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078B1 - 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078B1
KR100646078B1 KR1020040084016A KR20040084016A KR100646078B1 KR 100646078 B1 KR100646078 B1 KR 100646078B1 KR 1020040084016 A KR1020040084016 A KR 1020040084016A KR 20040084016 A KR20040084016 A KR 20040084016A KR 100646078 B1 KR100646078 B1 KR 100646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extract
cells
buoh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963A (ko
Inventor
김영중
구경아
강소영
성상현
김승현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40084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07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광나무 C1-4알콜 추출물, 그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노말 부탄올(n-BuOH) 분획물은 매우 유의성 있는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가지므로 뇌졸중, 치매 등의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광나무, 신경세포보호,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Description

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Ligustrum japonicum extrac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도 1은 글루타메이트 독성에 대한 광나무 노말 부탄올(n-BuOH) 분획의 소분획들의 일차배양한 흰쥐의 뇌신경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6-OHDA 독성에 대한 광나무 노말 부탄올(n-BuOH) 분획의 소분획의 SH-SY5Y 세포사멸 보호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광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인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성 치매 및 파킨슨병이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들은 기억력 상실, 학습능력의 저하 및 운동 장애가 주 증상으로 환자는 물론 그 가족까지 함께 커다란 고통을 겪게 된다.
이미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한 치매 환자의 증가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어 이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져가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이렇다 할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그 심각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는 질환이다.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은 노화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구조적 퇴화, 순환기 장애 등과 같은 성인병에 기인한 2차적 증상, 또는 교통사고, 산업재해, 일산화탄소 중독 등 물리적, 기계적 요인에 의하여 뇌가 손상을 입으면 일어날 수 있다. 즉, 뇌로 공급되는 혈류량이 감소되거나 차단되어 뇌조직이 저산소, 저포도당 상태가 되면 정상대사를 할 수 없어 뇌조직은 회복될 수 없는 손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발작(stroke), 외상(trauma) 및 허혈성 손상(ischemic injury) 뿐만 아니라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에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다.
뇌조직의 손상은 크게 두 가지 기전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 번째로는 세포막 전압의 변화에 의한 흥분성 아미노산 유리의 증가에 의한 것이며, 두 번째로는 직접적인 산화성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원인에 의하여 뇌조직의 손상이 나타나면 손상된 뇌 조직의 부위에 따라 노인성치매 및 파킨슨병을 비롯한 다양한 뇌신경계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뇌조직 손상의 원인인 글루타메이트 또는 H2O2나 6-hydroxydopamine (6-OHDA)등을 사용하여 독성을 유발하였다. H2O2는 활성산소 화합물류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하나로 세포 내외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성되며 대사과정 중에 또 다른 ROS의 생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ROS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켜 세포 내 단백질, 세포막, DNA등에 손상을 입혀 결국은 세포를 손상시키며 세포막 투과성이 높아 주위의 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낸다 (Slater, T. F. (1984) Free-radical mechanisms in tissue injury. Biochem . J. 222: 1-15). 세포는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하여 항산화물질과 항산화효소와 같은 다양한 방어기전을 가지고 있다. 세포내 항산화물질로는 GSH가 대표적인데 GSH는 대부분 환원형 GSH로 존재하고 ROS가 증가하면 GSSG로 변화하며 따라서 GSSG의 증가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가 된다.
또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발작(stroke), 외상(trauma) 및 허혈성 손상(ischemic injury)의 경우 글루타메이트가 이온향성 수용체(ionotrophic receptor)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산화성 스트레스를 일으켜 글루타메이트성 신경에 이상을 초래하여 발병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뇌조직에서의 혈류량이 감소되면 신경 접합부에서 글루타메이트의 유리가 증가되며, 신경세포 안으로의 유입은 감소되어 세포 외에서의 글루타메이트의 농도가 급속히 증가되면서 독성을 유발시켜 신경세포는 결국 사멸하게 된다.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은 글루타메이트의 길항물질, Na+ 및 Ca2+ 채널 차단제, 항산화제, 유리 라디칼체인 차단제(free radical chain breakers) 및 잔틴 데하이드로지네이스(xanthine dehydrogenase)로부터 잔틴 옥시데이즈로의 전환을 억제하는 효소인 안티프로티에이즈(antiproteases) 등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으나 특히, NMDA 수용체에 대한 길항물질이 효과적이다.
