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629B1 -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629B1
KR100649629B1 KR1020050070018A KR20050070018A KR100649629B1 KR 100649629 B1 KR100649629 B1 KR 100649629B1 KR 1020050070018 A KR1020050070018 A KR 1020050070018A KR 20050070018 A KR20050070018 A KR 20050070018A KR 100649629 B1 KR100649629 B1 KR 10064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einforced plastic
mold
produc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용
최흥길
Original Assignee
이주용
최흥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용, 최흥길 filed Critical 이주용
Priority to KR102005007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65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5Perforating, cutting or machining during or after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유롭게 굽어지는 재질의 박막을 이용하여, 내부에 기체가 포함되고, 상기 기체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에 위치하는 에어몰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내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내부금형을 경화되지 않은 상기 섬유강화플리스틱을 이용하여 감는 단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아진 내부금형이 상기 제품의 형태를 가지도록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소정의 온도 조건 하에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제품 내부의 중공에 격자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된 제품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섬유강화플라스틱, 금형

Description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 reinforced plastics product having partition wall therein, and die therefor}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몰드를 제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념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몰드 및 그 에어몰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제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내부금형에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금형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경량, 고강도의 소재로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이 각광받고 있다. 이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상온 상압에서도 성형이 가능하고, 내식성에 강하며, 가벼우면서도 인장강도나 내충격성 등이 다른 재료에 비하여 뛰어나므로 건축재료, 요트나 소형 선박의 선체, 욕조, 컨테이너, 헬멧, 비행기의 기재 등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골프클럽의 블랙샤프트, 낚싯대, 테니스 라켓 등 레저 스포츠 용품에 응용하는 시도도 많아지고 있다.
특히, 탄소섬유를 이용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의 경우 다른 섬유강화플라스틱보다 가벼우면서도 단위무게당 강도가 다른 재료에 비하여 대단히 크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탄소섬유는 유기섬유를 비활성기체 속에서 적당한 온도로 열처리한 후, 탄화·결정화시킨 섬유로 19세기 말, T.A. 에디슨이 백열전등의 필라멘트용으로 면이나 아마 등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원료로 탄소섬유를 만든 이래, UCC사가 레이온을 원료로 하여 로켓이나 미사일의 선단부 등의 내열재료로서 사용되는 탄소섬유를 개발하고, 최근에는 탄소섬유를 수지로 굳힌 복합재료(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로 골프글러브의 샤프트, 테니스 라켓, 낚시줄 등 구조재료 등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고탄성률 고신도(高伸度) 탄소섬유는 강도 2.5∼5.0Gpa, 탄성률 200∼300Gpa라는 높은 값을 가진다. 제법은 폴리아클리로니트릴로 이루어져 있는 아크릴섬유(Ⅰ)를 가열하여 축합 피리딘고리(Ⅱ)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머로 바꾸고, 다시 1500℃ 정도의 고온에서의 탄소화공정으로 시안화수소 HCN이나 질소 N₂를 방출시켜, 탄소의 기본 구조인 축합다환방향족구조(Ⅲ)를 형성시킨다. 액정(液晶)피치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고탄성률 저신도 탄소섬유도 있으며, 주로 구조재료의 탄성률보강재나 내열재료로서 사용된다. 그 밖에 용제(溶劑)의 회수재(回水材)로 적용되는 활성탄소섬유도 있다.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우 금속 종류와 같은 압출성형 방법 등은 사용할 수 없는 관계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내부에 중공이 있는 제품을 제작할 때에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평면으로 제작한 후 이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붙이는 방법으로 제품을 제작하거나, 소정의 내부금형(코아)에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후 외부 금형에 넣고 경화시킨 후 다시 내부금형을 빼내는 방식으로 제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취했다.
그러나, 섬유강화플라스틱판을 제작한 후 이를 접착하는 방식은 제품에 곡선이 있는 경우 원하는 형상을 만들기가 쉽지 않고, 또 접착되는 부분의 강도가 다른 부분보다 약해 문제가 된다.
