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721B1 -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secret number in mobil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secret number in mobil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721B1
KR100652721B1 KR1020050031726A KR20050031726A KR100652721B1 KR 100652721 B1 KR100652721 B1 KR 100652721B1 KR 1020050031726 A KR1020050031726 A KR 1020050031726A KR 20050031726 A KR20050031726 A KR 20050031726A KR 100652721 B1 KR100652721 B1 KR 100652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english
input
korean
portal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9580A (en
Inventor
문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721B1/en
Publication of KR20060109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5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B65D5/4216Cards, coupons or the like formed integrally with, or printed directly on, the container or lid
    • B65D5/4225Cards, coupons or the like formed integrally with, or printed directly on, the container or lid as an extra panel or panels projecting out of the plane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포털 사이트 접속 시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변환하기 위해,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로의 접속을 시도한 후 상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대한 비밀번호가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인 경우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vert the password used when accessing the Internet portal sit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attempting to access the Internet portal site request the password input, the password for the Internet portal site entered from the user is Check whether the English password entered in Korean, and if the input password is the English password entered in Korea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password is converted into pre-assigned English.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자동 변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SECRET NUMBER IN MOBIL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SECRET NUMBER IN MOBIL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PC) 키보드의 자판 구조 및 이동 통신 단말기 키패드의 자판 구조를 일 예로 도시한 블록도, 1A and 1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keyboard structure of a general personal computer (PC) keyboard and a keyboard structure of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 번호를 변환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verting an English password inputted into Kore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자음/모음 별 할당된 영문을 도시한 블록도,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English characters assigned to each Korean consonant /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를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an English password inputted into Korean into a pre-assigned Engl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를 변환하기 위한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converting an English password inputted into Kore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10 : 키패드 120 : 제어부110: keypad 120: control unit

130 : 표시부130: display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포털 사이트 접속 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자동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eiv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 password input when accessing a portal sit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a wireless internet service. .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통신 기술에서도 기존의 음성 및 데이터 위주의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유선망에서 주로 사용되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도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유선망에서 뿐만 아니라 무선망에서도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휴대 인터넷이라고도 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통해 보행이나 차량 주행 등의 이동 환경에서도 인터넷을 접속하여 자신의 메일이나 메신저 및 전자 상거래 등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lso provides multimedia services in existing voice and data-oriented services. In addition, as the high-speed Internet service mainly used in the wired network has been rapidly developed, the Internet service is provided not only in the wired network but also in the wireless network. Such a wireless Internet service is also referred to as a portable Internet, which allows users to access the Internet in a mobile environment such as walking or driving a vehicle through a terminal to receive wireless Internet services such as mail, messenger, and electronic commerce.

이동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키보드에서 인터넷 메뉴를 입력하여 각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후, 원하는 포털 사이트(Portal Site)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포털 사이트들의 대부분은 개인 및 사업자의 정보 관리 및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사용자 가입을 통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해야 한다.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a user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provided by each operator by entering an Internet menu on a keyboard, and then moves to a desired portal site. Are provided. Most of these portal sites must be accessed by entering an ID and password through user registration to prevent personal and business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leakage.

그런데, 일반적인 영문 및 한글 문자 자체나 숫자 등의 비밀번호는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면 포털 사이트 접속이 가능하나, PC의 키보드에서 영문의 비밀번호를 한글 입력하듯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털 사이트 접속이 불가능하다. However, the general English and Korean characters themselves or passwords such as numbers can be entered through the keypad of the terminal, but portal sites can be accessed.

이는 PC와 단말기의 키보드의 자판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기존에 포털 사이트 접속 시 사용되었던 비밀번호를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단말기 키패드의 한글에 할당된 영문자가 다르므로 잘못된 영문이 입력된다. 이러한 PC 키보드와 단말기 키패드의 자판 구조를 첨부된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였으며, 이를 참조하면 명확히 다른 구조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1b의 단말기 키패드 구조는 엘지(LG)사에서 출시되는 단말기의 키패드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타사의 제품들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Since the keyboard structure of PC and terminal keyboard is different, when English password is used for accessing portal site using wireless internet, the English alphabet assigned to the Korean keypad is different. The keyboard structures of the PC keyboard and the terminal keypad are shown in FIG. 1A and FIG. 1B attached thereto. Here, the terminal keypad structure of FIG. 1B illustrates a keypad of a terminal released by LG, for example, and it should be noted that products of other companies may also be applied.

