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183B1 -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 Google Patents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183B1
KR100653183B1 KR1020050091607A KR20050091607A KR100653183B1 KR 100653183 B1 KR100653183 B1 KR 100653183B1 KR 1020050091607 A KR1020050091607 A KR 1020050091607A KR 20050091607 A KR20050091607 A KR 20050091607A KR 100653183 B1 KR100653183 B1 KR 10065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upport
isolation
coaxial cable
front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훈
문정익
김종면
전순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9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안테나소자 및 안테나 지지대부를 대칭으로 구현함으로써, 안테나가 동일편파 동일채널을 갖도록 하고, 안테나의 송신과 수신의 주빔이 전방부를 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높은 격리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안테나에 있어서, 동일편파 동일채널 특성을 가지며, 복사전자파를 발생시켜 주빔을 전방부로 송신하거나 전방부로부터 입사되는 전자파의 주빔을 수신하고,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가지는 안테나; 및 상기 송수신 신호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송신신호로 인한 산란파가 수신신호에 대칭으로 수신되도록 상기 안테나의 수직 중심 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지지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interactive digital broadcasting) 시스템,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시스템, 무선 감지레이더 시스템,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측정용 안테나시스 템, RCS(Radar Cross Section) 측정시스템 등과 같은 무선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양방향성 격리기술,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 동일편파, 동일채널, 격리도

Description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Isolation Antennas to radiate forward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S파라미터 특성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에서 제 1 안테나소자에 의한 앙각 변화(θ변화, Φ=90도)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 및 제 1 안테나소자에 의한 방위각 변화(θ=90도, Φ변화)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을 나타낸 일실시예 도면,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에서 제 2 안테나소자에 의한 앙각 변화(θ 변화, Φ= 90도)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 및 제 2 안테나소자에 의한 방위각 변화(θ= 90도, Φ변화)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을 나타낸 일실시예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다른 실시예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가 벽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편파 발생용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가 벽에 고정된 다른 모습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가 휴대용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테나소자부 2: 안테나 지지대부
3: 중간차폐함체 4: 제 1 안테나소자
5: 제 2 안테나소자 6: 안테나소자부 지지대
7: 안테나 받침대 8: 제 1 안테나 급전부
9a: 제 2 안테나 좌측 급전부 9b: 제 2 안테나 우측 급전부
10a: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 10b: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
11: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 지지대 12: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 지지대
13: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14: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15: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 16: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
17: 안테나소자부 지지대의 개구 18: 제 1 안테나 커넥터
19: 제 2 안테나 좌측 커넥터 20: 제 2 안테나 우측 커넥터
21: 제 1 안테나 커넥터 핀 22: 제 2 안테나 우측 커넥터 핀
23: 제 2 안테나 좌측 커넥터 핀
24: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 지지대의 개구
25: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의 개구
26: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의 개구
27: 안테나소자 지지대의 개구 28: 전파흡수체
29: 손잡이 30: 키보드
본 발명은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소자 및 안테나 지지대부를 대칭으로 구현함으로써, 안테나가 동일편파 동일채널을 갖도록 하고, 안테나의 송신과 수신의 주빔이 전방부를 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높은 격리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송수신 신호를 안테나에서 분리하는 무선 기술은 이미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은 전파방향 관점에서 2가지 기술로 구분이 가능하다.
동일채널 방송용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술처럼 단방향성 중계기 즉, 후방에서 수신신호를 받고 전방으로 증폭된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 기술이다(표기를 간단히 하기 위해 이후에는 “단방향성 격리기술”로 표기할 것임). 즉, 수신된 방향으로 송신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경우로서, 동일채널 방송용 중계기가 대표적인 사용의 일 예이다.