또한 내부금형에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후 내부금형을 빼내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도 1과 같이 휘어진 형상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경화된 후 내부금형을 빼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내부금형을 빼내기 위해서 제조된 제품의 한 쪽은 항상 개방된 형태를 가지게 되어 밀폐된 형태를 만들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1에서 연결부위(10)와 같은 경우 외부로부터 힘을 많이 받아서 파손되기가 쉬운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문제가 된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연결부위(10)를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렇게 할 경우 미관상 보기 않좋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연결부위(10)의 내부의 중공에 도 2와 같이 격벽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격벽을 만들고 난 후 내부금형을 제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서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품을 제조할 때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내부의 중공에 격벽이 존재하는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내부의 중공에 격벽이 존재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소정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유롭게 굽어지는 재질의 박막을 이용하여, 내부에 기체가 포함되고, 상기 기체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에 위치하는 에어몰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내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내부금형을 경화되지 않은 상기 섬유강화플리스틱을 이용하여 감는 단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아진 내부금형이 상기 제품의 형태를 가지도록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소정의 온도 조건 하에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박막을 상기 에어몰드의 전개도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개도에 따라 절단된 박막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에어몰드 제작시에 상기 에어몰드에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화시 온도 조건에서 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소정의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경화된 후 상기 경화된 섬유강화플라스틱층에 세공을 뚫어서 상기 세공을 통하여 상기 액체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막은 비닐화합물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아진 내부금형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외부로 다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결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아진 내부금형을 외부금형에 위치시킨 후 상기 외부금형을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 및 소정의 압력 조건 하에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소정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자유롭게 굽어지는 재질의 박막을 이용하여, 내부에 기체가 포함되고, 상기 기체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에 위치하는 에어몰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내부금형; 및 상기 각각의 내부금형에 경화되지 않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층이 상기 제품의 형상이 되도록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각각의 내부금형이 연결된 중간제품의 상태에서 소정의 온도에서 상기 중간제품의 외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외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있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작시 내부의 중공에 격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격벽의 내부에 위치한 중공을 소정의 에어몰드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품의 내부의 격벽 사이에 위치할 에어몰드를 포함하는 내부금형을 제작한다(301).
에어몰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금형(코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에어몰드에 관한 부분만 설명을 한다.
에어몰드는 자유롭게 굽어지는 재질의 박막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에어몰드에 이용되는 박막은 자유롭게 굽어져서 원하는 형상을 만들 수 있기만 하면 되며, 그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러한 박막에 사용되는 재질의 예로는 일반적인 비닐 봉지 등으로 사용되는 염화비닐수지를 포함하는 비닐화합물 수지, 테이프 등으로 사용되는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이 있을 수 있다.
에어몰드는 상기와 같은 박막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에어몰드는 최종적인 형상이 제품 내부의 중공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기만 하면 되므로 그 제작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반적으로는 도 4에서와 같이 제작될 에어몰드의 전개도(401)에 따라 비닐 등의 박막을 절단한 후, 이를 열, 고주파 등으로 접합을 하여 밀폐시켜 에어몰드의 형상(402)을 띠도록 만들 수 있다.
에어몰드(402)의 내부에는 일반적인 공기나 특정 가스 등의 기체가 차 있으며, 이 내부 압력에 의해 에어몰드의 형상이 유지되게 된다.
에어몰드(402)를 제작할 때에는 에어몰드 내부에 기체 외에 휘발성의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된 액체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화를 위하여 온도를 높일 경우 기화하여 기체로 되며 이에 따라 에어몰드 내부의 압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에어몰드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외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더라도 에어몰드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몰드의 내부에 주입되는 액체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화 온도에서 기화할 수 있는 물질이기만 하면 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알코올, 휘발유 등이 있다.
주입되는 액체의 양은 에어몰드의 크기, 필요한 에어몰드의 내부압력, 온도 조건 등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배드민턴 헤드 부분을 제작하기 위한 에어몰드의 내부 부피가 50cm3 이고, 경화 온도가 160℃일 때, 주입되는 액체는 휘발유의 경우 10 cc 정도가 적당하다.
