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706B1 -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706B1
KR100652706B1 KR1020040117402A KR20040117402A KR100652706B1 KR 100652706 B1 KR100652706 B1 KR 100652706B1 KR 1020040117402 A KR1020040117402 A KR 1020040117402A KR 20040117402 A KR20040117402 A KR 20040117402A KR 100652706 B1 KR100652706 B1 KR 100652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location area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714A (ko
Inventor
구철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7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엑스아이디 정보교환을 반복하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 접속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에 의하여 데이터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하며, 일반 호접속 진행과 데이터 호접속 진행과 엑스아이디 교환정보를 설정하고 데이터 통신 진행을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 위치영역 정보와 엑스아이디 교환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엑스아이디부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기지국의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기존 위치영역 정보와 다르게 변경되었거나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접속이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설정하고 데이터 통신하는 휴대단말기; 위치영역 정보를 방송하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과 엑스아이디 정보와 데이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기지국; 일반 호접속 요청과 데이터 호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이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데이터 통신하고, 첫 번째 데이터 호가 아니면 바로 데이터 통신하는 이동교환국; 이동교환국에 접속하여 위치등록된 각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호접속 횟수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데이터 베이스; 휴대단말기에 다른 이동교환국과 접속경로를 설정 제공하는 공중망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METHODS AND APPARATUS' OF IMPROVING DATA COMMUNICATION PROCESS FOR MOBILE PHONE}
도1 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접속 및 로밍 상태 설명도,
도2 는 종래 휴대단말기의 서킷데이터 통신의 시스템 접속 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순서도,
도5 는 본 발명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기능 구성도,
도6 은 본 발명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순서도,
도7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을 위한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01 : 무선부 102 : 제어부
103 : 메모리부 104 : 입출력부 105 : 엑스아이디부
110 : 기지국 120 : 위치영역 130 : 이동교환국
140 : 데이터 베이스 150 : 공중망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 접속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특히, 동일한 교환국의 위치영역에서 서킷(CIRCUIT)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엑스아이디(XID) 정보교환을 반복하지 않도록 하므로 시스템 접속속도를 개선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위치영역(LA: LOCATION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활용률 또는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있고, 상기 부가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과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있으며, 일 예로,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에는,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등등이 있고,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발신자 확인 등이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다수 휴대단말기(UE)가 동시에 점유하여 통신하도록 하기 위한 방식으로, 여러 가지가 제안되고 있으나, 현재 대표적으로 운용되는 방식은 대한민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운용중인 코드 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유럽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운용중인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서비스 영역을 국가 단위로 형성하고, 각 휴대단말기(UE)는 서비스 사업자에 가입 등록되어야 하며, 다른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면, 로밍 계약에 의하여 로밍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상기 로밍 서비스는 각 서비스 사업자 사이에서 계약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국가의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발생하고, 국가 내부에서도 다수 서비스 사업자 사이에서 발생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3세대(3G)의 디지털 방식으로 발전하면서, 거의 모든 통신이 데이터(DATA) 통신방식을 이용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방식에는 패킷(PACKET) 데이터 통신방식과 서킷(CIRCUIT) 데이터 통신방식이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방식에서는, 휴대단말기(UE)와 이동교환국(MSC) 사이에 효과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성능정보 등을 교환하며, 상기와 같은 정보 교환을 엑스아이디(XID: EXCHANGE ID) 정보교환(NEGO: NEGOTIATION)이라 하고, 일 예로, 압축률, 데이터 전송속도, 사용 압축방식, 데이터 오류 체크 방식, 운용 소프트웨어 버전 등이며, 데이터 통신이 발생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가 데이터 통신을 시작하는 경우마다, 이동교환국(MSC)과의 엑스아이디 정보교환(XID NEGO)을 반복하므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접속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경우는, 반복되는 엑스아이디 정보교환을 억제하므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접속속도를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접속 및 로밍 상태 설명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 휴대단말기의 서킷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 접속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UE)(10)는, 일 예로, 제1 이동교환국(MSC)(60)에 가입 등록하고, 상기 제1 이동교환국(60)의 제어와 감시를 받는 제1 기지국(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인 제1 위치영역(LA: LOCATION AREA)(30) 안에서 위치등록(LOCATION REGISTRATION)하여 홈 서비스(HOME SERVICE)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제1 위치영역(30)으로부터 제2 이동교환국(70)이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2 위치영역(50)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기지국(40)과 무선접속하여 제2 이동교환국(70)에 위치등록하므로, 로밍 서비스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이용한다.