다른 기술로는 “양방향성 격리기술”로 동일채널을 동일 방향으로 재전송하는 격리기술이 있다. 이는 동일채널에서 송신과 수신의 주빔(main beam)의 방향이 동일한 특성을 갖는 안테나 기술이다. 양방향 디지털 방송(interactive digital broadcasting) 시스템,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시스템, 무선 감지레이더 시스템,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측정용 안테나시스템, RCS(Radar Cross Section) 측정시스템 등과 같이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 다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양방향성 격리 안테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방향성 격리 안테나 기술로는 대부분 편파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즉, 송수신신호의 편파가 직교하도록 만들어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격리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송신신호와 수신신호 간의 높은 격리도를 얻어내기 어려우므로, 수신안테나(수평편파)와 송신안테나(수직편파) 사이에 이격거리를 높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Xue"에 의해,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를 분리시켜 듀플렉서와 같은 소자를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특허(미국 특허 6201511B1, 2001)가 있으며, "Samuel"에 의해 제안된, 동일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기술에 대한 논문(IEEE, Transaction on Antenna and Propagation, VOL.49, NO. 6, pp.954~960, June 2001)이 발표된 바 있다. 또한, "Karode"에 의해, 패치안테나에서 급전이 서로 수직으로 설정되어 편파가 서로 수직인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두 단자 사이에 격리도가 유지되는 기술이 구현되어 논문으로 발표되었다(IEE, National Conference on Antennas and Propagation, pp. 49~52, Appril 1999). 또한, "Hao"에 의해 포토 밴드 갭(PBG) 구조를 활용한 패치 안테나에서 편파 격리가 구현되기도 하였다(IE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ntenna Propagation, pp. 86~89, April 2001).
그러나, 전술한 기술들의 송수신 신호에 대한 동일 주파수에 대한 격리도는 매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동일 주파수에 대한 높은 격리도를 요구하는 중계기, 레이다,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등 각종 무선기기용 안테나로는 부적합하다. 즉, 전술한 기술들은 모두 편파를 이용하여 수신과 송신신호의 격리도를 얻어내는 기술로, "Samuel", "Karode", "Hao"에 의해 제시된 기술은 송수신 신호의 편파가 서로 최대로 다르더라도 약 30dB 이하의 격리도를 얻고 있다.
그러나, 동일채널 무선 LAN 소출력 중계기, RF리더기 안테나, RCS(Radar Cross Section) 측정용 안테나, 동일채널 양방향 통신기기에는 반드시 동일채널, 동일편파, 양방향의 통신이 가능한 격리 안테나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 구현을 위해 최근에 국내에서도 H형 모노폴 안테나, 초격리 안테나가 특허기술로 제안되었으며, 이들은 동일편파 동일채널 양방향 격리 안테나 기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이 휴대용 무선 감지레이더 시스템, 휴대용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RCS(Radar Cross Section) 측정시스템 등과 같이 안테나 후방 인접에 사람, 기계, 기타 물건과 같은 산란체들이 반드시 놓이는 경우에 응용되게 되면 산란체에 의한 영향으로 안테나의 격리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안테나소자 및 안테나 지지대부를 대칭으로 구현함으로써, 안테나가 동일편파 동일채널을 갖도록 하고, 안테나의 송신과 수신의 주빔이 전방부를 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높은 격리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안테나에 있어서, 동일편파 동일채널 특성을 가지며, 복사전자파를 발생시켜 주빔을 전방부로 송신하거나 전방부로부터 입사되는 전자파의 주빔을 수신하고,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가지는 안테나; 및 상기 송수신 신호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송신신호로 인한 산란파가 수신신호에 대칭으로 수신되도록 상기 안테나의 수직 중심 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는, 크게 복사전자파를 발생시키거나 전자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소자부(1)와 상기 안테나소자부(1)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지지대부(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1)는, 금, 은, 알 루미늄, 동 등과 같은 도전체로 밀봉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중간차폐함체(3)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 1 안테나소자(4)와 제 2 안테나소자(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 지지대부(2)는 안테나소자부(1)를 지지할 목적으로 제작되는 안테나소자부 지지대(6), 안테나 받침대(7) 및 전파흡수체(28)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소자부 지지대(6)의 설치에 있어 주의해야 할 점은, 안테나소자부 지지대(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소자부(1)의 중심에 설치해야 하거나 안테나소자부(1)의 중심에 대해 다수의 지지대를 대칭으로 설치해야 한다. 그 이유는 송신안테나인 제 1 안테나소자(4)로부터 발생되는 복사파로 인하여 안테나소자부 지지대(6)에서 제 2의 산란파가 형성되고, 이러한 산란파는 수신안테나인 제 2 안테나에 대칭으로 수신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산란파를 대칭으로 유지하는 것은 격리도 향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바닥에 설치되는 안테나 받침대(7)는 안테나소자부(1)와 안테나소자부 지지대(6)가 지상에서 설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이러한 구조 역시 대칭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바닥에 의해 반사되는 산란파가 역시 대칭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특히, 안테나소자 지지대(6)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접지에 의해 발생되는 산란파가 격리도에 주요한 영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더욱더 대칭인 구조를 지녀야 한다. 