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923B1 - 전기 소켓 - Google Patents

전기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923B1
KR100651923B1 KR1020000070958A KR20000070958A KR100651923B1 KR 100651923 B1 KR100651923 B1 KR 100651923B1 KR 1020000070958 A KR1020000070958 A KR 1020000070958A KR 20000070958 A KR20000070958 A KR 20000070958A KR 100651923 B1 KR100651923 B1 KR 100651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contact
force receiving
base
electrical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978A (ko
Inventor
히비노야스시
다카하시히데유키
에쯔라도요카즈
이케야기요카즈
오치아이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51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1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ables or wires
    • H01R4/02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ables or wires comprising preapplied s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소켓(1)은 본체(1a)와 커버(3)를 포함한다. 본체(1a)는 BGA 패키지가 장착될 수 있는 수평 가동형 슬라이드(4)를 갖는 베이스(2)와 BGA 패키지의 솔더 볼의 패턴에 대응하는 베이스(2)상에 배열된 다수의 접점 부재(6)를 갖는다. 각 접점 부재는 슬라이드(4)의 이동에 따라 개폐될 수 있는 한쌍의 스프링 아암(6a, 6b)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3)는 본체(1a)에 대해 수직으로 가동한다. 상기 커버(3)는 슬라이드(4)의 테이퍼형 힘 수용부(43)와 결합가능한 웨지 형상을 갖는 운동 전달부(31)를 갖는다. 커버(3)가 압하됨에 따라 운동 전달부(30)의 결합 표면(31)은 슬라이드(4)의 힘 수용 표면(43)과 맞물리고 슬라이드(4)는 접점 부재(6)의 아암(6a, 6b)이 개방되도록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전달부(31)는 BGA 패키지용 공기 흡입 유지부를 갖는 헤드상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소켓{ELECTRICAL SOCKET APPARATUS}
도 1은 상승 위치의 커버(3)를 갖는 전기 소켓을 도시하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정면도.
도 2는 도 1 소켓의 본체와 소켓내에 수용가능한 BGA 패키지의 정면도.
도 3a는 도 2 소켓 본체의 외형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소켓 본체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BGA 패키지와 함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본체와 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 6a 및 6b는 번인 검사에 사용되는 종래 소켓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소켓 2 : 베이스
3 : 커버 4 : 슬라이드 부재
5 : BGA 패키지 6 : 접점 부재
30 : 힘 전달부
본 발명은 하부면상에 전기 단자를 갖는 IC(집적 회로) 등의 전기 부품을 착탈가능하게 로딩하고 각 단자를 외부 장비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 소켓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BGA(Ball Grid Array; 볼 그리드 어레이) 타입의 반도체 패키지와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소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밀봉형 IC 패키지는 우량 제품과 불량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 선적하기 전에 번인 검사(burn-in test)라 불리는 신뢰성 검사와 전기 특성 검사를 받는다. 전기 특성 검사에서는, IC 칩의 입력 및 출력 특성, 펄스 특성, 소음 풍압변위 등이 검사된다. 이러한 전기 특성 검사를 통과한 IC 패키지는 그 다음에 오븐내에 배치되는 번인 검사를 받게 되는데, 소정의 고온, 예를 들어 125℃에서 정격치보다 대략 20 퍼센트 높은 소스 전압하에서 소정의 시간 주기동안 작용하게 된다. 번인 검사에서 실격된 IC 패키지는 불량 제품으로서 폐기되고 적절히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IC 패키지만이 우량 제품으로서 선적된다.