상기 제1 이동교환국(60)과 제2 이동교환국(70)은 공중망(80)을 통하여 접속하고 로밍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특히, 지에스엠(GSM) 방식을 사용하며 경제공동체를 추구하는 유럽지역에서 는, 국가 사이의 이동이 자유로우므로, 서비스 영역인 위치영역(LA) 또는 라우팅 영역(RA: ROUTING AREA) 사이의 이동이 빈번하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위치등록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는, 선택에 의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모두 제공받으며,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한 3세대 이동교환국(MSC)에서는 모든 통신이 디지털(DIGITAL) 신호의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처리된다.
상기 휴대단말기(UE)가 시스템의 이동교환국(MSC)과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하여서는, 데이터 압축률, 압축방식, 데이터 전송속도, 운용소프트 버전 등등의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야 하고, 상기와 같은 엑스아이디 정보교환은 호접속을 시동하는 상태에서 매번 발생하므로, 호접속이 지연되는 원인 중에 하나가 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서킷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 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가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접속하여 서킷 데이터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S10), 무선접속된 기지국(RAN)을 통하여 이동교환국(MSC)과 엘3(L3) 레이어 영역에 의한 호(CALL) 접속하고(S20), 엘2(L2) 레이어 영역에 의한 데이터 호(DATA CALL)를 접속한다(S30).
상기와 같이 호접속과 데이터 호 접속을 완료한 휴대단말기(UE)와 이동교환국(MSC)은, 원활하고 효과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서로의 시스템 성능을 일치시키는 엑스아이디(XID) 정보교환 및 설정하고(S40), 상기의 엑스아이디 정보교환이 완료된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진행 및 완료한다(S50).
상기 엑스아이디 정보교환 과정은, 서킷 데이터 통신이 발생될 때마다 반복되며, 홈 시스템에 의한 위치영역 이거나 로밍 시스템에 의한 위치영역에서도 동일하게 반복되므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접속 속도를 저하하는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동일한 이동교환국이 제어 감시하는 동일한 위치영역(LA)에 등록된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엑스아이디 정보교환을 반복하지 않으므로, 시스템 접속 속도를 개선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에 의하여 데이터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무선부와 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하며, 일반 호접속 진행과 데이터 호접속 진행과 엑스아이디 교환정보를 설정하고 데이터 통신 진행을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와 엑스아이디 교환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엑스아이디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기지국이 방송하는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통신할 것인지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하는 호처리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하는 데이터 호인지 판단하고, 첫 번째 접속 데이터 호가 아니면 수신된 현재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 는 비교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 데이터 호이거나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면 이동교환국과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 설정 운용하고, 첫 번째 접속 데이터호가 아니고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지 않으면 기존 엑스아이디 정보를 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엑스아이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기지국의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기존 위치영역 정보와 다르게 변경되었거나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접속이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설정하고 데이터 통신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방송하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과 엑스아이디 정보와 데이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고 일반 호접속 요청과 데이터 호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이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데이터 통신하고, 첫 번째 데이터 호가 아니면 바로 데이터 통신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여 위치등록된 각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호접속 횟수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다른 이동교환국과 접속경로를 설정 제공하는 공중망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기지국을 제어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방송하며 휴대단말기로부터 일반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일반 호접속하고 응답하는 일반호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 호접속 처리하고 응답회신하는 데이 터 호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가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 아니면 바로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순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순서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을 위한 신호 흐름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에 의하여 데이터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101)와,
