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043B1 -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043B1
KR100650043B1 KR1020060009223A KR20060009223A KR100650043B1 KR 100650043 B1 KR100650043 B1 KR 100650043B1 KR 1020060009223 A KR1020060009223 A KR 1020060009223A KR 20060009223 A KR20060009223 A KR 20060009223A KR 100650043 B1 KR100650043 B1 KR 100650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oil
skin elasticity
sk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범
채병근
김연준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0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043B1/ko
Priority to CN2007800038399A priority patent/CN101374490B/zh
Priority to PCT/KR2007/000530 priority patent/WO2007089100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에스테르계 오일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혼합 오일을 포함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도포시 사용감이 가볍고, 고온안정성을 가지며, 피부탄력을 향상시키는 효능을 나타낸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 고급 지방족 알코올 * 계면활성제 * 오일

Description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Emulsified Compositions for Promoting the Effect of Skin-Lifting}
본 발명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은 고급 지방족 알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에스테르계 오일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혼합 오일을 포함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도포시 사용감이 가볍고, 고온안정성을 가지며, 피부탄력을 향상시키는 효능을 나타낸다.
피부탄력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러한 탄력섬유는 고무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고, 또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는 쉽게 원형으로 되돌아 온다. 또한, 탄력섬유는 엘라스틴이라는 무정형의 기질에 미원섬유(microfibrils)들이 박혀 있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엘라스틴은 라이신에서 유래한 데스모신(desmosine)과 아이소데스모신(isodesmosine)이라는 탄력섬유에서만 발견 되는 아주 톡특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이러한 데스모신과 아이소데스모신 등은 긴 펩타이드 사슬안에서 가교(cross-links)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엘라스틴으로 하여금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갖게 한다.
또한,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는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교원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피부 탄력저하는 노화 또는 자외선등에 의한 피부세포(섬유아세포)의 약화로 엘라스틴의 생성저하 및 파괴에 의해 유발된다. 자외선 등에 의해 피부내에 엘라스틴 분해효소가 발현되며 이 효소는 피부내의 정상적인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피부 탄력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피부 탄력저하는 피부 진피의 70%이상을 구성하는 콜라젠이라는 단백질의 손상 및 생성저하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콜라젠 역시 자외선등에 의해 유발되는 콜라게나제(collagenase)라는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피부탄력을 증대시키는 것과 관련된 특허들을 살펴보면, 레구미노사 종자(Leguminosae Seeds)에서 얻어진 단백질분획은 탄력증대효과를 나타내며(미국특허 제5,322,839호), 맥아추출물(malt extract)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콜라게나제(collagenase)를 억제하는데 응용되고 있으며(일본특제 제5,105,693호), 콜라게나제 또는 엘라스타제의 억제제로 카르바민산 펩티드(peptidyl carbamates), 티오카르바민산 펩티드(peptidyl thiocarbamates), 하이드록사메이트(hydroxamates),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설포산염(sulphonate salts)등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미국특허 제5,614,489호)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부탄력 증대효과 를 나타내기 위해 단순히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진피층에 한정되게 작용하여 그 기능의 극대화를 가져 오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유화한 수중유형 크림제제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몰비가 3:1이 되는 알파겔을 형성시켜 크림을 고화함으로써 조제하고 있다. 상기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데는, 충분한 양의 알파겔을 형성시켜 크림을 고화할 필요가 있는데, 통상적으로 알파겔을 형성시키는데 4중량% 이상의 고급 지방족 알코올과 같은 양친매성 물질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수중유형 크림을 조제한 경우에는 크림을 고화시키는데 필요한 알파겔의 존재에 의해 크림은 안정화되지만, 도포시에 무거운 사용감을 주어, 산뜻하고 가벼운 크림을 얻는 것은 곤란한 점이 있다. 또한, 고급 지방족 알코올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몰비가 3:1이 되어야 함은 조성을 정하는데 있어서 제약조건이 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을 감소시킨 경우에는 계의 경도가 저하하여 크림상이 되지 않거나 또는 온도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함량 수준의 고급 지방족 알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에스테르계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의하여 제형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사용감이 가볍고, 고온안정성을 가지며, 피부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에스테르계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각각 또는 2종의 혼합 오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은 고급 지방족 알콜 5~10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3중량% 및 에스테르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 혼합된 오일 8~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급 지방족 알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에스테르계 또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 구성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급 지방족 알콜은 5~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체적인 