패키지의 하부측상에 배치된 구형의 솔더 볼을 매트릭스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갖는 BGA 패키지는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패키지는 작은 외부 치수를 가지면서 단자 피치가 증가될 수 있으며 다른 부품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에 보다 양호한 저항성을 갖는다. 도 6a 및 6b는 BGA 패키지와 같은 IC의 번인 테스트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종래 기술의 소켓을 보여준다. 소켓(101)은 BGA 패키지를 수용하는 수평 가동 슬라이더(103)가 장착되는 플라스틱제의 장방형 베이스(102)를 (평면에) 구비한다. 개구(104a)를 한정하는 플라스틱 제품인 프레임 형상의 커버는 베이스(102)의 상부상에 수용되며 베이스에 대해 수직으로 가동된다. 상기 커버는 압축 코일 스프링(105)에 의해 베이스에서 이격 방향으로 편향된다. BGA 패키지의 각 솔더 볼에 대응하는 관통 홀은 슬라이더(103)와 베이스(102)내에 형성된다. BGA 패키지의 개별적인 솔더 볼(100a)과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접점 부재(106)는 슬라이더(103)와 베이스(102)의 각 관통 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각 접점 부재(106)는 일단에 설치되는 한쌍의 아암(106a와 106b)을 갖는 신장형 금속 부재를 구비한다. 각 접점 부재(106)는 아암(106a와 106b)이 위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베이스(102)상에 수직 자세로 고정된다. 각 접점 부재는 병행 아암(106a와 106b)중 하나에 탭(도면에는 도시않음)과 같은 돌출부를 갖는다. 아암은 탭이 슬라이더(103)의 분할벽과 맞물릴 때 서로에 대해 개방한다. 베이스(102)의 하부와 평행한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기구는 샤프트(107)의 대향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거의 L자형 레버 부재(108)를 구비한다. 샤프트(10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03)의 우측에 형성된 슬롯내에 수용된다. 각 레버 부재(108)의 짧은 아암(108a)은 일측부에서(도면 우측에 도시됨) 베이스(102)내에 장착된 샤프트(10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샤프트(107)와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장착된다. 개별적인 레버 부재(111)는 베이스(102)의 대향측상에 장착된 샤프트(110)의 양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샤프트(107,109)와 평행하게 연장하며 각 레버 부재(108)의 단부는 레버 부재(111)의 중간부내에 형성된 종방향 연장형 슬롯내에 핀(112)에 의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 부재(111)의 말단 팁(111a)은 커버(104)의 상부벽의 돌출부(104b)와 맞물린다. 수평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113)은 도 6b에서 화살표(X)의 헤드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편향시키기 위해 샤프트(110) 근처에서 베이스(102)와 슬라이더(103)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소켓(101)에 있어서, 커버(104)가 도 6a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6b에 도시된 위치로 아래로 가압되면, 레버 부재(108과 111)는 베이스(102)를 향해 회전하고 샤프트(107)는 레버 부재(108)의 이동에 부합하여 슬라이더(103)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살표 헤드(X)에 의해 지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더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BGA 패키지(100)가 슬라이더(103)의 아답터(103c)내로 삽입되면, BGA 패키지(100)의 각 솔더 볼은 개별적인 접점 부재(106)의 개방 아암(106a와 106b) 사이의 갭으로 진입한다. 커버(104)상의 하향력이 제거되면, 레버 부재(108과 111)가 상승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113)에 의해 발휘된 힘에 의해 슬라이더(103)가 화살표(X)의 헤드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 접점 부재(106)의 아암(106a와 106b)에 의해 유지되는 BGA 패키지(100)의 각 솔더 볼(100a)로 각 접점 부재(106)의 아암(106a와 106b)을 폐쇄시킨다. 이러한 결과로서, BGA 패키지(100)의 각 솔더 볼(100a)은 개별 접점 부재(106)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소켓의 경우에, 연동 기구가 레버 부재(108, 111)에 의해 행해지며 슬라이더(103)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조합형 샤프트의 개수 증가와 제품을 조립하기 위한 단계의 수와 시간의 증가와 함께 부품의 복잡성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함되는 부품의 수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무게가 가볍고 소형인 전기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간단한 구조의 부품을 보다 적게 갖는 경량의 소형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전기 소켓은 전기 부품의 도전성 단자가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플라스틱 밀봉형 IC 패키지 등의 전기 부품을 착탈가능하게 로딩하는 베이스와, 상기 전기 부품의 각 도전성 단자를 사이에 끼우도록 탄성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한쌍의 접점 아암을 각 접점 부재가 가지면서 전기 부품의 도전성 단자의 배치 패턴에 따라 베이스에 배치되는 다수의 접점 부재를 구비한다. 