상기 무선부(101)와 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하며, 일반 호접속 진행과 데이터 호접속 진행과 엑스아이디 교환정보를 설정하고 데이터 통신 진행을 제어 감시하는 것으로, 무선부(101)를 제어하여 기지국(RAN)으로부터 방송되는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엑스아이디부(105)에 기록저장하고 이전에 기록된 위치영역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며,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요청이 있으면, 일반 호(VOICE CALL) 접속과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을 진행시키고, 상기 위치영역(LA) 정보가 기존 위치영역(LA) 정보와 동일하지 않으면 기지국(RAN)과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교환하여 엑스아이디부(105)에 갱신기록 및 설정운용하고, 상기 위치영역(LA) 정보가 기존 위치영역(LA) 정보와 동일하면 엑스아이디부(105)에 기록된 정보로 설정 운용하여 송수신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에 접속하고 동일한 위치영역에서는 엑스아이디(XID) 정보교환을 반복하지 않는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103)와,
상기 제어부(102)에 접속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접속 요청과 송수신 데이터 통신 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104)와,
상기 제어부(102)와 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와 엑스아이디(XID) 교환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하여 이전 접속된 기지국(RAN)의 위치영역(LA: LOCATION AREA) 정보와, 현재 접속된 기지국(RAN)의 위치영역(LA) 정보와, 위치영역(LA)에서의 데이터 호접속 횟수와, 이전 순서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된 엑스아이디(XID) 교환정보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엑스아이디부(105)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100)의 무선부(101)는, 기지국(RAN)이 방송하는 위치영역(LA) 정보를 무선수신하여 제어부(102)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102)는 엑스아이디부(105)의 할당된 영역에 현재의 위치영역(LA) 정보로 기록저장한다.
상기 엑스아이디부(105)에는, 기존의 위치영역(LA) 정보와 현재 수신된 위치영역(LA) 정보가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된다.
상기 제어부(102)는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데이터(DATA) 통신하고자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무선부(101)를 통하여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고, 상기 기지국(RAN)과 접속한 이동교환국(MSC)의 운용 소프트 엘3(L3) 계층(LAYER)에 일반 호(VOICE CALL) 접속을 요청(REQ: REQUEST)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이동교환국(MSC)의 엘3(L3) 계층(LAYER)으로부터 해당 처리에 의하여 일반 호(VOICE CALL)가 접속되었다는 응답(CNF: CONFIRM)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일반 호 응답신호(CALL CNF)를 수신한 제어부(102)는, 상기 이동교환국(MSC)의 엘2(L2) 계층(LAYER)에,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SABM: SET ASYNCHRONOUS BALANCED MODE)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교환국(MSC)의 엘2(L2) 계층(LAYER)에 의한 해당 처리에 의하여 데이터 호를 접속한 후에 전송하는 응답신호(UA: UNNUMBERED ACKNOWLEDGEMENT)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교환국(130)으로부터 일반 호접속이 완료되었다는 확인신호와 데이터 호접속이 완료되었다는 확인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02)는, 엑스아이디부(105)를 검색하여, 첫 번째 데이터 접속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엑스아이디부(105) 검색 판단에서, 첫 번째 데이 터 호 접속으로 확인되면, 상기 엑스아이디부(105)에 기록저장된 기존 위치영역(LA) 정보와 현재 위치영역(LA)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또는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첫 번째 데이터 호 접속인 동시에 위치영역(LA)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교환국(MSC)에 엑스아이디(XID) 정보의 교환을 요청하고, 상기 이동교환국(MSC)이 회신하는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설정하여 운용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첫 번째 데이터 호 접속이 아닌 동시에 동일한 위치영역(LA)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전에 기록저장되고 운용되었던 엑스아이디 정보를 그대로 운용한다.
