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826B1 - 집어등용 반사장치 - Google Patents

집어등용 반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826B1
KR100652826B1 KR1020060087718A KR20060087718A KR100652826B1 KR 100652826 B1 KR100652826 B1 KR 100652826B1 KR 1020060087718 A KR1020060087718 A KR 1020060087718A KR 20060087718 A KR20060087718 A KR 20060087718A KR 100652826 B1 KR100652826 B1 KR 10065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ght
sides
reflector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호 filed Critical 한승호
Priority to KR1020060087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F21V7/16Construction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curv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징어잡이배의 집어등 하측에 설치되어 집어등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집어등용 반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징어잡이배의 집어등 하측에 산모양으로 된 집어등 반사장치를 설치하며, 이 집어등 반사장치의 양측에 설치되는 반사판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징어잡이배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더욱더 밝아져서 집어효율이 향상되게 되고 그에 따른 어획량이 증가되는 효과와, 전력의 소비량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선의 집어등 하측에 설치되어 집어등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집어등 반사장치(9)에 있어서, 상기 집어등 반사장치(9)는 사각 틀체형으로 형성된 하부프레임(10)의 중앙부에 수평 형성되는 중앙수평대부(11)의 상측에는 상측에 나사봉(14)이 수직 설치된 수개의 수직지지대(15)가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나사봉(14)에는 나사봉(14)이 관통되는 통공(16)을 형성한 승하강지지대(17)의 통공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승하강지지대(17) 상측으로 노출된 나사봉(14)에는 승하강지지대(17)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조임너트(18)가 설치되며, 하부프레임(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양측 측방지지부(19)의 양측과 승하강지지대(17)의 양측들 사이에는 만곡이 가능한 반사판(13)이 경사지게 설치되며, 전방측 하부프레임(10)과 전방측 승하강지지대(17)에는 양측 반사판(13) 사이에 형성되는 산형공간부를 커버하는 바람막이판(1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징어잡이배, 집어등, 집어등 반사장치, 반사판, 보강지지대, 바람막이판

Description

집어등용 반사장치{Device of reflection for a fish-luring light}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선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설치된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용 반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부를 확대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요소인 보강지지대를 부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박본체 2 : 조타실 3 : 수직기둥
4 : 처마 5 : 작업공간부 6 : 안테나
7 : 전선행거 8 : 집어등 9 : 집어등 반사장치
10 : 하부프레임 11 : 중앙수평대부 12 : 바람막이판
13 : 반사판 14 : 나사봉 15 : 수직지지대
16 : 통공 17 : 승하강지지대 18 : 조임너트
19 : 측방지지부 20 : 경사지지대 21 : 암나사부
22 : 상부지지대 23 : 볼트체결부 24 : 롱볼트
25 : 잠금너트
본 발명은 오징어잡이배의 집어등 하측에 설치되어 집어등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집어등용 반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징어잡이배의 집어등 하측에 산모양으로 된 집어등 반사장치를 설치하며, 이 집어등 반사장치의 양측에 설치되는 반사판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징어잡이배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더욱더 밝아져서 집어효율이 향상되게 되고 그에 따른 어획량이 증가되는 효과와, 전력의 소비량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와 갈치를 어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어선에 다수개의 집어등을 설치한 뒤에 이를 환하게 밝혀서 오징어 및 갈치가 모여들게 하여 다량의 오징어 및 갈치를 어획하고 있다.
