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742B1 -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742B1
KR100650742B1 KR1020050117147A KR20050117147A KR100650742B1 KR 100650742 B1 KR100650742 B1 KR 100650742B1 KR 1020050117147 A KR1020050117147 A KR 1020050117147A KR 20050117147 A KR20050117147 A KR 20050117147A KR 100650742 B1 KR100650742 B1 KR 100650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postal
mail
class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정숙
원종운
이현아
박종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7/00Franking apparatus
    • G07B17/00459Details relating to mailpieces in a franking system
    • G07B17/00661Sensing or measuring mail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7/00Franking apparatus
    • G07B17/00459Details relating to mailpieces in a franking system
    • G07B17/00661Sensing or measuring mailpieces
    • G07B2017/00709Scanning mailpieces
    • G07B2017/00717Reading barc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식으로 우편물류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우편물의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클래스의 코드와, 상기 클래스 코드 값에 따라 상기 서비스 타입의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가변 길이를 갖는 바디의 코드를 포함하는 호환성 및 확장성이 가능한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며, 상기 구성된 우편물류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인식 태그 데이터를 발생하여 우편물에 부착하고, 상기 부착된 무선 인식 태그를 판독하여 우편물류 코드에서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서비스 타입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정보 및 우편물의 상세 정보에 따라 우편물류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보다 정확하고 방대한 우편물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실시간의 태그정보 식별, 위치추적, 물품의 훼손 및 분실 도난방지, 인터넷 망과 연계된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활용을 극대화하고, 우편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 인식(RFID) 태그, 우편물류 코드, ISO 표준, 무선 인식 태그 발생부, 우편물류 처리부, 저장부

Description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CONFIGURATION A POSTAL LOGISTICS CODE OF RFID AND A POSTAL LOGISTICS SYSTEM AND METHOD FOLLOWING THIS CODE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우편물류 코드체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i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체계에서 각 클래스별 구성요소 중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비트를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체계에서 국기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우편에 대한 서비스를 표현하는 서비스 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기 우편에 대한 서비스를 표현하는 서비스 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 용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 차량의 소속을 나타내는 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한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한 우편물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우편물류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포함되는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고, 구성된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 인식으로 우편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컴퓨터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많은 분야에서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우체국에서도 우편물을 처리하기 위해 자동화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다.
따라서 현재까지 우체국의 우편물 취급과 우편물 분류는 사람이 우편물을 지 역적으로 통합 수거하고 통합 분류하는 고전적인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소포 업무 처리의 경우 접수 체결시 개개의 소포에 부착된 바코드를 사람이 일일이 스캐닝하고, 우편물을 구분하여 발송하며, 집배국에서도 사람이 직접 도착된 배달 소포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바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우편물 처리시 수작업으로 인한 인력과 작업 시간이 낭비를 초래하며, 부정확한 업무 처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우편물류 처리 방식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에 이용되는 무선 인식 태그는 전세계적으로 유일한 식별정보로 구성되어야 하며,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제품에 대한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해서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아이템의 정보뿐만 아니라 각각의 아이템을 구별해야 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DNS 개념과 비슷한 ONS(Object Name Service)를 이용한다. 따라서 각종 태그 아이디(ID)를 통합 수용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며, IC의 품질관리 이력, 태그의 이력 파악 및 충돌 방지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체계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무선 인식 기반의 우편물류 처리는 특정 아이템이 아닌 다량의 정보아이템을 처리해야 한다는 특수성으로 인해 태그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시범 사업중인 무선 인식을 이용한 도서 관리나 차량 관리, 애완견 관리 시스템 등은 단순 아이템이어서 무선 인식 태그의 식별에 큰 어려움이 없다. 그 러나 우편물류 처리시스템의 경우 국내외로 유통되는 방대한 양의 아이템을 처리해야 하므로 신속, 정확한 태그 관리 및 물류데이터 처리를 위한 효율적인 코드체계 구성이 필수적이다.