상기 엑스아이디 운용정보는, 일 예로, 데이터 압축률, 압축방법, 데이터 전송속도, 오류 체크방법, 사용 소프트 버전 등등이 되며, 상기와 같은 엑스아이디 정보는 휴대단말기(UE)와 이동교환국(MSC) 사이에 최적 상태로 조율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와 같은 확인에 의하여 설정된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운용하고, 상기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며, 무선부(101)를 통하여 기지국(RAN)에 무선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기지국(RAN)을 통하여 무선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UE)는, 동일한 이동교환국(MSC)이 감시하고 운용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인 위치영역(LA: LOCATION AREA)에 위치하고, 데이터 통신을 한번 이상하였으면, 기존에 설정된 엑스아이디 정보를 사용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와 이동교환국(MSC)에 접속된 기지국(RAN)과 무선통신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상태는, 상기 첨부된 도7에 일 예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의 휴대단말기(UE)는, 이동교환국(MSC)과 엑스아이디(XID) 정보 교환을 하지 않고, 데이터 통신을 시작하므로, 시스템 접속이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을 설명한다.
휴대단말기(UE)에 의하여 기지국(RAN)이 방송하는 위치영역(LA)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통신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 제어부(102)에 의하여 기지국(RAN)이 방송하는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엑스아이디부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의 제어부(102)는 입출력부(104)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데이터 통신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하는 것으로, 기지국(RAN)을 통하여 무선접속된 이동교환국(MSC)과 엘3(L3) 계층(LAYER)에 의한 일반 호접속을 진행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의 제어부(102)는 이동교환국(130)과 엘2(L2) 계층에 의한 데이터 호접속을 진행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호처리과정과,
상기 호처리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하는 데이터 호인지 판단하고, 첫 번째 접 속 데이터 호가 아니면 수신된 현재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호처리과정에서 접속된 데이터 호가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 인지를 엑스아이디부(105)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첫 번째 접속되는 데이터호가 아니면, 현재 수신된 위치영역(LA) 정보가 기존 위치영역(LA) 정보와 다르게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비교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 데이터 호이거나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면 이동교환국과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 설정 운용하고, 첫 번째 접속 데이터호가 아니고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지 않으면 기존 엑스아이디 정보를 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것으로, 상기 비교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가 아닌 동시에 위치영역(LA) 정보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엑스아이디부(105)에 기록저장된 기존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설정하여 운용하는 과정(S160); 상기 비교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 이거나 위치영역(LA)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새로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설정하고 운용하는 과정(S180);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엑스아이디 정보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을 운용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지는 엑스아이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현재 무선접속되는 기지국(RAN)이 방송하는 위치영역(LA) 정보를 수신하고(S100), 입출력부(104)로부터 데이터 통신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10).
상기 과정(S110)에서 데이터 통신 명령을 입력한 휴대단말기(100)는, 이동교환국(MSC)에 엘3(L3) 계층(LAYER)에 일반 호(VOICE CALL) 접속을 요청하고, 일반 호(VOICE CALL)가 접속되었다는 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처리한다(S120).
상기 과정(S120)을, 상기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단말기(UE)에 의하여 기지국(RAN)에 일반 호(VOICE CALL) 접속을 요청(CALL REQ)하고(ST100), 상기 기지국(RAN)은 이동교환국(MSC)에 전송 및 해당 제어에 의하여 확인 신호(CALL CNF)를 수신한다(ST110).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02)는, 일반 호 접속 된 후에, 이동교환국(MSC)에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을 요청하고 해당 응답신호를 회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처리한다(S130).
상기 과정(S130)을, 상기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단말기(UE)는 데이터 호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SABM: SET ASYNCHRONOUS BALANCED MODE)를 기지국(RAN)에 전송하고(ST120), 상기 기지국(RAN)은 이동교환국(MSC)에 전달 및 해당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호가 접속되었다는 응답신호(UA: UNNUMBERED)를 수신한다(ST130).
상기 휴대단말기(UE)의 제어부(102)는,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 인지를 판단하고(S140), 상기 판단(S140)에서 첫 번째 데이터 호이면, 이동교환국(MSC)에 엑스아이디(XID) 정보의 교환을 요청하고 수신하여 해당 설정 운용한다(S180).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UE)의 제어부(102)는, 첫 번째 접속이 아닌 경우, 수 신된 위치영역(LA) 정보를 분석하여 기존의 위치영역(LA) 정보와 상이하여 변경되었는지를 판단(S150)하고, 상기 판단(S150)에서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이동교환국과의 엑스아이디 정보 교환 및 설정 운용을 진행한다(S180).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첫 번째 데이터 접속이 아니고, 위치영역 변경도 아닌 경우, 기존에 설정되어 사용되던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그대로 운용한다(S160).
