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891B1 -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891B1
KR100650891B1 KR1020050118336A KR20050118336A KR100650891B1 KR 100650891 B1 KR100650891 B1 KR 100650891B1 KR 1020050118336 A KR1020050118336 A KR 1020050118336A KR 20050118336 A KR20050118336 A KR 20050118336A KR 100650891 B1 KR100650891 B1 KR 10065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mixing
bmp
pattern
star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영
박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31Morphing, i.e. transformation of a musical piece into a new different one, e.g. remix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025Envelope processing of music signals in, e.g. time domain, transform domain or cepstrum domain
    • G10H2250/035Crossfade, i.e. time domain amplitude envelope control of the transition between musical sounds or melodies, obtained for musical purposes, e.g. for ADSR tone generation, articulations, medley, remix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음악을 재생시에 음악의 끊김 없이 다음 재생될 음악을 자연스럽게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소정의 믹싱영역에서 믹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믹싱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믹싱 패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믹싱 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믹싱, BPM(Beat Per Minute), 재생, 매칭, 패턴

Description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method for music mixing processing of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믹싱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믹싱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믹싱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메모리
120 : 제어부 121 : 이동 통신 처리부
122 : 패턴 설정부 122a : 비피엠 체크부
122b : 설정부 123 : 비피엠 매칭부
124 : 재생 처리부 130 : RF부
140 : 음성 처리부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로폰 170 : 키입력부
180 : 표시부
본 발명은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악의 끊김 없이 자연스럽게 다음 음악을 연이어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디오 재생 방법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05-0032979호 "오디오 믹싱 기능을 가지는 오디오 신호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개특허를 포함한 종래기술은 오디오 입력 처리부, 오디오 출력 처리부, 오디오 출력 버퍼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 장치의 오디오 믹싱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제 1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입력 처리부로 입력되어 디코딩되고, 오디오 출력 버퍼부의 해당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버퍼부에 저장된 제 1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출력 처리부에 의해 출력 처리되기 전에, 상기 저장되는 제 1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오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입력받은 제 2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와 연산하여 두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며,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던 상기 오디오 출력 버퍼부의 동일한 위치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오디오 신호 재생 장치에 오디오 믹싱 기능을 추가하여 제 1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어 출력되기 전에 제 2 오디오 데이터와 디지털 믹싱하여 미리 저장해 놓았다가 재생시 미리 저장되어 있는 믹싱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으로, 제 1 오디오 데이터와 제 2 오디오 데이터인 효과음을 믹싱하여 출력할 수 밖에 없을 뿐, 음악과 음악이 연결될 때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는 믹싱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제 1 음악이 재생된 후 다음 음악인 제 2 음악이 이어지는 경우 음악들간의 전환이 자연스럽지 않고 음악의 끊김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음악을 재생시에 음악의 끊김 없이 다음 재생될 음악을 자연스럽게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는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소정의 믹싱영역에서 믹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믹싱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믹싱 패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믹싱 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믹싱 패턴은 상기 제 1 음악의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 싱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믹싱영역은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부터 제 1 음악의 재생종료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믹싱지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믹싱영역에서 제 1 음악의 비피엠에 맞춰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매칭시키는 비피엠 매칭부와, 상기 비피엠 매칭부에 의해 동일한 비피엠으로 매칭된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믹싱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재생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믹싱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패턴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패턴 설정부는 상기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체크하여 저장하는 비피엠 체크부와,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싱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은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소정의 믹싱영역에서 믹싱하기 위한 믹싱 패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설정된 믹싱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믹싱 패턴은 상기 제 1 음악의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싱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믹싱영역은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부터 제 1 음악의 재생종료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믹싱지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믹싱영역에서 제 1 음악의 비피엠에 맞춰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매칭시키는 비피엠 매칭단계와, 상기 비피엠 매칭단계에 의해 동일한 비피엠으로 매칭된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믹싱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재생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체크하여 저장하는 비피엠 체크단계와,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싱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각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싱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믹싱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악 믹싱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재생 장치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 외에도 다양한 정보 처리 기기(예를 들 면, MP3 플레이어, 홈 씨어터, 노래방 기기 등과 같은)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1 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소정의 믹싱영역에서 믹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믹싱 패턴을 저장한 메모리(110)와, 그 믹싱 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제어부(120)와,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RF부(130)와, 음성처리부(140)와, 스피커(150)와, 마이크로폰(160)과, 버튼으로 구성된 키입력부(170)와, 외부 화면창 및/또는 내부 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믹싱 패턴은 제 1 음악의 비피엠(Beat Per Minute), 제 2 음악의 비피엠,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믹싱영역에서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로 결정된다.