종래의 무선 인식 우편물류를 위한 시스템에서는 우편물류의 서비스종류, 배송지, 식별번호 등의 정보가 수록되는 무선 인식 태그의 코드가 체계적으로 설계되지 못한 채 시범 사업이나 간단한 단위 모듈의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부 코드만을 구축하고 있었다. 더욱이 태그에 담겨야 할 우편물류 전반의 정보 체계에 대한 정의 역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때문에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무선 인식 우편물류시스템 구축, 멀티리더기에 의한 태그 식별, 인터넷 IPv6 등과의 연계 등을 위해서는 국제 표준에 부합하며, 국내외 우편물류 전반에 적용될 수 있고, 우편물류서비스의 지속적인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표준화된 코드 구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종래에는 무선 인식용 코드 체계로서 64비트, 96비트, 혹은 256비트의 상품번호 체계에 기반을 둔 EPC 글로벌(EPC Global은 바코드 및 전자카탈로그 표준화 기관인 GS1이 RFID기술을 비즈니스 홍보 및 표준화를 위해 만든 기관으로 유럽의 EAN, 미국의 UCC를 중심으로 전 세계 100여개 기업 및 비영리 단체들이 모인 국제 기구이다.)의 EPC(Elecronic Product Code) 코드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EPC 코드를 사용하려면 태그당 사용자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ISO/IEC(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ttee Joint Technical Committee) 표준에 따른 코드와의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 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인식 우편물류를 처리하기 위해 태그 데이터정보의 코드체계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 인식 우편물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병의 다른 목적은 무선 인식 우편물류 처리에 있어서 다른 물류 시스템 및 다른 코드체계와 연동 가능한 코드체계를 표준화하여 구성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 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결과를 반환하는 정보 생성 및 관리 기술을 제공 가능한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체계를 구성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 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무선 인식으로 우편물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인식 태그에 포함되는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우편물의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클래스의 코드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클래스 코드 값에 따라 상기 서비스 타입의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가변 길이를 갖는 바디의 코드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우편 물류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 인식으로 우편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배달할 우편물의 정보를 입력받아 우편물을 접수하는 과정과, 상기 접수된 우편물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서비스 타입의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우편물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인식 태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우편물에 부착된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과정과, 상기 판독된 결과에 따라 태그 식별 전파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다른 코드체계 및 시스템과의 호환이 가능한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 인식으로 우편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배달할 우편물이 접수되면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따라 구성된 우편물류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인식 태그를 발생하는 무선 인식 태그 발생부와, 상기 우편물에 부착된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우편물류 코드에서 해당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서비스 타입의 태그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우편물을 처리하는 우편물류 처리부와, 상기 식별된 결과 및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 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은 전파를 사용해서 태그/리더 간 통신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표준 없이 응용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응용별 개별적으로 표준화가 진행되면, 글로벌 관점에서의 사용 및 보급에 큰 장해가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ISO의 자동인식기술분야(JTC1/SC31)에서 본격적으로 실용 주파수별 통신 조건(Air Interface), 데이터 포맷, 데이터 내용, 시험방법 등의 표준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 현재 해당 국제표준의 제정이 대부분 완성되었고, 특히 13.56MHz나 2.45GHz의 규격이 수년간 논의를 거쳐 최근 표준안이 확정된 것과 비교하면, UHF 대역의 규격은 RFID 시장의 강한 요구에 부응하여 급속도로 표준화가 진척되고 있다. 종래의 EPC 코드의 경우 코드 발급에 대한 EPC 글로벌에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나 ISO는 따로 사용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 현재 미국을 제외한 유럽 및 아시아국가에선 ISO 표준을 따르는 추세이다.
