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739B1 -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739B1
KR100645739B1 KR1020050081183A KR20050081183A KR100645739B1 KR 100645739 B1 KR100645739 B1 KR 100645739B1 KR 1020050081183 A KR1020050081183 A KR 1020050081183A KR 20050081183 A KR20050081183 A KR 20050081183A KR 100645739 B1 KR100645739 B1 KR 100645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nsity
radio
reception
noise generation
generation 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8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ANT)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가청신호로 처리하고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라디오모듈과; 상기 라디오모듈이 처리한 라디오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리시버 앰프와; 상기 라디오모듈이 출력하는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와; 상기 ADC를 통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상기 수신강도를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와 비교하여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라디오방송 청취 시, 노이즈로 인한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WITH RADIO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MSM(Mobile Station Modem) 15 : 라디오모듈
20 : 제어부(DSP) 22 : 타이머
24 : ADC 26 : 리시버 앰프
본 발명은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확인하여 수신 악화상태의 정도에 따라 출력볼륨을 조절하고 악화상태의 경과에 따라 라디오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노이즈로 인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소모를 방지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는 고유한 기능인 전화기능 이 외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라디오 청취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도 소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록도로서, 라디오 방송신호 수신주파수 대역의 안테나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라디오모듈(5)과 사용자의 라디오기능 선택에 따라 라디오모듈(5)을 활성화시키는 MSM(Mobile Station Modem)(1)을 포함한다. 여기서, 라디오모듈(5)에는 수신된 라디오 방송신호를 이어폰이나 스피커로 출력하는 리시버(9)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 상에 구비된 메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모드를 라디오방송 청취모드로 선택하면, MSM(1)은 라디오모듈(5)을 활성화하며, 이에, 라디오모듈(5)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 처리하여 리시버(9)를 통해 스피커 내지는 이어폰 등의 오디오 출력장치(7)로 라디오 방송을 출력한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이동이 빈번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라디오를 청취하는 경우 이동장소에 따라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한다. 수신환경이 악화되면 라디오 청취 중 노이즈가 발생하며 특히, 수신환경의 급격한 변화 시에는 노이즈 또한 급격히 증가하여 사용자를 놀라게 하거나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수신환경 악화에 따라 라디오 청취가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에도 라디오기능 수행을 위한 전원은 지속적으로 소모됨으로 배터리의 전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환경을 확인하여 수신 악화상태의 정도에 따라 출력볼륨을 조절하고 악화상태의 경과에 따라 라디오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노이즈로 인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ANT)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가청신호로 처리하고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라디오모듈과; 상기 라디오모듈이 처리한 라디오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리시버 앰프와; 상기 라디오모듈이 출력하는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와; 상기 ADC를 통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상기 수신강도를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와 비교하여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경우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감소시키고,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하향 조정한 후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원래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라디오모듈이 절전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모듈이 절전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라디오모듈이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ANT)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가청신호로 처리하고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라디오모듈과; 상기 라디오모듈이 출력하는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와;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와; 상기 ADC를 통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상기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경우,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절전모드전환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라디오모듈이 절전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수신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여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형식으로 입력된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일 경우 상기 라디오 방송신호를 오디오장치로 출력하는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하향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하향 조정한 후, 상기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인 경우,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원래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목적은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수신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여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형식으로 입력된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일 경우,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라디오 수신기능을 절전모드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라디오 수신기능을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화통화기능을 비롯한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어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11)과, MSM(11)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ANT)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가청신호로 처리하고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라디오모 듈(15)과, 라디오모듈(15)이 처리한 라디오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출력장치(17)로 출력하는 리시버 앰프(2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라디오모듈(15)이 출력하는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24)와, 타이머(22)와,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수신강도를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와 비교하여 수신강도가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리시버 앰프(26)의 게인을 감소시키고 타이머(22)를 통해 수신강도 저하상태의 지속시간을 확인하여 일정시간 이상 수신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라디오모듈(15)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MSM(11)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라디오방송 청취 기능의 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모드를 라디오방송 청취모드로 선택하면 라디오모듈(15)이 활성화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라디오모듈(15)은 안테나(ANT)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가청신호로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리시버 앰프(26)를 통해 증폭하여 이어폰,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장치(17)로 출력한다. 또한, 라디오모듈(15)은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여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RSSO(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핀으로 출력한다. 통상의 경우 수신강도가 큰 경우 상대적으로 큰 전압값이 RSSO핀으로 출력되고 수신강도가 작은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전압값이 RSSO핀으로 출력된다.
ADC(24)는 라디오모듈(15)의 RSSO핀에서 출력되는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0)에 입력한다.
여기서, 제어부(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ADC(24)를 통해 디지털형식으로 입력된 수신강도를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와 비교하여.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일 경우 제어부(20)는 리시버 앰프(26)의 게인을 하향 조정하여 오디오 출력장치(17)로 출력되는 노이즈의 볼륨을 감소시킨다. 리시버 앰프(26)의 게인을 하향 조정한 후, 제어부(20)는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강도가 호전되면 리시버 앰프(26)의 게인을 다시 상향 조정하여 출력장치의 볼륨을 원상 복귀시킨다.
또한, 제어부(20)는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일 경우 타이머(22)를 통해 수신강도 저하상태의 지속시간을 확인하고, 일정시간 이상 수신강도 저하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라디오모듈(15)에 I2C 전송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라디오모듈(15)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킨다. 절전모드 상태에서 라디오모듈(15)은 라디오방송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방송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RSSO(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핀으로 출력하여 전원소모를 최소화한다. 이에, 제어부(20)는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강도가 호전되면 라디오모듈(15)에 I2C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라디오모듈(15)을 정상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모드를 라디오방송 청 취모드로 선택하면,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여 수신강도가 좋지 않은 경우 리시버 앰프(26)의 게인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이즈 볼륨을 감소시키고, 수신강도 저하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라디오모듈(15)을 절전모드로 전환시켜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흐름도로서,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라 노이즈 볼륨을 조절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라디오방송 청취모드를 선택하면(S10), 라디오모듈(15)이 활성화되어 안테나(ANT)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한편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여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RSSO(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핀으로 출력한다(S12).