이러한 믹싱 패턴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믹싱 패턴을 선택하여 선택된 믹싱 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게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미세하게 설정된 믹싱 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게 된다.
메모리(110)에는 제어부(12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소정의 믹싱 영역에서 믹싱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믹싱 패턴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소정의 믹싱영역에서 믹싱하기 위한 믹싱 패턴(도 5 참조)에 따라 음악을 재생한다.
여기서, 믹싱 영역은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A)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B)부터 제 1 음악의 재생종료지점(C)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믹싱지점(D)까지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믹싱 영역에서 재생할 제 2 음악의 비피엠이 제 1 음악의 비피엠으로 매칭된다.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A)은 제 1 음악의 종료지점(E)에서 몇초 앞 지점으로 설정하고,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C)은 처음 시작지점(F)부터 몇초 후 지점으로 설정된다.
이때, 제 1 음악의 재생종료지점(C)부터 제 1 음악의 종료지점(E)까지는 고음(HIGH), 중음(MID), 저음(BASS)의 가중치를 0%로 하고, 제 2 음악의 처음 시작지점(F)부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B)까지도 고음(HIGH), 중음(MID), 저음(BASS)의 가중치를 모두 0%로 한다.
이에 따라, 믹싱영역에서 제 1 음악의 비피엠에 맞춰 제 2 음악의 비피엠으로 매칭된 음악을 믹싱 패턴에 따라 재싱시켜 제 1 음악을 끝내면서 자연스럽게 제 2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은 믹싱 패턴을 설정하여 설정된 믹싱 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음악의 비피엠, 제 2 음악의 비피엠,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믹싱영역에서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믹싱 패턴을 메모리(110)에 저장하여 저장된 믹싱 패턴에 따라 믹싱 영역에서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동시에 재생한다.
RF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3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16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3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메모리(11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15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2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170)는 회전 가능한 회전 키패드와 고정 키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 키패드는 4가지의 방향키를 포함하고, 고정 키패드는 다이얼키, 통화키, 종료키, 취소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키패드를 통하여 사용자는 임의로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의 비피엠,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을 미세하게 입력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는 비트(beat)에 맞춰 버튼을 누르거나 흔들어서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의 비피엠 설정할 수 있고, 제 1 음악의 재생 중에 원하는 지점에서 일시중지(Pause) 버튼을 누른 후 회전 키패드를 돌려서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을 좀더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제 2 음악의 재생 중에 원하는 지점에서 일시정지(Pause)를 누른 후 회전 키패드를 돌려서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을 좀더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이동 통신 단말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처리부(121)와, 패턴 설정부(122)와, 비피엠 매칭부(123)와, 재생 처리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통신 처리부(121)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패턴 설정부(12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믹싱 패턴을 설정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패턴 설정부(122)는 비피엠 체크부(122a)와, 설정부(122b)를 포함한다.
비피엠 체크부(122a)는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체크하여 저장한다.
다시 말해, 비피엠 체크부(122a)는 각각의 음악을 비트(beat)에 맞춰 버튼을 누르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흔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의 누름횟수나 흔들림의 횟수에 따라 각각의 비피엠을 체크하여 저장한다.
또한, 비피엠 체크부(122a)는 비피엠 채킹 플레이 기능을 통하여 체크된 각각의 비피엠을 저장한다.