상기 ISO 표준(ISO/IEC JTC 1/SC31(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ternational Electrotechnics Committee Joint Technical Committee 1 Subcommittee 31))의 서브 그룹 WG4(Working Group 4)에서는 무선 인식 태그의 유일식별을 위한 번호부여 방법으로 SG2에서 태그의 식별을 강조한 ISO 표준(ISO/IEC 15963)을 제정하였는데, 상기 ISO 표준에서는 IC의 품질관리 이력, 태그의 이력파악, 복수 안테나 설치의 복수 태그 충돌방지 등을 위해 무선 인식에서 사용하는 64비트의 고유 식별자를 통합 수용할 수 있는 체계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ISO 표준에 부합하며, 다른 코드체계 및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가능한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체계를 구성하는 방법과 이러한 우편물류 코드체계를 이용한 무선 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우편물류통합정보시스템(ekPLS)에서 사용되는 우편물류 데이터 체계를 분석하여 일반우편(통상, 일반소포), 소포(등기), 용기(소형상자, 대형상자, 플랫, 파렛) 차량(1톤, 2톤)의 각 품목별로 서비스별, 등기번호 및 시리얼, 종별에 대한 데이터 체계를 분석하여 그 타입별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 무선 인식 태그에 들어갈 물류데이터를 운송 단위별로 여러 구조를 가지는 우편 물류 코드(kpCode)와 응용(application) 데이터 영역으로 분류하여 모든 우편물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태그의 코드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체계를 정의함으로써 ISO 표준규격에 부합하도록 코드 설계 방안을 마련하여 무선 인식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에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 구성은 "운송용기 및 소포용 무선인식(RFID) 시제품 제작"의 코드체계를 수립하기 위하여 기존의 바코드 시스템의 우편물류 환경의 코드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며, 향후 UPU(Universal Postal Union)의 코드와 비교하여 국제 우편물류 코드 표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인식 태그에 포함되는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우편물류 코드체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인식 태그에 포함되는 우편 물류 코드(Korea Post code)는 8비트의 고정된 길이가 할당된 클래스(class)와 120bit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는 바디(body)로 최대 길이 128비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는 세부적으로 6개의 서비스 타입이 있으며, 서비스 타입에 따라 가변길이의 코드를 가진 서로 다른 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body)의 코드는 상기 클래스의 소정 값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우편 물류의 운송 단위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당된 120비트의 범위 내에서 코드의 길이와 구조가 변화된다.
상기 클래스의 코드는 0AH~0DH, 10H~11H,의 우편업무 서비스를 위해 이미 할당된 코드와 코드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00H~09H, 14H~19H, 20H~FFH의 예약된 코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클래스의 코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0~09H는 사전에 예약된 코드이다.
상기 0AH는 일반우편을 위해 정의된 클래스 타입으로서 128bit로 구성되며, 상기 0BH는 등기 우편을 위해 정의된 클래스 타입으로서 128bit로 구성된다.
상기 0CH는 다량고객 등기우편을 위해 정의된 클래스 타입으로서 88bit로 구성되며, 상기 0DH는 사전교부 등기우편을 위해 정의된 클래스 타입으로서 72bit로 구 성된다.
상기 0EH ~ 1FH 는 EMS와 같은 우편서비스를 위한자리로 예약된 코드이다.
상기 10H는 용기 우편을 위해 정의된 클래스 타입으로서 56bit로 구성되며, 상기 11H는 차량 우편을 위해 정의된 클래스 타입으로서 56bit로 구성된다.
상기 12H ~ FFH는 EPC 코드, 다른 ISO 코드 또는 IPv6 주소를 포함할 수 있는 코드를 정의하기 위해 예약된 코드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클래스 타입의 클래스 분류 영역에 A~F로 표기하여 구분하며, 이러한 각 클래스 타입별 코드 구성에 대해 도면들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체계에서 각 클래스별 코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2a는 상기 클래스의 값이 A인 경우 일반 우편물의 코드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일반 우편물을 표시하기 위하여 128bit의 길이가 할당된다. 여기서 클래스를 나타내는 0AH에 8bit가 할당되고, 바디 우편물류 코드에 120bit가 할당되며,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태그 데이터 정보는 발급국(접수국)을 나타내는 국기호, 수취인 우편번호, 서비스, 창구번호,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상기 도 2b는 상기 클래스의 값이 B인 경우 등기 우편물의 코드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등기 우편물을 표시하기 위하여 128비트의 길이가 할 당된다. 여기서 클래스를 나타내는 0BH에 8비트가 할당되고,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태그 데이터 정보는 발급국(접수국)을 나타내는 국기호, 수취인 우편번호, 발송인 우편번호, 서비스, 창구번호,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국기호는 접수된 우체국의 정보로서 24bit가 할당되며, 우체국(4급~7급), 별정국, 군우체국, 취급소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든 우체국은 고유 등기용 국기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 상위관서 등기용 국기호 총괄국 등기용 국기호, 배달국 등기용 국기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우편물류 코드에 들어가는 발급국은 국기호로 기존의 바코드 기반의 우편물류시스템에서 쓰이는 현행 국기호를 따르며, 구성은 6자리로 되어 있으며, 일반 우편물과 등기용 우편물일 경우 사용된다. 여기서 기존의 국기호 체계를 그대로 가져가는 이유는 현재 우편서비스를 위한 우편물류통합정보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함이다.