종류로는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미리스틸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급 지방족 알콜을 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화제형이 형성되지 않으며 고온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피부 도포시 뻑뻑한 사용감을 나타나게 되어 만족할 만한 사용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2~3중량%의 양으 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6이상의 직쇄알킬기를 가지는 알킬에테르계 계면활성제 또는 알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POE 알킬에테르류, POE 알킬에스테르류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2중량% 미만이면 유화제형의 고온 안정성이 저하되며 3중량%을 초과하면 끈적이는 사용감을 나타내어 만족할 만한 사용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각각, 또는 그 2종의 혼합물을 8~20중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피부에 안전하여 화장료에 사용하기 적합한 오일들로 한정한다. 그 구체적인 종류로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릭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오일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을 용해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에 있어 발림성을 향상시키며, 보습기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오일의 함량이 8중량% 미만이면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고형 성분을 용해시키기가 어려우므로 적합하지 않으며,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유화 조성물의 고온 안정도가 저하되며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번들거리게 되어 화장료로서 적합하지 않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3, 비교예 1~4 >
하기 표 1에 나타난 중량% 함량으로 항목 1~7의 원료를 유상파트로 하여 별도 용기에 70도로 가열 용해시켰고, 항목 8~12의 원료를 수상파트로 하여 별도의 용기에 담아 70도로 가열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유상파트를 수상파트에 넣으면서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유화를 일으키며 시간은 약 3분정도 지속했다. 마지막으로 에멀젼을 기밀 용기에 채우고 냉각기를 사용하여 30도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은 크림상의 유화 제형을 제공한다. 실시예 1~3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오일의 바람직한 함량 내에서 3가지를 선택하여 크림상의 유화 제형을 제조한 것이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한 함량 미만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비교예 1은 오일성분이 포함되지 않고, 비교예 2는 오일성분이 바람직한 함량 미만으로 포함된 유화제형이다. 비교예 3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이 바람직한 함량 미만으로 포함된 예이다. 비교예 4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고급 지방족 알코올이 모두 바람직한 함량을 초과하여 포함된 예이다.
각 조성물의 구성 및 함량(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1.PEG 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PEG 60 Glyceryl Isostearate) 2.5 2.5 3 1 1 2 5
2.베헤닐알콜 (Behenyl alcohol) 4 5 3 4 4 1 6
3.세토스테아릴알콜 (Cetostearyl alcohol) 4 5 2 4 4 1 6
4.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5 5 8 - 5 5 5
5.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Cetylethylhexanoate) 3 3 5 - - 3 3
6.메틸파라벤 (Methylparaben) 0.2 0.2 0.2 0.2 0.2 0.2 0.2
7.프로필파라벤 (Propylparaben) 0.1 0.1 0.1 0.1 0.1 0.1 0.1
8.물 (D.I.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9.글리세린 (Glycerine) 5 5 5 5 5 5 5
10.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5 5 5 5 5 5 5
11.디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 시험예 1 ] 인체 피부에의 도포 후 피부탄력감 평가
실시예 1~3, 비교예 1~4에서 얻은 각 시료에 대하여 25-40세 여성 20명으로 구성된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감을 평가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은 도포 직후 느껴지는 피부 탄력감을 측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평가는 1점에서 5점까지 1점 단위로 하였고 매우 나쁨(1점), 나쁨(2점), 보통(3점), 좋음(4점), 아주좋음(5점)으로 평가하였다.
선호도 평가 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선호도 4.7 4.1 4.2 2.4 3.0 2.7 3.5
상기 결과에서, 실시예 1-3과 비교예 1-4을 비교해 보면 고급 지방족 알콜을 5-1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2-3%, 오일을 8-20% 사용하는 경우 도포후 피부 탄력감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 피부 탄력개선도에 관한 인체시험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된 유화제형에 대하여 피부 탄력 회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30~40대 여성 280명을 대상으로 20명을 1개군으로 하여 14개군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조에 실시예 1-3, 비교예 1-4을 주고 매일 1회 1개월간 도포하게 한 후, 1개월 뒤 피부탄력을 측정할 수 있는 큐토미터(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여 도포하기 전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으며, 표 3의 수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다.
사용 1개월 후 임상결과
피부탄력개선도(%)
실시예 1 84
실시예 2 78
실시예 3 75
비교예1 42
비교예 2 49
비교예 3 60
비교예 4 68
[ 시험예 3 ] 상기 피부탄력 개선용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의 고온 안정도 시험
상기 표 1의 실험예 1~3, 비교예 1~4의 고온 안정도 관찰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고온 안정도(50도) 관찰 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7일후
15일후
30일후
60일후 X X X
○ : 유상과 수상의 분리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 : 유상과 수상의 약간의 분리가 확인되었다.
X : 유상의 수상의 현저한 분리가 확인되었다.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2% 이하인 경우(비교예 1,2)와 고급 지방족 알콜의 함량이 5% 이하인 경우(비교예 3)에 고온(50도)에 대한 유화 안정성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에서 고온 안정도는 실시예 1~3과 같은 정도를 보였으나 피부 도포시 발림성이 좋지 않고 바른 후 끈적임이 있어 화장료로서 적합치 않다.