안테나 받침대(7)는 정사각형 이외에도 직사각형, 원통형 등으로 제작되어도 된다. 안테나소자부 지지대(6)의 단면은 정사각형 파이프모양 이외에도 원통형 파이프 모양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안테나 받침대(7) 위에 전파흡수체(28)를 설치하여 반사파를 줄여서 격리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1)는, 중간차폐함체(3), 제 1 안테나소자(4), 제 2 안테나소자(5), 제 1 안테나 급전부(8), 제 2 안테나 좌측 급전부(9a), 제 2 안테나 우측 급전부(9b),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10a),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10b),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 지지대(11),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 지지대(12),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13),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14),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15),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16) 및 안테나소자부 지지대의 개구(1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안테나소자(4)는 금, 은, 동, 알루미늄 등과 같은 도전체로 제작되며, 다이폴안테나처럼 구성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10a)와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10b)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10a)와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10b)의 각 중심 가까이에 중간차폐함체(3)와 연결할 수 있도록 안테나소자 지지대(11, 12)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각 안테나소자가 서로 마주치는 중심에 급전부(8)를 설치한다. 이때, 사용되는 안테나소자 지지대(11, 12) 또한 급전부(8)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안테나소자(5)도 역시 금, 은, 동, 알루미늄 등과 같은 도전체로 제작되며, 양측이 중간차폐함체(3)와 접지되는 직각 루프 안테나처럼 구성하되, 안 테나소자를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13)와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14)로 분리하고, 이들 각각의 중심부분에 지지대(15, 16)를 설치하여 안테나소자를 중간차폐함체(3)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및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15, 16)도 역시 도전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13)와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14)가 서로 마주치는 곳에 급전부(9a, 9b)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2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안테나소자(5)에 대해서도 제 1 안테나소자(4)와 같이 급전부(9a, 9b)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으로 중심 가까이에 안테나소자에 대한 지지대들을 더 설치하여도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렇게 설치하는 경우 제 2 안테나소자(5)에 대한 지지대는 4개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제 2 안테나소자(5)에 대한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 및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15, 16)를 상기 4개의 지지대와 함께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제 2 안테나소자(5)가 더욱 튼튼하게 설치되므로 비바람에 강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정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1)의 정단면도는 수평편파를 발생시키는 구조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90도 회전시켜 구현하는 경우, 수직편파 발생도 가능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10b)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구조를 지니고 있도록 하고, 그 속에 제 1 안테나 커넥터(18)의 암머리 나사부분이 놓이도록 하고, 제 1 안테나 커넥터 핀(커넥터의 도체 핀)(21)이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10b)를 관통하여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10a)에 용접되는 구조로 구현되어 제 1 안테나소자(4)의 급전부(8)가 완성되도록 하였다.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10b)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안테나 커넥터(18)의 암머리 나사부분에는 숫머리 나사를 갖는 커넥터가 달린 동축케이블을 연결하고, 연결된 동축케이블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구조를 갖는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 지지대의 개구(24)를 지나 중간차폐함체(3)의 내부에 놓일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동축케이블의 외피가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10b)에 연결되고, 동축케이블의 내심은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10a)에 연결되어 별도의 발룬(Balun)이 필요 없이도 평형 급전이 가능하다. 추후 표기를 간단히 하기 위해 제 1 안테나소자(4)에 연결되는 제 1 안테나 커넥터(18)를 “단자 1”로 표기하기로 한다.