상기 휴대단말기(UE)는, 상기와 같이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설정 운용하는 상태에서,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지국(RAN)을 통하여 이동교환국(MSC)에 무선송신하고,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기지국(RAN)을 통하여 무선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는 무선부(101)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통신을 한다(S170).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단말기(UE)는, 동일한 위치영역(LA)에서 한번 이상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을 하였으면, 이동교환국에 엑스아이디 정보를 요청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며, 기존에 사용한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다시 반복하여 이용하므로, 시스템 접속이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RAN)(110)의 위치영역(LA) 정보를 수신하고 기존 위치영역(LA) 정보와 다르게 변경되었거나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이 아니면 엑스아이디(XID) 정보 교환하여 설정하고 데이터 통신하는 것으로, 기지 국(110)이 방송(BROADCASTING)하는 위치정보(LA)를 수신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일반 호접속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호접속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DATA CALL)이거나 위치영역(LA) 정보가 변경되면 이동교환국(130)에 엑스아이디(XID) 정보 교환을 요청 수신하여 기록저장 및 설정 운용하고 데이터 통신하며, 첫 번째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되지 않았거나 위치영역(LA) 정보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기존 엑스아이디(XID) 정보로 데이터 통신하는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무선접속하고 위치영역(LA) 정보를 방송(BROADCASTING)하며 일반 호(VOICE CALL) 접속과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과 엑스아이디(XID) 정보와 데이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기지국(RAN)(110)과,
상기 기지국(110)과 접속하고 일반 호(VOICE CALL) 접속 요청과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경로(PATH)를 설정하고,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이면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교환하여 데이터 통신하고, 첫 번째 데이터 호가 아니면 바로 데이터 통신하는 것으로, 기지국(110)을 제어하여 위치영역(LA) 정보를 방송(BROADCASTING)하고,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일반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일반 호접속하고 응답하며, 데이터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 호접속하고 응답하며, 휴대단말기(100)가 첫 번째 데이터 호(DATA CALL)접속하여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는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교환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하고 첫 번째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이 아니면 엑스아이디(XID) 정보 교환 없이 데이터 통신하며, 데이터 베이스(140)를 제어하여 해당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 호접속 횟수를 누적 기록저장 출력하는 감시와 제어운용하는 이동교환국(MSC)(130)과,
상기 이동교환국(130)에 접속하여 위치등록(LOCATION REGISTRATION)된 각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 횟수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데이터 베이스(140)와,
상기 이동교환국(130)에 접속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다른 이동교환국(MSC)(130)과 접속경로를 설정 제공하는 공중망(15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11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인 위치영역(LA: LOCATION AREA)에 위치하면서,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방송(BROADCASTING)되는 위치영역(LA)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무선접속되는 기지국(110)을 통하여 이동교환국(130)에 일반 호(VOICE CALL) 접속을 요청하고 회신되는 해당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상기의 휴대단말기(100)는, 무선접속된 기지국(110)을 통하여 이동교환국(130)에 데이터 호(DATA CALL)접속을 요청하고 회신되는 해당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첫 번째 데이터 호 접속 인지와, 위치영역(LA) 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서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이거나 위치영역(LA) 정보가 변경된 경우, 무선접속된 기지국(110)을 통하여 이동교환국(130)에 엑스아이디 정보의 교환을 요청하고 해당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기록저장 및 설정 운용한다.
