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257B1 -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257B1
KR100653257B1 KR1020050091401A KR20050091401A KR100653257B1 KR 100653257 B1 KR100653257 B1 KR 100653257B1 KR 1020050091401 A KR1020050091401 A KR 1020050091401A KR 20050091401 A KR20050091401 A KR 20050091401A KR 100653257 B1 KR100653257 B1 KR 100653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microcomputer
current
st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562A (ko
Inventor
정연강
나완용
Original Assignee
정연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강 filed Critical 정연강
Priority to KR102005009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2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5Monitoring devices
    • B23K11/252Monitoring devices using digit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13Method or apparatus with electric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한 부품 등과 같은 용접모재에 절연피막의 유무에 관계없이 피용접부재를 압착이 아닌 용융에 의한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용접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자료를 그래프로 확인하며 출력이 완료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확인할 수 있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류를 통하고 그 접촉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 및 시리즈용접기와 용접팁의 자체발열을 이용하는 핫바용접기나 미세용접팁을이용한 자동 피복탈피처리기능 용접장치등의 정밀한 용접처리를 요하는 장비를 능동적인 조건처리가 가능하도록 듀얼포트램(Dual Port RAM) 및 타이밍카운터 등의 마이컴이 내장되어 실행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된 용접정보의 파형과 출력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한 터치모니터와, 상기 터치모니터에서 입력된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신호에 따른 원할한 구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부와, 상기 전류제어부에 접속되어 용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용접구동부와, 상기 용접구동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출력부와, 상기 구성부의 각 구동을 원할히 이루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전원공급부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컴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면판 수동조작부를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조작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것이다.
초정밀, 조항용접기, 터치모니터, 듀얼포트램, 전원방전, 슈퍼콘덴서, 마이컴, 정전지 방지

Description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CONTROLLER OF WELDING MACHINE FOR ULTRA-PRECISION}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의 실시 상태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의 실시 상태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니터의 실시 상태를 보여주는 메인 스크린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고 있는 메인 스크린에서의 자료 설정화면을 보여주는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고 있는 메인 스크린에서의 상하한 설정화면을 보여주는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11 : 듀얼포트램
11-1 : 메모리단 12 : 카운터
13 : 통신포트 14 : 조작커넥터
15 : 연산처리단 16 : 시컨스단
17 : 기준파형발생단 18 : 피드백단
20 : 터치모니터 30 : LCD 디스플레이어
40 : 전면판 수동조작부 50 : 전원공급부
51 : 전원방전단 52 : 전원스위치
53 : 슈퍼콘덴서 60 : 전류제어부
61 : 정전기방지단 70 : 용접구동부
80 : 용접출력부 100 :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
200 : 외부제어기기
본 발명은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미세한 부품 등과 같은 용접모재에 절연피막의 유무에 관계없이 피용접부재를 압착이 아닌 용융에 의한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항용접기는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류를 통하고 그 접촉저항 및 비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는 것으로, 이는 용접할 모재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함과 동시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눌러붙히는 용접 이므로 용접할 모재 상호간의 상대위치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저항용접기는 용접작업의 각 공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어 용접작업의 효율이 저하되고 용접의 품질도 좋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용접기가 파형을 구현하는 다양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범위(정도와 속도)에는 만족할 수 있으나 초정밀 고속형 미세 용접에서 요구되는 정도를 충족시키기에는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용접기는 전체적으로 그 효율성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른 정밀 용접을 이루지 못하여 용접되는 부품의 불량률이 높아지게 되고 전체적인 제품의 불량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들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미세한 부품 등과 같은 용접모재에 절연피막의 유무에 관계없이 피용접부재를 압착이 아닌 용융에 의한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용접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자료를 그래프로 확인하며 출력이 완료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확인할 수 있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초기작동으로 모재의조건에따른 예비 조작으로 용접가능한 조건으로 변환(피복 탈피, 예열)시키고 주용접작동으로 전류를 통전시켜 그 접촉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를 능동적인 용접 조건처리가 가능하도록 듀얼포트램(Dual Port RAM) 및 타이밍카운터 등의 마이컴이 내장되어 실행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된 용접정보의 파형과 출력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한 터치모니터와, 상기 터치모니터에서 입력된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신호에 따른 원할한 구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부와, 상기 전류제어부에 접속되어 용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용접구동부와, 상기 용접구동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출력부와, 상기 구성부의 각 구동을 원할히 