상기 우편물류 코드(kpCode)에 들어가야 할 코드로서 현재 우체국 정보관리시스템인 통합물류정보시스템(ekPLS)에서 사용되는 전국 우체국, 집중국에 발행된 국기호의 일예를 나타내면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국기호는 우편물류 통합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DB)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는데, 상기 도 3에서는 그중 일부의 내용만 보여준다. 여기서 클래스 코드는 의 헤더 정보로 코드가 어떤 그룹에 속해있는지를 나타낸다.
다시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수취인 우편번호는 받는 사람의 수취인 우편번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24bit가 할당된다. 상기 서비스는 일반 우편물과 등기 우편물의 서비스 종류를 나타내기 위해 국내외, 등기, 일반, 특급, 빠른, 보통과 같은 서비스 외에 20여 가지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즉, 상기 서비스에 각각 일반 우편물의 7가지의 서비스 항목을 표시하기 위해 8bit를 할당하고, 등기 우편물의 22가지의 서비스 항목을 표시하기 위해 8bit를 할당한다. 이러한 상기 서비스의 코드 구성은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통상/소포, 및 보통/빠른 항목에 각각 1비트가 할당되고, 서비스 항목에 6비트가 할당된다.
상기 도 4는 일반 우편물의 서비스에 대한 코드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며, 가로는 비트의 위치를 나타내며, 세로는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통상/빠른/군사우편의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코드는 01000010이 된다. 상기 도 5는 등기 우편물의 서비스에 대한 코드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며, 가로는 비트의 위치, 세로는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서비스 코드들의 비트 표현 방법은 향후 더 많은 서비스가 추가되더라도 사전에 예약된 코드 영역이 있으므로 전체 코드 길이의 수정 없이 서비스를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창구번호 및 일련번호는 각각 8bit 및 6bit가 할당되며, 상기 창구번호는 우체국별 창구마다 일련으로 발생하는 일련번호의 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서 수취인 정보인 우편번호는 총 6자리로 구성되며, 상기 우편번호 역시 기존의 우편번호체계로부터 이를 16진수로 나타낸다.
상기 도 2b를 참조하면, 일반 우편물과 마찬가지로 국기호로 24bit를 할당하고, 수취인 우편번호를 24bit를 할당한다. 또한, 향후 잘못된 우편물의 반송을 위 해 발송인 우편번호를 기록하며, 상기 발송인 우편번호는 6자로 구성하고, 24bit를 할당한다. 상기 우편번호 역시 기존의 우편번호 체계를 따른다. 상기 등기우편의 코드는 22가지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상기 서비스는 8bit로 할당하고, 접수창구를 나태나는 상기 창구번호는 8bit, 상기 일련번호는 32bit를 할당한다.
상기 도 2c는 상기 클래스의 값이 C인 경우 다량고객 우편 서비스의 코드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우편물류코드는 다량고객 우편 서비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88비트의 길이가 할당된다. 여기서 클래스를 나타내는 0CH에 8비트가 할당되고,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태그 데이터 정보는 종별, 다량식별코드, 고객번호,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상기 도 2d는 상기 클래스의 값이 D인 경우 사전교부 우편 서비스의 코드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사전교부는 사전교부 우편 서비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72비트의 길이가 할당되며, 사전에 이미 교부된 고객에 한해 사용되는 코드로서 현행은 디스켓에 정보를 입력해와 수작업으로 처리하고 있다. 여기서 클래스를 나타내는 0DH는 8비트가 할당되고, 이러한 사전교부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바디에 포함되는 태그 데이터 정보는 8bit가 할당된 다량고객과 마찬가지로 사전교부를 나타내는 종별 코드와, 8bit가 할당된 사전교부 고객을 위한 선출력 식별과, 48bit가 할당된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상기 도 2e는 상기 클래스의 값이 E인 경우 용기 우편 서비스의 코드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우편물류코드는 용기 우편 서비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64비트의 길 이가 할당된다. 여기서 클래스를 나타내는 10H에는 8비트가 할당되고,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태그 데이터 정보는 24bit로 할당된 종류와 32bit로 할당된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 우편 서비스의 운송 용기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00H 내지 06H는 각각 파렛, 트롤리, 대형상자, 중형상자, 소형상자, 자루를 나타내는 코드이며, 07H~0FH는 향후 용기 종류가 추가되는 경우를 대비한 예약 코드이다.
