabled work environment
US8160287B2 (en) 2009-05-22 2012-04-17 Vocollect, Inc. Headset with adjustable headband
US8438659B2 (en) 2009-11-05 2013-05-07 Vocollect, Inc.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headset interface
WO2011068919A1 (en) 2009-12-02 2011-06-09 Astro Gaming, Inc. Wireless game/audio system and method
EP2296385A1 (en) 2010-04-12 2011-03-16 Sennheiser Communications A/S Audio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udio device
US8659397B2 (en) 2010-07-22 2014-02-25 Vocollect, Inc.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ly identifying specific RFID tags
USD643400S1 (en) 2010-08-19 2011-08-16 Vocollect Healthcare Systems, Inc. Body-worn mobile device
USD643013S1 (en) 2010-08-20 2011-08-09 Vocollect Healthcare Systems, Inc. Body-worn mobile device
US8942384B2 (en) * 2011-03-23 2015-01-27 Plantronics, Inc. Dual-mode headset
TWI492221B (zh) * 2012-05-30 2015-07-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遙控裝置、遙控系統及遙控裝置之控制方法
EP2680607A1 (en) * 2012-06-29 2014-01-01 GN Netcom A/S A headset device with fitting memory
DE102013203798A1 (de) * 2013-03-06 2014-09-11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Mobile Kommunikationseinrichtung
US9675871B1 (en) 2013-03-15 2017-06-13 Ag Acquisition Corporation PC transceiv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749728B2 (en) * 2013-06-07 2017-08-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dio headset accommodating ear geometry variations
USD734298S1 (en) * 2014-06-09 2015-07-14 Apple Inc. Headphone microphone boom
CN104023290B (zh) * 2014-06-19 2017-08-25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耳麦的mic管旋转开关装置以及耳麦
US20160080552A1 (en) * 2014-09-17 2016-03-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ser feature tracking on a mobile device
US9813799B2 (en) * 2015-01-05 2017-11-07 Raymond Gecawicz Modular headset with pivotable boom and speaker module
USD766206S1 (en) * 2015-05-28 2016-09-13 Plantronics, Inc. Headband for a headset or headphone
USD766207S1 (en) * 2015-05-28 2016-09-13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or headphone
USD766208S1 (en) * 2015-05-28 2016-09-13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or headphone
US20170006395A1 (en) * 2015-06-30 2017-01-05 Motorola Solutions, Inc. Bendable microphone
US10129631B2 (en) 2015-08-26 2018-11-13 Logitech Europe, S.A. System and method for open to closed-back headset audio compensation
USD800091S1 (en) * 2016-06-07 2017-10-17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or headphone
USD800092S1 (en) * 2016-06-08 2017-10-17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or headphone
JP1566109S (ko) * 2016-06-09 2016-12-26
US10264341B2 (en) * 2017-01-20 2019-04-16 Bose Corporation Magnetic pivot sensor for headset microphone
US10187715B2 (en) 2017-01-31 2019-01-22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Ear cup venting mechanism for gaming headset
US20180310108A1 (en) * 2017-04-21 2018-10-25 Vocollect, Inc. Detection of microphone placement
EP3410738B1 (en) * 2017-06-01 2020-04-08 GN Audio A/S A headset with optical microphone signal transmission
USD843343S1 (en) * 2017-06-02 2019-03-19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or headphone
US10556179B2 (en) 2017-06-09 2020-02-11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Video game audio controller
USD848973S1 (en) * 2017-08-04 2019-05-21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Headset
USD857656S1 (en) * 2017-08-29 2019-08-27 Sennheiser Communications A/S Headset with adjustable contact pressure (ACP) including a spring system
USD868027S1 (en) * 2018-06-14 2019-11-26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or headphone