이루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전원공급부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컴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면판 수동조작부를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조작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작업자 및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류를 통하고 그 접촉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저항용접기를 능동적인 용접 조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은 용접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자료를 그래프로 확인하며 출력이 완료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모니터와, 상기 터치모니터에서 입력된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신호에 따른 원할한 구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부와, 상기 전류제어부에 접속되어 용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용접구동부와, 상기 용접구동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출력부와, 상기 구성부의 각 구동을 원할히 이루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전원공급부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컴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면판 수동조작부를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조작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상기 마이컴에는 LCD 디스플레이어와 같은 기기에 연결되어 통신 버퍼로 활용하기 위한 통신포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이컴에는 다양한 파형의 정보를 입력하고 연산하여 데이터화 하도록 하는 연산처리단과, 상기 연산처리단에 의해 연산된 결과를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실행하도록 하되, 연산된 용접정보를 입력신호와 동기시켜서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시키는 시컨스단과, 상기 연산처리단을 통한 연산된 데이터와 시컨스단의 시컨스(Sequence) 처리에 맞추어 파형을 발생시키는 기준파형발생단과, 상기의 구성부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전류, 전압 및 전력의 제어를 총괄하기 위한 피드백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에 구비된 듀얼포트램은 용접중에도 신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되, 입력된 정보는 연산처리단을 통해 연산 처리하여 용접스케줄 데이터로 연산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메모리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전원의 공급을 원활히 이루기 위해 다수의 대용량인 슈퍼콘덴서를 연결하고, 용접을 하지 않는 동안에 사용자가 충전된 전원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기 위해 충전된 전원을 신속히 방전시키기 위한 전원방전단이 구비되며, 상기 전류제어부에는 용접대기상태에서 IC칩 소자 또는 반도체 소자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방지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실시예]
상기한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의 실시 상태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의 실시 상태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류를 통하고 그 접촉 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저항용접기(미도시)를 능동적인 용접 조건처리가 가능하도록 듀얼포트램(Dual Port RAM, 11) 및 카운터(12) 등의 마이컴(10)이 내장된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100)으로 실시되는 것이다.
상기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100)은 용접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자료를 그래프로 확인하며 출력이 완료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모니터(20)와, 상기 터치모니터(20)에서 입력된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마이컴(10)과, 상기 마이컴(10)의 신호에 따른 원할한 구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부(60)와, 상기 전류제어부(60)에 접속되어 용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용접구동부(70)와, 상기 용접구동부(70)의 출력신호에 의해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출력부(80)와, 상기 구성부의 각 구동을 원할히 이루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전원공급부(5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상기 마이컴(10)에는 LCD 디스플레이어(30)와 같은 기기에 연결되어 통신 버퍼로 활용하기 위한 통신포트(13)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면판 수동조작부(40)를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조작커넥터(1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이컴(10)에는 다양한 파형의 정보를 입력하고 연산하여 데이터화 하도록 하는 연산처리단(15)과, 상기 연산처리단(15)에 의해 연산된 결과를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실행하도록 하되, 연산된 용접정보를 입력신호와 동기시켜서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시키는 시컨스단(16)과, 상기 연산처리단(15)을 통한 연산된 데이터와 시컨스단(16)의 시컨스(Sequence) 처리에 맞추어 파형을 발생시키는 기준파형발생단(17)과, 상기의 구성부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전류, 전압 및 전력의 제어를 총괄하기 위한 피드백단(1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0)에 구비된 듀얼포트램(11)은 용접중에도 신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되, 입력된 정보는 연산처리단(15)을 통해 연산 처리하여 용접스케줄 데이터로 연산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메모리단(11-1)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부(50)에는 전원의 공급을 원활히 이루기 위해 다수의 대용량인 슈퍼콘덴서(53)를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용접을 하지 않는 동안에 사용자가 충전된 전원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기 위해 충전된 전원을 신속히 방전시키기 위한 전원방전단(51)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류제어부(60)에는 용접대기상태에서 IC칩 소자 또는 반도체 소자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기방지단(61)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10)에는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기와 같은 외부제어기기(200)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의 구성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 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류를 통하고 그 접촉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가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저항용접기를 능동적인 용접 조건처리가 가능하도록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100)으로 실시되게 된다.
