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171B1 -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제작 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제작을 위한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제작 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제작을 위한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171B1
KR100650171B1 KR1020040086212A KR20040086212A KR100650171B1 KR 100650171 B1 KR100650171 B1 KR 100650171B1 KR 1020040086212 A KR1020040086212 A KR 1020040086212A KR 20040086212 A KR20040086212 A KR 20040086212A KR 100650171 B1 KR100650171 B1 KR 10065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einforced plastic
base material
fram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075A (ko
Inventor
이주용
Original Assignee
이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용 filed Critical 이주용
Priority to KR1020040086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1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2/00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제작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제작 금형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금형에 관한 것으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위한 성형모재에서 내부 관통공의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내부금형 각각에 대하여 경화되지 않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단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층이 상기 성형모재의 형상이 되도록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각각의 내부금형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켜 상기 성형모재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된 성형모재를 가공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인라인 스케이트, 금형, 프레임

Description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제작 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제작을 위한 금형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frame for inline skate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s and die therefor}
도 1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성형모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금형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내부금형에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내부금형을 적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내부금형이 적층된 단면도
도 10은 외부금형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외부금형의 내부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10a, 110b, 110c 내부금형 120 섬유강화플라스틱
130a, 130b 이종 모재 200 외부금형
201 상부외부금형 202 하부외부금형
203 제1이동외부금형 204 제2이동외부금형
210 외부금형의 제1측면 220 외부금형의 상면
230 외부금형의 제2측면 240 외부금형의 상면
231a, 231b 외부금형의 측면에 새겨진 프레임 형상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제작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제작 금형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발에 신고 움직이는데 불편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가벼워야 하며, 또한 사람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하므로 어느 정도 이상의 강도가 요구된다. 특히 전문가들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일수록 초경량, 고강도의 인라인 스케이트가 요구되고 있다.
인라인 스케이트의 초경량, 고강도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중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부츠와 바퀴를 연결하는 프레임의 소재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의 모양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은 제1상면(11a, 11b)의 나사구멍(13a, 13b, 13c, 13d)을 관통하는 나사(미도시)에 의하여 부츠(50)에 연결되고, 측면(30a, 30b)의 휠샤프트홀(31a, 31b, 31c, 31d)을 통하여 인라인 스케이트 바퀴에 부착된다.
또한, 보이드(21a, 21b, 22a, 22b)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의 양 측면(30a, 30b)을 지지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제2상면(12)은 제1보이드(21a, 21b)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재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의 생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재는 7000계 알루미늄 합금이고, 압출성형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다. 도 3은 압출성형에 의해 생산된 프레임 모재를 도시한 것이다.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을 생산할 때에는 도 3에서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 금형을 통하여 프레임 모재를 압출시키고 압출된 모재를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의 측면 형상(30)으로 절단 가공하고, 기타 보이드를 형성하고,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절단 가공 및 마감작업 등을 통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최종적인 프레임 형태를 도출한다.
한편, 최근에는 초경량, 고강도의 소재로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이 각광받고 있다. 이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상온 상압에서도 성형이 가능하고, 내식성에 강하며, 가벼우면서도 인장강도나 내충격성 등이 다른 재료에 비하여 뛰어나므로 건축재료, 요트나 소형 선박의 선체, 욕조, 컨테이 너, 헬멧, 비행기의 기재 등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골프클럽의 블랙샤프트, 낚싯대, 테니스 라켓 등 레저 스포츠 용품에 응용하는 시도도 많아지고 있다.
특히, 탄소섬유를 이용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의 경우 다른 섬유강화플라스틱보다 가벼우면서도 단위무게당 강도가 다른 재료에 비하여 대단히 크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탄소섬유는 유기섬유를 비활성기체 속에서 적당한 온도로 열처리한 후, 탄화·결정화시킨 섬유로 19세기 말, T.A. 에디슨이 백열전등의 필라멘트용으로 면이나 아마 등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원료로 탄소섬유를 만든 이래, UCC사가 레이온을 원료로 하여 로켓이나 미사일의 선단부 등의 내열재료로서 사용되는 탄소섬유를 개발하고, 최근에는 탄소섬유를 수지로 굳힌 복합재료(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로 골프글러브의 샤프트, 테니스 라켓, 낚시줄 등 구조재료 등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고탄성률 고신도(高伸度) 탄소섬유는 강도 2.5∼5.0Gpa, 탄성률 200∼300Gpa라는 높은 값을 가진다. 제법은 폴리아클리로니트릴로 이루어져 있는 아크릴섬유(Ⅰ)를 가열하여 축합 피리딘고리(Ⅱ)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머로 바꾸고, 다시 1500℃ 정도의 고온에서의 탄소화공정으로 시안화수소 HCN이나 질소 N₂를 방출시켜, 탄소의 기본 구조인 축합다환방향족구조(Ⅲ)를 형성시킨다. 액정(液晶)피치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고탄성률 저신도 탄소섬유도 있으며, 주로 구조재료의 탄성률보강재나 내열재료로서 사용된다. 그 밖에 용제(溶劑)의 회수재(回水材)로 적용되는 활성탄소섬유도 있다.