이렇게 제작된 에어몰드의 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는 내부에 격자(511)가 3개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510)을 제조하기 위해 제작되는 내부금형(501, 502, 503, 504)을 도시한 것이다. 내부금형은 격벽을 만들기 위한 부분만을 에어몰드로 이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부금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전 내부금형을 모두 에어몰드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에어몰드를 포함하는 내부금형이 제작되었으면(301), 제작된 내부금형을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감는 작업을 수행한다(302).
내부금형(110)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섬유층(120b)과 수지층(120a)이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이용하여 감싸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수지층(120a)이 섬유층(120b)의 위에 도포되어 적층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대로 적층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수지층(120a)이 섬유층(120b)의 양면에 도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섬유층(120b)을 수지액에 침적시킨 후 사용하는 것도 가 능하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내부금형(110)의 양 측면이 노출되도록 한 방향으로만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감는 것으로 표현했으나, 실제로는 도 6 및 도 7에서 감는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감아서 내부금형(110)의 모든 면이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의해 감기도록 감게 된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사용되는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로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브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사용되는 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케블라(Kevlar, 미국 듀폰사의 상품명)라는 방향족 나일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 보론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탄소섬유로는 레용계 탄소섬유, PAN(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섬유, 피치계 탄소섬유 등이 있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이용하여 내부금형(110)을 감을 때에는 내부금형의 적어도 일부면의 방향에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서 사용된 소재 이외의 성분의 이종 모재가 삽입되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감는 도중 이종 모재를 삽입할 수 있다.
도 8은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이용하여 내부금형(110)을 감는 도중에 섬 유강화플라스틱(120)에 사용된 소재 이외의 이종 모재(130)가 내부금형(11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감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종 모재(130)는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의해서 부족한 특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이 탄소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인 경우, 사용 가능한 이종 모재(130)로는 유리섬유, 케블라, 얇은 금속 메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섬유강화플라스틱(120)에 사용된 섬유와 다른 종류의 이종 모재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보강재만을 사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보다 보다 향상된 특성을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섬유강화플라스틱(120) 층의 두께가 설계된 두께가 되도록 각각의 내부금형에 섬유강화플라스틱(120)을 감은 뒤에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긴 각각의 내부금형을 제품의 형태가 되도록 연결한다(303).
각각의 내부금형을 연결할 때에는 단순히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긴 각각의 내부금형을 그냥 붙인 상태에서 경화를 시켜도 경화되지 않은 수지층이 서로 붙은 상태로 경화가 되므로 고정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경우 내구성이 약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긴 각각의 내부금형을 붙인 상태에서 그 외부를 다시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금형에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작업이 완료되면,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킨다(304).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우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상온, 상압에서도 경화가 되는 종류(예: Rapid사의 Araldite 등)도 있으므로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긴 각각의 내부금형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온, 상압에서 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외부 금형을 사용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고, 각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온도 범위로 가열하여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것이 섬유강화플라스틱층 내부에 공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경화에 필요한 온도 및 압력은 제작되는 제품의 특성 및 사용되는 소재의 특성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탄소섬유와 에폭시수지를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110~180℃ 범위에서 15분 ~ 60분동안 7000~11000kPa의 압력을 가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150℃ 범위에서 15분~30분 동안 7000~9000kPa의 압력을 가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권장된다.
외부금형을 이용하는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긴 각각의 내부금형이 연결된 중간품(510)을 상부금형(520)과 하부금형(530)으로 구성된 외부금형에 형성된 틀(531, 532)에 위치시켜 놓고, 외부금형(520, 530)을 이용하여 정해진 온도와 압력을 가하면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킨다.
이렇게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키면 제품의 제작이 완료된다.