상기 도 2f는 상기 클래스의 값이 F인 경우 차량 우편 서비스의 코드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우편물류코드는 차량 우편 서비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72비트의 길이가 할당된다. 여기서 클래스를 나타내는 11H에 8비트가 할당되고,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태그 데이터 정보는 24bit로 할당된 소속, 16bit로 할당된 종류, 32bit로 할당된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 우편 서비스의 차량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00H는 예약 코드이고, 01H~0FH는 본부(관할국)를 나타내는 코드이고, 02H 내지 04H는 각각 코트렌스, 현대, 한진 등을 나타내는 코드이며, 05H는 예약 코드이다.
상기 첨부된 도 2g 내지 도 2i는 다른 서비스를 위해 예약된 코드들을 나타내며, 클래스를 나타내는 코드에 8bit가 할당되고, 나머지 바디 영역의 120bit는 예비 영역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한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은 무선 인식 태그 데이터 발생부(110)와, 우편물류 처리부(120)와, 저장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인식 태그 데이터 발생부(110)는 고객으로부터 우편물류를 접수 받으면 접수된 우편물 정보에 따라 구성된 우편물류 코드를 갖는 무선 인식 태그 데이터를 발생한다. 이러한 무선 인식 태그 데이터는 접수국에서 라벨 형태의 태그로 출력되어 우편물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접수된 우편물이 일반 우편물인 경우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일반 우편물임을 나타내는 클래스의 코드 0AH와, 일반 우편물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는 바디의 코드들로 구성된다.
상기 우편물류 처리부(120)는 상기 우편물에 부착된 태그를 리더기를 통해 상기 우편물류 태그 데이터의 헤더 정보 및 클래스 타입을 읽어서 설정된 우편물류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우편물의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우편물 서비스 타입에 따라 우편물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우편무류 처리부(120)는 고객이나 우체국 직원들이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접수된 우편물의 배달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태그 식별 전파를 인터넷으로 발생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별된 결과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은 상기 구성된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하여 태그를 발생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다음은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각 우체국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우편물의 접수에서 배달까지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각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모든 인터페이스는 무선 인식 태그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고 질의되어 처리되며, 태그 정보가 어떤 시스템에서 쓰이는지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은 접수 시스템(접수국)(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220)과, 취합 시스템(집중국)(230)과, 배달 시스템(배달국)(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처리 시스템(220)은 무선 인식 서버(221)와, 미들웨어(222)와, 저장부(DB)(223)를 포함한다.
상기 접수 시스템(210)은 고객으로부터 우편물이 접수되면, 접수된 우편물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우편물의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22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220)은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대응하는 우편물류 코 드를 구성하여 상기 접수 시스템(210)으로 알려준다. 이에 따라 상기 접수 시스템(210)은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갖는 무선 인식 태그 데이터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접수 시스템(210)은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라벨 형태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무선 인식 태그는 상기 접수된 우편물에 부착된다. 이후, 상기 접수 시스템(210)은 무선 인식 태그가 부착된 우편물을 취합 시스템(230)으로 이송한다.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220)은 리더기를 통해 읽은 무선 인식 코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태그 데이터를 미들웨어(122)를 통해 수집한 후 저장부(123)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태그 데이터는 접수 시스템(210)에서 초기에 생성된 데이터이다.
상기 접수 시스템(210)으로부터 우편물이 이송되면, 상기 취합 시스템(230)은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따라 구분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분하여 상기 배달 시스템(240)으로 이송한다. 이때, 취합 시스템(230)은 정보 처리 시스템(220)으로부터 상기 판독 결과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들을 수신한다.
그러면 배달 시스템(240)은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판독하여 판독 결과를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220)으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220)으로부터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배달 시스템(240)은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따라 수취인에게 상기 우편물을 배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상기 구성된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하여 접수된 우편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한 우편물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 및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은 배달할 우편물을 접수하여 접수된 우편물의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접수자는 우편물을 일반, 등기, 다량고객, 사전교부 등의 서비스 타입을 파악하여 해당 서비스 타입을 입력하고, 발송인 정보, 수취인 정보, 우편물을 처리하는 우체국들의 정보 및 우편물 운송 정보 등을 파악하여 입력한다. 이러한 입력된 정보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우편물의 정보라 한다.