상기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100)은 크게 마이컴(10)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마이컴(10)에는 입력 및 출력이 별도로 실행되는 듀얼포트램(11)과 실시간으로 카운터하는 카운터(12)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100)은 터치모니터(20)를 통해서 용접정보를 입력한 다음 상기에서 입력된 정보의 자료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출력이 완료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터치모니터(20)를 통해 입력된 파형을 마이컴(10)에 의해서 연산처리하여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이컴(10)은 연산처리단(15)을 통해 다양한 파형의 정보를 입력하고 연산하여 데이터화 하게 되고, 상기 연산처리단(15)에 의해 연산된 결과를 시컨스단(16)을 통해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실행하도록 하되, 연산된 용접정보를 입력신호와 동기시켜서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준파형발생단(17)은 연산처리단(15)을 통한 연산된 데이터와 시컨스단(16)의 시컨스(Sequence) 처리에 맞추어 파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는 상기 시컨스단(16)의 판정상태가 정상일 경우에 외부 카운터를 통하여 연산처리단(15)에서 저장했던 데이터를 출력시키게 되고, 여기에서 사용되는 오실레이터는 외부 카운터를 정확한 주기로 구동하므로 종래의 방식에서 사용하는 마이컴 자체의 클럭(clock)에 의한 출력파형 발생방식이 타임(TIME)편차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25ppm 이내로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상기의 구성부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피드백단(18)을 통헤서 전류, 전압 및 전력의 제어를 총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0)에 구비된 듀얼포트램(11)은 용접중에도 신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되, 이때 듀얼포트램(11)의 메모리단(11-1)은 입력된 정보에 대해서 연산처리단(15)을 통해 연산 처리하여 용접스케줄 데이터로 저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0)에는 LCD 디스플레이어(30)와 같은 기기에 연결되어 통신 버퍼로 활용하기 위한 통신포트(13)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고, 조작커넥터(14)에 의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면판 수동조작부(40)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0)의 신호에 따른 원할한 구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전류제어부(60)에 의해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전류제어부(60)에는 정전기방지단(61)이 구비되는데, 이는 용접대기상태에서 IC칩 소자 또는 반도체 소자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전류제어부(60)에 접속되어 용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용 접구동부(70)의 출력신호에 의해 용접을 실시하게 되는 대, 이는 용접출력부(80)를 통해서 실시하게 된다. 상기 구성부의 각 구동을 원할히 이루기 위해 전원공급부(50)을 통해서 전원이 공급하게 되고, 상기의 전원공급부(50)는 전원스위치(52)에 의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온/오프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상기 전원공급부(50)에는 다수의 슈퍼콘덴서(53)가 연결되어 대용량의 전원을 짧은 시간에 충전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한 사용자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원방전단(51)이 구비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용접을 하지 않는 동안에 충전된 전원을 신속히 방전시켜 전원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니터의 실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터치모니터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의 초기화면에 프로그램 번호, 최대 전류치, 전압, 양불 표시, 설정치 및 전류 전압 그래프가 표시되어진다.
- 용접번호 표시 : 0~7번
- 용접 전류, 전압 최대치 표시 : 이전 용접 전류 표시
- Good/NG 표시 : 양불 표시
- STATUS 표시 : 불량원인 표시
그리고, 자료설정화면과 상하한 설정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 DATA : 자료 설정화면으로 이동
- LIMIT : 상하한 설정화면으로 이동
또한, 그래프의 표시는, 용접 전류 설정치 표시(도시된 실선), 실제 용접 전류표시(도시된 점선), 실제 용접 전압표시(도시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X축은 용접시간을, Y축은 용접 전류와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도면 도 4는 자료 설정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도 3에 도시된 'DATA'를 선택했을 경우 표시된 화면으로서, 용접 전류와 시간을 설정할 수가 있고, 도 3에 도시된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터치모니터에 나타난 'MAIN'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된다.
여기에서, X축은 시간(설정치1:10uSecond), 11 Points이고, Y축은 전류(설정치1:1A), 9 Points를 보여주는 것으로, 시간 합계가 2000(20mSecond)이상이면 초과치를 무시하고, 전류 최대치는 500A이다.