설정부(122b)는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제 1 음악의 믹싱 시작지점, 믹싱 영역에서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설정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과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도 마찬가지로 설정부(122b)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받아 재생시작지점과 믹싱시작지점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과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을 회전 키패드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22b)는 제 2 음악의 처음시작지점부터 몇초(예를 들면, 10초)가 경과된 지점을 재생시작지점으로 설정하고, 제 1 음악의 끝지점에서 몇초(예를 들면, 30초) 앞의 지점을 믹싱시작지점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과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22b)는 사용자에 의해 믹싱영역에서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입력받아 설정하거나 디폴트로 지정된 각 음의 가중치를 설정한다.
비피엠 매칭부(123)는 비피엠 체크부(122a)에 의해 체크되어 저장된 각각의 비피엠을 이용하여 믹싱영역에서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제 1 음악이 비피엠으로 매칭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은 동일한 비피엠을 갖는다.
재생 처리부(124)는 비피엠 매칭부(123)에 의해 동일한 비피엠을 갖는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동시에 재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음악의 끊김 없이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믹싱하여 자연스럽게 제 2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메모리(110)에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소정의 믹싱영역에서 믹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믹싱 패턴이 저장되도록 한다(S101).
다음, 제어부(120)는 재생중인 음악에 적용될 믹싱 패턴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즉,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믹싱 패턴 중 어느 하나의 믹싱 패턴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각의 믹싱 패턴은 제 1 음악의 비피엠, 제 2 음악의 비피엠,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믹싱영역에서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가 결정되어 있다.
상기 S103 단계의 판단결과, 재생중인 음악에 적용될 믹싱 패턴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20)의 비피엠 매칭부(123)는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부터 제 1 음악의 재생종료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믹 싱지점까지인 믹싱영역에서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제 1 음악의 비피엠으로 매칭시킨다(S105).
다음, 제어부(120)의 재생 처리부(124)는 비피엠 매칭부(123)에 의해 매칭되어 동일한 비피엠을 갖는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믹싱 영역에서 재생한다(S107).
상기 S103 단계의 판단결과, 재생중인 음악에 적용될 믹싱 패턴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패턴 설정부(122)는 사용자로부터 믹싱 패턴의 설정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믹싱 패턴의 설정이 요청되지 않은 경우, 재생 처리부(124)는 믹싱 패턴을 적용시키지 않고 음악을 재생시킨다(S106).
상기 S104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믹싱 패턴의 설정이 요청된 경우, 패턴 설정부(122)는 사용자로부터 믹싱 패턴을 입력받아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108).
즉, 패턴 설정부(122)의 비피엠 체크부(122a)는 비트(beat)에 맞춰 버튼을 누르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흔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의 누름횟수나 흔들림의 횟수에 따라 제 1 음악의 비피엠과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체크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그리고, 패턴 설정부(122)의 설정부(122b)는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믹싱 영역에서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입력받아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다음, 상술한 S105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믹싱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 1 음악의 비피엠에 맞춰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매칭시키고, 동일한 비피엠을 갖는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음의 가중치을 적용시켜 재생한다.