그러면 310단계에서 상기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은 무선 인식 태그 발생기(110)를 통해 상기 접수된 우편물의 정보에 따라 구성된 우편물류 코드를 갖는 무선 인식 태그 데이터를 발생한다. 이때, 접수국에서 상기 발생된 무선 인식 태그 데이터를 라벨 형태의 태그로 출력하면 접수국 직원은 상기 출력된 태그를 우편물에 부착한다.
320단계에서 상기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은 무선 인식 태그 처리부를 통해 상기 우편물에 부착된 태그를 판독한다. 여기서 태그의 판독은 데이터 정보를 모두 읽지 않고 데이터의 헤더 정보와, 클래스 타입만을 읽어서 표시된 클래스 코드를 통해 어떤 서비스 타입의 우편물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간과 시스템간의 처리시 효율적인 측면에서 빠른 인식률과 시스템 처리 속도를 높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가져오기 위함이다.
330단계에서 상기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은 상기 판독된 태그의 우편물류 코 드를 통해 상기 우편물의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고, 340단계에서 상기 식별된 정보를 수집한 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된 태그 정보는 접수국에서 초기에 생성된 태그 데이터가 저장된다.
350단계에서 상기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은 상기 우편물류 처리부(120)를 통해 인터넷(140)으로 태그 식별 전파를 전송하며, 360단계에서 상기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은 우편물을 식별된 정보에 따라 체결하여 집중국으로 이송한다. 그러면 우편물은 집중국에서 구분되어 배달국으로 이송된 후 수취인에게 배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호환성 및 확장성이 보장되므로 ISO 표준 및 EPC 코드체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유통 물류에서 사용되는 코드체계를 이용하더라도 우편물류 서비스가 가능하며, 향후 모든 표준을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함에 따라 IC 품질 관리 이력, 태그의 이력 파악 및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우편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인식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에서 태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다 방대한 우편물류를 처리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OS 규격에 맞는 호환성 있는 코드를 구성함으로써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보다 정확하고 방대한 우편물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실시간의 태그정보 식별, 위치추적, 물품의 훼손 및 분실 도난방지, 인터넷 망과 연계된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활용을 극대화하고, 우편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무선 인식으로 우편물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인식 태그에 포함되는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의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클래스의 코드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클래스 코드 값에 따라 상기 서비스 타입의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가변 길이를 갖는 바디의 코드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는 8비트의 고정된 길이가 할당되며, 상기 바디의 코드는 120비트의 가변 길이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는 미리 할당된 코드와, 확장성을 위한 예약된 코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일반 우편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8비트가 할당된 상기 클래스 코드와,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바디의 코드를 합하여 128비트로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일반 우편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는 국기호, 수취인 우편번호, 서비스, 창구번호 및 일련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7가지의 서비스 항목을 표시하기 위해 8비트로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등기 우편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8비트가 할당된 상기 클래스 코드와,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바디의 코드를 합하여 128비트로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등기 우편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는 국기호, 수취인 우편번호, 발송인 우편번호, 서비스, 창구번호 및 일련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22가지의 서비스 항목을 표시하기 위해 8비트로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대량 고객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8비트가 할당된 상기 클래스 코드와,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바디의 코드를 합하여 88비트로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대량 고객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는 종별, 다량식별코드, 고객번호 및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사전 교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8비트가 할당된 상기 클래스 코드와,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바디의 코드를 합하여 72비트로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는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사전 교부를 나타내는 경 우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는 종별, 선출력 식별코드 및 일련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용기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8비트가 할당된 상기 클래스 코드와,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바디의 코드를 합하여 64비트로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용기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는 종류 및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차량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8비트가 할당된 상기 클래스 코드와,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바디의 코드를 합하여 72비트로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 값이 차량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태그 데이터 정보는 소속, 종류 및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18. 무선 인식 우편물류 시스템에서 우편 물류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 인식으로 우편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배달할 우편물의 정보를 입력받아 우편물을 접수하는 과정과,
    상기 접수된 우편물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서비스 타입의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우편물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인식 태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우편물에 부착된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과정과,
    상기 판독된 결과에 따라 태그 식별 전파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의 판독 결과 및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처리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된 결과에 따라 상기 우편물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여 수취인에게 상기 우편물을 배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처리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우편물의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8비트로 고정된 길이로 할당된 클래스의 코드와, 상기 클래스 코드 값에 따라 상기 서비스 타입의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120비트 내의 가변 길이를 갖는 바디의 코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는 미리 할당된 코드와, 확장성을 위한 예약된 코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 인식 태그의 헤더 정보와 상기 우편물류 코드의 클래스 정보를 읽는 단계와,
    상기 헤더 정보와 상기 클래스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처리 방법.