종래의 위와 같은 집어수단은 단순히 집어등의 광량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어획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집어등의 광량을 증대시켜야 했고, 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집어등의 설치수량을 증가시키거나, 조도가 높은 집어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전력의 소모량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징어잡이배(이하, 어선이라 칭함)의 집어등 하측에 산모양으로 된 집어등 반사장치를 설치하며, 이 집어등 반사장치의 양측에 설치되는 반사판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선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더욱더 밝아져서 적은 전력의 사용으로 집어효율이 향상되게 하고 그에 따른 어획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선의 집어등 하측에 설치되어 집어등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집어등 반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어등 반사장치는 사각 틀체형으로 형성된 하부프레임의 중앙부에 수평 형성된 중앙수평대부의 상측에는 상측에 나사봉이 수직 설치된 수개의 수직지지대가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나사봉에는 나사봉이 관통되는 통공을 형성한 승하강지지대의 통공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승하강지지대 상측으로 노출된 나사봉에는 승하강지지대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조임너트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양측 측방지지부의 양측과 승하강지지대의 양측들 사이에는 만곡이 가능한 반사판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전방측 하부프레임과 전방측 승하강지지대에는 양측 반사판 사이에 형성되는 산형공간부를 커버하는 바람막이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용 반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용 반사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선 의 집어등(8) 하측에 설치되어 집어등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집어등 반사장치(9)에 관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어등 반사장치(9)는 사각 틀체형으로 형성된 하부프레임(10)의 중앙부에 중앙수평대부(11)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이 중앙수평대부(11)의 상부에는 상측에 나사봉(14)이 수직 설치된 수개의 수직지지대(15)가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나사봉(14)에는 나사봉이 관통되는 통공(16)을 형성한 승하강지지대(17)가 각각의 나사봉(14)에 그에 대응하는 통공(16)이 삽입되게 설치되고, 승하강지지대(17)의 상측으로 노출된 나사봉(14)에는 승하강지지대(17)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조임너트(18)가 체결 설치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양측 측방지지부(19)의 양측과 승하강지지대(17)의 양측들 사이에는 만곡이 가능한 반사판(13)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13)은 스텐레스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사판(13)이 설치된 측방지지부(19)의 양측과 승하강지지대(17)의 양측들 사이에는 수개의 경사지지대(20)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측 하부프레임(10)과 전방측 승하강지지대(17)에는 양측 반사판(13) 사이에 형성되는 산형공간부를 커버하는 바람막이판(12)이 설치된다.
도 4 및 도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지지대(20)는 상단부가 승하강지지대(17)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암나사부(21)를 구비한 중공관 형태의 상부지지대(22)가 승하강지지대(17)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부지지대(22)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측방지지부(19)에는 볼트체결부(23)가 형성되고, 이 볼트체결부(23)에는 롱볼트(24)가 상향 관통되어 선단부가 암나사부(21)에 삽입 체결되며, 암나사부(21)의 하부와 볼트체결부(23) 상부의 롱볼트(24)의 나사부에 잠금너트(25)가 각각 체결되어 있다.
도 3, 4 및 도 6, 7에서는 승하강지지대(17)의 외측과 측방지지부(19)의 사이에 반사판(13)을 설치하고 반사판(13)이 설치된 승하강지지대(17)의 외측과 측방지지부(19)의 사이에 경사지지대(20)를 설치할 때, 반사판(13)의 상단부가 승하강지지대(17)와 상부지지대(22) 사이에 개재되고, 반사판(13)의 하단부가 볼트체결부(23)에 롱볼트(24)로서 함께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경사지지대(20)를 설치함에 있어 반사판(13)을 개재시키지 않고 경사지지대(20)의 상하단부 즉, 상부지지대(22)를 승하강지지대(17)에 직접 설치하고, 롱볼트(24)의 하단부를 볼트체결부(23)에 직접 설치할 수 도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반사장치(9)의 일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어선의 선박본체(1) 상측에 설치된 수직기둥(3)과 조타실(2)의 사이에 처마(4)를 수평하게 설치하고, 이 처마(4)의 상부에는 처마(4)와 간격을 두고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줄의 전선행거(7)에 다수개의 집어등(8)이 매달리게 설치되며, 본 발명의 집어등 반사장치(9)는 집어등(8) 하측의 처마(4)에 설치된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6"은 수직기둥(3)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테나이고, "5"는 처마(4)의 하측에 빈공간 형태로 형성되는 작업공간부로서, 이 작업공간부(5)에는 작업자가 통행하고 작업을 하므로 비를 피하거나, 집어등(8)의 밝은 빛과 열기를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집어등 반사장치(9)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5-44951호(발명의 명칭 : 집어등용 반사장치)의 발명, 즉 어선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권취드럼에 반사호일(스텐레스 반사판)이 풀렸다 감겼다하는 집어등용 반사장치의 하측에도 설치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일 사용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어등 반사장치(9)가 선박본체(1)에 설치된 처마(4) 상측의 집어등(8) 하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집어등(8)이 점등되어 발광되게 되면, 집어등(8)의 불빛이 집어등(8)의 주변으로 발산되면서 주변을 환하게 밝히게 되고 반사판(13)측으로 추어지는 불빛은 반사판(13)에 반사되게 된다.
이렇게 집어등(8)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집어등(8)에서 자체적으로 발산된 불빛과, 반사판(13)에 비춰져서 반사되는 불빛이 합쳐지게 되어 한정된 집어등(8)에서 발산되는 불빛, 즉 광량이 대폭 증대되게 되어 집어효율이 향상되고, 그에 따른 어획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집어등 반사장치(9)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하강지지대(17)를 승하강시키면서 반사판(13)의 곡률을 조절하여 반사판(13)에 반사되는 불빛을 퍼지게 하거나, 또는 모이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반사판(13)의 곡률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서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데, 먼저 도 4의 가상선과 같이 승하강지지대(17)를 하강시켜서 반사판(13)의 곡률이 작아지게 하는 경우부터 설명한다.