또한,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13)는 파이프 구조로 제작하여 내부가 비어있도록 하고,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13)의 좌측에 제 2 안테나 좌측 커넥터(19)를 연결하되, 제 2 안테나 좌측 커넥터(19)의 암머리 나사부분이 속으로 놓이도록 하고, 제 2 안테나 좌측 커넥터 핀(커넥터의 도체 핀)(23)이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13)를 관통하여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14)에 용접되는 구조로 구현되어 제 2 안테나 좌측 급전부(9a)가 완성되도록 하였다.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13)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안테나 좌측 커넥터(19)의 암머리 나사부분을 숫머리 나사를 갖는 커넥터가 연결된 동축케이블에 연결시키고, 연결된 동축케이블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구조를 갖는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의 개구(25)를 지나 중간차폐함체(3)의 내부에 놓일 수 있도록 제작된다. 추후 표기를 간단히 하기 위해 제 2 안테나소자(5)의 좌측에 연결되는 제 2 안테나 좌측 커넥터(19)를 “단자 2”로 표기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14)도 또한 파이프 구조로 제작하여 내부가 비어있도록 하고,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14)의 우측에 제 2 안테나 우측 커넥터(20)를 연결하되, 제 2 안테나 우측 커넥터(20)의 암머리 나사부분이 속으로 놓이도록 하고, 제 2 안테나 우측 커넥터 핀(커넥터의 도체 핀)(22)이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14)를 관통하여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13)에 용접되는 구조로 구현되어 제 2 안테나 우측 급전부(9b)가 완성되도록 하였다.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14)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안테나 우측 커넥터(20)의 암머리 나사부분을 숫머리 나사를 갖는 커넥터가 연결된 동축케이블에 연결시키고, 연결된 동축케이블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구조를 갖는 하측 안테나소자 지지대의 개구(26)를 지나 중간차폐함체(3)의 내부에 놓일 수 있도록 제작된다. 추후 표기를 간단히 하기 위해 제 2 안테나소자의 우측에 연결되는 제 2 안테나 우측 커넥터(20)를 “단자 3”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안테나 상/하측 소자(13,14)에 연결되는 제 2 안테나 좌/우측 커넥터(19, 20)는 좌우가 교체되거나 상하대칭으로 설치되어도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동일한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즉, 커넥터가 좌우 또는 상하대칭으로 바뀌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제 2 안테나 상/하측 소자(13,14)의 동축케이블이 내장되지 않은 부분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설치되어도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동일한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안테나소자(5)의 급전부가 하나이어도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동일한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안테나소자(5)는 원형이고,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우측 급전부(9b)와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좌측 급전부(9a)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15)와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16)가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우측 급전부(9b) 및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좌측 급전부(9a)와 서로 직각으로 위치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도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동일한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 지지대의 개구(24) 및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의 개구(25)와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의 개구(26)가 중간차폐함체(3)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개구를 통해 동축케이블이 각 급전부 단자에 연결이 용이하도록 제작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의 일실시예 평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안테나소자부는,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10a)의 경우 내부에 커텍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속이 비어있지 않은 도체로 만들어도 무방하다. 