ADC(24)는 라디오모듈(15)의 RSSO핀에서 출력되는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0)에 입력한다(S14).
이에, 제어부(20)는 ADC(24)를 통해 디지털형식으로 입력된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6),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일 경우 리시버 앰프(26)의 게인을 하향 조정한다(S18). 따라서, 이어폰내지는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장치(17)로 출력되는 노이즈의 볼륨이 감소된다.
리시버 앰프(26)의 게인을 하향 조정한 후 제어부(20)는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20),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이면 리시버 앰프(26)의 게인을 다시 원래의 값으로 상향 조정한다(S22). 따라서, 이어폰내지는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장치(17)로 출력되는 라디오방송의 볼륨이 원상 복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흐름도로서,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 저하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라디오모듈(15)을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라디오방송 청취모드를 선택하면(S30), 라디오모듈(15)이 활성화되어 안테나(ANT)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한편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여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RSSO(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핀으로 출력한다(S32).
ADC(24)는 라디오모듈(15)의 RSSO핀에서 출력되는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0)에 입력한다(S34).
이에, 제어부(20)는 ADC(24)를 통해 디지털형식으로 입력된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6),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일 경우 타이머(22)를 구동시킨다(S38).
제어부(20)는 타이머(22)를 통해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으로 지속되는 시간을 확인하여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 저하상태가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0)는 라디오모듈(15)에 I2C 전송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라디오모듈(15)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킨다(S42). 이에, 최소한의 전원만을 소모하면서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RSSO(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핀으로 출력한다.
이에, 제어부(20)는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44), 수신강도가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이면 라디오모듈(15)에 I2C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라디오모듈(15)을 정상상태로 전환시킨다(S46).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라디오방송 청취모드인 경우,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여 수신강도가 좋지 않은 경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이즈 볼륨을 감소시키고, 수신강도 저하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라디오모듈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환경을 확인하여 수신 악화상태의 정도에 따라 출력볼륨을 조절하고 악화상태의 경과에 따라 라디오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라디오방송 청취 시, 노이즈로 인한 불편 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ANT)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가청신호로 처리하고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라디오모듈과;
    상기 라디오모듈이 처리한 라디오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리시버 앰프와;
    상기 라디오모듈이 출력하는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와;
    상기 ADC를 통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상기 수신강도를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와 비교하여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경우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감소시키고,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하향 조정한 후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원래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라디오모듈이 절전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모듈이 절전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라디오모듈이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5.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ANT)를 통해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가청신호로 처리하고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라디오모듈과;
    상기 라디오모듈이 출력하는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와;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와;
    상기 ADC를 통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상기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경우,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라디오모듈이 절전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6.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수신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여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형식으로 입력된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일 경우 상기 라디오 방송신호를 오디오장치로 출력하는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하향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하향 조정한 후, 상기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인 경우, 상기 리시버 앰프의 게인을 원래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8.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수신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라디오 방송신호의 수신강도를 감지하여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에 따른 전압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형식으로 입력된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일 경우,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전모드전환 기준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라디오 수신기능을 절전모드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 상태에서, 상기 수신강도가 미리 저장된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강도가 상기 노이즈발생 기준강도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라디오 수신기능을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50081183A 2005-09-01 2005-09-01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45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183A KR100645739B1 (ko) 2005-09-01 2005-09-01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183A KR100645739B1 (ko) 2005-09-01 2005-09-01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739B1 true KR100645739B1 (ko) 2006-11-14

Family

ID=3765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183A KR100645739B1 (ko) 2005-09-01 2005-09-01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7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943A (ko) * 1997-11-29 1999-06-15 윤종용 수신감도별 오디오 레벨 제어방법
KR20050051793A (ko) * 2003-11-28 2005-06-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에프엠 라디오 음원을 이용한 디지털데이터 재생 및 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943A (ko) * 1997-11-29 1999-06-15 윤종용 수신감도별 오디오 레벨 제어방법
KR20050051793A (ko) * 2003-11-28 2005-06-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에프엠 라디오 음원을 이용한 디지털데이터 재생 및 전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9277B2 (en)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volume adjustment mode automatically and volume adjustment method thereof
US74509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power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JPWO2005076467A1 (ja) 電力増幅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電力増幅装置の制御方法
KR10068954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US6304139B1 (en) Transmitter adjusting output power
JP2001024454A (ja) 自動利得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自動利得制御機能を持った無線通信装置
US7991371B2 (en) Automatic gain control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6208837B1 (en) Selective calling/receiving device
KR100645739B1 (ko)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68921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dynamic range of a digital-to-analog conver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20120133894A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JP2009027667A (ja) 無線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1196174A (ja) 音声信号送受話装置及び受話音量制御方法
JP4869154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US20030022687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4202883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音量制御方法
KR10077084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와 그 단말기에서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
KR10068888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적응적 증폭 게인 조절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0136701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초기 증폭 레벨 조정 방법
KR100553708B1 (ko) 오디오 신호 무선 송출 장치
JP4664454B2 (ja) 無線電話機
KR100698654B1 (ko) 수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전원 절약 방법 및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JP3425970B2 (ja) 小型無線機
KR100700594B1 (ko)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65578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송신출력 조절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