접점 작동 부재는 접점 아암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각 접점 부재의 접점 아암의 각 쌍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게 제공된다. 접점 작동 부재는 접점 아암의 개폐 방향을 거의 직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힘 수용 표면상에 외력을 받음으로써 접점 아암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힘 수용 표면은 외력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운동 전달부는 접점 작동 부재의 힘 수용 표면과 결합한다. 운동 전달부의 이동은 접점 아암의 개폐 방향을 거의 직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에 있게 된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전달부는 소켓 본체 상부에 위치된 커버에서 하향으로 연장한다. 다른 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운동 전달부는 소켓 베이스를 향해 그리고 베이스에서 멀어지게 이동가능한 헤드에서 하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헤드에는 전기 부품을 착탈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지부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헤드는 공기 흡입에 의해 전기 부품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 전달부는 접점 아암의 개폐 방향으로 접점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접점 작동 부재의 힘 수용 표면과 직접 결합한다. 따라서, 종래의 레버 부재와 조합된 연동 기구가 더 이상 불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부품 수가 과감하게 감소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해 진다. 또한, 조립 단계도 간단해 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의 크기 자체가 감소될 수 있는 동시에 그 중량이 과감하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그 외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소켓(1)은 베이스(2)를 갖는 소켓 본체(1a)와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된 작동 부재로서 작용하는 슬라이드 부재(4)를 구비한다. 커버(3)는 접점 작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2)상에 수용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폴리에테리미드(polyetherimide) 등과 같이 적절한 주형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조성된다. 베이스(2)는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등의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도면에는 도시않음) 등의 회로 기판에 대한 부착을 위한 다수의 접점 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접점 부재 지지부(7)를 갖는다. 커버(3)는 그 중앙에 BGA 패키지의 삽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된 채로 베이스(2)를 보완하는 형태 및 크기로 윈도우 프레임으로서 형성된다. 안내부(3a)는 커버(3)의 각 측부에서 하향으로 연장하며 베이스(2)의 각 측부상에 설치된 개별 안내 홈(2a)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된다. 커버(3)는 상호 평행 관계를 유지하면서 베이스(2)를 향해 그리고 베이스에서 멀어지게 이동한다. 압축 코일 스프링(도시않음)은 커버(3)와 베이스(2)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3)를 베이스에서 이격 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그들을 상호 분리시킨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0)는 BGA 패키지(5)의 배치를 위해 각 코너에서 슬라이드 부재(4)의 상부면상에 제공된다. 위치결정 안내부(41)는 BGA 패키지를 예정된 위치에 안내하여 위치결정하도록 안착부(40) 주위에 제공된다. 결합부(4a)로도 불리는, 격자 형태의 분할벽은 다수의 관통홀(4b)에 의해 형성된다. 분할벽은 슬라이더(4)의 상부상에서 안착부(40)내에 배치된다. 각 접점 부재(6)의 한쌍의 아암(6a와 6b)의 말단 자유 단부 팁은 관통홀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부재(4)의 상부 위로 돌출한다. 각 접점 부재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6, 6b)이 슬라이드 부재(4)의 분할벽(4a)의 대향 측부상에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슬라이드 부재(4)는 베이스(2)상에서 접점 부재(6)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치결정부(42)는 도 3a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의 두 개의 대향 측부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결정부(42)는 베이스(2)의 내부면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4)는 접점 부재(6)의 아암(6a, 6b)의 개폐 방향인 화살표 헤드(A 또는 B)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4)는 외력이 커버(3)에 적용되지 않을 때 압축 코일 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동 부재(6a)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수용 표면(43)은 외력을 접점 부재(6)의 개방 아암(6a, 6b)으로 수용하기 위해 슬라이드 부재(4)의 각 위치결정부(42)의 상부에 형성된다. 힘 수용 표면(43)은 화살표 헤드(B)에 의해 지시된 슬라이드 부재(4)의 위치결정부(42)의 측부상 위치에 배치된다. 