다시 말해, 재생 처리부(124)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믹싱 패턴에 따라 믹싱영역에서 음악을 재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동으로 편리하게 재생중인 음악에 믹싱할 음악을 자연스럽게 재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재생중인 음악에 믹싱할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믹싱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d)에서 도시된 믹싱 패턴은 제 1 음악(예를 들면, A)의 재생중에 믹싱할 제 2 음악(예를 들면, B)을 도 4의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의 믹싱 패턴에 따라 재생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제 2 음악을 연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도 4의 (a)와 같은 믹싱 패턴을 적용시켜 제 1 음악(예를 들면, 재생곡)과 제 2 음악(예를 들면, 믹싱곡)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하여 자연스럽게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재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의 믹싱 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믹싱 패턴을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의 (a)와 같은 믹싱 패턴을 적용시키게 되면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A)에서 고음(HIGH), 중음(MID), 저음(BASS)의 가중치를 100%로 믹싱하고,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B)에서 고음(HIGH)의 가중치를 40%, 중음(MID)의 가중치를 70%, 저음(BASS)의 가중치를 20%로 믹싱하여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재생하면서 점차적으로 제 1 음악의 출력을 낮추고 제 2 음악의 출력을 높여서 제 1 음악의 끝지점(C)에서 고음(HIGH)의 가중치를 0%, 중음(MID)의 가중치를 50%, 저음(BASS)의 가중치를 0%로 믹싱하고, 제 2 음악의 믹싱끝지점(D)에서 고음(HIGH), 중음(MID), 저음(BASS)의 가중치를 모두 각각 100%로 믹싱하여 자연스럽게 제 2 음악을 이어서 재생시킨다. 이와 같이 재생되는 음악은 스피커(15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음악을 재생시에 음악의 끊김 없이 다음 재생될 음악을 자연스럽게 재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에 저장된 믹싱 패턴 중 선택된 믹싱 패턴에 따라 편리하게 믹싱 영역에서 재생중인 음악에 믹싱할 음악을 자연스럽게 믹싱하여 재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은 믹싱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재생중인 음악에 믹싱할 음악을 믹싱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소정의 믹싱영역에서 믹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믹싱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믹싱 패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믹싱 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믹싱 패턴은
    상기 제 1 음악의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싱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믹싱영역은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부터 제 1 음악의 재생종료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믹싱지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믹싱영역에서 제 1 음악의 비피엠에 맞춰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매칭시키는 비피엠 매칭부와,
    상기 비피엠 매칭부에 의해 동일한 비피엠으로 매칭된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믹싱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재생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믹싱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패턴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패턴 설정부는
    상기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체크하여 저장하는 비피엠 체크부와,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싱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6.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소정의 믹싱영역에서 믹싱하기 위한 믹싱 패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설정된 믹싱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믹싱 패턴은
    상기 제 1 음악의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싱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믹싱영역은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부터 제 1 음악의 재생종료지점과 일치하는 제 2 음악의 믹싱지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믹싱영역에서 제 1 음악의 비피엠에 맞춰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매칭시키는 비피엠 매칭단계와,
    상기 비피엠 매칭단계에 의해 동일한 비피엠으로 매칭된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을 믹싱패턴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재생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 음악과 제 2 음악의 비피엠을 체크하여 저장하는 비피엠 체크단계와,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싱 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각 비피엠, 상기 제 2 음악의 재생시작지점, 상기 제 1 음악의 믹싱시작지점, 상기 믹싱영역에 적용될 각 음의 가중치를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KR1020050118336A 2005-12-06 2005-12-06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 KR100650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336A KR100650891B1 (ko) 2005-12-06 2005-12-06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336A KR100650891B1 (ko) 2005-12-06 2005-12-06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891B1 true KR100650891B1 (ko) 2006-11-27

Family

ID=3771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336A KR100650891B1 (ko) 2005-12-06 2005-12-06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89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1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파일 단축 저장 방법
KR1006773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mp3 청취 중 메뉴 조작 방법
KR10104802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연주 장치 및 방법
KR101102810B1 (ko) 재생 장치의 볼륨 조절 방법 및 그 재생 장치
KR10067809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악을 작곡하는 방법
KR100835793B1 (ko) 차량용 오디오시스템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엠피3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7745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입력 장치를 이용한 사운드 효과발생 방법
KR100650891B1 (ko) 재생 장치의 음악 믹싱 처리 방법 및 그 재생 장치
KR100663493B1 (ko) Mp3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5043367A1 (ja) 携帯型端末装置
JP3615143B2 (ja) ゲーム機の発音制御装置
KR100617754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음악 데이터와 함께사운드 효과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3413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경음악 재생 방법
KR1003288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미디음악 연주 방법
JP3948685B2 (ja) カラオケ装置
JP4207343B2 (ja) 携帯電話装置
JP6585257B2 (ja)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51850A (ja) 端末ゲーム装置
KR101224639B1 (ko)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악 재생방법
JP2002290514A (ja) 音楽演奏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JP5056008B2 (ja)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0155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6011190A (ja) 音楽再生装置の音場設定システム
KR20090020875A (ko) 아이팟나노가 내장된 마이크
KR20060124106A (ko) 음향 보조 장치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운용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