또한, 상기 이동교환국(130)은, 데이터 베이스(140)를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을 요청하는 휴대단말기(100)가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 요청인지 확인하고, 첫 번째이면 엑스아이디(XID) 정보의 교환을 요구하며, 이전에 데이터 호접속을 한 기록이 있으면 엑스아이디(XID) 정보의 교환을 요구하지 않는 처리를 하는 동시에, 이번의 데이터 호접속 요청 상태를 해당 영역에 누적 기록저장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30)은 상기와 같이 설정된 데이터 호를 통하여 접속된 상대방이 자국에 가입된 휴대단말기(100)의 경우는 자체 스위칭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 연결하고, 자국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중망(150)을 제어하여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단말기와 이동교환국이 포함되는 시스템은, 동일한 이동교환국이 제어하고 운용하는 위치영역(LA)에 위치하고, 한번 이상 데이터 호접속을 한 경우, 상호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지 않고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므로, 접속과정이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30)에 의하여 기지국(110)을 제어하고 위치영역(LA) 정보를 방송(BROADCASTING)하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일반 호(VOICE CALL) 접속 요청이 있으면 일반 호접속하고 응답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30)에 의하여 접속된 기 지국(110)을 제어하여 위치영역(LA) 정보를 다수 휴대단말기(100)에 방송하는 과정(S200); 상기 과정(S200)의 이동교환국(130)은 무선접속된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일반 호(VOICE CALL) 접속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S210); 상기 과정(S210)에서 일반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이동교환 운용 프로그램의 엘3(L3) 계층(LAYER)에 의하여 일반 호(VOICE CALL) 접속처리하고 휴대단말기(100)에 응답회신하는 과정(S220)으로 이루어지는 일반호 과정과,
상기 일반호 과정의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 처리하고 응답회신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30)에 의하여 무선접속된 휴대단말기(100)가 데이터 호접속을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230); 상기 과정(S230)에서 데이터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이동교환 운용 프로그램의 엘2(L2) 계층(LAYER)에 의하여 데이터 호접속처리하고 휴대단말기(100)에 응답회신하는 과정(S240)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호과정과,
상기 데이터 호과정의 휴대단말기(100)가 첫 번째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이면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교환하여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 아니면 바로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가 첫 번째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인지를 데이터 베이스(140)를 검색하여 확인 판단하는 과정(S250); 상기 과정(S250)에서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면 휴대단말기(100)와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교환하여 설정하고 운용하는 과정(S270); 상기 과정(S270)에서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 아니거나 휴대단말기(100)와 엑스아이디(XID) 정보를 교환 설정하였으면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S260)으로 이 루어지는 통신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교환국(MSC)(130)은, 상기 기지국(110)을 제어하여 위치영역(LA)을 확인할 수 있는 해당 정보를 무선접속된 모든 휴대단말기(100)에 일방적으로 방송(BROADCASTING)한다(S200).
상기 이동교환국(130)은, 기지국(110)을 통하여 무선접속된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일반 호(VOICE CALL)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어 인가되는지 판단하고(S210), 상기 판단(S210)에서 일반 호 접속 요청이 있으면, 엘3(L3) 계층(LAYER)에 의하여 일반 호 접속 처리하고, 해당 확인용 응답신호를 기지국(110)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20).
상기 과정(S220)의 이동교환국(130)은 기지국(110)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고(S230), 상기 판단(S230)에서 데이터 호 접속 요청이 있으면, 엘2(L2) 계층(LAYER)에 의하여 데이터 호 접속 처리하고, 해당 확인용 응답신호를 상기 기지국(110)을 통하여 휴대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40).
상기 과정(S240)의 이동교환국(130)은, 데이터 베이스(140)를 검색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첫 번째 데이터 호 접속을 요청하는 것인지 판단하고(S250), 상기 판단(S250)에서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단말기(100)에 엑스아이디(XID) 정보의 교환을 요구하고, 상기 판단(S250)에서 첫 번째 데이터 호(DATA CALL) 접속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엑스아이디(XID) 정보의 교환을 요구한다(S270).