각 힘 수용 표면(43)은 접점 부재(6)의 아암(6a, 6b)의 개폐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평면에 놓이도록 테이퍼지는데, 소정 각도로 경사진다. 각각의 힘 수용 표면(43)의 경사각은 접점 부재(6)의 아암(6a, 6b)의 개폐 방향에 대해 0 도 내지 90 도 사이에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힘 수용 표면(43)은 원한다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동 전달부(30)는 커버가 압하될 때 슬라이드 부재의 각 힘 수용 표면(43)에 외력을 제공하기 위해 커버(3)상에 형성된다. 운동 전달부(30)는 슬라이드 부재(4)와 대응하는 커버(3)상의 위치에서 슬라이드 부재(4)의 수용 표면(43)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커버(3)에서 하향으로 연장한다. 결합 표면(31)은 접점 부재(6)의 아암(6a)이 개방되는 측부에 의해 지시되는 커버(3)의 각각의 운동 전달부(30)의 측부상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표면(31)은 하부에 약간의 곡면을 갖는 웨지 형상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0)는 커버(3)의 각 운동 전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각의 개별 운동 전달부(30)를 미끄러지게 수용할 수 있는 깊이 및 크기를 갖게 베이스(2)내에 형성된다. 커버(3)는 커버상에 하향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압축 코일 스프링의 힘으로 인해 베이스(2)에서 멀어진 위치에 배치되므로 커버(3)의 운동 전달부(30)의 결합 표면(31)과 슬라이드 부재(4)의 수용 표면(43)은 서로의 결합이 해제된다.
커버(3)가 상승 위치에서 아래로 가압될 때, 커버(3)의 각 운동 전달부(30)의 결합 표면(31)은 슬라이드 부재(4)의 각각의 개별 힘 수용 표면(43)과 맞물리며, 화살표(A)의 헤드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외력이 각각의 힘 수용 표면(43)상에 작용할 때, 아암(6a, 6b)이 서로에 대해 개방되는 결과로 슬라이드 부재(4)는 화살표 헤드(A)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분할벽(4a)은 각 접점 부재(6)의 아암(6a)과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BGA 패키지(5)는 슬라이드 부재(4)의 안착부(40)상에 배치되어 커버(3)상의 하향력이 제거되며, 반대 진행이 발생하여 각 접점 부재(6)의 아암(6a, 6b)이 폐쇄되고 각 솔더 볼 패키지(5)는 각 쌍의 아암(6a, 6b)에 의해 압축 결합된다.
BGA 패키지(5)의 제거는 접점 부재(6)의 아암을 개방하도록 일단 커버(3)를 가압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3)의 결합 표면(31)은 슬라이드 부재(4)의 각 힘 수용 표면(43)과 직접 결합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4)를 아암(6a, 6b)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레버 부재와 연동 기구가 더 이상 불필요하므로 사용 부품 수가 감소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해 진다. 또한, 결합 단계도 간단해 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의 크기와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기 부품 로딩 장치 또는 소켓(10)은 공기 흡입에 의해 BGA 패키지(5)를 유지할 수 있는 헤드(11)를 구비한다. 헤드(11)는 베이스(2)의 슬라이드 부재(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때 수직으로 가동되며 전술한 힘 전달부(30)를 포함한다. 힘 전달부(30)는 슬라이드 부재(4)의 힘 수용 표면(43)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슬라이드 부재(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헤드(11)로부터 하향 연장한다. 약간 곡면 형태인 각도부를 갖는 결합 표면(31)은 헤드(11)의 힘 전달부(30)의 화살표 헤드(A; 도 4)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의 측부, 즉 접점 부재의 아암(6a)이 개방되는 방향의 측부상의 하부에 형성된다. 헤드(11)상의 힘 전달부의 배치 관점에서, 소켓용 커버(3)가 더 이상 불필요하고, 그 결과로, 전기 부품 로딩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더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 지고 크기 및 중량이 감소된다. 다른 구조, 효과 및 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의 힘 수용 표면(43)은 접점 부재의 아암(6a, 6b)의 개폐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지만, 동일한 방법으로 힘 전달부(30)의 결합 표면을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와 아답터가 일체로 형성되었지만, 또한 이들이 개별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소켓은 번인 검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기 특성 검사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켓은 BGA 패키지의 경우뿐만 아니라 PGA 패키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패키지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함되는 부품 수를 과감하게 감소할 수 있어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조립 단계도 간단해 질 수 있다. 또한, 소켓의 크기와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인 전기 부품 로딩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변경예 및 등가물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15)