  24. 다른 코드체계 및 시스템과의 호환이 가능한 우편물류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 인식으로 우편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배달할 우편물이 접수되면 상기 우편물의 정보에 따라 구성된 우편물류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인식 태그를 발생하는 무선 인식 태그 발생부와,
    상기 우편물에 부착된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우편물류 코드에서 해당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서비스 타입의 태그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우편물을 처리하는 우편물류 처리부와,
    상기 식별된 결과 및 상기 우편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 처리부는 상기 식별된 결과에 대한 태그 식별 전파를 인터넷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류 코드는 우편물의 서비스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8비트로 고정된 길이로 할당된 클래스의 코드와, 상기 클래스 코드 값에 따라 상기 서비스 타입의 태그 데이터 정보에 해당하는 120비트 내의 가변 길이를 갖는 바디의 코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의 코드는 미리 할당된 코드와, 확장성을 위한 예약된 코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우편물류 처리 시스템.
KR1020050117147A 2005-12-02 2005-12-02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50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147A KR100650742B1 (ko) 2005-12-02 2005-12-02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147A KR100650742B1 (ko) 2005-12-02 2005-12-02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742B1 true KR100650742B1 (ko) 2006-11-30

Family

ID=3771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147A KR100650742B1 (ko) 2005-12-02 2005-12-02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60B1 (ko) 2006-11-30 2008-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기반 우편물류 코드 장치 및 코드 구성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7612A (ko) * 1985-03-15 1986-10-15 최근선 우편물 자동 송달 시스템
JPH01271789A (ja) * 1988-04-25 1989-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ーコードラベル、それを貼付した書留郵便物およびその処理方法
US5249687A (en) 1991-04-19 1993-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rcode translation for deferr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ail processing
KR20050021141A (ko) * 2003-08-26 2005-03-07 주식회사 하나콤 바코드 응용기술을 이용한 반송 우편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7612A (ko) * 1985-03-15 1986-10-15 최근선 우편물 자동 송달 시스템
JPH01271789A (ja) * 1988-04-25 1989-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ーコードラベル、それを貼付した書留郵便物およびその処理方法
US5249687A (en) 1991-04-19 1993-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rcode translation for deferr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ail processing
KR20050021141A (ko) * 2003-08-26 2005-03-07 주식회사 하나콤 바코드 응용기술을 이용한 반송 우편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60B1 (ko) 2006-11-30 2008-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기반 우편물류 코드 장치 및 코드 구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568B2 (en) Mail sorting systems and methods
CN201134030Y (zh) 工业生产线中的rfid控制系统
JP4861186B2 (ja) 配送物の追跡方法及びシステム
US7798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ipping freight
CN111539668A (zh) 一种基于射频技术的仓储系统和控制方法
EP1764321A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CN107506968A (zh) 一种实现仓库和商店商品自动盘点的方法及系统
CN106663237A (zh) 用于改进的产品分配的智能路由代码
JP2008508165A (ja) 無線周波識別タグを使用して仕分け情報を通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5008554A1 (en) Systems for linking object identification data to package identification data
CN102147888A (zh) 一种智能仓库管理系统及其方法
KR100745671B1 (ko) 우편 물류 처리 장치의 무선 인식(rfid) 태그 및 그정보 구성 방법
EP2335838B1 (en) Sort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KR100650742B1 (ko) 무선 인식 우편물류 코드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식 우편물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MXPA05010672A (es) Sistema y metodo para el seguimiento del correo usando un sistema de codificacion universal.
US67708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routing items in a mail distribution system
Švadlenka et al. Application of tracking technologies in the postal system
KR100931945B1 (ko) Rfid 기반의 국제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1205199A (ja) 輸送システム及び輸送方法
KR100749807B1 (ko) 전파식별을 이용한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Vaculik et al. Application of epc standards and mobile networks services to enhance the quality of postal service
KR100825460B1 (ko) Rfid 기반 우편물류 코드 장치 및 코드 구성 방법
Choi et al. An experimental testbed for parcel handling with RFID technology
Roy et al. Appraising and overcoming the barriers of RFID implementation in a process industry in New Zealand
KR20050062328A (ko) 전파 식별 기술을 이용한 운송용기 자동수불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