USD868028S1 (en) * 2018-06-14 2019-11-26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or headphone
USD868730S1 (en) * 2018-06-14 2019-12-03 Plantronics, Inc. Headband for a communications headset or headphone
ES2953439T3 (es) * 2018-06-21 2023-11-13 Savox Communications Oy Ab Ltd Auricular para un casco
US11343366B2 (en) 2018-09-27 2022-05-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icrophone control
USD908664S1 (en) * 2019-06-02 2021-01-26 Sens.Ai Inc. Headset with biometric sensors
USD864157S1 (en) * 2019-07-15 2019-10-22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Headphone
USD955365S1 (en) * 2020-03-20 2022-06-21 Logitech Europe S.A. Headset
USD970467S1 (en) * 2020-09-17 2022-11-22 Razer (Asia-Pacific) Pte. Ltd. Headphone
USD984409S1 (en) * 2021-03-29 2023-04-25 Logitech Europe S.A. Headset
USD989046S1 (en) * 2021-04-08 2023-06-13 Cisco Technology, Inc. Microphone
USD967798S1 (en) * 2021-04-15 2022-10-25 Shenzhen Ipm Biotechnology Co., Ltd. Gaming headset
USD1007461S1 (en) * 2021-07-12 2023-12-12 Logitech Europe S.A. Headset
USD1003269S1 (en) * 2021-07-16 2023-10-31 Primer Studios, Corporation Headphone band
USD1012064S1 (en) * 2022-02-28 2024-01-23 Garmin International, Inc. Audio headset
KR102614678B1 (ko) * 2022-05-03 2023-12-19 주식회사 라인텍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CN116320873B (zh) * 2023-03-27 2023-09-26 东莞百一电子有限公司 电话机用送受话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4029A (en) * 1983-08-29 1984-11-20 Kenney David S Cordless telephone switch and line selector
JPS6144319A (ja) * 1984-08-07 1986-03-04 Alps Electric Co Ltd 光学式角度センサ−
JPH0579855A (ja) * 1991-09-19 1993-03-30 Hitachi Ltd 光学式クランク角センサ
US5446788A (en) * 1992-09-29 1995-08-29 Unex Corporation Adjustable telephone headset
US5504812A (en) * 1994-10-11 1996-04-02 Motorola, Inc. Headset for use with a radiotelephone
US5694467A (en) * 1996-05-10 1997-12-02 Hewlett Packard Company Integrated sound/telephone headse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16347A (en) 2000-01-18
DE69923765T2 (de) 2006-01-19
CN1299550A (zh) 2001-06-13
ATE403331T1 (de) 2008-08-15
EP1060606B1 (en) 2005-02-16
ATE289465T1 (de) 2005-03-15
EP1530348A1 (en) 2005-05-11
DE69923765D1 (de) 2005-03-24
CN1150737C (zh) 2004-05-19
KR20010041424A (ko) 2001-05-15
JP2002506326A (ja) 2002-02-26
EP1530348B1 (en) 2008-07-30
EP1060606A1 (en) 2000-12-20
DE69939228D1 (de) 2008-09-11
CA2322283A1 (en) 1999-09-10
CA2322283C (en) 2005-08-02
WO1999045686A1 (en) 1999-09-10
ES2235466T3 (es)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851B1 (ko) 광 스위치를 구비하는 헤드세트
KR101362334B1 (ko) 외부 스피커로 사용 가능한 헤드셋 및 헤드셋의 스피커출력 조정 방법
US7519196B2 (en) Headset
US5708724A (en) Communications headset having a detachable receiver capsule and cable pivot
JP2870791B2 (ja) ワイヤレスヘッドホン
US7551940B2 (en) Two-way voic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xternal acoustic noise reduction
CA2496114A1 (en) Personal wearable communication and speaker system
JPH07307681A (ja) 無線電話装置
KR20010012328A (ko) 트랜듀서 다이아프램의 변위를 검출하는 광검출기를가지는 음향 트랜듀서 및 방법
WO2008117908A1 (en) Speaker-equipped case for a sound player
US9596532B2 (en) Headphone device and a knuckle for facilitating an adjustable connection between an ear pod and headband
KR100429979B1 (ko) 휴대용 영상단말기
KR100672569B1 (ko) 회전이 가능한 스피커를 갖는 휴대폰
JP4154587B2 (ja) 電子機器
JP2760923B2 (ja) 携帯電話機
CN210157364U (zh) 一种运动型便于固定的耳机
KR20000047093A (ko) 양방향 통화용 전화기
US6411710B1 (en) Voice receiving mechanism and handset
JP2602834Y2 (ja) ワイヤレスヘッドホン
JPH04200047A (ja) 携帯電話装置
JPS6216059Y2 (ko)
JPH0847038A (ja) 携帯無線電話機
KR19980017461U (ko) 방향전환이 가능한 마이크 조립 구조물
KR19980059795U (ko) 마이크 겸용 이어폰
KR20050021002A (ko)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