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130)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지정한 상대방과의 데이터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이 진행되도록 한다(S260).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단말기(100)와 이동교환국(130)이 포함되는 시스템은, 동일한 이동교환국(130)의 위치영역(LA)에 위치하고, 한번 이상 데이터 호 접속을 한 경우, 엑스아이디(XID) 정보의 교환을 요구하지 않고,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므로, 시스템 접속 절차가 줄어들어 빠르게 접속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동일한 이동교환국의 위치영역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가 한번 이상 데이터 호 접속한 경우, 엑스아이디 정보의 교환을 요구하지 않고, 기존에 설정되어 사용되는 엑스아이디 정보를 이용하므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 접속 절차가 간단해지고, 시스템 접속을 빠르게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시스템에 빠르게 접속하므로, 데이터 전송 처리를 빠르게 하여 신뢰도를 제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에 의하여 데이터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무선부와 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하며, 일반 호접속 진행과 데이터 호접속 진행과 엑스아이디 교환정보를 설정하고 데이터 통신 진행을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와 엑스아이디 교환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엑스아이디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동일한 위치영역에서는 엑스아이디 정보교환을 반복하지 않는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접속 요청과 송수신 데이터 통신 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아이디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전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영역 정보와, 현재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영역 정보와, 위치영역에서의 데이터 호접속 횟수와, 이전 순서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된 엑스아이디 교환정보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되는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엑스아이디부에 기록저장하고 이전에 기록된 위치영역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며, 입출력부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요청이 있으면,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을 진행시키고, 상기 위치영역 정보가 기존 위치영역 정보와 동일하지 않으면 기지국과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엑스아이디부에 갱신기록 및 설정 운용하고, 상기 위치영역 정보가 기존 위치영역 정보와 동일하면 엑스아이디부에 기록된 정보로 설정 운용하여 송수신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5.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기지국이 방송하는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통신할 것인지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하는 호처리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하는 데이터 호인지 판단하고, 첫 번째 접속 데이터 호가 아니면 수신된 현재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비교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 데이터 호이거나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면 이동교환국과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 설정 운용하고, 첫 번째 접속 데이터호가 아니고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지 않으면 기존 엑스아이디 정보를 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엑스아이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 제어부에 의하여 기지국이 방송하는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엑스아이디부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제어부는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데이터 통신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과정은,
    상기 시작과정에서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에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접속된 이동교환국과 엘3 계층에 의한 일반 호접속을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제어부는 이동교환국과 엘2 계층에 의한 데이터 호접속을 진행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과정은,
    상기 호처리과정에서 접속된 데이터 호가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 인지를 엑스아이디부를 검색하여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되는 데이터호가 아니면, 현재 수신된 위치영역 정보가 기존 위치영역 정보와 다르게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아이디 과정은,
    상기 비교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가 아닌 동시에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엑스아이디부에 기록저장된 기존 엑스아이디 정보를 설정하여 운용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 이거나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새로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설정하고 운용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엑스아이디 정보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을 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10. 기지국의 위치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기존 위치영역 정보와 다르게 변경되었거나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접속이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설정하고 데이터 통신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방송하며 일반 호접속과 데이터 호접속과 엑스아이디 정보와 데이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고 일반 호접속 요청과 데이터 호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이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데이터 통신하고, 첫 번째 데이터 호가 아니면 바로 데이터 통신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여 위치등록된 각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호접속 횟수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다른 이동교환국과 접속경로를 설정 제공하는 공중망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이 방송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기록저장하고,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일반 호접속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호접속 요청신호를 송신하여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첫 번째 접속된 데이터 호이거나 위치영역 정보가 변경되면 이동교환국에 엑스아이디 정보 교환을 요청 수신하여 기록저장 및 설정 운용하고 데이터 통신하며,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되지 않았거나 위치영역정보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기존 엑스아이디 정보로 데이터 통신하는 구성으로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국은,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여 위치영역 정보를 방송하고, 휴대단말기로부터 일반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일반 호접속하고 응답하며, 데이터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 호접속하고 응답하며, 휴대단말기가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하여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는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하고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 아니면 엑스아이디 정보 교환 없이 데이터 통신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제어하여 해당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호접속 횟수를 누적 기록저장 출력하는 감시와 제어운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13.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기지국을 제어하고 위치영역 정보를 방송하며 휴대단말기로부터 일반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일반 호접속하고 응답하는 일반호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 호접속 처리하고 응답회신하는 데이터 호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가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면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 아니면 바로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호 과정은,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접속된 기지국을 제어하여 위치영역 정보를 다수 휴대단말기에 방송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은 무선접속된 휴대단말기로부터 일반 호접속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일반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이동교환 운용 프로그램의 엘3 계층에 의하여 일반 호접속처리하고 휴대단말기에 응답회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호 과정은,
    상기 일반호 과정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무선접속된 휴대단말기가 데이터 호접속을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데이터 호접속 요청이 있으면 이동교환 운용 프로그램의 엘2 계층에 의하여 데이터 호접속처리하고 휴대단말기에 응답회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과정은,
    상기 데이터호과정의 휴대단말기가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인지를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확인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면 휴대단말기와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하여 설정하고 운용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첫 번째 데이터 호접속이 아니거나 휴대단말기와 엑스아이디 정보를 교환 설정하였으면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방법.