또 다른 신경전달물질, 도파민(dopamine)의 유도체인 6-OHDA는 H2O2와 유사하게 활성산소 화합물의 생성을 통하여 독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 구조적 유사성 으로 인하여 도파민 트랜스포터(Dopamine transporter)에 의하여 도파민성 신경계에 운반되어 선택적으로 도파민성 신경계에 독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파민성 신경계의 사멸이 주원인으로 알려진 파킨슨병의 모델을 유도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파민성 신경계의 독성에 대하여 생체는 다양한 항산화 시스템을 가지고 세포를 보호하며 또한 항산화물질들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망증이나 뇌졸중 등의 퇴행성 뇌질환에 유효한 생약 제제를 발견하기 위해 일차배양한 흰쥐의 대뇌피질세포에 H2O2나 글루타메이트로 유발시킨 신경독성을 약화시키는 천연물을 검색하던 중, 광나무의 총 메탄올 추출물이 현저히 유의성 있는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Thunb)는 물푸레나무과 (Ole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 일본, 대만, 및 우리나라 제주도, 남부 지방의 산야지 해발 150∼1,100m 지역 해변산록 저지대에 자생하며, 높이 3∼5m 이고 가지는 회색이며 피목이 뚜렷하다. 잎은 대생하며 혁질이고 넓은 난형,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3∼10cm, 너비 2.5∼4.5cm로서 뒷면에 뚜렷하지 않은 잔점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여 엽병은 길이 5∼12mm 이고 엽맥과 더불어 적갈색이 돈다. 7∼8월에 꽃이 피고 꽃은 백색이며 복총상화서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와 너비가 각각 5∼12cm 이며 꽃받침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이고 화관은 길이 5∼6mm 이며 통부는 열편보다 약간 길거나 같고 뒤로 젖혀지며 수술은 2개이다. 10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핵과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7∼10mm 로서 자흑색으로 익으며 겨울에도 남아있다. 가지에 잔털이 있고 잎이 촘촘하게 달리며 난상 타원형 또는 약간 원형으로서 엽병이 짧고 화서는 중축에 짧은 털이 있으며 길이 3∼6cm 인 것을 둥근잎 광나무 (var.rotundifolium BLUME)라 한다.
과실에는 oleanicacid, mannitol, glucose,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이 함유되어 있고 과피에는 oleanolic acid, acetyl oleanolic acid, ursolic acid 가 함유되었고 종자에는 지방유 14.9%가 함유되었다. 지방유 중에는 palmitic acid 과 stearic acid 가 19.5%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 80.5% 함유되어 있다. oleanolic acid 는 강심, 이뇨작용이 약간 있고 mannitol 은 완하작용이 있고 다량의 glucose 가 함유되어 있다. 이는 강장작용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광나무는 약명으로 여정목, 속명은 일본여정, 여정, 서자행, 서자, 동청목, 절목, 사수, 서실태, 랍수 등으로 불린다. 관상용, 약용에 쓰이고 한방과 민간에서 열매를 강장, 종기, 약정신, 보익, 각기, 풍혈 등에 약재로 쓴다.