또한, 중간차폐함체(3)에는 또 다른 개구부분이 설치되어 있는데, 안테나소자부 지지대(6)와 연결되는 곳에 설치된 안테나소자 지지대의 개구(27)이다. 이는 각 단자들에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을 이곳을 통해 설치하여 바닥에 설치되는 안테나 받침대(7)의 내부를 통해, 송수신 시스템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단자 2(19)와 단자 3(20)에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의 길이를 같게 설정하고, 이들 단자들은 메직T 또는 0/180도 하이브리드 결합기 혹은 전력분배기와 같은 소자를 이용하여 전력차 혹은 전력합이 구현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안테나 받침대(7) 부분이 도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제 1 안테나소자(5)에서 복사된 전자파가 바닥에 의해 산란되고, 이 산란된 전자파는 제 2 안테나 좌측 급전부(9a)와 제 2 안테나 우측 급전부(9b)를 가로지르는 전기장의 편파 방향과 서로 반대방향을 유지한다. 왜냐하면, 제 1 안테나소자(4)의 양끝은 서로 전극이 반대로 놓이므로, 이미지 정리에 의해 바닥에 의해 반사되는 수직편파의 전기장은 좌우에서 반대방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단자 2(19)와 단자 3(20)에 대해 0도 하이브리드 결합기 메직T, 전력분배기와 같은 소자로 구현되는 전력합을 통해 급전하는 경우, 제 2 안테나소자(5)에서 좌측 및 우측 커넥터 핀(23, 22)을 위아래로 반대로 설치하였고, 게다가 제 1 안테나소자(4)에서 복사된 전자파가 바닥에서 반사되어온 산란파가 단자 2(19)와 단자 3(20)에서 서로 반대위상을 유지하므로 산란파가 제거되지 않아, 각 단자에 대한 격리도 보다도 단자 2(19)와 단자 3(20)에 대해 전력합을 취하면 6dB 낮아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단자 2(19)와 단자 3(20)에 대해 180도 하이브리드 결합기와 같은 소자로 연결하여 전력차를 통해 급전을 실시하는 경우, 바닥에 의한 반사파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전력차는 메직T 혹은 전력분배기에서 각 단자를 연결하기 전에 한 단자에 180도 위상지연기를 설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S파라미터 특성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도 2의 안테나소자부(1)를 제작할 때, 제 1 안테나소자(4)는 굵기가 0.4 cm×0.4 cm이고 전체의 길이가 13 cm이며, 제 2 안테나소자(5)는 굵기에 있어 제 1 안테나소자(4)와 동일하고, 각 변의 크기가 17cm×17cm 이며, 중간차폐함체(3)는 2cm×20cm×20cm 인 경우, 각 단자의 S 파라미터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소자(4)는 920MHz에서 공진이 발생하며, 제 2 안테나소자(5) 역시 920MHz에서 공진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때, S11, S22, S33 파라미터 값은 모두 -10dB 이하를 유지하고 있어 임피던스 정합이 잘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단자 1이 송신단자로 사용되는 경우(즉 제 1 안테나가 송신안테나로 사용되는 경우), 송신안테나를 통해 복사되는 전자파가 제 2 안테나소자(5)에 유기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격리도인 S21, S31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모두 동일하게 -90 dB를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안테나소자 지지대(6)의 크기에 따라 지면에 의한 반사파의 세기가 반비례의 관계이기 때문에 지면에 의한 반사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지대의 크기를 크게 하면 될 것이다. 혹은 안테나 받침대(7) 위에 전파흡수체(28)를 설치하여 반사파를 줄이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 1 안테나소자(4)에 의한 제 2 안테나소자(5)의 결합량을 -90dB 이하로 줄일 수 있다면, 그 값이 아무리 낮아도 상기 모델은 -90dB를 유지할 것이다. -90dB는 바닥에 의한 반사파를 제외한 결합량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 1 안테나소자(4)를 통해 직접 전달되어온 전기장은 제 2 안테나 좌측 및 우측 급전점(9a, 9b)에서 세기(증폭도)가 같고 동위상을 지니고 있으므로, 지면에 의한 반사파와는 달리 단자 2(19)와 단자 3(20)을 하이브리드 결합기를 이용하여 구현하여 제 2 안테나소자(5)로부터 직접 전달되어온 신호를 제거할 수가 있다. 