그러나,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우 알루미늄합 금과 같이 압출성형이 안되는 관계로 도 3에서와 같은 형태의 성형 모재를 제작하기가 어려워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평면으로 제작한 후 이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붙이는 정도로만 진행이 되었지, 도 3에서와 같은 성형 모재를 제작하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위한 성형모재에서 내부 관통공의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내부금형 각각에 대하여 경화되지 않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단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층이 상기 성형모재의 형상이 되도록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각각의 내부금형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켜 상기 성형모재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된 성형모재를 가공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켜 상기 성형모재를 제작하 는 단계는 상기 적층된 내부금형 및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외부금형에 위치시킨 후 상기 외부금형을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 및 소정의 압력 조건 하에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금형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면에는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해당되는 형상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새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각각의 내부금형을 적층한 후, 적층된 외부면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단계는 상기 내부금형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방향에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과 성분이 다른 이종 모재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층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금형을 감는 도중 소정의 이종 모재를 삽입한 후 다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은 탄소섬유와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위한 성형모재에서 내부 관통공의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내부금형; 및 상기 각각의 내부금형에 경화되지 않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층이 상기 성형모재의 형상이 되도록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각각의 내부금형을 적층한 상태에서 소정의 온도에서 상기 적층된 성형모재의 외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외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금형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면에는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해당되는 형상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새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을 도 1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내부 금형(1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준비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내부금형(110)에 감아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의 두께가 미리 설계된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한다(301).
도 4는 본 발명에서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내부 금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내부 금형(110a, 110b, 110c)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성형모재에서 관통공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45c, SKD11 등 일반적인 금형을 위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서 성형모재란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하여 절단 등의 작업을 하기 전의 모재를 말하며, 도 9에서 내부금형(110a, 110b, 110c)이 탈형된 상태의 섬유강화플라스틱(120)으로 구성된 형상의 중간품을 의미한다.
내부금형(110)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섬유층(120b)과 수지층(120a)이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이용하여 감싸지게 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수지층(120a)이 섬유층(120b)의 위에 도포되어 적층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대로 적층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수지층(120a)이 섬유층(120b)의 양면에 도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섬유층(120b)을 수지액에 침적시킨 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사용되는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로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브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사용되는 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케블라(Kevlar, 미국 듀폰사의 상품명)라는 방향족 나일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 보론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탄소섬유로는 레용계 탄소섬유, PAN(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섬유, 피치계 탄소섬유 등이 있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이용하여 내부금형(110)을 감을 때에는 내부금형의 적어도 1면 방향에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서 사용된 소재 이외의 성분의 이종 모재가 삽입되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감는 도중 이종 모재를 삽입할 수 있다.
도 7은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이용하여 내부금형(110)을 감는 도중에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사용된 소재 이외의 이종 모재(130a, 130b)가 내부금형(11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감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종 모재(130a, 130b)는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의해서 부족한 특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이 탄소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인 경우, 사용 가능한 이종 모재(130)로는 유리섬유, 케블라, 얇은 금속 메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사용된 섬유와 다른 종류의 이종 모재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보강재만을 사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보다 보다 향상된 특성을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 층의 두께가 설계된 두께가 되도록 각각의 내부금형(110a, 110b, 110c)에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감은 후에는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감은 각 내부금형을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의 성형모재의 형상이 되도록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적층한다(302).
도 9는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감은 각 내부금형(110a, 110b, 110c)을 적층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적층된 후에는 각 내부금형(110a, 110b, 110c)을 감고 있는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의 수지(플라스틱)는 접착제와 같은 기능을 하며, 분리되어 제작된 모재들은 서로 접착되어 고정이 된다.
도 8에서와 같이 각 내부금형(110)을 적층하는 경우, 각 내부금형 사이에 위 치한 섬유강화플라스틱(120)층의 두께는 다른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의 두께보다 2배가 더 두껍게 된다.
물론 각 내부금형(110) 사이의 섬유강화플라스틱(120)층의 두께와 외부의 섬유강화플라스틱(120)층의 두께가 동일할 필요는 없으므로 도 8에서와 같이 적층하는 것으로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을 위한 성형모재를 제작하는 것도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주문자가 각 내부금형(110) 사이의 섬유강화플라스틱(120)층의 두께와 외부의 섬유강화플라스틱(120)층의 두께가 동일하게 될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각 내부금형(110)이 적층된 상태에서 그 외부를 섬유강화플라스틱(120)으로 다시 감아 외부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의 두께와 내부 섬유강화플라스틱(120)층의 두께가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각 내부금형(110)의 적층이 완료되면 외부의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경화시킨다(304).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의 경우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상온, 상압에서도 경화가 되는 종류(예: Rapid사의 Araldite 등)도 있으므로 도 9에서와 같이 적층한 상태에서 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외부 금형을 사용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고, 각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온도 범위로 가열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경화시키는 것이 섬유강화플라스틱(120)층 내부에 공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섬유와 에폭시수지를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110~180℃ 범위에서 15분~60분동안 7000~11000kPa의 압력을 가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150℃ 범위에서 15분~30분 동안 7000~9000kPa의 압력을 가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권장된다.