광나무, 당광나무 (제주광나무)의 성숙한 열매을 여정실이라 하여 겨울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따서 지엽을 제거 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과실을 가볍게 증류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이용한다. 여정실은 강심, 이뇨작용과 간기능 보호작용, 건강한 사람의 모세포 전화작용 촉진, 황색 포도상구균 및 이질간균, 인풀루엔자균, 녹농균, 대장균을 억제하는 작용, 항암효과에도 활성반응을 보인다. 광나무, 당광나무의 뿌리는 여정근이라 하며 9∼10 월에 채취한다. 기혈을 흩어지게 하고 기통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다. 광나무, 당광나무의 수피는 여정피라 하며 연중 수시로 채취하며 syringic acid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항말라리아, 해열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나무, 당광나무의 잎인 여정엽은 syringic acid, amygdaline 분해효소, imvertase, mannitol, ursolic acid, oleanolic acid, p-hydrophenylethanol, cosmosiin, luteolin-7-glucosid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in vitro 실험에서 황색포도당 구균, 녹농균, 대장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가졌음이 밝혀져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광나무의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신경보호작용 및 그 작용기전을 밝힘으로써 뇌졸중이나 노인성 치매 및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제의 후보물질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광나무의 총메탄올 추출물, 그것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및 노말 부탄올(n-BuOH) 분획물이 유의성 있는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생약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광나무의 전초, 잎, 가지, 열매, 또는 수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이를 분말화하거나, 추출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나무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통상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용매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물,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C1-4알콜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또는 n-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나무 추출물은, 상기 C1-4 알콜 추출물을 분획화하여 정제된 분획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알콜 총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및 노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또는 이들을 통상의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라피를 수행하여 얻은 보다 정제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열탕추출, 소니케이션 등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추출물의 동결건조물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광나무의 추출 및 분획
광나무 잎, 열매, 수피 각각을 80% MeOH을 3 L 씩 가해 3시간 5회 초음파 추출 후 여과하였다. 이를 감압 농축하여 MeOH엑스을 얻었다. 이것을 증류수에 현탁한 다음 n-hexane로 분획하여 n-hexane 분획 및 H2O 분획을 얻었다. H2O 분획을 다시 CHCl3로 분획하여 CHCl3 분획 및 H2O 분획을 얻었다. 이 H2O 분획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분획하여 EtOAc 분획 및 H2O 분획을 얻었다. 이 H2O 분획을 다시 수포화된 노말 부탄올(n-BuOH)로 다시 분획하여 n-BuOH 분획과 이 H2O 분획을 얻었다. 이들의 수율은 하기와 같다(각각의 수율은 건조생약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열매
Fresh 480g으로부터 80 % MeOH 추출물 109 g (22.7%)얻음.
n-Hex.: 16 g (3.3%)
CHCl3: 15 g (3.1%)
EtOAc: 25 g (5.2%)
n-BuOH: 23 g (4.8%)
H2O: 30 g (6.3%)
잎 (지상부)
건조세말한 잎 350 g으로부터 80 % MeOH 추출물 102 g (29.1%)얻음
n-Hex.: 8 g (2.3%)
CHCl3: 14 g (4.0%)
EtOAc: 20 g (5.7%)
n-BuOH: 32 g (9.1%)
H2O: 28 g (8.0%)
수피
건조세말한 수피 3kg으로부터 80 % MeOH 추출물 277 g (9.2%)얻음
n-Hex.: 17 g (0.6%)
CHCl3: 12 g (0.4%)
EtOAc: 95 g (3.2%)
n-BuOH: 115 g (3.8%)
H2O: 38 g (1.3%)
유의성 있는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보이는 광나무 잎의 EtOAc 분획과 n-BuOH 분획을 Colum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활성소분획을 얻고자 하였다. EtOAc 분획은 CHCl3과 MeOH의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하여 S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8개의 소분획 (LJ-E-1 LJ-E-8)으로 나누었다. n-BuOH 분획은 H2O과 MeOH의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하여 RP resin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5개의 소분획 (LJ-B-1 LJ-B-5; 20% MeOH 100% MeOH)을 얻었다.
실험예
실험동물 - Sprague-Dawley계 흰쥐를 서울대학교 동물사육장에서 공급받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실험동물실에서 사육하였다. 사육장의 환경은 실내온도를 22.5℃로 유지하고 조명시간을 아침 7시에서 저녁 7시로 고정하였으며, 사료는 조단백 23.2%, 조지방 4.0%, 조섬유 6.0%, 조회분 10.0%, 조칼슘 0.6%, 조인 0.4%등이 함유된 고형사료 (서울, 삼양사)를 사용하였다.