  1. 소정 패턴으로 배치된 다수의 도전성 단자를 갖는 전기 부품을 착탈가능하게 로딩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고, 양단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병진 운동 가능하며, 접점 수용 홀과 접점 작동 부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이루는 힘 수용 표면이 구비된 것인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고, 상기 각 전기 부품의 도전성 단자의 패턴에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접점 부재로서, 상기 각 접점 부재는 상기 접점 수용 홀을 관통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접점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각 접점 부재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각 접점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접점 아암과 결합하는 것인 접점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직접 운동을 전달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가동하여 상기 힘 수용 표면과 결합되는 운동 전달부를 포함하는 전기 소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다수의 힘 수용 표면과 결합 및 해제하게 가동되는 다수의 운동 전달부를 더 구비하는 전기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전달부를 장착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전기 소켓.
  5. 제3항에 있어서, 운동 전달부를 장착하는 헤드와 전기 부품을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전기 소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을 유지하는 유지부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하는 것인 전기 소켓.
  7.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단자를 갖는 전기 부품을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는 전기 소켓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 말단 사이에서 전후 수평 방향으로 가동하며, 전기 부품 안착 표면과 이 표면을 관통하는 접점 아암 수용 홀과 작동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말단 사이의 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편향시키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접점 아암 수용 홀을 통해 연장하는 한쌍의 가동 스프링 접점 아암을 각각 갖는 다수의 접점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시 각 쌍의 한 접점 아암을 각 쌍의 다른 접점 아암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각 쌍 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 아암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수평 방향에 대해 0 도 내지 90 도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는 힘 수용 표면과, 슬라이드 부재가 스프링 부재의 편향에 대항하여 이동되게 하도록 운동을 슬라이드 부재로 직접 전달하기 위해 힘 수용 표면과 결합하게 수직 방향으로 가동하는 운동 전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기 소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힘 수용 표면은 평탄한 것인 전기 소켓.
  9. 제7항에 있어서, 중앙 관통 개구를 갖는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베이스를 향해 그리고 베이스에서 멀어지게 수직 방향으로 가동하며 운동 전달부는 웨지 형상이고 커버에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것인 전기 소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웨지형 운동 전달부와 슬라이드 부재상에 형성된 다수의 힘 수용 표면을 더 구비하고, 각 운동 전달부는 다수의 힘 수용 표면 중 하나와 정렬되는 것인 전기 소켓.
  11. 제10항에 있어서, 각 운동 전달부는 슬라이드 부재의 개별 힘 수용 표면과의 결합을 위해 테이퍼형의 수직으로 배치된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 소켓.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테이퍼형 결합 표면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인 전기 소켓.
  13. 제7항에 있어서, 공기 흡입부, 전기 부품 유지부를 가지는 헤드가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도록 추가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헤드는 상기 베이스를 향해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게 수직으로 가동하며, 운동 전달부는 웨지형이며 헤드에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것인 전기 소켓.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서 하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웨지형 운동 전달부와 슬라이드 부재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힘 수용 표면을 더 구비하며, 각 운동 전달부는 다수의 힘 수용 표면 중 하나와 정렬되는 것인 전기 소켓.
  15. 제14항에 있어서, 각 운동 전달부는 슬라이드 부재의 개별 힘 수용 표면과의 결합을 위해 테이퍼형의 수직으로 배치된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 소켓.