KR1020040117402A 2004-12-30 2004-12-30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 KR100652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402A KR100652706B1 (ko) 2004-12-30 2004-12-30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402A KR100652706B1 (ko) 2004-12-30 2004-12-30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714A KR20060078714A (ko) 2006-07-05
KR100652706B1 true KR100652706B1 (ko) 2006-12-01

Family

ID=3717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402A KR100652706B1 (ko) 2004-12-30 2004-12-30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7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7206A2 (en) 1999-12-22 2001-06-28 Nokia Corporation Changing xid/pdcp parameters during connection
KR20040000501A (ko) * 2001-05-23 2004-0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의 저장된 서비스 파라미터의 동기화
KR20040042282A (ko) * 2002-11-13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프로토콜 세션 공유 방법
KR20040043730A (ko) * 2002-11-19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Gprs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변수 교환 방법
KR20050080507A (ko) * 2004-02-10 2005-08-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DMA2000 1xEV-DO 시스템에서 세션 정보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7206A2 (en) 1999-12-22 2001-06-28 Nokia Corporation Changing xid/pdcp parameters during connection
KR20040000501A (ko) * 2001-05-23 2004-0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의 저장된 서비스 파라미터의 동기화
KR20040042282A (ko) * 2002-11-13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프로토콜 세션 공유 방법
KR20040043730A (ko) * 2002-11-19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Gprs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변수 교환 방법
KR20050080507A (ko) * 2004-02-10 2005-08-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DMA2000 1xEV-DO 시스템에서 세션 정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714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5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핸드 오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2537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mobile terminal using secure user plane location
KR100694535B1 (ko)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수동 프로빙
KR100915437B1 (ko) 무선 시스템에서 상위 계층 시스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및 무선랜의 자동적인 시스템 선택 방법
JP4615172B2 (ja) セル方式通信システム
CN100553380C (zh) 用于提供无线数据通讯业务的方法和系统
JP2005508127A (ja) 端末装置にサービスを行う移動局間の調整
CN113543266B (zh) 无线通信链路建立方法与装置、终端和中继设备
JP2004523158A (ja) 無線スペクトラム使用法を改善し、パケットpsiステータスを提供する時にユーザデータ遅延を減少させる為の方法と装置
CN107959918B (zh) 一种会话管理方法、移动性管理功能以及会话管理功能
KR20050028582A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2005504447A (ja) 改良された基地局制御を有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60081254A (ko) 단말의 오퍼레이션 파라메터 변경시스템 및 그 방법
EP08451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plurality of networks
KR10078233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단 없는 음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652706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개선장치 및 방법
WO2002093966A1 (en)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s
KR1005818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향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391797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サービスを支援する方法
KR100559599B1 (ko) 로밍 히스토리를 이용한 사용자 선호 망 리스트 설정방법
KR100242701B1 (ko) 회의 통화 처리 방법
JP4103992B2 (ja) 交換手段から移動通信手段に呼出信号を提供する方法
KR100242702B1 (ko) 호 보류 및 회의 통화 처리 방법
KR100388609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간 이동성 구현 방법
EP2117272B1 (en) Base-station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