즉, 반사판(13)의 곡률이 작아지게 하는 경우는 양측 경사지지대(20)의 롱볼트(24)에 체결된 잠금너트(25)를 풀어서 롱볼트(24)가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롱볼트(24)의 하측 머리부를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암나사부(21)와 체결된 롱볼트(24)의 나사부는 중공상태의 상부지지대(2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경사지지대(20)의 전체길이가 단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측 경사지지대(20)의 전체길이가 단축됨에 따라 승하강지지대(17)가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승하강지지대(17)에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16)이 나사봉(14)의 외측에 헐렁하게 삽입되어 있고, 승하강지지대(17) 하측에는 승하강지지대(17)이 하강하는 것을 막는 어떠한 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승하강지지대(17)는 경사지지대(20)의 길이가 줄어드는 만큼 하강하게 되며, 승하강지지대(17)가 하강한 만큼 반사판(13)의 곡률이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승하강지지대(17)가 하강한 만큼 승하강지지대(17) 상측의 나사봉(14)에 체결되어 있던 조임너트(18)를 하측으로 내려서 그 조임너트(18)의 저면이 승하강지지대(17)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체결하면, 승하강지지대(17)는 조임너트(18)에 걸려 상측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정지하는 상태가 된다.
그 뒤에, 경사지지대(20)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풀어두었던 각각의 잠금너 트(25)를 체결하여 상측의 잠금너트(25)는 암나사부(21)와 접촉하게 체결하여 암나사부(21)와 롱볼트(24)의 풀어짐을 방지하게 하고, 하측의 잠금너트(25)는 볼트체결부(23)와 롱볼트(24)의 하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반사판(13)의 하단부를 함께 고정시켜서 반사판(13)의 곡률을 작아지게 조절하는 것을 완료한다.
다음은 높이가 낮은 상태의 승하강지지대(17)를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반사판(13)의 곡률을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 경우에도 롱볼트(24)에 체결되어 있는 상하측의 잠금너트(25)를 풀어서 롱볼트(24)를 자유롭게 돌릴 수 있도록 하며, 승하강지지대(17)의 상면과 저면이 접촉하고 있는 조임너트(18)를 풀어서 반사판(13)의 곡률을 조정할 만큼 조임너트(18)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양측 경사지지대(20)의 롱볼트(24)를 풀어서 경사지지대(20)의 전체길이가 길어지게 하면, 승하강지지대(17)는 양측 하부에 반사판(13)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상태이므로 반사판(13)의 탄력으로 경사지지대(20)의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저절로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며, 원하는 곡률에 맞게 상승시켜 놓은 조임너트(18)의 저면에 승하강지지대(17)의 상면이 접촉하면, 승하강지지대(17)는 조임너트(18)에 걸려서 더 이상의 상승을 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승하강지지대(17)가 상승하게 되면 승하강지지대(17)의 측면과 측방지지부(19) 사이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반사판(13)의 곡률이 커지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반사판(13)의 곡률이 커지게 조정한 뒤에는 조임너트(18)를 다시 한번 더 견고하게 잠그고, 롱볼트(24)에서 풀려있던 상하측 잠금너트(25)로 체결하여 경 사지지대(20)가 풀림이 없도록 하여 반사판(13)의 곡률이 커지게 조절하는 것을 완료한다.