시중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제품으로 30 ~ 40 dB 이상 신호 제거가 가능하므로, 단자 2(19)과 단자 3(20)을 하이브리드 결합기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 총 120 dB 이상의 격리도 확보가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에서 제 1 안테나소자에 의한 앙각 변화(θ변화, Φ=90도)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 및 제 1 안테나소자에 의한 방위각 변화(θ=90도, Φ변화)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을 나타낸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안테나소자(4)를 급전시키고 제 2 안테나소자(5)를 종단시키는 경우 복사전기장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는 앙각 변화(θ변화, Φ= 90도)에 따른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을, 7b는 방위각 변화(θ= 90도, Φ변화)에 따른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를 통해 제 1 안테나소자(4)의 이득은 8.6dBi임을 알 수가 있으며, 앙각(θ)이 90도일 때, 지향성이 가장 높은 전기장이 조성되고 있음을 볼 수가 있으며, 앙각이 20도~ 160도에서 0dBi 이상의 빔 폭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도 7b에서 방위각(Φ)이 90도에서 지향성이 가장 높음을 볼 수가 있으며, 방위각이 40도~140도에서 0dBi 이상의 빔 폭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에서 제 2 안테나소자에 의한 앙각 변화(θ 변화, Φ= 90도)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 및 제 2 안테나소자에 의한 방위각 변화(θ= 90도, Φ변화)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을 나타낸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 8은 제 1 안테나소자(4)를 종단시키고, 제 2 안테나소자(5)를 동위상으로 급전하는 경우 복사전기장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앙각 변화(θ변화, Φ= 90도)에 따른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을, 도 8b는 방위각 변화(θ= 90도, Φ변화)에 따른 수평편파 성분의 전기장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를 통해 제 1 안테나소자(4)의 이득은 6.2dBi임을 알 수가 있으며, 앙각(θ)이 40도, 130도일 때, 지향성이 가장 높은 전기장이 조성되고 있음을 볼 수가 있으며, 앙각이 10도~ 80도, 100도~170도에서 0dBi 이상의 빔 폭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도 8b에서 방위각(Φ)이 90도에서 지향성이 가장 높음을 볼 수가 있으며, 방위각이 50도~130도에서 0dBi 이상의 빔 폭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빔 패턴의 분석은 격리 안테나를 사용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빔 패턴의 분석을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빔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를 지상에 설치하였을 경우, 방위각은 50도~130도, 앙각은 20도~80도 그리고 100도~160도 양방향 통신 가능 지역이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단자 2(19)와 단자 3(20)에 4포트 하이브리드 결합기(4 port 0/180 degree Hybrid Junction)의 입력단자를 설치할 경우, 0도 출력단자와 180도 출력단자를 모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180도 출력단자의 경우, 복사방향이 제 1 안테나소자(4)처럼 중심의 동일 방향에 대한 송수신이 가능한 전력패턴을 유지하면서 편파 방향이 직교하는 형태를 유지하고 있고, 0도 출력단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트렌스폰더의 위치가 불규칙한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용 안테나로 활용되는 경우, 동작 영역을 더욱 넓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갖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다른 실시예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안테나 좌/우측 급전부(9a, 9b)에 설치되는 제 2 안테나 좌/우측 커넥터(19, 20)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의,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제작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경우, 단자 2(19)와 단자 3(20)의 전력차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전력합 구조와 동일하고, 전력합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전력차 구조와 동일한 특성을 얻게 된다. 전력합 소자의 경우 전력차 소자보다도 구조가 간단하므로 전력합 소자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이다.