도 10은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경화시키는 외부금형(200)을 도시한 것이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감은 내부금형(110a, 110b, 110c)을 적층한 성형모재를 외부금형(200)에 위치시킨 후, 상부외부금형(201)에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제1이동외부금형(203), 제2이동외부금형(204)의 작용으로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감은 내부금형(110a, 110b, 110c)을 적층한 성형모재는 사방에서 압력을 받게 된다.
이 때 외부금형(200)의 상면(220), 하면(240), 제1측면(210), 제2측면(230)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각각의 면에 해당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형상을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새겨놓아 외부금형(200)을 탈형한 후 그 프레임의 형상이 경화된 성형모재의 외부에 새겨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측면의 형상(231a, 231b)을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새겨놓은 외부금형의 제2측면(230)을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금형을 탈형한 성형모재를 절단 등의 작업을 통하여 최종적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 성형모재의 외부에 별도로 절단될 위치를 그려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의 경화가 완료되면, 외부금형(200) 및 내부금형(110a, 110b, 110c)을 탈형시키고(305), 성형모재를 절단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프레임 형상으로 가공하여 프레임 제작 공정을 마무리한다(305).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범위에 의하여 보호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 제작 과정을 설명하면서 하나의 프레임의 형상만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프레임(또는 성형모재)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금형 및 외부금형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성형모재가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내부금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 성형모재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위한 성형모재에서 내부 관통공의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내부금형 각각에 대하여 경화되지 않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단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층이 상기 성형모재의 형상이 되도록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각각의 내부금형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켜 상기 성형모재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된 성형모재를 가공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켜 상기 성형모재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적층된 내부금형 및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외부금형에 위치시킨 후 상기 외부금형을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 및 소정의 압력 조건 하에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금형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면에는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해당되는 형상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각각의 내부금형을 적층한 후, 적층된 외부면 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단계는 상기 내부금형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방향에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과 성분이 다른 이종 모재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120)층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금형을 감는 도중 소정의 이종 모재를 삽입한 후 다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은 탄소섬유와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
  8.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위한 성형모재에서 내부 관통공의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내부금형; 및
    상기 각각의 내부금형에 경화되지 않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후 상기 섬 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층이 상기 성형모재의 형상이 되도록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각각의 내부금형을 적층한 상태에서 소정의 온도에서 상기 적층된 성형모재의 외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외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금형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면에는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해당되는 형상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장치.
KR1020040086212A 2004-10-27 2004-10-27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제작 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제작을 위한금형장치 KR100650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12A KR100650171B1 (ko) 2004-10-27 2004-10-27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제작 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제작을 위한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12A KR100650171B1 (ko) 2004-10-27 2004-10-27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제작 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제작을 위한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075A KR20060037075A (ko) 2006-05-03
KR100650171B1 true KR100650171B1 (ko) 2006-11-28

Family

ID=3714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212A KR100650171B1 (ko) 2004-10-27 2004-10-27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제작 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제작을 위한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1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179A (ko) * 2001-03-29 2002-10-11 니폰 미쓰비시 오일 코포레이션 로봇 핸드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040195786A1 (en) 2003-04-07 2004-10-07 Egeraat Hendrikus Adrianus Van Roller skate fr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179A (ko) * 2001-03-29 2002-10-11 니폰 미쓰비시 오일 코포레이션 로봇 핸드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040195786A1 (en) 2003-04-07 2004-10-07 Egeraat Hendrikus Adrianus Van Roller skate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075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62B2 (en) Fiber-reinforced plastic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EP0805709B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thermoplastic composite ski
EP0541795A1 (en) New prepreg and composite molding, and production of composite molding
JP2003535724A (ja) 高機能複合管状構造物
FR2654644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ski injecte, et structure de ski obtenue par ce procede.
EP0428885A1 (fr)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ski par injection, et structure de ski
KR100650171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제작 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제작을 위한금형장치
KR20140050779A (ko) 섬유 강화 복합재의 성형방법
JPH05147048A (ja) 発泡ポリウレタンコア内蔵frp製品の製造方法
CN108340596B (zh) 一体式浮标的生产方法
KR100649629B1 (ko)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US11987012B2 (en) Hockey stick formed from sheet molding compound
KR101603492B1 (ko) Dcpd 수지를 기지재로 한 섬유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JPH0780948A (ja) 角形断面繊維強化複合材梁の製造方法
KR101234546B1 (ko) 복합소재 마스트 제조방법
US20230088134A1 (en) Outsole formed from sheet molding compound
WO1996007533A1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product of tubular structure using clamshell mold
EP4316613A1 (en) Shaf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haft for golf club
TWM479216U (zh) 多層複合材料
CN111758685B (zh) 体育用品用或钓具用的杆身
JP6997682B2 (ja) ブレードの作製方法及びブレード
JPH04261678A (ja) ラケット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11427028B2 (en) Bicycle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00964B1 (ko) 섬유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5228228A (ja) ラケット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