그래프 표시치와 자료 설정과는 무관하고, 현재의 설정치가 도 3의 메인 스크린에서 실선으로 표시하게 되며, 용접 전력량은 메인 스크린(MAIN Screen)의 그래프 면적에 비레하게 되고, 4번째와 8번째 시간에 해당하는 전류 설정은 3번째와 6번째 전류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대한, 현재의 화면에서 Weld Number Up/Down, Weld On시 메인 스크린(MAIN Screen)으로 이동하고 현재의 설정치를 무시하게 되며, 'MAIN' 선택시에만 현재의 설정치를 저장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5는 상하한 설정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도 3에 도시된 'LIMIT'를 선택했을 경우 표시된 화면으로서, 전류 및 전압의 상하한 설정치를 설정할 수가 있고, 도 3에 도시된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터치모니터에 나타난 'MAIN'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된다.
이는, 현재의 용접번호가 표시되고, 용접 최대전류, 전압의 상한 및 하한을 설정하게 되며, 용접 전류가 상한 이상 하한 이하이면 'Current Error'가 표시되고, 용접 전압이 상한 이상 하한 이하이면 'Voltage Error'로 표시된다(단 전압은 최대 전류시의 측정전압).
이에 대한, 현재의 화면에서 Weld Number Up/Down, Weld On시 메인 스크린(MAIN Screen)으로 이동하고 현재의 설정치를 무시하게 되며, 'MAIN' 선택시에만 현재의 설정치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터치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용접정보를 용이하게 입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된 정보 자료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출력이 완료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할 수가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초정밀 저항용접기를 이용한 반도체 소저나 IC칩 소자에 대한 미세한 용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한 부품 등과 같은 용접모재에 절연피막의 유무에 관계없이 피용접부재를 압착이 아닌 용융에 의한 용접이 가능하 게 용접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자료가 그래프로 확인되며 출력이 완료된 파형이 동일 화면에 표시되어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가 확인되는 효과가 있고,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류를 통하고 그 접촉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에 대한 능동적인 용접 조건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로 인해 초정밀 저항용접기에 대한 효율성이 향상되어 전체적인 생산성 및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

Claims (10)

  1.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류를 통하고 그 접촉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저항용접기를 능동적인 용접 조건처리가 가능하도록 듀얼포트램(Dual Port RAM) 및 타이밍카운터 등의 마이컴이 내장된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으로 실시되되, 상기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은 용접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자료를 그래프로 확인하며 출력이 완료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모니터와, 상기 터치모니터에서 입력된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신호에 따른 원할한 구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부와, 상기 전류제어부에 접속되어 용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용접구동부와, 상기 용접구동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출력부와, 상기 구성부의 각 구동을 원할히 이루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전원공급부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컴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면판 수동조작부를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조작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는 LCD 디스플레이어와 같은 기기에 연결되어 통신 버퍼로 활용하기 위한 통신포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는 다양한 파형의 정보를 입력하고 연산하여 데이터화 하도록 하는 연산처리단과, 상기 연산처리단에 의해 연산된 결과를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실행하도록 하되, 연산된 용접정보를 입력신호와 동기시켜서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시키는 시컨스단과, 상기 연산처리단을 통한 연산된 데이터와 시컨스단의 시컨스(Sequence) 처리에 맞추어 파형을 발생시키는 기준파형발생단과, 상기의 구성부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전류, 전압 및 전력의 제어를 총괄하기 위한 피드백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구비된 듀얼포트램은 용접중에도 신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되, 입력된 정보는 연산처리단을 통해 연산 처리하여 용접스케줄 데이터로 연산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메모리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전원의 공급을 원활히 이루기 위해 다수의 대용량인 슈퍼콘덴서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용접을 하지 않는 동안에 사용자가 충전된 전원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기 위해 충전된 전원을 신속히 방전시키기 위한 전원방전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어부에는 용접대기상태에서 IC칩 소자 또는 반도체 소자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기방지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10.