예를 들어 상기 첨부된 도 1a에 도시된 PC 영문 자판에서 한글(문찬영)을 입력하듯 생성된 비밀 번호가 'anscksdud'이라면, 상기 도 1b에 도시된 단말기 키패드에서 한글(문찬영)을 입력하면 그대로 한글로 입력되거나, 변환을 한다해도 전혀 다른 영문으로 입력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한글 입력하듯 영문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에러가 발생하므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트 접속을 포기하거나 숫자 등의 비밀번호로 변경을 요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해당 영문(anscksdud)을 그대로 입력하여 사이트를 접속 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이를 한글 대비 영문을 확인해야 하고, 기억하기 쉽지 않은 영문을 기억한 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For example, if the generated password is 'anscksdud' in the PC English keyboard shown in FIG. Even if it is inputted in or converted into English, it is inputted in completely different English. As a result, when a user enters an English password as in Korean, an error occurs. Therefore, the user has to give up access to the site using the wireless Internet or inconveniently need to change the password such as a numb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site by inputting the corresponding English (anscksdud) as it is, but the user has to check the English compared to the Korean, and it is troublesome to enter after remembering English that is not easy to remember.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력된 한글의 자음/모음 별로 대응하는 퍼스널 컴퓨터 키보드의 영문으로 할당하여 한글 입력하듯 입력된 비밀번호를 영문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n input password into English as if inputting in Korean by assigning it to English in a personal computer keyboard corresponding to each consonant / vowel in Korean input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포털 사이트 접속 시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자동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로의 접속을 시도한 후 상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대한 비밀번호가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인 경우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 password used when accessing an Internet portal sit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password input after attempting to access the Internet portal site, Checking whether the password for the Internet portal site input from the user is an English password input in Korean; and converting the input password into pre-assigned English if the input password is an English password input in Korea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포털 사이트 접속 시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자동 변환하는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 접속을 입력받고,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로부터의 비밀번호 요청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된 한글을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입력된 한글을 표시하고, 상기 영문으로 변환된 비밀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 password used when accessing the Internet portal sit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Internet portal site access from the user, the password from the Internet portal site A keypad for receiving a password upon request, a controller for checking whether the password input through the keypad is an English password input in Korean, and converting the input Korean into pre-assigned English, and displaying the input Korea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assword converted into English.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를 변환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verting an English password inputted into Kore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는 한글 입력하듯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110)와, 상기 비밀번호를 한글 자음/모음 별 할당된 영문으로 자동 변환하는 제어부(120)와, 변환된 비밀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130)로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2,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includes a keypad 110 for inputting a password as if inputting a Korean character, and a controller 120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password into English assigned to each Korean consonant / vowel. And a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the converted password.

상기 제어부(120)에서 변환되는 한글 자음/모음 별 할당되는 영문의 일예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n example of the English assigned to each Korean consonant / vowel converted by the controll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하면, 우선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자판 구조에 따라 자음의 ㄱ 및 ㄲ은 R, r, ㄴ은 S, s, ㄷ 및 ㄸ은 E, e, ㄹ은 F, f, ㅁ은 A, a, ㅂ 및 ㅃ은 Q, q, ㅅ 및 ㅆ은 T, t, ㅇ은 D, d, ㅈ 및 ㅉ은 W, w, ㅊ은 C, c, ㅍ은 V, v, ㅌ은 X, x, ㅋ은 Z, z, ㅎ은 G, g로 할당한다. Referring to FIG. 3, first, a and r of consonants are R, r, b are S, s, c and e are E, e, d is F, f, and m are A according to the keyboard keyboard structure of the personal computer. , a, white, and large Q, q, white, and large T, t, small D, d, r and small W, w, thin C, c, small V, v, small X, x , ㅋ is assigned to Z, z, ㅎ to G, g.

다음으로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자판 구조에 따라 모음의 ㅏ는 K, k, ㅑ는 I, i, ㅓ는 J, j, ㅕ는 U, u, ㅗ는 H, h, ㅛ는 Y, y, ㅜ는 N, n, ㅠ는 B, b, ㅡ는 M, m, ㅣ는 L, l, ㅐ 및 ㅒ는 O, o, ㅔ 및 ㅖ는 P, p, ㅘ는 HK, hk, ㅙ는 HO, ho, ㅚ는 HL, hl, ㅝ는 NJ, nj, ㅞ는 NP, np, ㅟ는 NL, nl, ㅢ는 ML, ml로 할당한다. Next, depending on the keyboard layout of the personal computer, vowels K, k, ㅏ I, i, J J, j, U U, u, H H, h, Y Y, y, ㅜ N, n, B is B, b, M is M, m, L is L, l, ㅐ and O is O, o, ㅔ and P is P, p, H is HK, hk, HO is HO, ho, Is HL, hl, N is NJ, nj, ㅞ is NP, np, ㅟ is NL, nl, and ML is ML, ml.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단말기에서 입력된 한글을 상기 할당된 영문으로 자동 변환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process of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Korean inputted from the terminal having such a structure into the assigned Englis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를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an English password inputted into Korean into an English word assigned in adv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단말기의 키패드(110)에서 무선 인터넷을 접속하기 위한 메뉴를 누른 후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원하는 사이트로 들어가서 해당 사이트에서 비밀번호를 요청하면, 키패드(110)의 자판을 이용해 자신의 비밀번호를 한글로 입력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의 표시부(130)에는 상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문찬영"으로 표시된다.The user presses a menu for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on the keypad 110 of the terminal and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Then, when the user enters the desired site to request a password from the site, using the keyboard of the keypad 110 enters his password in Korean. Accordingly, the display 130 of the terminal,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4, the password is displayed as "Moon Chan-young".