반면에 실시예 1~3의 경우는 유화 및 온도 안정성이 높으며, 피부탄력 개선 효과가 탁월함이 본 실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급 지방족 알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피부 도포시 사용감이 가볍고, 고온안정성을 가지며, 피부탄력을 향상시키는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고급 지방족 알콜 5~10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3중량% 및 에스테르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 혼합된 오일 8~20중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미리스틸알콜 및 세토스테아릴알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6이상의 직쇄알킬기를 가지는 알킬에테르계 계면활성제 또는 알킬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또는 하이드로카본계의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릭카보네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션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KR1020060009223A 2006-01-31 2006-01-31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KR10065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23A KR100650043B1 (ko) 2006-01-31 2006-01-31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CN2007800038399A CN101374490B (zh) 2006-01-31 2007-01-31 用于促进皮肤提升效果的乳化组合物
PCT/KR2007/000530 WO2007089100A1 (en) 2006-01-31 2007-01-31 Emulsified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effect of skin-lif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23A KR100650043B1 (ko) 2006-01-31 2006-01-31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043B1 true KR100650043B1 (ko) 2006-11-28

Family

ID=3771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223A KR100650043B1 (ko) 2006-01-31 2006-01-31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50043B1 (ko)
CN (1) CN101374490B (ko)
WO (1) WO2007089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5875B2 (en) 2007-08-22 2014-10-21 Medarex, L.L.C. Site-specific attachment of drugs or other agents to engineered antibodies with C-terminal extensions
WO2011004589A1 (ja) 2009-07-06 2011-01-13 花王株式会社 乳化組成物
BR112017014455B1 (pt) 2015-02-19 2021-06-01 Unilever Ip Holdings B.V. Composição de limpeza e produto embalado
PL3799932T3 (pl) * 2015-04-10 2022-12-27 BIC Violex Single Member S.A. Kompozycja środka wspomagającego golenie
CN115737451A (zh) * 2022-11-17 2023-03-07 美出莱(杭州)化妆品有限责任公司 一种α-凝胶组合物、化妆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854A (en) 1996-08-21 2000-10-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JP2001097816A (ja) 1999-07-27 2001-04-10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010049500A (ko) * 1999-06-21 2001-06-15 조지안느 플로 오르가노겔 및, 그것의 용도, 특히 화장적 용도
KR20020025309A (ko) * 2000-09-28 2002-04-04 김해관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100570498B1 (ko) 2003-09-15 2006-04-13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막형성 수지 및 파우더를 함유한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993A1 (fr) * 1999-07-27 2001-02-01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ion d'emulsion huile dans l'eau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854A (en) 1996-08-21 2000-10-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KR20010049500A (ko) * 1999-06-21 2001-06-15 조지안느 플로 오르가노겔 및, 그것의 용도, 특히 화장적 용도
JP2001097816A (ja) 1999-07-27 2001-04-10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020025309A (ko) * 2000-09-28 2002-04-04 김해관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100570498B1 (ko) 2003-09-15 2006-04-13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막형성 수지 및 파우더를 함유한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4490A (zh) 2009-02-25
CN101374490B (zh) 2011-02-16
WO2007089100A1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1814A (ko) 적어도 2종의 (폴리)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화장품에서의 용도
KR100840905B1 (ko) 헥사고날 젤 구조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KR100650043B1 (ko) 피부탄력 개선용 유화 조성물
CN110302063A (zh) 一种含有层状液晶结构仿生膜的保湿护肤品
KR101404968B1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JPH1160434A (ja) 皮膚老化防止化粧料
CN105878055A (zh) 一种具有抗水抗汗功效的雪颜霜及其制备方法
US11129788B1 (en) Sprayable film forming composi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opical preparations
EP2732808B1 (en) Cosmetic composition
KR20090118468A (ko)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JP7039178B2 (ja) 架橋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を含有する局所用組成物
CN110897991B (zh) 一种具有护肤功能的唇彩及其制备方法
KR101737397B1 (ko)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00A (ko)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H0733637A (ja) 皮膚化粧料
KR102472483B1 (ko) 각질제거효과와 보습효과를 동시에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1828B1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3935A (ko) 아디프산/네오펜틸글리콜 크로스폴리머 서스펜션 솔루션을 함유한 모공 커버 화장료 조성물
KR102096011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α-겔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2173A (ko) 폴리올을 포함하는 무스형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2272242B1 (ko)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JPH1160462A (ja) 皮膚化粧料
KR101318084B1 (ko) 폴리쿼터늄-51 및 아디프산/네오펜틸글리콜 크로스 폴리머 서스펜션 솔루션을 포함하는 수분산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64B1 (ko)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11356B1 (ko) 로즈마린산을 함유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