KR1020000070958A 1999-11-30 2000-11-27 전기 소켓 KR100651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136099A JP4266466B2 (ja) 1999-11-30 1999-11-30 ソケット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99-341360 1999-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978A KR20010051978A (ko) 2001-06-25
KR100651923B1 true KR100651923B1 (ko) 2006-12-01

Family

ID=1834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958A KR100651923B1 (ko) 1999-11-30 2000-11-27 전기 소켓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87127B1 (ko)
EP (1) EP1107370A3 (ko)
JP (1) JP4266466B2 (ko)
KR (1) KR100651923B1 (ko)
TW (1) TW5694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731A (ja) * 2000-07-07 2002-01-25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US6551134B1 (en) * 2001-06-11 2003-04-22 Picolight Incorporated Mounted transceivers
US6753474B2 (en) * 2002-09-18 2004-06-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ick and place cover for multiple terminal electronic components
US7121860B2 (en) * 2004-09-02 2006-10-17 Micron Technology, Inc. Pinch-style support contact, method of enabling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nd supporting an IC package, and socket including same
US7316573B2 (en) * 2004-10-25 2008-01-08 Intel Corporation Protected socket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DE102008053432B3 (de) * 2008-10-28 2010-07-15 Qimonda Ag Kontaktsockel für eine integrierte Schaltung
CN201708423U (zh) * 2009-11-02 2011-01-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988500B2 (en) * 2009-12-16 2011-08-02 Sensata Technologies Massachusetts, Inc. Socket and contact having anchors
CN110181547B (zh) * 2019-07-04 2020-11-06 上海大学 一种高防护型机器人快换信号通道模块及更换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702A (ja) * 1996-12-09 1998-06-26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JPH1126126A (ja) * 1997-07-04 1999-01-29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8072A (en) * 1981-12-17 1984-08-28 Thomas & Betts Corporation Multi-pi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US5147213A (en) * 1991-10-24 1992-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Zero insertion pressure test socket for pin grid array electronic packages
US5419710A (en) * 1994-06-10 1995-05-30 Pfaff; Wayne K. Mounting apparatus for ball grid array device
JP2678886B2 (ja) * 1994-10-06 1997-11-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板状回路体用無挿抜力コネクタ
JP3575866B2 (ja) * 1995-03-31 2004-10-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接続器
US6126467A (en) * 1998-07-22 2000-10-03 Enplas Corporatio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702A (ja) * 1996-12-09 1998-06-26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JPH1126126A (ja) * 1997-07-04 1999-01-29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87127B1 (en) 2001-09-11
KR20010051978A (ko) 2001-06-25
JP2001155835A (ja) 2001-06-08
EP1107370A3 (en) 2002-05-22
EP1107370A2 (en) 2001-06-13
JP4266466B2 (ja) 2009-05-20
TW569497B (en) 200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094B1 (ko) Bga 패키지와 같은 복수 개의 전도성 단자를 구비한전자 부품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소켓
KR100380669B1 (ko) 전기부품을착탈식으로로드하는소켓장치
US5360348A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test socket
US6776624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7210951B2 (en) Top loaded burn-in socket
KR100654262B1 (ko) 전기 소켓 장치
US5336094A (e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tacts
US5690281A (en) Socket apparatus
KR100651923B1 (ko) 전기 소켓
JP2002025731A (ja) ソケット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3178851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11415624B2 (en) Socket for inspection
JPH02266276A (ja) 集積回路装置用バーンインソケット
US4717347A (en) Flatpack burn-in socket
KR101709946B1 (ko) 일체형 진공 라인을 구비한 테스트 소켓
US6824411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6065986A (en)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
US6814602B1 (en) Test connector with leaf springs
KR101345816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
CA2226856A1 (en) Top loading socket for ball grid arrays
US6768653B2 (en) Mount structure
JP2004228042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20010055914A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JPH10255939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20010023138A1 (en) IC socke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IC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