이후, 사용자는 상기 할당된 영문으로의 자동 변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메뉴(옵션 메뉴나 변환기능에 할당된 키)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제어부(120)에서 입력된 한글 자음/모음 별로 분리한 후 할당된 해당 영문으로 변환한다. Then, the user presses a preset menu (key assigned to an option menu or a conversion function) for automatic conversion to the assigned English. Then, as shown in (b) of FIG. 4, the control unit 120 of the terminal separates each input consonant / vowel and then converts it into the assigned English.

모든 한글 입력의 변환이 완료되면, 상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는 영문자로 변환된 비밀번호 "ANSCKSDUD"를 표시한다. When the conversion of all Hangul input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4C,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password "ANSCKSDUD" converted to English characters.

이와 같은 변환 과정을 단말기의 동작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is convers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를 변환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verting an English password inputted into Kore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20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120)는 키패드(110)를 통해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시도하였는지를 확인한다. 무선 인터넷을 위한 메뉴 입력이 있으면, 210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초기 화면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초기 화면을 보고 원하는 사이트로의 메뉴를 선택한다. Referring to FIG. 5, in step 200, the controller 120 of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ttempted wireless Internet through the keypad 110. If there is a menu input for the wireless Internet, in step 210, the controller 120 displays an initial screen for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on the display 130. The user then sees the initial screen and selects a menu to the desired site.

220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원하는 사이트 메뉴의 입력을 받아 해당 사이트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230단계에서 해당 사이트로부터 비밀번호 입력 요구가 있는지 확인하여 비밀번호 요구가 없으면 그대로 290단계로 진행하여 사이트를 연결한다. 반면, 제어부(120)가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받으면, 240단계에서 표시부(130)에 비밀 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창을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키패드(11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여기서 비밀번호를 한글로 입력하는 영문 비밀번호라면 사용자는 영문 변환을 위한 미리 설정된 변환 메뉴를 누른다. In step 220,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input of the desired site menu and attempts to connect to the corresponding site. In step 23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re is a password input request from the corresponding site. do.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unit 120 is requested to input the password,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 window for requesting the password input in step 240. The user then enters a password through the keypad 110. In this case, if the English password is entered in Korean, the user presses a preset conversion menu for English conversion.

250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상기 미리 설정된 변환 메뉴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다. 이때, 변환 메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29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60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입력된 한글을 자음/모음 입력 순서로 분리하고, 해당 영문자로 변환한다. In step 250,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 preset conversion menu is input. In this case, when the conversion menu is not input, the control unit 120 proceeds to step 290, and if not, in step 260, the control unit 120 separates the input Korean into consonant / vowel input order and converts it to the corresponding alphabet. .

그런 다음 270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상기 변환된 영문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영문자가 맞는지를 확인하여 맞는 경우 확인 메뉴를 누르고, 틀린 경우에는 이전 메뉴를 눌러 비밀번호 입력을 다시 시작한다. In operation 270, the controller 120 displays the converted English on the display 130. Then, the user checks whether the alphabe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s correct, and if it is correct, presses the confirmation menu, and if wrong, presses the previous menu to restart password input.

280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메뉴 입력을 확인하여 확인 메뉴가 입력된 경우 290단계에서 해당 사이트로 연결하고, 그렇지 않고 이전 메뉴가 입력된 경우에는 240단계로 진행한다. In step 280, the control unit 120 checks the menu input and if the confirmation menu is input, the controller 120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site in step 290. Otherwise, if the previous menu is input, the control unit 120 proceeds to step 240.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은 한글 자음/모음을 PC의 키보드에 설정된 영문에 따라 미리 할당하여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둠으로써, 입력되는 한글 을 자음/모음 입력순서로 분리하여 상기 미리 할당된 해당 영문으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에서도 PC에서와 같이 영문 비밀번호를 한글로 입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변경할 필요 없이 쉽게 원하는 사이트를 접속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cates Korean consonants / vowels according to the English set on the keyboard of the PC in advance and stores them in the terminal. It can be automatically converted to English. As a result, the English password can be input in Korean as in the PC, so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desired site without changing the passwor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로 입력되는 영문 비밀번호를 자음/모음 입력순서로 분리하여 미리 할당된 해당 영문으로 자동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변경할 필요 없이 쉽게 원하는 사이트를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access a desired site without changing the password by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English password inputted into Korean into a consonant / vowel input order and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password into the corresponding English.