흰쥐의 대뇌피질세포의 분리 및 배양 - 흰쥐 태자의 대뇌 부분만을 적출하여 해부현미경 밑에서 조심스럽게 뇌막(meninges)을 제거한 후 대뇌조직을 0.25% 트립신으로 30분 동안 처리하여 조직을 연화시켜 개개의 세포로 유리되도록 하였다. 분리한 대뇌피질세포를 2.0×105 cells/dish가 되게 하여 폴리-L-라이신으로 도포한 배양 용기(Falcon, 15×24 mm)에 이식하였다. 배양액은 DMEM 90%, 소태혈청(fetal calf serum) 10%, 페니실린 100 IU/ml과 스트렙토마이신 100 g/ml으로 구성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세포의 배양은 37℃ 배양기에서 공기 (95%)와 CO2 (5%)의 혼합기체를 계속 공급하면서 수행하였으며 배양 4일이 지난 후 5×10-5 M 5-플루오로데옥시우리딘으로 처리하여 신경세포가 아닌 다른 세포의 성장을 억제시켰다 (Choi, D. W. (1985) Glutamate neurotoxicity in cortical cell culture is calcium dependent. Neurosci . Lett. 58: 293-297).
SH - SY 5Y 세포주의 배양 - 한국세포주은행에서 세포주를 분양받아 DMEM 90%, 소태혈청(fetal calf serum) 10%, 페니실린 100 IU/ml과 스트렙토마이신 100 μ g/ml을 포함하는 DMEM을배양액을 하여 37℃ 배양기에서 공기 (95%)와 CO2 (5%)의 혼합기체를 계속 공급하면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일정하게 자라면 트립신 (trypsin)을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용기에서 분리한 수 5×104 cells/ml로 희석하여 배양용기에 이식하였다. 세포주는 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신경독성의 유도 - 흰쥐의 태자에서 직접 분리한 대뇌피질세포를 17일간 배양한 후 활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농도별로 배양세포에 처리한 다음 1시간 후에 100 μM의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하여 신경세포에 독성을 유도하였다. 24시간 후 MTT assay로 세포의 생존률을 측정하여 시료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판단하였다.
H 2 O 2 에 의한 신경독성의 유도 - 흰쥐의 태자에서 직접 분리한 대뇌피질세포를 10일간 배양한 후 활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농도별로 배양세포에 처리한 다음 1시간 후에 30 μM의 H2O2를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유도하였다. 24 시간 후 MTT assay로 세포의 생존률을 측정하여 시료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판단하였다.
6- OHDA 에 의한 신경독성의 유도 - SH-SY5Y 세포를 배양용기에 이식한 후 다음 날 활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농도별로 배양세포에 처리한 다음 1시간 후에 25 μM의 6-OHDA를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유도하였다. 24 시간 후 MTT assay로 세포의 생존률을 측정하여 시료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판단하였다.
광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투여 - 광나무의 총 추출물 및 분획물을 DMSO (최종농도 0.1% 이내)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로 희석하여 5 ㎎/㎖의 농도로 제조한 다음 millipore membrane (0.22 ㎛, Millex-GV, U.S.A.)을 통과시켜 무균상태로 만들고 농도를 달리하여 투여하였다.
세포상징액의 제조 - 일차배양한 대뇌피질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4)을 가하여 세포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세포를 20초간 sonication 한 후 4℃에서 3,000 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상징액을 얻었다.