도 10은 전력합 혹은 전력차가 필요하지 않도록 제 2 안테나소자(5)를 단일 급전 방식으로 제작한 구조이다. 이러한 경우,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안테나와 유사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전력합 및 전력차의 회로가 필요 없어 경제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나 격리도는 90 dB 이상을 유지할 수가 없다. 그러나, 만일 90dB이내의 격리도를 요구하는 시스템에서는 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안테나 제작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가 벽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 11은 안테나소자부 지지대를 뒷면 중앙에 설치가 가능하여 벽면에 대해 앞쪽으로 송수신 영역설정이 가능하다.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혹은 감시시스템 등에 활용하는 경우, 벽면의 구조에 따라 설치 가능함을 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편파 발생용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가 벽에 고정된 다른 모습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편파 발생용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는 벽면에 대해 수평으로 송수신 영역설정이 가능하다. 안테나의 지지부를 다이폴안테나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중간차폐함체에서 중앙선에 설치하여 구현할 수가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는 실내에서 자유롭게 상황에 맞추어 안테나 설치가 용이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가 휴대용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 13은 휴대용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에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안테나소자 지지대를 중간차폐함체 중앙에 설치하므로써, 손을 비롯한 인체에 의한 안테나의 격리도 저항 요인을 최소화하는 구조임을 알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안테나소자 및 안테나 지지대부를 대칭으로 설계함으로써, 안테나가 동일편파 동일채널을 갖도록 하고, 안테나의 송신과 수신의 주빔이 전방부를 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높은 격리도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안테나의 송신과 수신의 주빔이 전방부로 향하기 때문에 후방에 놓인 산란체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수가 있으며, 송신안테나와 수신안 테나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안테나 공간이 협소하여도 무방하며, 건물에 장착이 용이하고, 휴대에 적합한 구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interactive digital broadcasting) 시스템,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시스템, 무선 감지레이더 시스템, 무선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측정용 안테나시스템, RCS(Radar Cross Section) 측정시스템 등과 같이 동일채널에서 사용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에 매우 접합한 안테나로 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21)

  1. 안테나에 있어서,
    동일편파 동일채널 특성을 가지며, 복사전자파를 발생시켜 주빔을 전방부로 송신하거나 전방부로부터 입사되는 전자파의 주빔을 수신하고,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가지는 안테나; 및
    상기 송수신 신호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송신신호로 인한 산란파가 수신신호에 대칭으로 수신되도록 상기 안테나의 수직 중심 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지지수단
    을 포함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일면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가지는 제 1 안테나소자;
    상기 제 1 안테나소자와 같은 일면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가지는 제 2 안테나소자;
    도전체로 밀봉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중간차폐수단; 및
    동축케이블의 설치를 위한 개구
    를 포함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소자는,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와 상기 안테나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이며, 상기 안테나의 중심점의 좌측에 위치한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와 상기 안테나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이며, 상기 안테나의 중심점의 우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
    상기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를 지지하며,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 지지대와 상기 안테나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인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 지지대;
    상기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 지지대와 상기 안테나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인 상기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 지지대; 및
    상기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 및 상기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에 급전을 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의 중심점에 위치한 제 1 안테나소자 급전부
    를 포함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소자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다이폴 안테나 구조이고, 상기 제 2 안테나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중간차폐수단의 면 중심에 상기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 및 상기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의 끝이 상기 제 2 안테나소자의 급전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중간차폐수단의 면에 수평으로 놓이도록 설치하되, 상기 제 1 안테나소자 급전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상기 중간차폐수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소자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급전하되, 상기 동축케이블이 상기 안테나 지지수단을 지나 상기 중간차폐수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 1 안테나 급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피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내장되는 상기 제 1 안테나 우측 소자에 연결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내심은 동축케이블이 내장되지 않는 상기 제 1 안테나 좌측 소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소자는,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의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상기 안테나의 수평중심축의 상측에 위치한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의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상기 안테나의 수평중심축의 하측에 위치한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를 지지하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와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를 지지하며,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와 수직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또는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에 급전을 하며,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가 서로 마주치는 우측 지점에 위치한 제 2 안테나소자 우측 급전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또는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에 급전을 하며,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가 서로 마주치는 좌측 지점에 위치한 제 2 안테나소자 좌측 급전부