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류를 통하고 그 접촉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저항용접기를 능동적인 용접 조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저항용접기의 제어수단은 용접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자료를 그래프로 확인하며 출력이 완료된 파형을 동일 화면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용접현상의 편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모니터와, 상기 터치모니터에서 입력된 파형을 연산처리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신호에 따른 원할한 구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류제어부와, 상기 전류제어부에 접속되어 용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용접구동부와, 상기 용접구동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출력부와, 상기 구성부의 각 구동을 원할히 이루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전원공급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마이컴에는 LCD 디스플레이어와 같은 기기에 연결되어 통신 버퍼로 활용하기 위한 통신포트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면판 수동조작부를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조작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마이컴에는 다양한 파형의 정보를 입력하고 연산하여 데이터화 하도록 하는 연산처리단과, 상기 연산처리단에 의해 연산된 결과를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실행하도록 하되, 연산된 용접정보를 입력신호와 동기시켜서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시키는 시컨스단과, 상기 연산처리단을 통한 연산된 데이터와 시컨스단의 시컨스(Sequence) 처리에 맞추어 파형을 발생시키는 기준파형발생단과, 상기의 구성부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전류, 전압 및 전력의 제어를 총괄하기 위한 피드백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에 구비된 듀얼포트램은 용접중에도 신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되, 입력된 정보는 연산처리부을 통해 연산 처리하여 용접스케줄 데이터로 연산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메모리단이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전원의 공급을 원활히 이루기 위해 다수의 대용량인 슈퍼콘덴서를 연결하고, 용접을 하지 않는 동안에 사용자가 충전된 전원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기 위해 충전된 전원을 신속히 방전시키기 위한 전원방전단이 구비되며, 상기 전류제어부에는 용접대기상태에서 IC칩 소자 또는 반도체 소자가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방지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KR1020050091401A 2005-09-29 2005-09-29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KR100653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01A KR100653257B1 (ko) 2005-09-29 2005-09-29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01A KR100653257B1 (ko) 2005-09-29 2005-09-29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87U Division KR200403995Y1 (ko) 2005-09-29 2005-09-29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562A KR20060035562A (ko) 2006-04-26
KR100653257B1 true KR100653257B1 (ko) 2006-12-05

Family

ID=3714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401A KR100653257B1 (ko) 2005-09-29 2005-09-29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28B1 (ko) * 2009-03-27 2014-04-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는 가반형 용접로봇 시스템
WO2017010787A1 (ko) * 2015-07-14 2017-0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점용접기의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28B1 (ko) * 2009-03-27 2014-04-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는 가반형 용접로봇 시스템
WO2017010787A1 (ko) * 2015-07-14 2017-0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점용접기의 제어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562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190B1 (ko) 저항 용접기
CN102886595B (zh) 用于焊接工件的系统和方法
US8445816B2 (en) Modular process list for welding power supply
CN101804495B (zh) 消耗电极式脉冲电弧焊接的控制装置及该弧长控制方法以及具备该焊接控制装置的焊接系统
CN100528446C (zh) 焊接机用电源装置
JP3484457B2 (ja) 抵抗溶接電源装置
KR100653257B1 (ko)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CN101444868A (zh) 熔化电极电弧焊接的缩颈检测控制方法
JP2001204177A (ja) 金属部材接合用又はリフローハンダ付用の交流波形インバータ式電源装置
KR200403995Y1 (ko) 초정밀 저항용접기의 제어장치
CN114951912A (zh) 焊接系统、焊接品质的评价方法和焊接品的制造方法
CN108213671B (zh) 控制电焊机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JP4980297B2 (ja) 溶接機用電源装置
TWI530651B (zh) And the melting state determining device of the electric arc furnace
CN104439613A (zh) 电弧焊接装置、方法和系统以及被焊接部件
KR100722791B1 (ko) 용접 장치
KR101877060B1 (ko) 아크로의 용해 상태 판정 장치
CN211438509U (zh) 逆变氩弧焊机
KR20030093562A (ko) 마이크로 용접장치
JP2008154434A (ja) 携帯端末用充電器
JP2003136241A (ja) 溶接機用電源装置
KR100225593B1 (ko) 저항용접 제어장치
JP5477029B2 (ja) 溶接機および溶接装置および溶接条件設定方法
JPS63299871A (ja) 抵抗溶接制御装置及び抵抗溶接監視装置
Ata Designing of Control Panel for Spot We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