MTT assay - 배양 중인 대뇌피질세포의 배양액에 MTT (5 ㎎/㎖)를 배양액의 10%가 되도록 가하고 계속하여 3시간 더 배양한 후 생성된 formazan을 DMSO로 녹여낸 다음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통계처리 - 통계적 유의성 검토는 각 실험군의 수를 3으로 하였으며 (n=3) 대조치로부터의 변동을 ANOVA test로 통계처리 하였다. P값이 5% 미만일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표 1. 글루타메이트 및 H2O2 독성에 대한 광나무 잎과 열매 분획들의 일차배양한 흰쥐의 뇌신경세포 보호활성
Fraction (100ug/ml) 열매
Protection (%)
Glutamate 독성 Total 30.0 ± 1.8* 28.1 ± 4.9
n-Hex 31.8 ± 6.0* 10과 100 ug/ml 에서 독성
CHCl3 -7.4 ± 5.0 30.4 ± 5.4*
EtOAc 56.4 ± 6.3** 47.3 ± 6.5**
n-BuOH 48.4 ± 7.0** 24.0 ± 4.0
H2O 10.0 ± 6.5 5.0 ± 1.5
H2O2 독성 Total 45.5 ± 7.4* 32.4 ± 5.5*
n-Hex -7.8 ± 3.2 1.5 ± 2.0 (10 ug/ml)
CHCl3 -4.0 ± 0.7 66.5 ± 8.4** (10 ug/ml)
EtOAc 95.6 ± 11.8*** 80.1 ± 5.8***
n-BuOH -6.9 ± 1.9 38.0 ± 6.5*
H2O 11.9 ± 2.6 17.0 ± 0.5
표 2. 글루타메이트 및 H2O2 독성에 대한 광나무 수피 분획들의 일차배양한 흰쥐의 뇌신경세포 보호활성
Fractions 수피
Protection (%)
Glutamate toxicity Hydrogen peroxide toxicity
50 (μg/ml) 10 (μg/ml) 50 (μg/ml) 100 (μg/ml)
Total 34.0 ± 5.0* 50.9 ± 6.5** 42.2 ± 2.2*
n-Hex 독성 11.9 ± 3.4 독성 독성
CHCl3 23.3 ± 4.5 11.7 ± 1.0 41.1 ± 3.4* 22.1 ± 5.0
EtOAc 37.5 ± 5.0* 37.7 ± 4.0* 69.0 ± 9.2** 54.3 ± 5.2**
n-BuOH 10.0 ± 5.6 3.9 ± 4.5 37.0 ± 4.0* 15.2 ± 5.2
H2O 12.5 ± 3.7 25.1 ± 4.3 28.6 ± 4.0 19.0 ± 3.5
표 3. 글루타메이트 독성에 대한 광나무 EtOAc 분획의 소분획들의 일차배양한 흰쥐의 뇌신경세포 보호활성
Fractions Protection (%)
10 (μg/ml) 50 (μg/ml)
LJ-E-1 12,0 ± 1.5 20.5 ± 7.8
LJ-E-2 15.0 ± 4.9 25.0 ± 5.2
LJ-E-3 4.5 ± 0.2 10.2 ± 0.5
LJ-E-4 19.4 ± 7.2 42.8 ± 10.5*
LJ-E-5 5.1 ± 0.8 15.1 ± 5.2
LJ-E-6 15.6 ± 2.5 25.3 ± 7.2
LJ-E-7 10.9 ± 2.3 50.9 ± 3.5
LJ-E-8 20.1 ± 5.6 49.5 ± 10.0**
급성독성 실험
1. 경구투여
ICR계 마우스 (28 ± 6 g)와 스프라그돌리계 (Sprague Dawley; 250 ± 12 g) 래트를 각각 15마리씩 5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광나무의 총메탄올 추출물, EtOAc 분획물 및 n-BuOH 분획물을 각각 250, 500, 725, 1000 및 5000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한 후 2주간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5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2. 복강투여
ICR계 마우스(25 ± 5 g)와 스프라그돌리계 래트를 각각 10마리씩 5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광나무의 총메탄올 추출물, EtOAc 분획물 및 n-BuOH 분획물을 각각 125, 250, 500, 725 및 1000 mg/kg의 용량으로 복강 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5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 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 및 분획물은 급성독성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나무의 총메탄올 추출물, EtOAc 분획물 및 n-BuOH 분획물은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나무의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은 환자의 성별, 나이, 체중,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 다르나, 통상 일일 10mg 내지 5000mg을 1 내지 3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나무의 추출물은 통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통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주사제, 액제, 시럽제, 정제, 캡슐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제제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된 광나무의 총메탄올 추출물, EtOAc 분획물 및 n-BuOH 분획물은 스킴 1에 따른 실시예(광나무의 추출 및 분획)에서 제조된 것이다.