Claims (6)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포털 사이트 접속 시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자동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password used when accessing the Internet portal sit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로의 접속을 시도한 후 상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Requesting the password input after attempting to access the Internet portal site;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대한 비밀번호가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Checking whether the password for the Internet portal site input from the user is an English password input in Korean;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인 경우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자동 변환 방법. And converting the input password into a pre-assigned alphabet when the input password is an English password input in Korea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글 비밀번호의 변환이 완료되면 상기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된 영문 비밀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Displaying the English password converted into the pre-allocated English when the conversion of the Korean password is completed; 상기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을 받아 상기 포털 사이트로 접속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자동 변환 방법. And automatically accessing the portal site by receiving a confirmation input from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된 비밀번호의 한글 자음 및 모음을 분리하여 입력 순서대로 해당 자음 및 모음에 따라 상기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자동 변환 방법.The converting of the input password into pre-allocated English characters includes separa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input password and converting the input passwords into the pre-allocated English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input order. How to automatically convert your password on your device.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미리 할당된 영문은 퍼스널 컴퓨터의 자판 구조에 따라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자동 변환 방법. And the pre-allocated English letter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포털 사이트 접속 시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자동 변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 password used to access an Internet portal sit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 접속을 입력받고, 상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로부터의 비밀번호 요청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키패드와,A keypad for inputting access to the Internet portal site from a user, and receiving a password in response to a password request from the Internet portal site;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한글로 입력된 영문 비밀번호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된 한글을 미리 할당된 영문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which checks whether the password inputted through the keypad is an English password inputted in Korean and converts the inputted Korean input into pre-assigned English; 상기 입력된 한글을 표시하고, 상기 영문으로 변환된 비밀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자동 변환 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Hangul and displaying the password converted into English.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미리 할당된 영문은 퍼스널 컴퓨터의 자판 구조에 따라 할당됨을 특징 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밀번호 자동 변환 장치. And the pre-allocated English letter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personal computer.
KR1020050031726A 2005-04-16 2005-04-16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secret number in mobil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KR1006527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726A KR100652721B1 (en) 2005-04-16 2005-04-16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secret number in mobil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726A KR100652721B1 (en) 2005-04-16 2005-04-16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secret number in mobil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580A KR20060109580A (en) 2006-10-23
KR100652721B1 true KR100652721B1 (en) 2006-12-01

Family

ID=3761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726A KR100652721B1 (en) 2005-04-16 2005-04-16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secret number in mobil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72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981U (en) * 1995-08-26 1997-03-29 Vehicle window opener
KR20010008124A (en) * 2000-11-10 2001-02-05 최규석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030025945A (en) * 2003-02-06 2003-03-29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INpad with randomly assigning symbolic array
KR20060075182A (en) * 2004-12-28 2006-07-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of inputting a let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981U (en) * 1995-08-26 1997-03-29 Vehicle window opener
KR20010008124A (en) * 2000-11-10 2001-02-05 최규석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030025945A (en) * 2003-02-06 2003-03-29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INpad with randomly assigning symbolic array
KR20060075182A (en) * 2004-12-28 2006-07-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of inputting a let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580A (en)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432B1 (en) Creation method for characters/words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US7715882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EP2849082B1 (en) Icon password setting apparatus and icon password setting method using keyword of icon
DE60003521D1 (en) TEXT INPUT SYSTEM FOR IDEOGRAPHIC LANGUAGES
KR20070074652A (en) A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deographic character input
KR1006527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secret number in mobil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CN107533522B (en) Information linking system, information linking program, and method of operating information linking system
JP2000353044A (en) Server for retrieving url addr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erver, and url address specifying method
CN104881145A (en) International keyboard for in-car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system
KR200900160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keyboard input mode in a mobile network device
JP3285821B2 (en) Thai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KR100386944B1 (en)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751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an initial sound consonan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N100385375C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and method
KR20080095823A (en) Device and method for multilingual mailing capable of selecting text input mode
JP2008117217A (en) Portable terminal unit and user information reception device
KR100548352B1 (en) Method for displaying chinese language input window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75786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anagement language in key-phone system
CN105930140A (en) Input mode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1228959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elevision remote controller
JP2004220618A (en) Password authenticat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JPH11288364A (en) Information reading method, device therefor and storage medium
KR20050015897A (en) Character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JP4607385B2 (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JPH113329A (en) Network japanese input method and it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