상기 집어등 반사장치(9)에 경사지지대(20)를 설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집어등 반사장치(9)가 바다에서 어로작업을 하는 어선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강풍에 집어등 반사장치(9)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것이다. 이는 승하강지지대(17)의 외측과 하부프레임(10)의 측방지지부(19)의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승하강지지대(17)와 하부프레임(10)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집어등반사장치(9)의 전방측에는 승하강지지대(17)와 하부프레임(10)에 고정되는 바람막이판(12)이 설치되어서, 양측 반사판(13) 사이에 형성되는 산형공간부의 내측으로 바람이 들어가는 것을 커버하여 반사판이 외측으로 불룩하게 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기 바람막이판(12)이 집어등반사장치(9)의 전방측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 것은, 집어등반사장치(9)의 후방측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타실(2)의 벽면에 막히므로 집어등반사장치(9)의 전방측에 바람막이판(12)을 설치한다고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바람막이판(12)을 집어등반사장치(9)의 전후방측 모두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집어등용 반사장치는, 오징어잡이배와 같은 어선에 설치된 집어등 하측에 산모양으로 된 집어등 반사장치를 설치하며, 이 집어등 반사장치의 양측에 설치되는 반사판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선에서 발 산되는 불빛이 더욱더 밝아져서 적은 전력의 사용으로 집어효율이 향상되게 하고 그에 따른 어획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어선의 집어등 하측에 설치되어 집어등(8)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집어등 반사장치(9)에 있어서,
    상기 집어등 반사장치(9)는 사각 틀체형으로 형성된 하부프레임(10)의 중앙부에 수평 형성된 중앙수평대부(11)의 상측에는 상측에 나사봉(14)이 수직 설치된 수개의 수직지지대(15)가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나사봉(14)에는 나사봉(14)이 관통되는 통공(16)을 형성한 승하강지지대(17)의 통공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승하강지지대(17) 상측으로 노출된 나사봉(14)에는 승하강지지대(17)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조임너트(18)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양측 측방지지부(19)의 양측과 승하강지지대(17)의 양측들 사이에는 만곡이 가능한 반사판(13)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전방측 하부프레임(10)과 전방측 승하강지지대(17)에는 양측 반사판(13) 사이에 형성되는 산형공간부를 커버하는 바람막이판(1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용 반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3)이 설치된 측방지지부(19)의 양측과 승하강지지대(17)의 양측들 사이에는 수개의 경사지지대(20)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상기 경사지지대(20)는 상단부가 승하강지지대(17)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암나사부(21)를 구비한 중공관 형태의 상부지지대(22)가 승하강지지대(17)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부지지대(22)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측방지지부(19)에는 볼트체결부(23)가 형성되고, 이 볼트체결부(23)에는 롱볼트(24)가 상향 관통되어 선단부가 암나사부(21)에 삽입 체결되며, 암나사부(21)의 하부와 볼트체결부(23) 상부의 롱볼트(24)의 나사부에 잠금너트(25)가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용 반사장치.
KR1020060087718A 2006-09-12 2006-09-12 집어등용 반사장치 KR100652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718A KR100652826B1 (ko) 2006-09-12 2006-09-12 집어등용 반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718A KR100652826B1 (ko) 2006-09-12 2006-09-12 집어등용 반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826B1 true KR100652826B1 (ko) 2006-12-01

Family

ID=3773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718A KR100652826B1 (ko) 2006-09-12 2006-09-12 집어등용 반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8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95B1 (ko) 2007-04-14 2008-11-03 한승호 무게추를 구비한 어선용 집어등장치
KR100987741B1 (ko) 2010-08-18 2010-10-13 김분선 반사판이 상하로 설치된 집어등장치
KR20160066943A (ko) * 2014-12-03 2016-06-13 조각희 항공장애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95B1 (ko) 2007-04-14 2008-11-03 한승호 무게추를 구비한 어선용 집어등장치
KR100987741B1 (ko) 2010-08-18 2010-10-13 김분선 반사판이 상하로 설치된 집어등장치
KR20160066943A (ko) * 2014-12-03 2016-06-13 조각희 항공장애등
KR101656823B1 (ko) * 2014-12-03 2016-09-12 조각희 항공장애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832B2 (en) Outdoor light with positionable solar collector
KR100652826B1 (ko) 집어등용 반사장치
KR100728232B1 (ko) 어선의 집어등을 위한 광반사장치
KR100801400B1 (ko)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KR100824806B1 (ko) 어선용 집어등장치
CN108005468A (zh) 一种电力安全围栏
CN206890297U (zh) 可替换式快速安装吸顶灯
KR100702681B1 (ko) 어선용 집어등장치
KR100866395B1 (ko) 무게추를 구비한 어선용 집어등장치
KR100895958B1 (ko) 어선용 집어등장치
CN209909692U (zh) 一种核用水下灯结构
CN210838685U (zh) 便携式提线器
JP2003158958A (ja) 集魚灯装置
CN210567677U (zh) 一种便于安装与拆卸的led网灯
CN103791463B (zh) 一种格构式升降灯架
CN208967689U (zh) 结构稳定的太阳能路灯
CN219751688U (zh) 一种电动单梁起重机端梁
CN208332188U (zh) 集鱼灯安装架
KR100946780B1 (ko) 어선용 집어등장치
RU20208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ова рыбы
KR100987741B1 (ko) 반사판이 상하로 설치된 집어등장치
JP5328465B2 (ja) ポール付き照明器具
CN211232793U (zh) 一种户外灯具的固定装置
RU21925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подвесных осветит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на натяжном потолке
CN219863590U (zh) 一种张拉膜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