제제실시예 1
광나무 총메탄올 추출물 100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pH조절제 적량
광나무 총메탄올 추출물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 조절제로 pH 약 7.6로 조절한 다음 전체를 2ml로 한 후 2ml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 실시예 2
광나무 EtOAc 분획물 2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pH조절제 적량
광나무 EtOAc 분획물을 주사용 멸균증류수에 용해하고 pH조절제로 pH 약 7.2로 조절하고 전체를 2ml로 한 다음 2ml용량의 앰플에 충진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 실시예 3
광나무 n-BuOH 분획물 2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pH조절제 적량
광나무 n-BuOH 분획물을 주사용 멸균증류수에 용해하고 pH조절제로 pH 약 7.2로 조절하고 전체를 2ml로 한 다음 2ml용량의 앰플에 충진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4
광나무 총메탄올 추출물 10mg
유당 100mg
전분 5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5
광나무 EtOAc 분획물 100mg
유당 50mg
전분 50mg
탈크 2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6
광나무 n-BuOH 분획물 100mg
유당 50mg
전분 50mg
탈크 2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7
광나무 총메탄올 추출물 10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ml 의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실시예 8
광나무 n-BuOH 분획물 1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ml 의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라 광나무 총메탄올 추출물, 그 EtOAc 분획물 및 n-BUOH 분획물이 제공되며, 이들은 매우 유의성 있는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가지며 독성이 없으므로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광나무의 C1-4알콜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의 광나무의 C1-4알콜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 또는 그의 노말 부탄올(n-BuOH) 분획물, 또는 이들을 컬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이 뇌졸중, 치매 또는 파킨슨병인 조성물.
KR1020040084016A 2004-10-20 2004-10-20 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6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016A KR100646078B1 (ko) 2004-10-20 2004-10-20 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016A KR100646078B1 (ko) 2004-10-20 2004-10-20 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963A KR20060034963A (ko) 2006-04-26
KR100646078B1 true KR100646078B1 (ko) 2006-11-15

Family

ID=3714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016A KR100646078B1 (ko) 2004-10-20 2004-10-20 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489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헬리오스 광나무 추출물의 바이오리노베이션에 의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489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헬리오스 광나무 추출물의 바이오리노베이션에 의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3782B1 (ko) 2020-12-30 2022-11-04 주식회사 헬리오스 광나무 추출물의 바이오리노베이션에 의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963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i et 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Datura stramonium L. as a potential medicinal tree: an overview
Al-Snafi Che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Ammi majus and Ammi visnaga. A review
RU2440820C2 (ru) Противорак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линию клеток, полученную из камбия и прокамбия стебля тисса (taxus)
Okwu et a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Uvaria chamae and Clerodendoron splendens
Agyare et al.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terygota macrocarpa and Cola gigantea (Sterculiaceae)
KR101100867B1 (ko) 주목의 형성층 또는 전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BRPI0909876A2 (pt) composição, cosmético e alimento funcional anti-envelhecimento ou antioxidante contendo linhagem de células de caule vegetal derivada de câmbio de panax ginseng
KR101257313B1 (ko)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조직 배양한 노니 부정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알러지 예방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Rehni et al. Effect of chlorophyll and aqueous extracts of Bacopa monniera and Valeriana wallichii on ischaemia and reperfusion-induced cerebral injury in mice
WO2019146881A1 (ko)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1822A (ko) 지칭개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685616B1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6450B1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46078B1 (ko) 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29209B1 (ko) 노루궁뎅이버섯, 노랑느타리버섯 및 세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79523B1 (ko)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10138595A (ko) 야관문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Handayani et al. Kecombrang (Etlingera elatior) Leaves Ethanol Extract Effect to Lens and Erythrocyte Aldose Reductase Activity in Wistar strain white rats (Rattus norvegicus) Streptozotocin induced
KR100467471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 및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Momin et al. Determination of lipid and alkaloid content in some medicinal plants of genus Sesbania
KR20190118276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증상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1746158B1 (ko) 은시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4698167B2 (ja) アルツハイマー病予防・治療剤
KR102223933B1 (ko) 인삼열매의 복합공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