    를 포함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소자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사각의 루프형태로 상기 중간차폐수단의 면 위에 해당 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중심에 도전체로 이루어진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와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를 수직으로 상기 중간차폐수단의 면과 연결하고, 나머지 두 개의 변의 각 중심부분에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우측 급전부와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좌측 급전부가 하나씩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격리 안테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소자는,
    원형이고,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우측 급전부와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좌측 급전부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지지대와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지지대가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우측 급전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좌측 급전부와 서로 직각으로 위치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소자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급전하되, 상기 동축케이블이 상기 안테나 지지수단 을 지나 상기 중간차폐수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 2 안테나 우측 급전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 좌측 급전부에 연결되며, 동축케이블의 외피는 동축케이블이 내장되는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의 일부분에 연결되고, 동축케이블의 내심은 동축케이블이 내장되지 않는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의 일부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는,
    동축케이블이 내장되지 않은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놓이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는,
    동축케이블이 내장되지 않은 부분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는,
    급전을 위한 동축케이블의 길이가 동일하게 설정되고, 전력합 소자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는,
    급전을 위한 동축케이블의 길이가 동일하게 설정되고, 전력차 소자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는,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우측 급전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좌측 급전부가 4포트 0도/180도 하이브리드 결합기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0도/180도 출력단자를 달리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상측 지지대 및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하측 지지대는,
    상기 제 2 안테나소자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중간차폐수단에,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우측 급전부와 상기 제 2 안테나소자 좌측 급전부를 연결한 직선상의 중심에서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안테나 상측 소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하측 소자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소자는,
    급전을 위한 급전부가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차폐수단은,
    금속 함체이며, 상기 금속 함체의 면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부 속이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차폐수단은,
    금속 함체이며, 금속 함체의 면은 루프형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부 속이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지지수단은,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안테나 지지대;
    반사파를 흡수하여 상기 안테나의 격리도를 높이기 위한 전파흡수체; 및
    상기 안테나 지지수단을 중심로 대칭되는 안테나 받침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지지대는,
    상기 중간차폐수단에 고정되는 지점을 상기 중간차폐수단의 고정면의 중심점에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지지대는,
    상기 안테나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KR1020050091607A 2005-09-29 2005-09-29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KR10065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607A KR100653183B1 (ko) 2005-09-29 2005-09-29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607A KR100653183B1 (ko) 2005-09-29 2005-09-29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183B1 true KR100653183B1 (ko) 2006-12-05

Family

ID=3773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607A KR100653183B1 (ko) 2005-09-29 2005-09-29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1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6333A (ja) 2003-01-30 2004-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JP2004363693A (ja) 2003-06-02 2004-12-24 Denki Kogyo Co Ltd 多周波共用ダイポールアンテナ
KR20050005909A (ko) * 2003-07-07 2005-01-15 주식회사 감마누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방지를 위한 평면배열 안테나
KR20060070795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계기용 격리 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6333A (ja) 2003-01-30 2004-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JP2004363693A (ja) 2003-06-02 2004-12-24 Denki Kogyo Co Ltd 多周波共用ダイポールアンテナ
KR20050005909A (ko) * 2003-07-07 2005-01-15 주식회사 감마누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방지를 위한 평면배열 안테나
KR20060070795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계기용 격리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330B1 (ko) 중계기용 격리 안테나
US7868837B2 (en) Ultra isolation antenna
KR102589691B1 (ko) 안테나 유닛 및 단말 장비
CN111883922B (zh) 天线及无人机的信号处理设备
WO2018103504A1 (zh) 馈电结构及基站天线
US9263807B2 (en) Waveguide or slot radiator for wide E-plane radiation pattern beamwidth with additional structures for dual polarized operation and beamwidth control
CN207320331U (zh) 双频双极化共口径波导喇叭平面阵列天线
WO2021083223A1 (zh) 天线单元及电子设备
US7948446B2 (en) XYZ isotropic radiator antenna
US3613098A (en) Electrically small cavity antenna
KR100753532B1 (ko) 이중 편파 격리 안테나
CN211455960U (zh) 高增益射频前端装置
US4590479A (en) Broadcast antenna system with high power aural/visual self-diplexing capability
KR100653183B1 (ko) 전방부 복사 격리 안테나
KR101001664B1 (ko)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동시 송수신이 가능한 안테나
US8035572B2 (en) H-type monopole isolation antenna
CN113451766A (zh) 微带天线、无线信号处理设备及车辆
KR100883954B1 (ko) 원편파 안테나, 중계기 용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하는중계기와 이동 통신 시스템
CN211789443U (zh) 立体式高增益射频前端装置
CN211789444U (zh) 立体式加强型射频前端装置
CN211789450U (zh) 高增益射频前端装置
CN211789448U (zh) 加强型射频前端装置
CN211789449U (zh) 新型射频前端装置
CN206947513U (zh) 一种新型高增益全向天线
CN215579052U (zh) 微带天线、无线信号处理设备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