만약, 에어몰드를 제작할 때 에어몰드 내에 휘발성 액체를 주입한 경우에는 경화 후에 제품이 냉각이 되면서 기화되었던 액체도 다시 액체로 변하게 되어 제작된 제품을 흔들면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섬유강화플라스틱 층에 미세한 세공을 뚫어서 이를 통하여 주입되었던 액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0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벼운 박막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내부금형을 대체하고 있으므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화가 끝난 후 내부금형을 사용된 에어몰드를 제거하지 않아도 제품의 무게 등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제품 내부의 중공에 격자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된 제품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소정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유롭게 굽어지는 재질의 박막을 이용하여, 내부에 기체가 포함되고, 상기 기체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에 위치하는 에어몰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내부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내부금형을 경화되지 않은 상기 섬유강화플리스틱을 이용하여 감는 단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아진 내부금형이 상기 제품의 형태를 가지도록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소정의 온도 조건 하에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박막을 상기 에어몰드의 전개도에 따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개도에 따라 절단된 박막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에어몰드 제작시에 상기 에어몰드에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화시 온도 조건에서 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소정의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경화된 후 상기 경화된 섬유강화플라스틱층에 세공을 뚫어서 상기 세공을 통하여 상기 액체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비닐화합물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아진 내부금형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외부로 다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결된 섬유강화플라스틱이 감아진 내부금형을 외부금형에 위치시킨 후 상기 외부금형을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 및 소정의 압력 조건 하에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
  8.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소정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자유롭게 굽어지는 재질의 박막을 이용하여, 내부에 기체가 포함되고, 상기 기체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의 형상이 유지되며, 상기 제품의 격벽 사이의 중공에 위치하는 에어몰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내부금형;
    상기 각각의 내부금형에 경화되지 않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층이 상기 제품의 형상이 되도록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감은 각각의 내부금형이 연결된 중간제품의 상태에서 소정의 온도에서 상기 중간제품의 외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외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몰드는 내부에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의 경화시 온도 조건에서 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소정의 액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비닐화합물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KR1020050070018A 2005-07-30 2005-07-30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KR10064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018A KR100649629B1 (ko) 2005-07-30 2005-07-30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018A KR100649629B1 (ko) 2005-07-30 2005-07-30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629B1 true KR100649629B1 (ko) 2006-11-27

Family

ID=3771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018A KR100649629B1 (ko) 2005-07-30 2005-07-30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449B1 (ko) * 2013-03-19 2014-07-14 이준구 투명보트 제조용 frp 금형 및 이를 이용한 투명보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014B1 (ko) 2000-10-18 2003-01-24 (주)보성기연 에프.알.피 플랜지관 제조방법
JP3585642B2 (ja) 1996-04-19 2004-11-04 株式会社アシックス Frp成型体の製造方法およびfrp製パイプ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5642B2 (ja) 1996-04-19 2004-11-04 株式会社アシックス Frp成型体の製造方法およびfrp製パイプの製造方法
KR100368014B1 (ko) 2000-10-18 2003-01-24 (주)보성기연 에프.알.피 플랜지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449B1 (ko) * 2013-03-19 2014-07-14 이준구 투명보트 제조용 frp 금형 및 이를 이용한 투명보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2118A (en) Method for producing a hollow FRP article
AU2001266906B2 (en) High performance composite tubular structures
US6132323A (en) Thermoplastic/thermoset hybrid golf club shaf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A1247318A (en) Method of forming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article of complex configuration
US4357013A (en) Reinforced foam core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US7732044B2 (en) Foam core-surface reinforced article and method
JP2008309219A (ja) タンク及びタンクの製造方法
KR100649629B1 (ko) 내부에 격벽이 존재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및 그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장치
JPS6321608B2 (ko)
JP2000301612A (ja) 筒体の製造方法
KR100650171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제작 방법 및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제작을 위한금형장치
WO1996007533A1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product of tubular structure using clamshell mold
KR100534068B1 (ko) 다층구조를 갖는 헬멧쉘 및 그 제조방법
US20240009526A1 (en) Shaft, method for manufacturing shaft, and golf club shaft
KR102200964B1 (ko) 섬유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4261678A (ja) ラケット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10376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ス製バットの製造方法
JPH1146631A (ja) 管状体
JPH01185272A (ja) ラケットフレーム又はスティックの製造方法
EP0100378A1 (en) Reinforced foam core composite structure used in a tennis racket frame
JPH10151692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品
JPH0458963A (ja) 野球用樹脂バ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47614B2 (ko)
JPH05228228A (ja) ラケット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78234A (ja) Frtp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フォ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